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146B1 -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146B1
KR101329146B1 KR1020070021509A KR20070021509A KR101329146B1 KR 101329146 B1 KR101329146 B1 KR 101329146B1 KR 1020070021509 A KR1020070021509 A KR 1020070021509A KR 20070021509 A KR20070021509 A KR 20070021509A KR 101329146 B1 KR101329146 B1 KR 10132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are information
skin care
activit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040A (ko
Inventor
장우영
신건수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902,644 priority Critical patent/US8388534B2/en
Publication of KR20080033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61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 A61B5/4266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sweat secre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피부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사용자 피부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전극부; 상기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화도(skin water content) 및 한선 활동도(activity of sweat duct)를 측정하는 측정 제어부; 상기 피부 수화도 및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의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에 대응하는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 수화도, 한선 활동도, 피부관리정보, 사용자 피드백, 스트레스

Description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SKIM CARE INFORMATION BY MEASURING SKIN MOISTURE CONTENT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피부의 생리학적인 구조를 전기적으로 모델링한 회로도.
도 2는 피부 수화도 측정 원리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피부 수화도 측정 결과에 따른 어드미턴스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전극부 420: 측정제어부
421: 신호변환부 422: 신호 인가부
423: 한선 활동도 측정부 424: 피부 수화도 측정부
430: 데이터 연산부 440: 데이터 저장부
450: 정보제공부
본 발명은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각질층(Stratum Corneum)의 수분 함유량인 피부 수화도(skin water content)를 측정하는 경우, 땀의 이동경로인 한선의 활동도(activity of sweat duct)를 함께 측정하여 상기 한선 활동도의 영향이 고려된 피부 수화도 및 상기 한선 활동도에 의한 스트레스 정도의 추정을 통해 스트레스의 영향이 고려된 피부 수화도를 계산하여, 바람직하게는 한선의 활동도가 배제된 피부 수화도를 통해 보다 정확한 피부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미용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 또한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건강한 피부에 대한 욕구는 단지 미용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오존층의 파괴에 따라 강해지는 자외선 및 각종 공해로부터 피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의료 분야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부는 인체 장기 중 최외곽에 존재하고 있는 장기(Organ)이며 외부로부터의 세균 및 유해물질 침입 방지, 방수, 방한, 내부 체온 유지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피부의 기본 기능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 즉 피부 수화도이다. 적절한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이 유지되어야만 외부로부터의 유해 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의 수분 증발량도 억제하여 기본적인 피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미용 및 관리의 관점에서도 피부 수화도는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고 있어서, 피부 관리의 기초는 보습 관리로부터 시작하며 자신의 피부 수화도의 정도를 알고 이에 대한 관리를 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피부 수화도 측정 방법으로는 전기적 측정 방식, 광학적 측정 방식, MRI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방법들 중 전기적인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저주파수의 정현파를 이용하여 3전극 방식으로 어드미턴스(Admittance)의 교류(AC) 성분인 서셉턴스(susceptance)를 측정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피부 부위 별로 그 밀도는 다르지만, 각질층 내에는 땀의 이동 경로인 한선(sweat duct)이 존재하는데, 한선은 아주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피부 수화도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수화도 측정에 있어서 피부의 어떠한 부위를 측정하더라도 한선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각질층만의 피부 수화도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알려 줄 수 있는 향상된 피부관리정보 제공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 수화도를 측정함에 있어, 각질층의 피부 수화도 및 한선 활동도를 동시에 측정하고 상기 각질층의 피부 수화도 및 한선 활동도 간의 상관관계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외부 자극 발생시 사용자의 한선 활동도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도출하고, 상기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스트레스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피부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사용자 피부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전극부; 상기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화도(skin water content) 및 한선 활동도(activity of sweat duct)를 측정하는 측정 제어부; 상기 피부 수화도 및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의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에 대응하는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피부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사용자 피부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전류 신호 검출 단계; 상기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화도(skin water content) 및 한선 활동도(activity of sweat duct)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 단계; 상기 피부 수화도 및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의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에 대응하는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관리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게임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및 노트북 등의 휴대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관리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관리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되지 않고, 독립적인 구성을 갖는 단일 물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피부의 생리학적인 구조를 전기적으로 모델링한 회로도이다.
도 2는 피부 수화도 측정 원리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피부 수화도 측정 결과에 따른 어드미턴스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피부 수분을 전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피부의 생리학적인 구조를 전기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Cole-Cole 모델(Dispersion and absorption in dielectrics, J. Soc. Cosmet. Chem., 1941)을 재해석한 Yamamoto-Yamamoto의 모델(The measurement principle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drugs and cosmetics by skin impedance, Med. & Biol. Eng. & Comput. 1978)을 이용하여 피부를 전기적으로 모델링한 도면이다.
도 1에서, GDC는 각질층의 한선의 활동을 주로 나타낸다. R는 각질층 아래 부터 진피층까지의 전체 라이어블 셀(liable cell)을 전기적으로 모델링한 것으로써 직류 도미넌트(DC dominant)한 특성을 갖는다. YPOL은 각질층의 분극 현상에 의한 어드미턴스(admittance)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교류 도미넌트(AC dominant)한 특성을 갖는다. 이 중에서 ωCPOL 성분이 각질층 수분 함유량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각질층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할 때에는 GDC와 의 R영향을 제거하는 것이 주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
상기 ωCPOL 성분만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어드미턴스(Admittance) 성분 중 교류(AC) 성분인 서셉턴스(Susceptance) 성분만을 측정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아날로그 락-인 증폭기(Analog Lock-in amplifier)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라이어블 셀(liable cell)인 R를 전도체로 가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인체에 일정한 주파수(ω=2πf)를 갖는 정전압원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라이어블 셀(liable cell)층의 전도체를 통하여 측정 전극에 접촉한 바로 밑 각질층의 임피던스에 반응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류를 이용하면 측정 부위 각질층의 어드미턴스(Admittance)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한 반응 신호를
Vsig = |Vsig|sin(ωrt + θsig)
이라 하고, 상기 반응 신호와 동기(synchronizing)할 90˚ 위상차가 있는 아 웃 페이즈(out-phase) 레퍼런스 신호를
VL _90 = |VL _90|cos(ωL_90t + θref_90)
이라 하며,
상기 반응 신호와 동기할 0˚ 위상차가 있는 인 페이즈(in-phase) 레퍼런스 신호를
VL _0 = |VL _0|sin(ωL_0t + θref_0)
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90˚ 위상차가 있는 레퍼런스 신호와 상기 반응 신호를 승산기(multiplier)를 통과시켜 동기 시키면 아래와 같은 신호가 된다.
VPSD = |Vsig||VL _90|sin(ωrt + θsig)cos(ωL_90t + θref_90)
= /2|Vsig||VL _90|{sin([ωr-ωL_90]t+θsig- θref_90)
- sin([ωr+ωL_90]t+θsig + θref_90)}
이 신호를 저대역 통과 필터(LPF)를 통과시키게 되면, 상기 신호에서 교류(AC) 성분은 사라지게 되므로 결과는 VPSD는 0이 된다.
하지만, 만일 레퍼런스 신호와 측정 신호의 주파수를 동일하게 한다면, 즉, ωr=ωL_90 이라면, LPF 출력은
Vout_90 = 1/2|Vsig||VL _90|sin(θsig- θref_90)
와 같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인 페이즈 레퍼런스 신호와 상기 반응 신호를 동기시키면,
Vout_0 = 1/2|Vsig||VL _0|cos(θsig- θref_0)
의 식이 결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Vout_90 및 Vout_0에 대한 식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Vsig||VL| = Vout, θsig- θref = θout이라 하면,
VPSD _filtered_0 = 1/2Voutcos(θout)
가 될 수 있다.
상기 Vout_90 및 Vout_0에 대한 식, 즉, 수학식 5 및 수학식 6은 교류(AC) 정전압원을 인가하고 전류를 측정한 전도도 신호를 의미하므로, 결국 어드미턴스를 측정한 것이 된다. 상기 어드미턴스를 그래프로 도시하면 도 3과 같다. 즉, G(conductance)는 인-페이즈(in-phase) 동기 신호와 결합하면 측정 가능하고, B(susceptance)는 쿼더러쳐-페이즈(quadrature-phase) 동기 신호와 결합하면 측정 가능하다.
따라서, 피부의 수화도는 아웃 페이즈(out-phase) 신호를 통해 측정하는 서셉턴스(susceptance)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의 한선 활동도는 인 페이즈(in-phase) 신호를 통해 측정하는 컨덕턴스(conductance)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서셉턴스 측정에 따른 피부 수화도 측정 방법 및 컨덕턴스 측정에 따른 피부의 한선 활동도 측정 방법은, 이후 도 4를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관리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로 각각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전극부(410), 측정 제어부(420), 데이터 연산부(430), 데이터 저장부(440) 및 정보 제공부(450)를 포함한다.
전극부(410)는 하나 이상의 전극(미도시) 및 전압 인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측정 제어부(420)는 신호 변환부(421), 신호 인가부(422), 한선 활동도 측정부(423), 피부 수화도 측정부(424)를 포함한다.
전극부(410)는 R 전극(미도시), M 전극(미도시), 및 C 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전극부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R 전극(Reference Electrode)(미도시), C 전극(Current Carrying Electrode)(미도시), 및 M 전극(Measuring Electrode)(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전극들뿐만 아니라, 피부 수화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종류의 전극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압 인가부(미도시)는 전극부(410)로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전압은 R 전극(미도시) 및 C 전극(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피부로 인가된다. 상기 사용자 피부로 인가된 전압이 상기 사용자 피부의 각질층의 임피던스와 반응하는 경우, 전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M 전극(미도시)은 상기 발생한 전류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화도(skin water content) 및 한선 활동도(activity of sweat duct)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검출된 전류 신호를 측정제어부(420)의 신호 변환부(421)로 전송한다.
신호 변환부(421)는 M 전극(미도시)을 통해 전송 받은 상기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인가부(422)는 상기 전압 신호에 대한 인 페이즈(in-phase) 신호 및 아웃 페이즈(out-phase)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압 신호에 인가한다. 즉, 신호 인가부(미도시)는 상기 전압 신호로부터 서셉턴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아웃 페이즈 신호를 생성하여 피부 수화도 측정부(424)로 전송한다. 상기 아웃 페이즈 신호는 상기 전압 신호와 90도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로서 코사인파(cosine wav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인가부(422)는 상기 전압 신호로부터 컨덕턴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 페이즈 신호를 생성하여 한선 활동도 측정부(423)로 전송한다. 상기 인 페이즈 신호는 상기 전압 신호와 0도의 위상차를 갖는 신호로서 사인파(sine wave)로 구현될 수 있다.
피부 수화도 측정부(424)는 신호 변환부(421)로부터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인가부(422)로부터 상기 아웃 페이즈 신호를 수신한다. 피부 수화도 측정부(424)는 상기 전압 신호 및 상기 아웃 페이즈 신호를 서로 동기시켜 상기 전류 신호의 서셉턴스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 신호는 Vsig = |Vsig|sin(ωrt + θsig)가 될 수 있고, 상기 아웃 페이즈 신호는 VL _90 = |VL_90|cos(ωL_90t + θref_90)가 될 수 있다. 피부 수화도 측정부(424)는 상기 전압 신호와 상기 아웃 페이즈 신호를 동기시켜, Vout_90 = 1/2|Vsig||VL _90|sin(θsig- θref_90)의 식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교류(AC) 정전압원을 인가하여 전류를 측정한 전도도 신호이므로, 어드미턴스(asmittance)를 측정한 것이고, 이를 렉텡귤러 폼(rectangular form)으로 나타내면 도 3의 그래프로 도시될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는 Y = G + iB 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상기 식에서 Y는 어드미턴스를 의미하고, G는 컨덕턴스를 의미하며, B는 서셉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B(서셉턴스)는 상기 아웃 페이즈 신호와 동기시키면 측정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수화도 측정부(424)는 상기 전압 신호와 상기 아웃 페이즈 신호를 동기시킴으로써, 상기 전류 신호의 서셉턴스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수화도 측정부(424)는 상기 측정한 서셉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의 수화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선 활동도 측정부(423)는 신호 변환부(421)로부터 상기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인가부(422)로부터 상기 인 페이즈 신호를 수신한다. 한선 활동도 측정부(423)는 상기 전압 신호 및 상기 인 페이즈 신호를 서로 동기시켜 상기 전류 신호의 컨덕턴스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 신호는 Vsig = |Vsig|sin(ωrt + θsig)가 될 수 있고, 상기 인 페이즈 신호는 VL _0 = |VL_0|sin(ωL_0t + θref_0)가 될 수 있다. 한선 활동도 측정부(423)는 상기 전압 신호와 상기 인 페이즈 신호를 동기시켜, Vout_0 = 1/2|Vsig||VL _0|cos(θsig- θref_0)의 식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교류(AC) 정전압원을 인가하여 전류를 측정한 전도도 신호이므로, 어드미턴스(asmittance)를 측정한 것이고, 이를 렉텡귤러 폼(rectangular form)으로 나타내면 도 3의 그래프로 도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의 그래프는 Y = G + iB 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C(컨덕턴스)는 상기 인 페이즈 신호와 동기시키면 측정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선 활동도 측정부(423)는 상기 전압 신호와 상기 인 페이즈 신호를 동기시킴으로써, 상기 전류 신호의 컨덕턴스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한선 활동도 측정부(423)는 상기 측정한 컨덕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피부의 한선 활동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된 사용자 피부로부터 M 전극(미도 시)을 통해 검출한 상기 전류 신호의 서셉턴스 및 컨덕턴스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상기 피부 수화도 정보 및 상기 한선 활동도 정보를 동시에 모두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제어부(420)는 상기 피부 수화도 정보 및 상기 한선 활동도 정보를 데이터 연산부(430)로 송신한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피부 수화도 정보 및 상기 한선 활동도 정보 간의 상관 관계를 계산하여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를 도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피부 수화도 정보 및 상기 한선 활동도 정보 간의 상관 관계는 상기 한선 활동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지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는 바람직한 실내 환경(room temperature)이 조성된 측정 환경하에서 심신이 안정된 상태의 일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선 활동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한선 활동도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한선 활동도가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측정한 피부 수화도가 한선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측정된 피부 수화도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피부 수화도를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로 최종 판단한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에 대응하는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피부 관리 정보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에 따른 각종 피부 미용 정보, 피부 건강 정보, 또는 화장품 회사별로 획득한 피 부 타입별 화장품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관리 정보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각종 피부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 및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정보 제공부(450)로 전송한다. 정보 제공부(450)는 사용자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수단, 음성 정보 제공 수단 등 영상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한선 활동도, 상기 피부 수화도, 및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440)로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440)는 데이터 연산부(430)로부터 수신된 상기 한선 활동도, 상기 피부 수화도,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 및 피부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정보들은 상기 사용자의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의 경향성을 비교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 등을 비교해 볼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한선 활동도가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바람직한 피부 수화도 측정 환경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바람직한 측정 환경에서 피부 수화도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피부 수화도 측정 환경 체크리스트를 정보 제공부(450)로 송신한다.
상기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피부 수화도 측정 환경이라 함은, 상기 사용자가 피부수화도 측정 전에 안정을 취하지 않고 활동 후에 땀을 흘린 후 바로 측정을 했다던가,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서 측정을 했다던가,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 후 또는 카페인이 다량 함유된 음료 등을 섭취 후 바로 측정을 했다던가, 주위 온도와 습도가 너무 높거나 낮던가 등의 피부 수화도 측정 환경의 내외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보 제공부(450)는 데이터 연산부(4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시된 상기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의 내용 중에서 현재 자신이 범하고 있는 오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후, 데이터 연산부(430)는 정보 제공부(450)로부터 상기 오류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바람직한 측정 환경 데이터베이스(미도시)내에 저장된 바람직한 측정 환경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처한 오류 상황을 판단한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오류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상기 바람직한 측정 환경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측정시 주의 사항 정보를 독출하여 정보 제공부(450)로 전송한다.
정보 제공부(450)는 데이터 연산부(430)로부터 수신한 상기 바람직한 측정 환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주의 환경을 재정비하고 측정 전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피부 수화도 재측정 여부를 요청한다. 즉, 정보 제공부(450)는 상기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에 대응하는 측정 환경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측정 환경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 측정 오류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피부 수화도 및 상기 한선 활동도의 재측정을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한선 활동도를 반영한 피부 수화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도출하고, 상기 스트레스 레벨과 피부 수화도 레벨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의 생성을 위하여, 측정 제어부(420)는 선정된(predetermined) 외부 자극이 가해진 상기 사용자 피부의 제2 한선 활동도를 측정한다. 상기 외부 자극은 정보 제공부(450)가 상기 사용자에게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450)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빛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제2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자극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자극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사용자 피부의 제2 한선 활동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피부의 한선 활동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도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각종 방법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피부 장벽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트레스란 개체 항상성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는 내적이거나 외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스트레스라고 지칭한다. 피부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아토피 피부염, 건선 등은 스트레스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이는 피부 장벽 이상에 기인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스트레스는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을 지연시키므로, 스트레스가 피부 장벽의 기능에 이상을 발생시켜 피부의 기능을 약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장벽 기능의 기본적인 척도인 피부 수화도과 더불어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경우, 피부 장벽 기능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피부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연산부(430)는 선정된 스트레스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레스 레벨을 하이(HIGH)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상기 스트레스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하이 레벨로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상기 스트레스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정상 레벨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술한 원리에 따라 상기 측정한 피부 수화도를 선정된 피부 수화도 임계값을 이용하여 로우(LOW)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산출한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 레벨을 이용하여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 레벨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레벨이 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장벽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을 취하고 많은 수분을 공급하도록 유도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의 이상 발생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트레스는 있으나 아직은 안정적으로 수분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피부 장벽 이상의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주변 환경에 따른 수분 공급 부족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주위 환경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수분의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환경을 개선하고 피부 질병에 유의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산부(430)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현재 상태 유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현재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주의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연산부(430)가 상기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 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면, 정보 제공부(450)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4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피부의 수화도 정보 및 한선 활동도 정보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자 피부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사용자 피부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검출한다(단계(511)).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 신호에 대한 인-페이즈(in-phase) 신호 및 아웃-페이즈(out-phase)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압 신호에 각각 인가하고, 상기 전압 신호 및 상기 인-페이즈 신호를 서로 동기시켜 상기 전류 신호의 컨덕턴스(conductance)를 측정한다(단계(512)). 또한,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전압 신호 및 상기 아웃-페이즈 신호를 동기시켜 상기 전류 신호의 서셉턴스(susceptance)를 측정한다(단계(512)).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측정한 컨덕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피부의 한선 활동도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측정한 서셉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피부의 수화도 정보를 연산한다(단계(513)).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연산된 한선 활동도가 선정된 정산 한선 활동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514)). 단계(514)에서, 상기 연산된 한선 활동도가 상기 정상 한선 활동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피부 수화도를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로 최종 판단하고,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515))..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는 바람직한 실내 환경(room temperature)이 조성된 측정 환경하에서 심신이 안정된 상태의 일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선 활동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한선 활동도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피부 관리 정보는 피부 수화도에 따른 각종 피부 미용 정보 , 피부 건강 정보, 또는 화장품 회사별로 획득한 각 피부 타입별 화장품 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단계(514)에서, 상기 연산된 한선 활동도가 기 설정된 정상 한선 활동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바람직한 피부 수화도 측정 환경에서 상기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를 측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피부 수화도 측정 환경을 검사할 수 있도록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를 제시한다(단계(521)).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제시된 측정 환경 체크리스트의 내용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범하고 있는 오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단계(522)).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입력 받은 오류 상황 정보를 기 구비된 바람직한 측정 환경 데이터베이스(미도시)내에 저장된 바람직한 측정 환경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처한 오류 상황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처한 오 류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측정 환경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측정 시 주의 사항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주의 환경을 재정비하고 측정 전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피부 수화도 재측정 여부를 요청한다(단계(523)).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피부 수화도 재측정을 요청한 경우 단계(511) 내지 단계(514)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피부 관리 정보의 제공 이후, 상기 사용자에게 스트레스 진단 여부를 문의한다(단계(516)). 단계(516)에서 상기 사용자가 스트레스 진단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빛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531)).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외부 자극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피부의 제2 한선 활동도를 측정한다(단계(532)).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자극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한다(단계(533)). 상기 스트레스 레벨은 선정된 스트레스 임계값에 따라 하이(HIGH)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단계(513)에서 측정한 상기 피부 수화도를 이용하여, 피부 수화도 레벨을 산출한다. 상기 피부 수화도 레벨은 선정된 피부 수화도 임계값에 따라 로우(LOW)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 레벨을 이용하여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단계(534)).
단계(534)에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장벽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을 취하고 많은 수분을 공급하도록 유도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534)에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의 이상 발생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스트레스는 있으나 아직은 안정적으로 수분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피부 장벽 이상의 발생 가능성을 경고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534)에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주변 환경에 따른 수분 공급 부족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주위 환경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수분의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환경을 개선하고 피부 질병에 유의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534)에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 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현재 상태 유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현재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주의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오디오 수단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각질층의 피부 수화도 및 한선 활동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상기 한선 활동도가 고려된 피부 수분 함유량 정보 및 피부관리정보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외부 자극 발생시 사용자의 한선 활동도를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레벨을 도출하고, 상기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스트레스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5)

  1. 피부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전극부;
    상기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피부 수화도(skin water content) 및 한선 활동도(activity of sweat duct)를 측정하는 측정 제어부;
    상기 피부 수화도 및 상기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한선 활동도가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측정 제어부에 의한, 상기 피부 수화도 및 상기 한선 활동도의 재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부는,
    상기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전압 신호에 대한 인-페이즈(in-phase) 신호 및 아웃-페이즈(out-phase)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압 신호에 인가하는 신호 인가부;
    상기 전압 신호 및 상기 인-페이즈 신호를 동기시켜 상기 전류 신호의 컨덕턴스(conductance)를 측정하고, 상기 전류 신호의 컨덕턴스로부터 상기 한선 활동도를 측정하는 한선 활동도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신호 및 상기 아웃-페이즈 신호를 동기시켜 상기 전류 신호의 서셉턴스(susceptance)를 측정하고, 상기 전류 신호의 서셉턴스로부터 상기 피부 수화도를 측정하는 피부 수화도 측정부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는,
    바람직한 실내 환경(room temperature)이 조성된 측정 환경에서 심신이 안정된 상태의 다수의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한선 활동도의 평균을 통해 설정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한선 활동도가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피부 수화도에 대응하는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한선 활동도가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측정 환경 체크 리스트에 대응하는 측정 환경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측정 환경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 측정 오류 정보를 제공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는,
    상기 사용자 피부에 따른 피부 미용 정보, 피부 건강 정보, 및 피부 타입별 화장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제어부는,
    외부 자극이 가해진 상기 피부에 대해 제2 한선 활동도를 측정하고,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제2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자극에 대한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를 이용하여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빛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스트레스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레스 레벨을 하이(HIGH)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하고,
    피부 수화도 임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수화도를 로우(LOW)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의 이상 발생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주변 환경에 따른 수분 공급 부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현재 상태 유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17. 피부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류 신호를 이용하여, 피부 수화도 및 한선 활동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피부 수화도 및 상기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한선 활동도가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피부 수화도 및 상기 한선 활동도의 재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한선 활동도가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피부 수화도에 대응하는 상기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한선 활동도의 범위는,
    바람직한 실내 환경이 조성된 측정 환경에서 심신이 안정된 상태의 다수의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한선 활동도의 평균을 통해 설정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외부 자극이 가해진 상기 피부에 대해 제2 한선 활동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한선 활동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자극에 대한 스트레스 레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스트레스 레벨 및 상기 피부 수화도를 이용하여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빛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 레벨은,
    스트레스 임계값에 따라 하이(HIGH)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되고,
    상기 피부 수화도는,
    피부 수화도 임계값에 따라 로우(LOW) 레벨 또는 정상 레벨로 산출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 이상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하이(HIGH)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장벽의 이상 발생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로우(LOW) 레벨인 경우, 주변 환경에 따른 수분 공급 부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레스 레벨이 정상 레벨이고 상기 피부 수화도가 정상 레벨인 경우, 현재 상태 유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피부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정보 제공 방법.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021509A 2006-10-11 2007-03-05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KR10132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02,644 US8388534B2 (en) 2006-10-11 2007-09-24 Apparatus for providing skin care information by measuring skin moisture content and method and mediu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8842 2006-10-11
KR1020060098842 2006-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40A KR20080033040A (ko) 2008-04-16
KR101329146B1 true KR101329146B1 (ko) 2013-11-14

Family

ID=3957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509A KR101329146B1 (ko) 2006-10-11 2007-03-05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02B1 (ko) * 2015-06-24 2016-10-04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휴대용 피부상태 측정장치, 피부상태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102167185B1 (ko) 2020-03-18 2020-10-19 이승락 피부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728B1 (ko) 2017-03-21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2764A (ja) * 1994-10-11 1998-12-08 マーティンセン.オージャン.ジー 皮膚内の水分の測定
JP2004105446A (ja) * 2002-09-18 2004-04-08 Masao Sakaguchi 皮下水分・皮膚蒸散水分同時計測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2764A (ja) * 1994-10-11 1998-12-08 マーティンセン.オージャン.ジー 皮膚内の水分の測定
JP2004105446A (ja) * 2002-09-18 2004-04-08 Masao Sakaguchi 皮下水分・皮膚蒸散水分同時計測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02B1 (ko) * 2015-06-24 2016-10-04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휴대용 피부상태 측정장치, 피부상태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WO2016208932A1 (ko) * 2015-06-24 2016-12-29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휴대용 피부상태 측정장치, 피부상태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KR102167185B1 (ko) 2020-03-18 2020-10-19 이승락 피부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040A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287B1 (ko) 피부 수화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823304B1 (ko) 피부 수화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409B1 (ko) 피부 수화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Marrakchi et al. Biophysical parameters of skin: map of human face, regional, and age‐related differences
US8388534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skin care information by measuring skin moisture content and method and medium for the same
Fluhr et al. Impact of anatomical location on barrier recovery, surface pH and stratum corneum hydration after acute barrier disruption
Rich et al. Noninvasive cardiac output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Tao et al. Reduced arterial elasticity is associated with endothelial dysfunction in persons of advancing age: comparative study of noninvasive pulse wave analysis and laser Doppler blood flow measurement
Kobayashi et al.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surface of the vermilion border of the lips are distinct from those of the facial skin
Tronstad et al. Waveform difference between skin conductance and skin potential responses in relation to electrical and evaporative properties of skin
US20210137409A1 (en) 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contact force, and tissue properties
CN101547637B (zh) 检测疼痛/觉醒积分值
Logger et al. Anatomical site variation of water content in human skin measured by the Epsilon: A pilot study
KR101329146B1 (ko) 피부 수화도 측정에 따른 피부 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Weber et al. Remote wound monitoring of chronic ulcers
Philip et al. Continuous thermal measurement of cardiac output
Kekonen et al. Bioimpedance method for monitoring venous ulcers: Clinical proof-of-concept study
Ching et al. Tissue electrical properties monitoring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sore
KR102002136B1 (ko)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Larson et al. Analysis of the spatial sensitivity of conductance/admittance catheter ventricular volume estimation
US200401331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organism reaction waveform information, and diagnosing apparatus
US8027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edation level of a sedated patient
KR102106907B1 (ko) 피부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rner et al. Automatic processing of nasal pressure recordings to derive continuous side-selective nasal airflow and conductance
Falk Investigation of ECG electrodes for burn w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