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994B1 -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994B1
KR101327994B1 KR1020120072395A KR20120072395A KR101327994B1 KR 101327994 B1 KR101327994 B1 KR 101327994B1 KR 1020120072395 A KR1020120072395 A KR 1020120072395A KR 20120072395 A KR20120072395 A KR 20120072395A KR 101327994 B1 KR101327994 B1 KR 10132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chemical
facilit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07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81Devices for distributing chemical products in the water of swimming poo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8Water-chu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water, i.e. devices for removal of polluted water, cleaning baths or for water treatment
    • E04H4/1209Treatment of water for swimming 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시설유닛이 구비됨과 동시에 물놀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에 있어서, 놀이시설유닛이 구비된 저장조로 정수된 물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물의 정수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물분사부가 구비된 놀이시설유닛과, 상기 놀이시설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부와 연결유로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로부터 상기 물분사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메인펌프와, 상기 물분사부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약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약품저장부와, 상기 약품저장부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약품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유로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투입조절유닛 및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으로 전달되는 약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약품필터를 포함하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Water Play Structure Having Wat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및 어린이들이 뛰어 노는 놀이터, 공원, 학교 운동장 등(이하, 총칭하여 "놀이터"라 한다)에는 어린이들의 체력 및 지각능력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놀이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놀이터에는 그네나 미끄럼틀, 시소 등 다양한 놀이시설물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놀이시설물을 변형하여 어린이들이 보다 호기심을 가지면서도 체력 및 지각 능력을 다양하게 키울 수 있도록 놀이시설물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특히, 놀이시설물 자체에서 물이 분사되거나 소형의 풀장 형태를 이루고 풀장 내측에 놀이시설물이 설치되어 여름철 등에 보다 흥미를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 많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종래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의 경우는 물공급설비와 놀이시설물이 별도 이격된 장소에 구비되어 있어, 일원화하여 관리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물놀이 구조물은 일단 물이 담수된 후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여야 하는데,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주로 사용하게 되므로 물 속에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물 자체가 더러워지게 되므로 위생상의 문제점을 불러올 수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시로 물에 정화용 약품 등을 투입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사람이 직접 약품을 투입하여 번거로웠으며, 정량을 투입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가 놀이시설물과 일체화되어 유지 및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담수된 물을 유동시키면서 정수할 수 있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물의 정화용 약품 투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분사부가 구비된 놀이시설유닛과, 상기 놀이시설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부와 연결유로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로부터 상기 물분사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메인펌프와, 상기 물분사부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약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약품저장부와, 상기 약품저장부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약품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유로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투입조절유닛 및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으로 전달되는 약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약품필터를 포함하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부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약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약품저장부 및 상기 약품저장부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약품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유로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투입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품저장부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 및 외부에서 상기 케이싱 내측의 약품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약품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유로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펌프와, 상기 연결유로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량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통한 물의 유동량에 따라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약품공급펌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릴레이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램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물분사부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를 구비하되, 상기 놀이시설유닛은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호스는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에 내설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의하면 놀이시설물에 직접 물공급설비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양측 시설물의 전반적인 관리를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의하면 메인펌프가 작동 시에만 약품공급펌프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인 정화시스템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의하면 센서의 작동 설정 상태에 따라서 또는 소정 시간 동안만 약품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약품 공급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의하면 물분사부와 연결되는 연결호스를 놀이시설유닛을 이루는 프레임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함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있어서 약품저장부, 약품투입조절유닛과 연결유로 등 주요 구성들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있어서 주요 구성들간의 전기적 연결관계 및 이를 통한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5는 약품투입조절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은 놀이시설유닛(110), 집수부(130), 메인펌프(150), 약품저장부(170), 약품투입조절유닛(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은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한데, 도 1에서는 그 중 하나의 형태로서 슬라이딩부(128)와 봉(122) 및 상기 봉(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텝부(124)가 구비된 놀이시설유닛(110)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은 기본 골조를 이루는 다수의 지지프레임(115)이 수직 또는 트러스 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은 상기 봉(122)과 스텝부(124)를 지지하는 보조지지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은 별도의 물분사부(117)가 구비된다.
도 1에서는 물이 분사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물분사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물분사부(117)는 분사형태 또는 물이 쏟아져 나오는 형태 등 여러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집수부(130)는 물이 집수되는 저장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의 하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이 위치되는 지형은 외부 지형(10)보다 소정 깊이 낮게 형성되어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저장부(30)를 이루되,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되는 물이 자동적으로 상기 집수부(130)로 유동하여 집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집수부(130)로는 상기 저장부(30)로부터 물이 공급되지 않는 형태, 즉 외부로부터 별도의 파이프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장치(미도시)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텝부(124)는 물에 부유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저장부(30)에 물이 일정 높이 담수되는 경우 상기 스텝부(124)도 물의 높이로 부유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펌프(150)는 상기 집수부(13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의 물분사부(117)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펌프(150)의 일측으로는 상기 집수부(13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호스(152)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펌프(150)의 타측으로는 공급된 물이 배출되어 유동하는 연결유로(154)가 연결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154)는 연결호스(105)에 연결된 구성을 취하여 상기 메인펌프(15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집수부(130)로부터 상기 물분사부(117)로 물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호스(105)는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15) 내측을 따라 외부에서 은폐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약품저장부(170), 약품투입조절유닛(190)은 염소 등과 같은 소정 약품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물분사부(11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화시스템을 이룬다. 이때, 적용되는 물의 정화용 약품은 다양한 종류가 적용가능하며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약품저장부와 약품투입조절유닛의 연결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있어서 주요 구성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에 있어서 주요 구성들간의 전기적 연결관계 및 이를 통한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품저장부(170)는 외관을 이루며 내부에 약품이 저장되는 케이싱(171) 및 외부에서 약품의 저장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71)에 구비된 투명창(1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창(173)은 상기 케이싱(171)의 상하를 가로지르며 배치되고, 내부 약품 저장량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눈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190)은 약품공급펌프(191), 센서(195) 및 릴레이스위치(197: 도 4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약품저장부(170)의 케이싱(171)과 상기 약품공급펌프(191)는 제1약품공급호스(181)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약품저장부(170)의 케이싱(171)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약품공급호스(181)의 일단에는 약품필터(177)가 구비되어 약품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약품공급펌프(191)는 상기 연결유로(154)와 연결되는 형태로 제2약품공급호스(182)가 연결되어 공급된 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놀이시설유닛(110)에 구비되는 물분사부(117)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어 연결되는 형태로 복수 개의 연결호스(10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물분사부(117)만을 이용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각각의 연결호스(105)에는 개폐밸브(10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190)은 상기 연결유로(154)를 물이 유동하는지 또는 유동하는 물의 유동량을 측정하는 센서(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195)는 물의 유동에 대한 센싱을 한 후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약품공급펌프(19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195)는 상기 연결유로(154)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유동량까지 측정 가능한 센서의 적용도 가능하다. 일반적인 유동량 감지 센서가 적용될 것이며, 이에 대한 기술은 이미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약품투입조절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190)에 있어서 상기 약품투입펌프(191)는 소정의 케이싱(194) 내부에 은폐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싱(194)은 내부에 상기 약품투입펌프(191) 등이 방수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94)은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190)을 작동시키는 전원스위치(199)와 램프(1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190)은 상기 약품공급펌프(191)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부(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스위치(197)는 상기 센서(195)를 통한 물의 유동량에 따라서 상기 전원부(200)와 상기 약품공급펌프(191)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도록 구성된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정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램프(183)는 상기 전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전원스위치(199)가 상기 전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183) 및 상기 전원부(200)와 상기 램프(183)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 도 5 및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전원부(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후 상기 전원스위치(199)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램프(183)의 점등에 따라 전원 공급이 되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펌프(150)를 가동하여 집수부(130)로부터 연결유로(154) 및 연결호스(105)를 통하여 물을 공급시키는 단계를 거친다(S11).
이때, 상기 연결유로(154)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 또는 물의 유동량이 상기 센서(195)를 통하여 감지되게 된다(S12).
한편, 상기 센서(195)를 통하여 물의 흐름 또는 일정 수준 이상의 물의 유동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스위치(197)를 작동시켜 상기 약품공급펌프(191)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게 된다(S13).
이렇게 되면 상기 약품공급펌프(191)를 통하여 상기 약품저장조(170) 내 약품이 상기 연결유로(154)로 공급되게 된다.
결국, 물의 정화를 위한 약품이 혼합되어 상기 연결호스(105)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되므로, 놀이시설유닛 외부로는 정화된 상태의 물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센서(195)는 물이 유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스위치(197)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일정량 이상의 물의 유동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릴레이스위치(197)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약품공급펌프(191) 및 상기 센서(195)와 연결되는 별도의 마이컴을 구비한 후, 상기 마이컴에 소정 프로그램을 기 설정하여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약품공급펌프(191)는 소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하여 한 회에 제공되는 약품의 공급량도 조절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S1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100)에 의하면 놀이시설물에 직접 물공급설비가 포함된 형태를 이루어 양측 시설물의 전반적인 관리를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관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보수 및 관리 등에 있어서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분사부(117)와 연결되는 연결호스(105)를 놀이시설유닛을 이루는 지지프레임(115)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함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100)에 의하면 상기 메인펌프(150)가 작동 시에만 약품공급펌프(191)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인 정화시스템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30: 저장부 100: 물놀이시설물
105: 연결호스 108: 개폐밸브
110: 놀이시설유닛 115: 지지프레임
117: 물분사부 120: 보조지지프레임
122: 봉 124: 스텝부
130: 집수부 150: 메인펌프
152: 물공급호스 154: 연결유로
170: 약품저장부 171: 케이싱
173: 투명창 177: 약품필터
183: 램프 185: 약품노즐
190: 약품투입조절유닛 191: 약품공급펌프
195: 센서 197: 릴레이스위치
199: 전원스위치 200: 전원부

Claims (9)

  1. 물분사부가 구비된 놀이시설유닛;
    상기 놀이시설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물분사부와 연결유로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로부터 상기 물분사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메인펌프;
    상기 물분사부로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약품이 내부에 저장되는 약품저장부;
    상기 약품저장부와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약품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유로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투입조절유닛; 및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으로 전달되는 약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약품필터;
    를 포함하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저장부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 및
    외부에서 상기 케이싱 내측의 약품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투명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투입조절유닛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약품저장부로부터 약품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유로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펌프;
    상기 연결유로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량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통한 물의 유동량에 따라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약품공급펌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릴레이스위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램프;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램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물분사부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를 구비하되,
    상기 놀이시설유닛은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호스는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에 내설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8. 삭제
  9. 삭제
KR1020120072395A 2012-07-03 2012-07-03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KR101327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95A KR101327994B1 (ko) 2012-07-03 2012-07-03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95A KR101327994B1 (ko) 2012-07-03 2012-07-03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994B1 true KR101327994B1 (ko) 2013-11-13

Family

ID=4985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395A KR101327994B1 (ko) 2012-07-03 2012-07-03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69B1 (ko) * 2017-06-01 2017-10-11 주식회사 대한하우징 컨테이너 수영장
KR101989080B1 (ko) 2018-09-05 2019-06-13 변민혁 물놀이 시설물 및 수경시설물의 바닥부 방수패널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76A (ja) * 1992-07-22 1994-02-15 C M D:Kk 水泳用プールの消毒システム
KR100374725B1 (en) * 2002-09-06 2003-03-06 Ciontechnis Co Ltd Non-powered chemical feeder adjusting dose of chemicals based on flow rate of water to be treated
KR100679181B1 (ko) * 2006-02-20 2007-02-06 (주)서금아쿠아 수영장용 살균처리장치
KR100942843B1 (ko) *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76A (ja) * 1992-07-22 1994-02-15 C M D:Kk 水泳用プールの消毒システム
KR100374725B1 (en) * 2002-09-06 2003-03-06 Ciontechnis Co Ltd Non-powered chemical feeder adjusting dose of chemicals based on flow rate of water to be treated
KR100679181B1 (ko) * 2006-02-20 2007-02-06 (주)서금아쿠아 수영장용 살균처리장치
KR100942843B1 (ko) * 2009-10-14 2010-02-18 주식회사 소담이앤씨 놀이시설물이 구비된 물놀이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69B1 (ko) * 2017-06-01 2017-10-11 주식회사 대한하우징 컨테이너 수영장
KR101989080B1 (ko) 2018-09-05 2019-06-13 변민혁 물놀이 시설물 및 수경시설물의 바닥부 방수패널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4588B (zh) 多功能室内除污植物墙
US7291261B1 (en) Pool chemical dispenser
CN204282442U (zh) 一种园林景观用水循环处理装置
KR101259698B1 (ko) 물놀이형 수경(水鏡)시설의 수처리 시스템
US10138138B2 (en) System and method of greywater recovery and reuse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327994B1 (ko) 물공급설비가 일원화된 물놀이시설물 및 이를 위한 제어방법
AU2009305150B2 (en) Automatic dry granular chemical dispenser, for example for the chlorination of water in a swimming pool
CN105850602A (zh) 一种温湿度控制的无线智能种植系统
CN105557608A (zh) 一种水生动物毒理学实验系统及应用
EP2484639A1 (en) System for depurating and reusing greywater by disinfecting the greywater with ozone
KR101743813B1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바 테이블
CN106288020A (zh) 一种智能空气净化器
KR20100028873A (ko) 어항
KR20160107569A (ko) 공용시설의 절수시스템
CN209619113U (zh) 景观水体循环净化系统
CN105850601A (zh) 一种湿度控制的无线智能种植系统
KR101546879B1 (ko) 분수 및 물놀이 시설물의 수처리 시스템용 정화장치
CN104941350B (zh) 一种氯化钠空气净化器
CN203361701U (zh) 一种安装有配药器的池底清洁器
KR101232223B1 (ko) 정수기
CN110023247A (zh) 用于允许水净化和再循环或水分离的系统的传感器系统
KR20160094711A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CN205694546U (zh) 一种湿度控制的自供水种植系统
KR101486970B1 (ko) 놀이 시설이 설치되는 물놀이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