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597B1 - 롤 간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롤 간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597B1
KR101328597B1 KR1020120004909A KR20120004909A KR101328597B1 KR 101328597 B1 KR101328597 B1 KR 101328597B1 KR 1020120004909 A KR1020120004909 A KR 1020120004909A KR 20120004909 A KR20120004909 A KR 20120004909A KR 101328597 B1 KR101328597 B1 KR 10132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trusion
opening
roll ga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122A (ko
Inventor
송병만
주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코
Priority to KR102012000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5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1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roll-gap, e.g. pas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1/00Mill stand parameters
    • B21B2271/02Roll gap, screw-down position, draf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롤 간격 측정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일측 단부의 돌출된 높이가 변동하도록 본체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개구부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 결합되며, 돌출부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본체와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에 대해 돌출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롤 간격 측정장치{Apparatus for roll gap measurement}
실시예들은 롤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며 롤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돌출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롤 간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 공정은 용강을 주형에 직접 주입하여 냉간, 응고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슬래브나 블룸, 빌릿 등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 의하면 분괴공정이 생략되므로 설비비를 삭감할 수 있고, 에너지 절감, 제품 실수율 향상, 생산원가 절감, 납기 단축 등의 잠정이 있으며, 자동화, 기계화가 용이해서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연속주조 공정에서는 주편의 표면이나 내부에 크랙이 발생하면, 고속 주조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연주 슬래브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주기의 스트랜드의 상태를 관리하여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연주기의 스트랜드의 롤갭을 측정하기 위해 더미바 헤드에 롤갭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43443호에는 종래의 롤갭 측정장치 기술이 소개되는데, 롤갭 측정장치의 부피가 크고 육중하여 더미바와의 연결 및 운반 등의 작업에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롤갭 측정장치는 롤과 직접 접촉하는 헤드의 마모가 진행되면, 센서 모듈의 전체를 교체하거나 분해하여 수리해야 한다. 또한 롤의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센서 모듈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고, 접촉식 센서의 가동 부분을 통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센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방수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센서에 물이 유입되거나 회로부분에 물이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거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들의 목적은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설계되며 견고한 구성을 갖는 롤 간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폐 및 방수 기능을 구비한 롤 간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롤의 간격에 맞추어 롤 간격 측정장치의 측정 간격을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롤 간격 측정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일측 단부의 돌출된 높이가 변동하도록 본체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개구부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 결합되며, 돌출부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본체와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에 대해 돌출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돌출부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고, 롤 간격 측정 장치는 제1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롤 간격 측정 장치는,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결합홈을 구비하여 돌출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연장하도록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헤드부의 제1 결합돌기는 연장부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는, 돌출부가 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접촉부와, 접촉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밀폐 링은 돌출부의 접촉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감지부는 돌출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돌출부와 함께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가동부와, 가동부와 접촉하며 가동부의 변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는 본체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수 있고, 감지부는 돌출부의 각각의 변위를 감지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롤 간격 측정장치는,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감지부의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롤 간격 측정장치는 본체의 외측에 돌출된 연결 링크와, 연결 링크가 삽입되는 장공을 구비하며 더미바의 연결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블록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체는 돌출부와 감지부와 지지부를 둘러싸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의 일측 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고, 롤 간격 측정장치는 케이싱으로부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어 커버와 케이싱의 간격을 유지하는 엔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롤 간격 측정장치는, 돌출부가 본체의 개구부와의 접촉을 유지하며 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므로 이물질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 및 방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단부에 연장부를 개재하여 헤드부를 설치하거나, 연장된 길이의 헤드부를 설치함으로써 돌출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롤 간격 측정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에서 돌출부와 감지부가 설치되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에서 돌출부와 감지부가 설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회전을 마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더미바가 체인에 의해 수거되는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롤 간격 측정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롤 간격 측정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롤 간격 측정장치(100)는, 본체(10)와, 본체(10)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돌출부(20)와, 제1 돌출부(20)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30)와, 본체(10)와 제1 돌출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돌출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4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다른 구성 요소를 둘러싸 보호하며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10)는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케이싱(12)과, 케이싱(12)의 저면에 결합하는 저면판(13)과, 케이싱(12)의 상면에 힌지(12a)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11)를 구비한다. 커버(11)가 힌지(12a)를 개재하여 케이싱(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므로, 커버(11)를 열어 케이싱(12)의 내부에 구성 요소들을 설치하거나 이미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수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0)는 일측 단부가 본체(10)로부터 돌출되며, 제1 돌출부(20)의 일측 단부가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변동하도록 본체(10)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감지부(30)는 제1 돌출부(20)에 결합되며, 제1 돌출부(20)의 본체(10)에 대한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제1 돌출부(20)와 본체(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40)는 본체(10)에 대해 제1 돌출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부(40)는 압축 스프링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나 액체를 이용한 압축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20)는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원통 형상의 접촉부(21)와, 접촉부(21)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는 헤드부(22)를 구비한다. 접촉부(21)는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홈(21a)을 구비한다. 헤드부(22)는 제1 결합홈(21a)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제1 결합돌기(22a)를 구비한다. 따라서 헤드부(22)의 제1 결합돌기(22a)가 제1 결합홈(21a)에 삽입됨으로써, 헤드부(22)가 접촉부(21)의 일측 단부에 결합한다.
헤드부(22)는 연속 주조기의 롤(181)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종래에는 헤드부(22)의 마모가 발생하면 센서 모듈 자체를 교환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부(22)가 접촉부(2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므로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헤드부(22)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헤드부(22)가 제1 돌출부(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홈(21a)과 제1 결합돌기(22a)를 이용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결합홈(21a)과 제1 결합돌기(22a)의 설치 위치를 변형하여, 제1 결합홈(21a)을 헤드부(22)에 설치하고 제1 결합돌기(22a)를 제1 돌출부(20)의 일측 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접착제나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헤드부(22)를 제1 돌출부(20)의 일측 단부에 결합할 수도 있고, 헤드부(22)의 외측 면에 나사면을 형성하고 제1 돌출부(20)에 헤드부(22)의 나사면과 결합하는 나사홈을 형성하는 변형된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20)의 외측에는 제1 돌출부(20)와 제1 감지부(30)를 둘러싸 지지하는 센서 블록(25)이 배치된다. 센서 블록(25)은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1 돌출부(2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센서 블록(25)은 제1 돌출부(20)의 접촉부(21)가 삽입되는 개구부(25a)를 구비한다.
접촉부(21)는 개구부(25a)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개구부(25a)와의 접촉을 유지하며 개구부(25a)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부(25a)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접촉부(21)도 개구부(25a)에 대응하는 크기의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개구부(25a)와 접촉부(21)의 사이에는 개구부(25a)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밀폐 링(26, 27)이 배치된다. 밀폐 링(26, 27)은 개구부(25a)의 내측 벽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26a)에 삽입된다. 밀폐 링(26, 27)은 접촉부(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의 밀폐 링(26, 27)은 접촉부(21)와 개구부(25a)의 사이에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접촉부(21)가 개구부(25a)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외부의 이물질이나 물이 개구부(25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롤갭(롤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에 이물질이나 물이 침투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센서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21)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접촉부(21)와 개구부(25a)가 접촉을 유지하는 구성과 밀폐 링(26, 27)에 의해 밀폐 및 방수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에 의해, 물이나 이물질 침투로 인한 센서 신뢰성 저하와 고장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는 밀폐 링(26, 27)을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21)의 외측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홈을 설치하고, 접촉부(21)의 홈에 밀폐 링(26, 27)을 설치함으로써 우수한 밀폐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접촉부(21)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감지부(30)는 접촉부(21)의 내부에 결합되어 접촉부(21)와 함께 본체(10)에 대해 이동을 하는 가동부(31)와, 가동부(31)와 접촉하며 가동부(31)의 변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32)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1 감지부(30)는 접촉식 센서인 LVDT의 형태로 구현된 것이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제1 감지부(30)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을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음파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자기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1 감지부(3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케이싱(12)의 내부에는 제1 돌출부(2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서 블록(25)과, 제어부(50)와, 배터리 모듈(56)과, 롤 정렬 측정 센서(57)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싱(12)에는 복수 개의 엔빌(17a, 17b)이 설치된다. 엔빌(17a, 17b)은 단부가 케이싱(12)으로부터 커버(11)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된다. 엔빌(17a, 17b)은 롤(181, 182; 도 3 참조)을 최대한 들어 올림으로써 롤 간격 측정장치(100)가 안정적인 자세를 잡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에는 유압이나 스프링과 같은 구성 요소를 이용하지만, 외부 환경에 대해 밀폐되어 있지 않아 방수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엔빌(17a, 17b)이 커버(11)와 케이싱(12)의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케이싱(12)의 내부의 밀폐공(17c)에 장착됨으로써 뛰어난 방수 기능을 구현하였다.
배터리 모듈(56)은 리튬이온/리튬폴리머 충전지를 구비하므로, 납축전지를 이용하여 부피가 크고 방수용 배터리 박스를 설치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케이싱(12)의 상측에는 본체(10)의 방수 및 밀폐를 유지하기 위해 밀폐용 패킹(18)과 밀폐판(19)이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20)가 본체(10)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돌출부(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돌출부(120)가 배치된다. 제2 돌출부(120)는 상술한 제1 돌출부(20)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의 타측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2 돌출부(120)의 헤드부(122)가 롤(182)과 접촉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돌출부(20)를 지지하는 센서 블록(25)에 연결되어 제2 돌출부(1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서 블록(12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센서 블록(25, 125)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조립되므로, 제1 돌출부(20)와 제2 돌출부(120) 및 제1 감지부(30)와 제2 감지부(130)가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뛰어난 방수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며,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다.
제2 돌출부(120)는 원통 형상의 접촉부(121)와, 접촉부(12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122)를 구비한다. 제1 돌출부(20)와 다르게 제2 돌출부(120)는 헤드부(122)가 접촉부(121)로부터 분리될 수 없지만, 이를 변형하여 제2 돌출부(120)도 헤드부(122)가 접촉부(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센서 블록(125)은 제2 돌출부(120)의 접촉부(121)가 삽입되는 개구부(125a)를 구비한다. 접촉부(121)도 개구부(125a)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접촉부(121)가 개구부(125a)와의 접촉을 유지하며 개구부(125a)에 이동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25a)와 접촉부(121)의 사이에는 밀폐 기능, 방수 기능 구현을 위한 밀폐 링(126, 127)이 배치된다. 제2 돌출부(120)도 지지부(140)에 의해 본체(1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돌출부(120)의 접촉부(121)의 내부에는 제2 감지부(130)의 가동부(131)가 결합된다. 제2 감지부(130)는 가동부(131)와 센서부(132)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케이싱(12)의 외부에는 링크 블록(81)이 결합된다. 링크 블록(81)은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링크(80)를 구비한다. 연결 링크(8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에서 돌출부와 감지부가 설치되는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돌출부(20)의 접촉부(2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홈(21a)에는 연장부(28)가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28)는 연속 주조기의 롤의 사이의 간격에 맞추도록, 제1 돌출부(20)가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장부(28)는 일측 면에 제1 결합홈(2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제2 결합돌기(228b)를 구비하고, 타측 면에 헤드부(22)의 제1 결합돌기(22a)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결합홈(28a)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돌출부(20)의 전체 모듈을 교체하지 않고, 제1 돌출부(20)의 접촉부(21)의 단부에 연장부(28)를 결합하고 연장부(28)에 헤드부(22)를 결합하는 간편한 작업에 의해 제1 돌출부(20)의 전체적인 높이를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돌출부(20)를 지지하는 센서 블록(25)과 제2 돌출부(120)를 지지하는 센서 블록(125)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용 구멍(29a, 29b)을 구비한다. 결합용 구멍(29a, 29b)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센서 블록(25, 125)과 제1 돌출부(20)와, 제2 돌출부(120)와, 제1 감지부(30)와, 제2 감지부(130) 등의 구성 요소를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컴팩트한 모듈로 제작함과 아울러 이물질과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밀폐/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에서 돌출부와 감지부가 설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도 5와 달리 제1 돌출부(20)의 단부에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헤드부(22)보다 긴 길이를 갖는 헤드부(222)를 설치한 예이다. 헤드부(222)는 제1 결합홈(21a)에 대응하는 제3 결합돌기(222a)를 구비하므로, 헤드부(222)가 제1 돌출부(2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돌출부(20)의 전체적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등에 도시된 예에서 제1 돌출부(20)의 높이를 연장하는 방법으로 결합돌기나 결합홈을 이용하였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거나, 헤드부나 연장부와 제1 돌출부(20)의 표면에 나사면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어부(5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부(50)의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구성 요소들의 개략적인 관계를 블록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제어부(50)는 반도체 칩이나 수동소자 등을 인쇄 회로기판에 장착한 제어 보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제어용 소프트웨어를 장착한 반도체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의 메모리에 기록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통신 버스(55)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입력부(51)와, 통신부(52)와, 처리부(53)와, 저장부(54)를 구비한다.
입력부(51)는 제1 감지부(30) 및 제2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저장부(54)는 입력부(51)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부(53)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처리부(53)는 입력부(51)와, 저장부(54)와, 통신부(5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52)는 유선 통신 방식이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부(50)와 외부 장치(컴퓨터나 제어 단말)와의 사이에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더미바(5)에 롤 간격 측정장치(100, 101, 102)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연속 주조기의 주형은 조괴주형과 달리 밑바닥이 없다. 따라서 주조 초기에 주형에 용강을 주입할 때 용강이 누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바닥이 필요한 데, 그 역할을 하는 것이 더미바(Dummy Bar; 5)이다. 더미바(5)의 단부 즉, 주형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을 더비바 헤드(Dummy Bar Head)라고 부르며, 초기 용강은 더미바 헤드에서 응고되어 더미바와 결합한 후 구동롤에 의해 인발한다.
롤 간격 측정장치(100, 101, 102)는 연주기 스트랜드 상태를 측정하여 연주 슬래브의 품질 예측 및 판정을 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롤 간격 측정장치는 롤 간격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확보하여, 이를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는 독자적인 장치로 설계되기 때문에, 도 8에서와 같이 더미바(5) 상의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더미바(5)의 링크들(1a, 1b)은 결합 링크(2)에 의해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롤 간격 측정장치(100, 101, 102)는 더미바(5)의 연결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블록(90)에 의해 더미바(5)에 결합된다.
연결 블록(90)은 일측 단부에 더미바(5)의 연결핀(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91)을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연결 링크(80)가 삽입되는 장공(92)을 구비한다.
도 9는 도 1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롤 간격 측정장치의 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회전을 마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롤 간격 측정장치가 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는 더미바가 체인에 의해 수거되는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에는 롤 간격 측정장치(100)를 더미바(5)의 테일(5a)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연속 주조기의 측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크레인(310)과 체인(311)을 이용하여 더미바(5)를 더미바 이송장비(301)의 위로 끌어 올리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롤 간격 측정장치(100)가 더미바(5)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구조물(302, 303)에 충돌하지 않도록,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자세가 수직한 방향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도 9 내지 도 13에는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자세가 수직한 방향으로 조정되는 작동과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한 연결 블록(90) 및 연결 링크(80)의 구조가 나타난다.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외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링크(80)를 구비하는 링크 블록(81)이 설치된다. 연결 링크(80)는 연결 블록(90)의 장공(92)과 연결된다. 연결 링크(80)는 장공(92)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장공(92)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인(311)과 더미바(5)의 테일(5a)을 연결하여 크레인(310)으로 체인(311)을 끌어 올리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순서대로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자세가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더미바의 테일(5a)이 체인(311)에 의해 끌어 올려지기 시작하면, 롤 간격 측정장치(100)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순서대로 연결 블록(90)의 장공(92)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롤 간격 측정장치(100)의 자세가 수직한 자세로 변경된다.
그 이후에는 연결 링크(80)가 장공(92)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 간격 측정장치(100)가 연결 블록(9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연결 링크(80)가 장공(92)의 단부에 도달하면, 링크 블록(81)의 외부에 설치된 후크(82)가 연결 블록(90)의 외측에 돌출된 고정핀(93)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후크(82)와 고정핀(93)의 결합 작용으로 인해, 더미바(5)가 끌어 올려지는 동안 롤 간격 측정장치(100)가 수직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a, 1b: 링크들 51: 입력부
2: 결합 링크 52: 통신부
3: 연결핀 26, 27: 밀폐 링
5: 더미바 53: 처리부
5: 더미바 54: 저장부
5a: 테일 55: 통신 버스
10: 본체 56: 배터리 모듈
11: 커버 57: 롤 정렬 측정 센서
12: 케이싱 29a, 29b: 결합용 구멍
12a: 힌지 80: 연결 링크
13: 저면판 81: 링크 블록
17c: 밀폐공 82: 후크
18: 밀폐용 패킹 90: 연결 블록
19: 밀폐판 91: 결합공
20: 제1 돌출부 92: 장공
21a: 제1 결합홈 93: 고정핀
22a: 제1 결합돌기 120: 제2 돌출부
26a: 홈 130: 제2 감지부
28a: 제2 결합홈 132: 센서부
28: 연장부 21, 121: 접촉부
30: 제1 감지부 25a, 125a: 개구부
32: 센서부 25, 125: 센서 블록
17a, 17b: 엔빌 31, 131: 가동부
50: 제어부 40, 140: 지지부
181: 연속 주조기의 롤 301: 더미바 이송장비
182: 롤 310: 크레인
222a: 제3 결합돌기 311: 체인
228b: 제2 결합돌기 181, 182: 롤
126, 127: 밀폐 링 222, 22, 122: 헤드부
100, 101, 102: 롤 간격 측정장치 302, 303: 구조물

Claims (14)

  1.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돌출된 높이가 변동하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개구부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돌출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밀폐 링이 배치되는, 롤 간격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롤 간격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입되는 제2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 결합홈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높이를 연장하도록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연장부의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는, 롤 간격 측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와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 간격 측정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촉부를 향하는 내측 벽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 링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롤 간격 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외측 벽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 링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롤 간격 측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링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접촉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복수 개가 배치되는, 롤 간격 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와 함께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접촉하며 상기 가동부의 변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각각의 변위를 감지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 롤 간격 측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13.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돌출된 높이가 변동하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개구부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돌출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돌출된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가 삽입되는 장공을 구비하며, 더미바의 연결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블록;을 구비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14.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일측 단부의 돌출된 높이가 변동하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개구부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의 위치 변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돌출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감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일측 면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싱의 간격을 유지하는 엔빌을 더 구비하는, 롤 간격 측정장치.
KR1020120004909A 2012-01-16 2012-01-16 롤 간격 측정장치 KR10132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09A KR101328597B1 (ko) 2012-01-16 2012-01-16 롤 간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09A KR101328597B1 (ko) 2012-01-16 2012-01-16 롤 간격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122A KR20130084122A (ko) 2013-07-24
KR101328597B1 true KR101328597B1 (ko) 2013-11-12

Family

ID=4899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909A KR101328597B1 (ko) 2012-01-16 2012-01-16 롤 간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190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기의 롤 갭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43B1 (ko) 2002-06-25 2005-03-08 윤 근 양 압연기의 압연롤러 미세이동 감지장치
KR100544579B1 (ko) * 2001-12-21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기의 접촉식 롤쵸크 갭측정장치
KR100824523B1 (ko) 2002-07-06 2008-04-2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표면결함 검출장치
KR100833052B1 (ko) 2001-12-21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기의 접촉식 롤 교차각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79B1 (ko) * 2001-12-21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기의 접촉식 롤쵸크 갭측정장치
KR100833052B1 (ko) 2001-12-21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기의 접촉식 롤 교차각 측정장치
KR100472343B1 (ko) 2002-06-25 2005-03-08 윤 근 양 압연기의 압연롤러 미세이동 감지장치
KR100824523B1 (ko) 2002-07-06 2008-04-2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표면결함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122A (ko)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0284A1 (en) Concrete temperature stress testing machine system and temperature deformation self-compensation method
CN102039390B (zh) 冶金铸机双摆角式辊缝测量装置
CN104897108A (zh) 一种新型应变计
CN105509698A (zh) 一种新型埋入式应变计
JP2013537486A (ja) 連鋳鋳型の物理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CN105509697A (zh) 具有温度传感功能的混凝土应变计
KR101328597B1 (ko) 롤 간격 측정장치
CN105509700A (zh) 一种新型具有温度传感功能的混凝土应变计
JP2015108260A (ja) 構造物構築用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充填検知システム
CN102912722B (zh) 一种球型多向测力支座
CN101750179B (zh) 布匹张力检测方法及装置
CN103586291A (zh) 辊道秤
CN201283420Y (zh) 连铸机辊缝仪稳定装置
CN203695618U (zh) 辊道秤
CN210374971U (zh) 一种裂缝最大宽度的监测装置
CN114137087A (zh) 一种混凝土梁板浇筑过程中监测裂缝的装置及其监测方法
JP6398327B2 (ja) 直動案内装置
CN104897126A (zh) 一种新型埋入式应变计
JP2017060959A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開度測定装置及びロール開度測定方法
CN201776407U (zh) 一种连铸机结晶器振动装置在线监测传感器的安装机构
CN214887111U (zh) 可探测拱顶的二衬施工台车
CN115711852B (zh) 一种边坡裂缝自动化监测装置及其吊装方法
CN216895168U (zh) 一种冷床液压缸位移传感器
CN211042193U (zh) 一种输电线塔基础沉降检测系统
CN214987677U (zh) 一种物位开关的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