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981B1 -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981B1
KR101328981B1 KR1020110016646A KR20110016646A KR101328981B1 KR 101328981 B1 KR101328981 B1 KR 101328981B1 KR 1020110016646 A KR1020110016646 A KR 1020110016646A KR 20110016646 A KR20110016646 A KR 20110016646A KR 101328981 B1 KR101328981 B1 KR 10132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cross
platform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211A (ko
Inventor
박재연
김승원
서영석
서태석
오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1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4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4
    • G06F2209/544Remo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서로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실행되도록 서비스들의 동작 환경에 적응되는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을 제공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부, 및 서로 상이한 운영 체제 또는 동작 사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단말기 및 오픈 플랫폼 사이에 위치하며,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오픈 플랫폼에서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실행되도록 적응되는 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을 제공하는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를 포함한다. 서비스는 위젯(widget)으로써 제공되며,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는 크로스 플랫폼에서 실행된 위젯의 실행 결과를 서로 상이한 단말기에 상응하도록 적응시켜 단말기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API, SDK, 및 Billing 과 같은 오픈 플랫폼이 구축되기 때문에 개발비가 절감되고, 이종 산업간 제휴가 활발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Apparatus of executing services provided in different operation environments in different terminals}
본 발명은 다양한 서비스를 다양한 단말기에서 실행하기 위한 이종간 공통 플랫폼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양한 서비스를 모두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구현함으로써 홈 고객 스크린의 수요를 창출하는 것은 물론, 개방형 사업 구조를 통해 신규 수익 창출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수용하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통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관리, 운용, 그리고 안전한 제공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드웨어부터 드라이버, 미들웨어, 그리고 상위 응용 서비스가 하나의 하드웨어 플랫폼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하드웨어 사업자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을 위한 미들웨어 그리고 상위 응용 서비스까지 모두 개발하여야 하고, 상위 응용 서비스 개발 사업자는 신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하드웨어 플랫폼을 모두 개발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서비스의 변경이나 하드웨어 변경이 발생할 경우 모든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까지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공되는 서비스가 특정 플랫폼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규서비스를 필요로 할 경우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하드웨어 플랫폼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를 추가할 때마다 이에 따른 하드웨어 플랫폼도 추가되어야 하므로, 비슷한 하드웨어 사양임에도 불구하고 신규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응용서비스는 독립된 서비스뿐만 아니라 TV 포털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필요로 하며, 이는 독립된 서비스가 아니라 다중, 복합 서비스를 요구하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서비스 제공 플랫폼들은 이러한 다중, 복합 서비스를 위한 공통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의 중복투자와 같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를 네트워크 환경의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경우 특정 플랫폼에 대한 서비스 연동에 필요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필요로 하고, 이는 하드웨어 분석과 같은 응용 서비스와 무관한 유지 보수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서로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서비스를 서로 상이한 운영 체제 및 하드웨어 사양을 가지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동작 환경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적응시키는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고객 스크린 대상으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통하여 외부 개발자 및 사업자에게 스크린 시너지를 제공하고 신규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신규한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서로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실행되도록 서비스들의 동작 환경에 적응되는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을 제공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부, 및 서로 상이한 운영 체제 또는 동작 사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단말기 및 오픈 플랫폼 사이에 위치하며,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오픈 플랫폼에서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실행되도록 적응되는 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을 제공하는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를 포함하는 오픈 크로스 플랫폼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 제공 장치에서 서비스는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는 크로스 플랫폼에서 실행된 위젯의 실행 결과를 서로 상이한 단말기에 상응하도록 적응시켜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단말기는 상이한 동작 환경 및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서 변경되는 포팅 계층(porting layer), 포팅 계층을 거쳐 전달되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코어 계층(core layer), 및 외부에서 수신되는 개별 입력을 포팅 계층을 거쳐 공통 입력으로 변환하여 코어 계층으로 전달하는 관리자(manager)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코어 계층은 위젯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위젯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크로스 위젯 갤러리(cross widget gallery), 크로스 위젯 갤러리로부터 선택되어 다운로드된 위젯이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크로스 위젯 런쳐(cross widget launcher), 및 크로스 위젯 갤러리로부터 다운로드된 위젯을 관리하기 위한 크로스 위젯 매니져(cross widget manager)를 실행하도록 적응되고, 포팅 계층은 크로스 위젯 갤러리, 크로스 위젯 런쳐, 및 크로스 위젯 매니져를 단말기에 상응하도록 적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단말기는 위젯 관리 기능 및 콘텐츠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크로스 위젯 PUSH 모듈(cross widget PUSH module), 단말기 인증 기능, 콘텐츠 연동 기능 및 과금 기능을 수행하는 크로스 위젯 서버/클라이언트 연동 모듈(cross widget server/client coupling module), 및 위젯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크로스 위젯 인증 모듈(cross widget authentication module)을 포함한다. 또한, 오픈 플랫폼 제공부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 상응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개별 소프트웨어 언어에 상응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oftware Development Kit, SDK), 위젯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한 통합 다운로드 서버 및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공통 서비스인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는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크로스 플랫폼에서 위젯을 실행하기 위한 크로스 플랫폼 서버 코어 엔진, 크로스 플랫폼 서버 코어 엔진에 의하여 요청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배달 서버들, 및 검색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에 의하여, 서로 다른 동작 환경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적응시킬 수 있으므로, 단말기와 콘텐츠 사업이 연계되고, 이종 산업간 제휴형 서비스 등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에 의하여, 서비스 이용자는 위젯 갤러리에서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외부 사업자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 아키텍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크로스 위젯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흐름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은 다양한 개방형 콘텐츠 및 개방형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작 환경과 무관하게 자유롭게 실행되도록 한다. 실행 결과는 외부 단말기와 연계되거나, 스마트 폰, SoIP, 개인용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다. 또는, 콘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는 기업간(B2B) 서비스를 위하여 다른 사업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 플랫폼의 동작 환경이 홈 고객 스크린에 적응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서비스별로 개별 단위 플랫폼 환경(Silo 형)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동일한 서비스라 하더라도 다른 플랫폼에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코딩을 새롭게 해야 하므로 고비용 사업 구조를 가진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은 서비스의 신속한 시장 진출(Time to Market)을 가능하게 한다.
- 끊김없는(seamless) 사용자 체험(User eXperience, UX) 기반의 가치 추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서비스 환경은 각 단말기의 OS 및 해당 서비스 등에 종속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단말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고객 단말기의 초기 화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모든 서비스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오픈 플랫폼 등이 구축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 사업별로 콘텐츠와 서비스를 기획/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고객 스크린을 장악하여 큰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에 따르면, 공통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API, SDK, 및 빌링(Billing) 등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이종 산업간 제휴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은 단말기의 효용성을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 단말기와 콘텐츠 사업을 연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할 경우 이종 산업간 제휴형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200)은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210, 212, 214) 및 다양한 개발자(220), 콘텐츠(222), 및 사업자(224)들 사이에 위치한다.
오픈 크로스 플랫폼(200)은 오픈 플랫폼(230) 및 크로스 플랫폼(250)을 포함한다. 오픈 플랫폼(230)은 서로 다른 동작 환경에서 동작하는 개발자(220), 콘텐츠(222), 및 사업자(224)들이 공통으로 실행될 수 있는 공통 플랫폼이다. 따라서, 오픈 플랫폼(230)은 오픈 API(232), SDK(234), 및 Billing(236)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주로 파일 제어, 윈도우 제어, 화상 처리,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오픈 API란 인터넷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웹 검색 결과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 등을 제공받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한다. 이러한 오픈 API(232)를 이용하면 누구나 플랫폼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되는 도구들을 나타낸다. SDK는 API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개발 툴 킷이었으나 지금은 의미가 전용되어 API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SDK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Billing이란 시장에서 거래되는 서비스의 과금을 위한 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하려는 서비스를 오픈 API(232) 또는 SDK(234)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성하고, 작성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요금을 공통 Billing 모듈(236)을 통하여 계산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수익이 정확하게 계산되기 때문에 사용자 수익이 증가될 수 있다.
오픈 플랫폼(230)에 의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 크로스 플랫폼(250)은 다양한 단말기에 상응하여 서비스를 단말기로 제공한다. 도 2에서, 크로스 플랫폼(250)은 위젯 모듈(252), 콘텐츠 모듈(254), 및 어플리케이션 모듈(256)을 포함한다.
위젯 모듈(252)은 단말기들에 포함되는 위젯 관리자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다양한 서비스들이 단말기에서 위젯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가 위젯 형태로 제공되면 사용자 친화도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단말기의 특성과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모듈(254)은 단말기에서 요청한 콘텐츠를 각 단말기의 운영 체제 및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서 적응시킨다. 이 경우,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이 제공될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사양에 미치지 못한다면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256)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는 위젯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용어는 위젯을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로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두 가지 용어는 반드시 명확하게 구별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플랫폼(230) 및 크로스 플랫폼(250)에 의하면, 다양한 단말기에게 끊김이 없는 가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 구현되는 클라이언트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SoIP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PC 및 MID 클라이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oIP(Storage over IP) 클라이언트란 SoIP 기술이 구현된 클라이언트를 나타내고, SoIP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이용해 저장 장치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로서 IP를 활용해 SAN(storage area network)의 거리적 제약성 문제를 해결해 주는 기술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SoIP 클라이언트는 리눅스 OS 상에서 동작하며, Curl, Scew, Expat 등과 같은 다양한 실행 모듈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과 함께 동작하기 위해서 SoIP 클라이언트는 위젯 API, 위젯 갤러리, 위젯 런쳐, 및 위젯 관리자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위젯 모듈들을 관리하기 위한 위젯 코어 모듈을 포함한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PC 및 MID 클라이언트 역시 위젯 API, 위젯 갤러리, 위젯 런쳐, 및 위젯 관리자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위젯 모듈들을 관리하기 위한 위젯 코어 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들은 다양한 OS와 디바이스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코어(Core), 관리자(Manager), 및 포팅 계층(Porting Layer)으로 구분하여 개발된다. 이와 같이 계층화하면 동작 환경이 변경되더라도 포팅 계층만을 만을 수정하면 디바이스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Java, Web, Flash 등 다양한 런타임 환경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클라이언트들의 위젯 API, 위젯 갤러리, 위젯 런쳐, 및 위젯 관리자는 오픈 크로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어, 크로스 위젯 클라이언트는 크로스 위젯 PUSH 모듈, 크로스 위젯 서버/클라이언트 연동 모듈, 크로스 위젯 인증 모듈, 크로스 위젯 패키징 모듈, 및 크로스 위젯 인터페이스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크로스 위젯 PUSH 모듈은 위젯 강제 삭제, 위젯 강제 실행, 위젯 강제 업데이트, 위젯 강제 설치, PC PUSH 클라이언트 모듈, SoIP PUSH 클라이언트 모듈, 및 제3자 PUSH 클라이언트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위젯 서버/클라이언트 연동 모듈은 갤러리 연동, 위젯관련 연동, 단말 인증(서버등록) 연동, 과금 연동, 개인화 연동, 컨텐츠 연동, Proxy 연동, 파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위젯 인증 모듈은 로그인 인증, SSO 기능 처리 및 인증 체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크로스 위젯 패키징 모듈은 위젯 유효성의 검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크로스 위젯 인터페이스 모듈은 SQL API, Service API, Security API, Storage API, Push API, Util API, Drawing API, Address API, Call API, InetAddress API, Phone API, Proxy API, Runnable API, Runtime API, System API, Widget API, Device API, File API, 및 XMLConnection A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에서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es)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클래스 라이브러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 아키텍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오픈 크로스 플랫폼 아키텍쳐는 동적 콘텐츠 전달 서비스(Dynamic Contents Delivery), 다운로드 서비스(DownLoad), 웹 스토어 서비스(Web Store), 콘텐츠/서비스 게이트웨이(Contents & Service Gateway), 개발자 센터(developer center), 검증 센터(verify center), 및 관리자 서비스(Admin)와 같은 여러 개의 동작 모듈을 포함한다. 그런데, 각각의 동작 모듈들은,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크로스 플랫폼 엔진(cross platform engine)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로스 플랫폼 엔진을 통하여 서비스 결과가 상이한 단말기에 적응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크로스 플랫폼 엔진은 단말기에 구현된 클라이언트 아키텍쳐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크로스 플랫폼 엔진은 HTTP 프로코콜을 통해 수신되는 위젯의 다양한 요청(위젯 다운로드, 컨텐츠 업데이트, 환경정보 변경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XML 형식을 사용하며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버와 입출력 처리 및 데이터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가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컨버전스 서비스(멀티 스크린 연동)를 지원하기 위한 DB 구조 및 디바이스 관리, 사용자 인증 등 종래의 시스템과의 연동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크로스 위젯 통합 서버 플랫폼은, 크로스 플랫폼 서버 코어 엔진, 크로스 위젯 PUSH 서버, 크로스 플랫폼 운영자 관리 시스템, 크로스 위젯 PUSH 서버, 통합 다운로드 서버, 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 통합 동적 콘텐츠 전달 서버, 및 통합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크로스 플랫폼 서버 코어 엔진은 예를 들어 요청 파서(Request Parser), 응답 빌더(Response Builder), 빌링 서비스(Billing Service), 위젯 서비스(Widget Service), 콘텐츠 로더(Contents Loader), 프록시 에이전트(Proxy Agent), 서비스 에이전트(Service Agent), 메시지 에이전트(Message Agent), 갤러리 서비스(Gallery Service), 메시지 서비스(Message Service), 개인화 서비스(Personalization Service), 콘텐츠 패키지(Contents Package), 파라미터 파서(Parameter Parser), 및 스케줄러(Schedu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위젯 PUSH 서버는 가입자 관리/조회 동작, 메시지 관리 동작, 메시지 Push 동작, SIP stack 동작, 폴링(Polling), 메시지 부하 조절(Load balance), 및 서버 연동관리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 플랫폼 운영자 관리 시스템은, 위젯 패키징 동작, 서버 관리, 디바이스 관리, 메뉴 관리, 권한 관리, 통계, 사용자 관리, 갤러리 관리, 프록시 관리, 위젯 관리, 컨텐츠 관리, 및 코드 관리와 같은 관리 동작을 전담할 수 있다.
한편, 통합 다운로드 서버는 응답 빌더(Response Builder), 다운로드 서비스 에이전트(Download Service Agent), 요청 파서(Request Parser), 인증 동작, 파라미터 빌더 및 메시지 에이전트 등을 포함하고, 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는 큐 리더(Queue Reader), 메시지 수신기(Message Receiver), 메시지 파서(Message Parser), 플랫폼 메시징(Platform Messaging), 메시지 데이터 메니저(Message Data Manager), 에러 처리(Error), 사용자 추적(User Trace), 및 콘텐츠 추적(Contents Trac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통합 동적 콘텐츠 전달 서버는 NFS 연동 동작, 서버간 NTP 연동 동작, 저장 용량 산정 동작, 디렉토리 구조 설계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통합 게이트웨이는 DMSP 에이전트(Agent), 콘텐츠 제공자 액세스(Contents Provider Access), 미디어 에이전트(Media Agent), 및 푸시 액세스(Push Access)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크로스 위젯 통합 서버 플랫폼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전술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크로스 위젯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런처란 디바이스 바탕화면 또는 대기화면 상에서 다운로드 받은 위젯을 실행시킬 수 있는 UI를 나타낸다. 런처가 실행되면, 사용자는 매니저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젯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매니저는 갤러리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위젯을 관리하는 UI를 나타낸다. 그러면, 갤러리는 위젯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UI를 나타내며, 각 위젯에 대한 설명 및 내역은 갤러리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갤러리 및 런처에는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고, 아이콘의 정보를 볼 수 있는 아이콘 관리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을 저장하기 위한 마이 보관함 및 설정 화면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크로스 위젯 서비스로는, MY 부동산, 스타 시계, 스타 달력, 스타 날씨, 트위터, 플리커, 포토, 메모(포스트잇), 스케줄러, 및 주소록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떠한 단말기를 이용하더라도 공통된 위젯 매니저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다운로드 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흐름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웹 사용자, 위젯 개발자 및 운영자 들도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공통 플랫폼 상에서 개발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개발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결과는 IPTV 사용자, PC 사용자, SoIP 사용자, 및 전화기 사용자와 같은 다양한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각 단말기의 사양에 상응하는 형식으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동적 콘텐츠 전달(Dynamic Contents Delivery) 서버, 다운로드(Download) 서버, 게이트웨이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메시지(MSG) 서버, 및 푸시(PUSH) 서버에 각각 포함되는 크로스 플랫폼 엔진이 이용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개발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발자가 개발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 때, 처음 방문하는 개발자의 경우 개발 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으며, 사전 등록된 개발자의 경우 인증한다.
2. 그러면, 개발자에게 API 및 SDK가 제공되고, 필요한 경우 에뮬레이터(Emulator)도 다운로드된다. 제공되는 API 및 SDK를 이용하면 개발자의 다양한 동작 환경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비스의 동작 환경을 실험하기 위하여 에뮬레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3.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완료되면, 개발자는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갤러리에 등록하려고 신청한다. 그러면 관리자가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수하여 문제가 없을 경우에 갤러리에 저장한다.
4. 이후,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버전 관리 등은 오픈 크로스 플랫폼에서 전담하며, 유료 어플리케이션의 판매로 인한 수익이 발생되면 정산한다.
이와 같이, 개발자는 자신에게 제공된 API 및 SDK, 에뮬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사용자는 위젯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갤러리에 접속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갤러리를 열람하면서, 인증 결제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위젯 매니저를 이용하여 유료/무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2.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면,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응하는 콘텐츠가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통하여 다운로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3. 어플리케이션의 과금 및 결제 동작은 오픈 크로스 플랫폼에 의한 Billing 모듈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고객이 이용하는 스크린의 분산으로 인해 사업의 주도권 확보가 어려웠던 단점을 극복함으로써, 고객에게 쉽고 편리한 스크린 이용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방형 통신 사업 및 인터넷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고객의 서비스 이용 패턴이 커뮤니케이션과 정보를 융합한 서비스로 진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하면, 스크린 간의 심리스(Seamless) 서비스로 고객의 사용 가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 고객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대규모 스크린 고객 기반의 거대 시장을 창출하고 스크린 사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그리고, 단말기 및 플랫폼의 오픈 API/SDK를 통해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장 진출 시간이 절감된다. 특히, 하나의 자원을 여러 측면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One Source Multi Use)해지기 때문에, 서비스의 구축 기간 및 비용이 절감된다.
마지막으로, 스크린 연계를 활용한 B2B 및 B2B2C 사업 모델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에 의하여 제3자 단말기 사업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통화 수익과 서비스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오픈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하면 외부 사업자가 용이하게 사업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OCP 기반의 새로운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크로스 플랫폼 엔진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종 서비스를 이종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서로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실행되도록 상기 서비스들의 동작 환경에 적응되는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을 제공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부; 및
    서로 상이한 운영 체제 또는 동작 사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단말기 및 상기 오픈 플랫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상응하여 상기 오픈 플랫폼에서 복수 개의 서비스들이 실행되도록 구현되는 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을 제공하는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서비스는 위젯(widget)으로써 제공되며, 상기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는 상기 크로스 플랫폼에서 실행된 상기 위젯의 실행 결과를 상기 단말기 각각의 동작 사양에 따라 실행가능한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위젯 관리 기능 및 콘텐츠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크로스 위젯 PUSH 모듈(cross widget PUSH module);
    단말기 인증 기능, 콘텐츠 연동 기능 및 과금 기능을 수행하는 크로스 위젯 서버/클라이언트 연동 모듈(cross widget server/client coupling module); 및
    위젯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크로스 위젯 인증 모듈(cross widget authentication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이한 동작 환경 및 상기 단말기의 동작 사양에 따라서 변경되는 포팅 계층(porting layer);
    상기 포팅 계층을 거쳐 전달되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코어 계층(core layer); 및
    외부에서 수신되는 개별 입력을 상기 포팅 계층을 거쳐 공통 입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코어 계층으로 전달하는 관리자(mana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계층은,
    상기 위젯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상기 위젯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크로스 위젯 갤러리(cross widget gallery);
    상기 크로스 위젯 갤러리로부터 선택되어 다운로드된 위젯이 실행되도록 허용하는 크로스 위젯 런쳐(cross widget launcher); 및
    상기 크로스 위젯 갤러리로부터 다운로드된 위젯을 관리하기 위한 크로스 위젯 매니져(cross widget manager)를 실행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포팅 계층은
    상기 크로스 위젯 갤러리, 크로스 위젯 런쳐, 및 크로스 위젯 매니져를 상기 단말기의 동작사양에 적합하도록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플랫폼 제공부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 상응하는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개별 소프트웨어 언어에 상응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oftware Development Kit, SDK);
    상기 위젯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한 통합 다운로드 서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공통 서비스인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플랫폼 제공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크로스 플랫폼에서 상기 위젯을 실행하기 위한 크로스 플랫폼 서버 코어 엔진;
    상기 크로스 플랫폼 서버 코어 엔진에 의하여 요청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복수 개의 콘텐츠 배달 서버들; 및
    검색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위젯 PUSH 모듈은
    위젯 강제 삭제, 위젯 강제 실행, 위젯 강제 업데이트, 위젯 강제 설치, PC PUSH 클라이언트 모듈, SOIP PUSH 클라이언트 모듈, 및 제3자 PUSH 클라이언트 모듈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위젯 서버/클라이언트 연동 모듈은 갤러리 연동, 위젯관련 연동, 단말 인증(서버등록) 연동, 과금 연동, 개인화 연동, 컨텐츠 연동, Proxy 연동, 파일 전송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위젯 인증 모듈은
    로그인 인증, SSO 기능 처리 및 인증 체크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KR1020110016646A 2011-02-24 2011-02-24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KR10132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46A KR101328981B1 (ko) 2011-02-24 2011-02-24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646A KR101328981B1 (ko) 2011-02-24 2011-02-24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11A KR20120097211A (ko) 2012-09-03
KR101328981B1 true KR101328981B1 (ko) 2013-11-13

Family

ID=4710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646A KR101328981B1 (ko) 2011-02-24 2011-02-24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168B1 (ko) * 2015-03-17 2016-01-20 (주)파인원커뮤니케이션즈 웹 티브이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프레임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4143032B (zh) * 2021-11-01 2023-07-07 北京银盾泰安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ssh的pc端互访系统及其交互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13B1 (ko) * 2009-12-08 2010-10-26 (주)제이모바일 비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KR20100122391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수의 브라우저 코어를 포함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그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391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다수의 브라우저 코어를 포함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그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KR100989613B1 (ko) * 2009-12-08 2010-10-26 (주)제이모바일 비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211A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79320B (zh) 实现微服务配置和管理的api储存库
CN106462467B (zh) 在不同分布式网络上针对消费服务的集成api和ui
US9323519B2 (en) Packaging an application
US7174361B1 (en) Scripting task-level user-interfaces
US10891569B1 (en) Dynamic task discovery for workflow tasks
US20130290851A1 (en) User interface web services
CN108156009B (zh) 一种服务调用方法及装置
KR101328981B1 (ko) 상이한 동작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상이한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
Chowhan Hands-on Serverless Computing: Build, Run and Orchestrate Serverless Applications Using AWS Lambda, Microsoft Azure Functions, and Google Cloud Functions
Moore et al. A service broker and business model for saas applications
Roche et al. Beginning Java Google App Engine
McHenry et al. A mosaic of software
Desair et al. Policy-driven middleware for heterogeneous, hybrid cloud platforms
Srinivasmurthy et al. Web2exchange: A model-based service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environment
US10558487B2 (en) Dynamic customization of client behavior
US11972310B1 (en) Multi-resource operations in an analytics computing system
CN115550333B (zh) 基于Web的在多级多域环境中访问应用的系统及方法
US8495500B2 (en) Portal-based podcast development
Chattopadhayay Getting Started with Oracle Tuxedo
Ageeva Development of a serverless web-application for large scale IoT platform administration
Irakoze Cloud-Based Mobile Applications
KR101717772B1 (ko) 멀티 디바이스 기반 앱마켓 플레이스 시스템
Paul et al. CRUD and REST APIs–Pillars of Efficient Data Exchange
CN117234464A (zh) 多平台计费组件服务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urniawan et al. Mobile Back E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