KR101329551B1 -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551B1
KR101329551B1 KR1020120097688A KR20120097688A KR101329551B1 KR 101329551 B1 KR101329551 B1 KR 101329551B1 KR 1020120097688 A KR1020120097688 A KR 1020120097688A KR 20120097688 A KR20120097688 A KR 20120097688A KR 101329551 B1 KR101329551 B1 KR 10132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wastewat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지
Original Assignee
(주)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하 filed Critical (주)성하
Priority to KR102012009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2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water or from condens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수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최대한의 고온 용수를 스팀보일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다수의 염색조로부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폐수 온도계와; 상기 폐수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제어밸브와; 상기 다수의 염색조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합하기 위한 통합 배수관과; 상기 경로제어밸브를 통해 출력되는 저온 폐수로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승온시키는 저온 열교환기와; 상기 저온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용수를 집수하는 저온 집수조와; 상기 통합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고온 폐수로 상기 저온 집수조에서 토출되는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고온으로 승온시키는 고온 열교환기와;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고온 용수를 가열하여 염색을 위한 고압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보일러와; 상기 고온 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용수 유량계와; 상기 폐수 온도계로 측정한 폐수의 온도와 상기 용수 유량계로 측정한 유량에 따라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승온된 용수의 온도가 최대가 되도록 밸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경로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The recovery system of high temperature waste water heat}
본 발명은 고온 폐수열(waste water heat)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수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최대한의 고온 용수를 스팀보일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염색장치는 염색할 때 염색조에 약 130℃ 정도의 고압 고온수를 공급하고, 염색 종료시 염색조의 냉각과 세척을 위해 점진적으로 온도를 떨어뜨리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배출되는 고온 및 저온의 폐수는 배수하게 되는 데, 이렇게 배수되는 폐수를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술이 폐수열 회수 시스템이다.
통상, 염색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염색조 각각의 배수구로부터 통합 설치된 집수조에 폐수를 집수한 후 열교환기에서 폐수열을 회수하고 있고, 이때 각각의 염색조로부터 온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폐수의 혼합에 의한 폐수열로 회수할 수 있는 용수의 온도는 약 40℃ 정도이며, 대부분 폐수는 그대로 배출되어 열 회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에 고온의 폐수열과 저온의 폐수열을 구분하여 각각의 집수조에 모은 후 염색에 사용되는 용수를 먼저 저온폐수와 열교환 시켜 1차 승온시킨 후 다시 고온 폐수와 열교환 시켜 2차 승온 시키고자한 다수의 시도가 제시되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1195호(2002.07.13. 공고)(고안의 명칭: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이하, "종래기술 1"이라 약칭함) 및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1221호(2002.07.13. 공고)(고안의 명칭: 직물염색장치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이하, "종래기술 2"라 약칭함)에 종래의 폐수열 회수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들은 염색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배수로부터 폐수열을 회수하려는 기술로서, 바이패스시킨 고온 폐수를 집수시킨 후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을 통하여 고온폐수의 열을 회수하고 있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1195호(2002.07.13. 공고)(고안의 명칭: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1221호(2002.07.13. 공고)(고안의 명칭: 직물염색장치의 폐수열 회수시스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온도별로 고온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집수조가 필요하며, 고온 집수조의 온도 또한 평균적 온도(40℃)로서 고온의 폐열 회수에는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온의 폐수열과 저온의 폐수를 구별하여 각각의 집수정에 모은 후 염색에 사용하기 위해 저온의 용수를 저온 폐수와 먼저 열 교환시키고, 열 교환된 용수를 다시 고온의 폐수와 열 교환시켜 용수를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고온 집수조의 평균적 온도에 의한 방식은 폐수열 회수 효율이 최적이라고 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직물염색장치에서 사용되는 폐수열 회수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폐수로부터 열을 회수하여 최대한의 고온 용수를 스팀보일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고온 집수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고온 폐수열을 회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고온 폐수열의 온도와 열교환을 통해 회수할 수 있는 가능한 최고의 용수 온도를 산정하여 스팀보일러에 공급되는 용수의 온도와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고온 폐수열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다수의 염색조로부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폐수 온도계와;
상기 폐수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제어밸브와;
상기 다수의 염색조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합하기 위한 통합 배수관과;
상기 경로제어밸브를 통해 출력되는 저온 폐수로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승온시키는 저온 열교환기와;
상기 저온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용수를 집수하는 저온 집수조와;
상기 통합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고온 폐수로 상기 저온 집수조에서 토출되는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고온으로 승온시키는 고온 열교환기와;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고온 용수를 가열하여 염색을 위한 고압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보일러와;
상기 고온 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용수 유량계와;
상기 폐수 온도계로 측정한 폐수의 온도와 상기 용수 유량계로 측정한 유량에 따라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승온된 용수의 온도가 최대가 되도록 밸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경로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폐수 온도계는 염색조마다 설치된 배수관에 설치되어, 해당 배수관의 폐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은,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용수 온도계와;
상기 통합 배수관에서 상기 고온 열교환기로 흐르는 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폐수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로제어밸브는 상기 염색조에 연결된 배수관과 통합 배수관 사이에 구비된 제1경로제어밸브와;
상기 고온 열교환기와 상기 용수 유량계 사이에 구비된 제2경로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수단은,
상기 폐수 온도계로 측정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기준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에 따라 상기 폐수가 저온 열교환기 또는 고온 열교환기로 공급되도록 제1경로제어밸브의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용수 온도계로 측정한 용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기준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에 따라 상기 용수가 스팀보일러 또는 저온 집수조로 공급되도록 제2경로제어밸브의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폐수의 집수를 위한 별도의 집수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폐수열 회수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폐수열 회수시스템의 구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염색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폐수의 온도 및 유량과 스팀보일러에 필요한 용수의 유량을 고려하여 고온 열교환기에서 승온된 용수의 온도가 최대가 되도록 각각의 조절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스팀보일러의 유입 용수의 초기온도를 높여 스팀보일러의 효율을 높이고 폐수열 회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제어장치의 입력신호 및 출력제어 신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제어장치의 입력신호 및 출력제어 신호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다수의 염색조(10), 배수관(11), 통합 배수관(12), 폐수 온도계(95), 제1경로제어밸브(91), 저온 열교환기(50), 저온 집수조(70), 고온 열교환기(40), 용수 온도계(96), 제2경로제어밸브(93), 폐수 유량계(110), 용수 유량계(100), 스팀 보일러(60), 제어수단(200), 제3경로제어밸브(92), 염색액 열교환기(20), 전자밸브(94), 염제조 탱크(30), 필터(80)로 구성된다.
배수관(11)은 염색조(10)의 염색액 또는 폐수를 배수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통합 배수관(12)은 다수의 염색조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합하여 하나의 폐수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폐수 온도계(95)는 염색조(10)로부터 배수관(11)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폐수 온도계(95)는 각각의 염색조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배수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경로제어밸브(91)는 배수관(11)을 통해 배수되는 폐수의 경로를 저온 열교환기(50)로 설정하거나 통합 배수관(12)으로 설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제2경로제어밸브(93)는 고온 열교환기(40)에서 출력되는 고온 용수의 경로를 저온 집수조(70)로 설정하거나 스팀보일러(60)로 설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저온 열교환기(50)는 상기 제1경로제어밸브(91)를 통해 출력되는 저온 폐수로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승온시키는 역할을 하며, 저온 집수조(70)는 상기 저온 열교환기(50)에서 가열된 용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80)는 상기 저온 집수조(70)에 집수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고온 열교환기(40)는 상기 통합 배수관(12)을 통해 배수되는 고온 폐수로 상기 저온 집수조(70)에서 토출되는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고온으로 승온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팀보일러(60)는 상기 고온 열교환기(40)에서 토출되는 고온 용수를 가열하여 염색을 위한 고압 스팀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용수 유량계(100)는 상기 고온 용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수단(200)은 상기 폐수 온도계(95)로 측정한 폐수의 온도와 상기 폐수 유량계(110)로 측정한 폐수 유량, 상기 용수 유량계(100)로 측정한 유량 및 상기 용수 온도계(96)로 측정한 용수 온도에 따라 상기 고온 열교환기(40)에서 승온된 용수의 온도가 최대가 되도록 밸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복수의 경로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폐수 온도계(95)로 측정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기준온도(90℃)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에 따라 상기 폐수가 저온 열교환기(50) 또는 고온 열교환기(40)로 공급되도록 제1경로제어밸브(91)의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용수 온도계(96)로 측정한 용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기준온도(85℃)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에 따라 상기 용수가 스팀보일러(60) 또는 저온 집수조(70)로 공급되도록 제2경로제어밸브(93)의 경로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에 대한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염색공장의 액류 염색기에서 염색에 필요한 고온 고압의 염액은 외부에서 공급된 스팀 혹은 스팀보일러(60)에서 발생시킨 스팀을 열교환기(20)에 통과시켜 염색 공정에 따라 염색조(10) 내부 온도가 최대 약 130℃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염색 공정 종료시 염색조(10)의 냉각과 세척을 위해 고온 고압의 염액을 배수관(11)을 통해 흐르게 하고, 이때 전자밸브(90)에 의해 폐수가 염색액 열교환기(2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폐수 온도계(95)는 배수관(11)을 통해 배수되는 폐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수단(200)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수단(200)은 폐수 온도계(95)를 통해 측정된 폐수 온도와 폐수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제1기준온도(90℃)를 비교한다. 상기 온도 비교 결과 측정된 폐수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90℃)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1경로제어밸브(91)를 제어하여 고온의 폐수가 통합 폐수관(12)으로 흐르도록 폐수 경로를 제어하게 된다.
통상, 염색조(10)의 내부온도를 모니터링하면 염색공정의 진행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염색공장에서 여러 대의 염색조 염색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시간차이가 있으며, 각각의 염색조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폐수는 일정 시간에만 이용 가능하므로 각 염색조의 배수 온도를 계측하여 필요한 온도(예: 90℃) 이상일 때에 한하여 제1경로제어밸브(91)에 의해 고온 폐수가 통합 배수관(12)으로 흐르게 한다.
통합 폐수관(12)으로 흐르는 고온 폐수는 고온 열교환기(40)로 공급되는 데, 이때 통합 폐수관(12)에 설치된 폐수 유량계(110)에 의해 폐수 유량이 측정되어 제어수단(200)에 전달된다.
고온 폐수가 배출될 때 염색조 내부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온도를 서서히 낮추기 위해 염제조 탱크(30)에 공급하는 용수의 양은 전자밸브(94)와 염색조(10)에 설치된 수위측정기(120)에 의해 직접 냉각방식으로 조절하면서 냉각과 세척이 이루어지게 한다.
고온 열교환기(40)를 통해 스팀보일러(60)에 필요한 용수가 열 교환이 이루어져 용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배출되며, 이때 용수 온도계(96)에서 고온 열교환기(40)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수단(200)에 전달한다.
제어수단(200)은 용수 온도계(96)에 의해 측정된 용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기준온도(예: 85℃)를 비교하여, 상기 용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예: 85℃)보다 낮을 경우에는 제2경로제어밸브(93)를 제어하여, 용수가 저온 집수조(70)로 공급되도록 용수 경로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용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예: 85℃)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2경로제어밸브(93)를 제어하여, 용수가 스팀보일러(60)에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용수가 스팀보일러(60)에 공급될 때 용수 유량계(100)는 용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20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염색조(10)로부터 배출되는 폐수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90℃)보다 낮으면 제어수단(200)은 폐수가 저온 열교환기(50)로 흐르도록 제1경로제어밸브(91)를 제어하여 폐수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저온 열교환기(50)는 폐수 온도가 제1기준온도 보다 낮을 경우, 전달되는 폐수를 이용하여 스팀 보일러(60)에 공급하기 위한 용수를 열 교환하여 용수의 온도를 1차적으로 승온시키게 된다. 이렇게 1차적으로 승온된 용수는 저온 집수조(70)에 집수되고, 필요에 따라 펌핑하여 필터(80)를 경유한 후 상기 고온 열교환기(40)에 공급된다. 여기서 필터(80)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고온 열교환기(40)는 다른 입력단을 통해 유입되는 고온 폐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80)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열 교환시켜 용수를 2차적으로 승온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용수는 용수 온도계(96)에 의해 측정된 용수 온도에 따라 저온 집수조(70) 또는 스팀보일러(60)로 공급된다. 즉, 제어수단(200)은 용수 온도계(96)에 의해 측정된 용수 온도가 제2기준온도(예: 85℃)보다 낮을 경우에는 제2경로제어밸브(93)를 제어하여 고온 열교환기(40)에서 출력되는 용수가 저온 집수조(70)로 흐르도록 용수의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용수 온도가 제2기준온도(예: 85℃)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2경로제어밸브(93)를 제어하여 고온 열교환기(40)에서 출력되는 용수가 스팀보일러(60)로 공급되도록 용수의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수단(200)은 내부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스팀보일러(60)에 필요한 용수의 유량과 용수 유량계(100)로 측정된 현재 배관에 흐르는 용수의 유량을 고려하여 가능한 용수의 최고 온도를 산정하고, 이 온도를 기준으로 전자밸브(93)에 의해 스팀보일러(60)에 공급되는 용수의 온도와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수단(200)은 다수의 염색조 배수 온도를 계측하고 동시에 스팀보일러(60)에 유입되는 용수의 유량과 온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내부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스팀보일러(60)에 필요한 유량과 고온 열교환기(40)에 유입될 고온폐수의 온도를 계산하여 각각의 염색조 전자밸브(90)를 제어하고 동시에 온도에 따른 용수의 양을 용수 조절밸브(94)로 제어하여, 고온 열교환기(40)에서 가능한 최대 온도(예: 85℃ 이상)의 용수를 얻도록 한다.
스팀보일러(60)에 필요한 용수의 유량이 제어수단(200)에서 산정한 유량보다 많으면 열 교환된 용수의 온도가 높더라도 제2경로제어밸브(93)를 제어하여 스팀보일러(60)로 공급되는 용수를 저온 집수조(70)로 바이패스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염색조
11… 배수관
12… 통합 배수관
20… 염색액 열교환기
30… 염제조 탱크
40… 고온 열교환기
50… 저온 열교환기
60… 스팀보일러
70… 저온 집수조
80… 필터
90… 전자밸브
91… 제1경로제어밸브
93… 제2경로제어밸브
95… 폐수 온도계
96… 용수 온도계
100… 용수 유량계
110… 폐수 유량계
200… 제어수단

Claims (5)

  1. 다수의 염색조로부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폐수 온도계와;
    상기 폐수의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제어밸브와;
    상기 다수의 염색조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합하기 위한 통합 배수관과;
    상기 경로제어밸브를 통해 출력되는 저온 폐수로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승온시키는 저온 열교환기와;
    상기 저온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용수를 집수하는 저온 집수조와;
    상기 통합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고온 폐수로 상기 저온 집수조에서 토출되는 스팀보일러 용수를 열 교환하여 고온으로 승온시키는 고온 열교환기와;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고온 용수를 가열하여 염색을 위한 고압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보일러와;
    상기 고온 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용수 유량계와;
    상기 폐수 온도계로 측정한 폐수의 온도와 상기 용수 유량계로 측정한 유량에 따라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승온된 용수의 온도가 최대가 되도록 밸브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경로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수 온도계는 염색조마다 설치된 배수관에 설치되어, 해당 배수관의 폐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용수 온도계와; 상기 통합 배수관에서 상기 고온 열교환기로 흐르는 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폐수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어밸브는,
    상기 염색조에 연결된 배수관과 통합 배수관 사이에 구비된 제1경로제어밸브와;
    상기 고온 열교환기와 상기 용수 유량계 사이에 구비된 제2경로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폐수 온도계로 측정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기준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에 따라 상기 폐수가 저온 열교환기 또는 고온 열교환기로 공급되도록 제1경로제어밸브의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용수 온도계로 측정한 용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기준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유무에 따라 상기 용수가 스팀보일러 또는 저온 집수조로 공급되도록 제2경로제어밸브의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KR1020120097688A 2012-09-04 2012-09-04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KR10132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88A KR101329551B1 (ko) 2012-09-04 2012-09-04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688A KR101329551B1 (ko) 2012-09-04 2012-09-04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551B1 true KR101329551B1 (ko) 2013-11-14

Family

ID=4985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88A KR101329551B1 (ko) 2012-09-04 2012-09-04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5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5908A (zh) * 2018-01-31 2018-05-29 糜晓虎 一种染色机热能回收装置
CN109293106A (zh) * 2018-09-11 2019-02-01 桐乡市龙翔印染有限公司 一种染色废水热能回收的方法
CN111795503A (zh) * 2020-07-14 2020-10-20 葛时欢 大型浴场的热能分流回收装置
CN111979679A (zh) * 2019-05-21 2020-11-24 汕头市联和环保科技有限公司 染缸的节能减排控热水循环系统
CN114409164A (zh) * 2022-01-21 2022-04-29 淄博市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锅炉的废水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21Y1 (ko) 2002-04-24 2002-07-13 윤홍용 직물염색장치의 폐수열회수시스템
KR200281195Y1 (ko) 2002-04-16 2002-07-13 윤홍용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
KR100971179B1 (ko) 2010-04-19 2010-07-20 주식회사 수성이엔지 흡수식 냉온수기의 재생기 배기열과 스팀보일러의 열원을 혼합 이용한 급탕온수 가열장치
KR20120092259A (ko) * 2011-02-11 2012-08-21 (주)녹색에너지 스팀공급 및 폐열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염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195Y1 (ko) 2002-04-16 2002-07-13 윤홍용 고온 및 저온 폐수열 이중회수시스템
KR200281221Y1 (ko) 2002-04-24 2002-07-13 윤홍용 직물염색장치의 폐수열회수시스템
KR100971179B1 (ko) 2010-04-19 2010-07-20 주식회사 수성이엔지 흡수식 냉온수기의 재생기 배기열과 스팀보일러의 열원을 혼합 이용한 급탕온수 가열장치
KR20120092259A (ko) * 2011-02-11 2012-08-21 (주)녹색에너지 스팀공급 및 폐열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염색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5908A (zh) * 2018-01-31 2018-05-29 糜晓虎 一种染色机热能回收装置
CN108085908B (zh) * 2018-01-31 2023-11-21 糜晓虎 一种染色机热能回收装置
CN109293106A (zh) * 2018-09-11 2019-02-01 桐乡市龙翔印染有限公司 一种染色废水热能回收的方法
CN111979679A (zh) * 2019-05-21 2020-11-24 汕头市联和环保科技有限公司 染缸的节能减排控热水循环系统
CN111795503A (zh) * 2020-07-14 2020-10-20 葛时欢 大型浴场的热能分流回收装置
CN111795503B (zh) * 2020-07-14 2022-05-17 高燕妮 大型浴场的热能分流回收装置
CN114409164A (zh) * 2022-01-21 2022-04-29 淄博市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锅炉的废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551B1 (ko) 고온 폐수열 회수시스템
CN205352721U (zh) 一种热泵机组综合性能试验系统
CN105276654B (zh) 热水装置以及热水装置的异常通知方法
CN202159248U (zh) 一种循环冷却水系统中的水处理控制器
US10052424B2 (e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system with heat recovery
CN111398526A (zh) 一种循环冷却水监测换热系统
JP2018058019A (ja) ストレーナの洗浄装置及び方法
KR101154701B1 (ko) 냉온수 공급 시스템
KR101073785B1 (ko) 냉온수 공급 시스템
CN107153077A (zh) 一种便携式地温能热响应测试设备
CN103591677B (zh) 一种洗眼用温水系统
CN207501460U (zh) 一种新型在线式低压纯水加热系统
CN203657178U (zh) 一种洗眼用温水系统
CN204918632U (zh) 闭式无过滤高炉冲渣水余热回收的供热装置
KR20130075383A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 시스템
CN207865698U (zh) 一种可持续性供热水的空气能热水装置
CN207635318U (zh) 一种锅炉排污水综合利用装置
CN206430432U (zh) 一种工厂设备冷却系统
CN211601192U (zh) 一种高温型染缸废热水余热回收系统
CN105154605A (zh) 闭式无过滤高炉冲渣水余热回收的供热装置及使用方法
CN212746921U (zh) 一种加温循环装置
CN204162554U (zh) 一种动物饮用水处理设备
KR100541407B1 (ko) 폐수열회수장치의 온도분리형 회수시스템
CN109282339A (zh) 热泵机组及热泵机组的控制方法
RU123460U1 (ru) Система регенерации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