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324B1 -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324B1
KR101327324B1 KR1020110113543A KR20110113543A KR101327324B1 KR 101327324 B1 KR101327324 B1 KR 101327324B1 KR 1020110113543 A KR1020110113543 A KR 1020110113543A KR 20110113543 A KR20110113543 A KR 20110113543A KR 101327324 B1 KR101327324 B1 KR 10132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ommunication network
data
nod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605A (ko
Inventor
장부철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11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3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04L1/0073Special arrangements for feedback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이중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통신망의 제 2 노드 계층이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노드 계층이 채널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정상 여부를 확인 후 제 2 노드 계층이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3 노드 계층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망은 제 1 노드 계층, 제 2 노드 계층 및 제 3 노드 계층을 포함하는 통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노드 계층은 이중화되어 상기 제 1 노드 계층에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UALIZING COMMUNICATION NETWORK FOR FAULT-TOLERANT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고장 허용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함정 수직발사체계는 함 전투체계 및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교전계획을 생성하고 발사제어를 수행하는 함 전투력의 핵심요소로서 고 가용성 및 신뢰성이 요구됨에 따라 고장 허용기법이 적용된다. 고장 허용(fault tolerance) 시스템의 특성은 개별 구성품의 특성만이 아니고, 장비 간의 제휴에 대한 규칙의 특성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서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또는 통신망) 내에서 불완전한 링크나 과부하의 링크가 있어도 신뢰성이 높은 쌍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함정 수직발사체계를 위한 고장 허용 네트워크(또는 통신망) 구성 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특히 장비들 간의 통신망을 이중화하여 전체 시스템의 가용도를 증가시키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설계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통신망 설계는 시스템의 특성 및 목적에 따라 통신망의 구성이 달리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아직 까지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에 따른 고장 허용 통신망은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에 대한 가용성(availability)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통신망의 제 2 노드 계층이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노드 계층이 채널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정상 여부를 확인 후 제 2 노드 계층이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3 노드 계층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제 1 노드 계층, 제 2 노드 계층 및 제 3 노드 계층을 포함하는 통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노드 계층은 이중화되어 상기 제 1 노드 계층에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에서 상기 제 1 노드 계층은 발사 통제 콘솔 영역, 상기 제 2 노드 계층은 발사 제어 영역 그리고 상기 제 3 노드 계층은 유도탄 연동 장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 계층의 단일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로 부터 수신되고 자체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서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위치한 제 1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위치한 제 2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기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3 노드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1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에 있는 두 개의 허브 중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2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허브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3 노드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제 3 노드 계층에 전달될 경우, 제 3 노드 계층에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이중화는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두 개의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노드 계층과 상기 제 3 계층 노드 계층 간에 데이터 연결을 이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따르면,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세 계층으로 분리된 통신망 중에서 중간 계층의 노드를 이중화함으로써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가용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장비의 배치구성, 통신망 연결 방법 및 데이터 처리방식은 고 가용성 및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단일 고장점 문제를 감내하는 능력 및 시간 제한사항을 충족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민, 군수를 막론하고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통신망을 통한 고 신뢰성을 요구하는 제어분야에 적용 가능하므로 파급효과가 지대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나타낸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통신망을 구성을 이용해서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채널을 통한 데이터 동시 전송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망을 통한 노드 간 데이터 송수신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송수신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이한 데이터 헤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송수신 메커니즘의 송신 처리 메커니즘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송수신 메커니즘의 수신 처리 메커니즘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정 수직발사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은 3개의 노드(NODE) 계층(Layer)으로 구성되며 노드 1 계층(NODE 1 Layer)은 발사 통제 콘솔이 위치하는 영역이고, 노드 2 계층(NODE 2 Layer)은 수직 발사 제어기가 위치하며 노드 3 계층(NODE 3 Layer)은 유도탄 연동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이다.
특히, 노드 2 계층에 2개의 노드(Node)를 두어 노드 1 계층과 노드 3 계층 간의 데이터 연결을 이중화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가용도를 향상시켰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드 2-1(NODE 2-1)만 있는 경우에는 노드 2-1(NODE 2-1)이 단일 고장점이 되지만, 노드 2-1(NODE 2-1)과 노드 2-2(NODE 2-2)가 있는 경우에는 단일 고장점이 제거되어 가용도가 향상된다.
일반적인 이중화 통신구조와는 다르게 노드 1(NODE 1)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는 노드 2-1(NODE 2-1), 노드 2-2(NODE 2-2)로 나누어져 노드 3-1(NODE 3-1)로 전송되는 구조로 단순한 이중망 구조 두 개를 합쳐놓은 구조와는 다르다. 도 1의 통신망 구성을 이용하여 함상 수직발사체계 통신망을 구성한 실제 하드웨어적인 상세 설계도는 도 2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드 1 계층(NODE1 Layer)(210, 220)의 단일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자체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 두 개의 네트워크 망으로 분리되어 전송된다.
실선으로 나타낸 통신망(또는 네트워크)(10)은 노드 2 계층(NODE2 Layer)에 위치한 노드 2-1(NODE 2-1)(230)에 해당하는 수직발사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어 수직 발사제어기의 단일 보드 컴퓨터(SBC)에 연결되고, 점선으로 나타낸 통신망(또는 네트워크)(20)은 노드 2-2(NODE 2-2)(240)에 해당하는 수직발사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된 후 수직 발사 제어기의 내부 단일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에 연결된다.
상기 실선으로 나타낸 통신망(10)은 다시 광신호 분배상자(250)를 거쳐 유도탄 연동기(260, 270)에 있는 두 개의 허브 중 하나에 연결되며 점선으로 나타낸 통신망(20)은 노드 2-2(NODE 2-2)(240)에서 광신호 분배상자(250)를 거쳐 유도탄 연동기(260, 270) 내부의 또 다른 허브로 연결되어 노드 1(NODE 1) 계층과 노드 3(NODE 3) 계층 사이의 이중화가 연결 노드 2(NODE 2) 계층의 이중화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나타낸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통신망의 구성을 이용해서 통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3은 도 2에서 언급된 함정 수직 발사 시스템의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망의 제 2 노드 계층이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300), 상기 제 2 노드 계층이 채널 정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10) 및 상기 채널 정상 여부를 확인 후 제 2 노드 계층이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 3 노드 계층으로 송신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제 1 노드 계층, 제 2 노드 계층 및 제 3 노드 계층을 포함하는 통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노드 계층은 이중화되어 상기 제 1 노드 계층에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채널을 통한 데이터 동시 전송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서 제안된 데이터 통신 방식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활성 채널(active channel)과 하나의 예비 채널(standby channel)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 대신 도 4의 (b)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활성 채널(active channel)을 사용하여 통신 채널의 변경 없이 실시간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케 하는 방법이다(한국 콘텐츠 학회 논문지 참조, 2008.08.28).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망을 통한 노드 간 데이터 송수신 메커니즘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는 노드 i(Node i)의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면(S1), 노드 i의 미들웨어 계층(Middleware Layer)에서 통신 채널 상태를 확인 한 후(S2),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 가용 채널(CH A, CH B)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3-S4). 전송된 데이터는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 인큐(Enqueue)되고(S5), 데이터 수신 측 노드 j의 미들웨어 계층에서 수신된 내용을 확인한 후에(S6), 데이터 디큐(Dequeue)(S7)를 수행한다.
상기 노드 j의 미들웨어 계층에서 수신된 내용을 확인하는 절차(S6)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을 경우에는 ACK(S8) 신호를 보내고, 이때 ACK 신호를 받은 노드 i의 송신단에서 ACK을 신호를 확인할 경우(S9), 더 이상 노드 j로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다.
하지만 수신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NACK(S10)신호를 보내고, 이때 NACK 신호를 받은 노드 i의 송신단에서는 송신 큐의 내용을 검색하여(S11) 다시 노드 j에 데이터를 보낸다(S12). 이때 재전송은 3회까지 수행한다(S13-S14). 상기 노드 i와 상기 노드 j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쌍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노드 j에서 상기 노드 i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도 앞서 언급한 절차(S1-14)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송수신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헤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MSG ID는 데이터의 구분자이고 전송 횟수(Number of Send; NS)는 송신부의 데이터 전송 횟수를 기록하며 타임 아웃(Timeout)은 몇 회를 재전송할 것인지를 설정, 유효(Acknowledge)는 ACK 응답 필요의 유무를 설정, 카운트(COUNT)는 송수신단 간의 주고받은 횟수를 기록, 메시지 타입(MSG TYPE)은 실제 제어 메시지인지 ACK 메시지인지 여부를 설정, 머신 번호(Machine NO)는 노드번호를 저장하여 송수신단 간의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확보 및 제안된 알고리즘의 구현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송수신 메커니즘의 송신 처리 메커니즘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할 때(700)는 NS(S705), 소켓 파일 디스크립터(Socket File Descriptor)(S710), 머신 번호(Machine No)(S715)를 헤더에 저장하고 지금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ACK 메시지 수신여부(S720)에 따라 유효(Acknowledge) 필드(S725)도 헤더에 저장한다. 이후 2개의 통신망에 대한 통신 채널 정상 여부를 확인(S730-S745)하고 데이터에 대한 체크 섬(Checksum)(S750)을 수행 후 최종 데이터를 차후 재전송을 위해 Tx(transmitter) 큐(S755)에 저장 후 데이터를 송신(S760)한다.
여기서 체크 섬(S750)은 수신자가 같은 수의 비트가 도착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 단위 내의 비트 수를 세는 것이다. 만약 계산이 맞으면, 에러 없이 원만하게 수신된 것으로 간주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 계층 모두에서 체크섬 계산 및 검증 서비스가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송수신 메커니즘의 수신 처리 메커니즘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수신 시(S800) 이전에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 메시지일 경우(S805) Tx(Transmitter) 큐(Queue)에서 이전 해당 데이터를 삭제(S810)하고 수신한 데이터가 실제 데이터 메시지인 경우(S815), 송신 노드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 후(S820), 자체 Rx(Receiver) 큐(Queue)에서 이미 해당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비교한다(S825). 이때, MSG ID(S830), NS(S835), 머신 번호(Machine NO)(S840)가 모두 동일한 지를 판단하고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메시지를 버리고 이외의 경우에는 Rx(Receiver) 큐(Queue)에 수신 데이터를 저장한다(S845).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구비하고, 각 노드에서 머신 번호가 저장된 동일한 데이터를 이중화시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1 노드 계층;
    상기 이중화된 데이터를 제 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을 통해 분리 수신하도록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망에 연결되는 두 개의 노드를 구비하며, 두 노드에서 각각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2 노드 계층; 및
    이중화되어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두 노드를 통과한 데이터들을 하나의 노드에서 수신하도록 형성되고, 데이터들을 수신한 노드에서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과한 데이터의 머신 번호와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과한 데이터의 머신 번호를 비교하여 이미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3 노드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 계층은 발사 통제 콘솔 영역, 상기 제 2 노드 계층은 발사 제어 영역 그리고 상기 제 3 노드 계층은 유도탄 연동 장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이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 계층의 단일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로 부터 수신되고 자체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서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위치한 제 1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위치한 제 2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기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노드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 1 통신망이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1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에 있는 두 개의 허브 중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2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허브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이 제 3 노드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제 3 노드 계층에 전달될 경우, 제 3 노드 계층에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이중화는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두 개의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노드 계층과 상기 제 3 계층 노드 계층 간에 데이터 연결을 이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5.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구비하고, 각 노드에서 머신 번호가 저장된 동일한 데이터를 이중화시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1 노드 계층;
    상기 이중화된 데이터를 제 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을 통해 분리 수신하도록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망에 연결되는 두 개의 노드를 구비하며, 두 노드에서 각각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2 노드 계층;
    이중화되어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두 노드를 통과한 데이터들을 하나의 노드에서 수신하도록 형성되고, 데이터들을 수신한 노드에서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과한 데이터의 머신 번호와 상기 제 2 통신망를 통과한 데이터의 머신 번호를 비교하여 이미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3 노드 계층;
    상기 이중화된 제 2 노드 계층을 기준으로 통신망을 두 개의 망으로 분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분리된 두 개의 망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노드 계층과 상기 제 3 노드 계층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통신망의 구성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 1 노드 계층은 발사 통제 콘솔 영역, 상기 제 2 노드 계층은 발사 제어 영역 그리고 상기 제 3 노드 계층은 유도탄 연동 장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이중화는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두 개의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노드 계층과 상기 제 3 계층 노드 계층 간에 데이터 연결을 이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은 상기 제 1 노드 계층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는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송신 및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 계층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단일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에서 전송되고 자체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서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송신 및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위치한 제 1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통신망은 제 2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기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1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에 있는 두 개의 허브 중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2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허브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단에 전달될 경우 수신단에서 전송하는 ACK 메시지 수신여부에 따라 유효(Acknowledge) 필드를 헤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수신 시 소정의 시간 이전에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 메시지일 경우, Tx(Transmitter) 큐(Queue)에서 소정의 시간 이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실제 데이터 메시지일 경우 송신 노드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 후 Rx(Receiver) 큐(Queue)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이전에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장치.
  24. 제 1 노드 계층의 각 노드에서 머신 번호가 저장된 동일한 데이터를 이중화 시켜 전송하는 단계;
    제 2 노드 계층의 두 노드에서 각각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중화된 데이터를 분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두 노드에서 수신된 각각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제 3 노드 계층의 어느 한 노드에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두 노드를 통과한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들을 수신한 노드에서 상기 제 1 통신망을 통과한 데이터의 머신 번호와 상기 제 2 통신망을 통과한 데이터의 머신 번호를 비교하여 이미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서 상기 제 1 노드 계층은 발사 통제 콘솔 영역, 상기 제 2 노드 계층은 발사 제어 영역 그리고 상기 제 3 노드 계층은 유도탄 연동 장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 계층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중화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노드 계층의 단일 보드 컴퓨터(Single Board Computer; SBC)로부터 송신되고 자체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통해서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으로 분리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위치한 제 1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위치한 제 2 노드에 해당하는 수직 발사기 제어기 내부 허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노드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1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에 있는 두 개의 허브 중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통신망은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제 2 노드에서 광신호 분배 상자를 거쳐 상기 유도탄 연동 장치의 또 다른 허브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노드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노드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제 3 노드 계층에 전달될 경우, 제 3 노드 계층에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드 계층의 이중화는 상기 제 2 노드 계층에 두 개의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노드 계층과 상기 제 3 계층 노드 계층 간에 데이터 연결을 이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KR1020110113543A 2011-11-02 2011-11-02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KR10132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43A KR101327324B1 (ko) 2011-11-02 2011-11-02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43A KR101327324B1 (ko) 2011-11-02 2011-11-02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05A KR20130048605A (ko) 2013-05-10
KR101327324B1 true KR101327324B1 (ko) 2013-11-11

Family

ID=4865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543A KR101327324B1 (ko) 2011-11-02 2011-11-02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324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08 Vol.8 No.8 송대기 외 2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08 Vol.8 No.8 송대기 외 2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05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168B1 (ko) 물리적 단방향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2025474B (zh) 一种网络数据传输方法
US8332706B2 (en) Transport layer control device,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and method for receiving packet
CN101980468A (zh) 网络热备数据传输方法
US8024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high speed data transfers in a high assurance multiple level secure environment
KR102046792B1 (ko) 송신 노드로부터 목적지 노드로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5657646A (zh) 一种基于蓝牙4.0的设备间大数据通信方法
US87807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KR20140132063A (ko)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327324B1 (ko) 고장 허용 통신망을 위한 통신망 이중화 방법 및 장치
US20150333793A1 (en) Method for redundantly and securely transferring data from a data source to a data sink
US8185795B1 (en) Side channel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used with long-haul IP links
US9553691B2 (en) Unidirectional multicast system
KR100734247B1 (ko) 유디피를 이용한 에프티피 전송 방법
CN106603205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WO2023011712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direct memory access
KR101206145B1 (ko) 2개의 서브 계층을 사용하는 패킷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6182779B1 (ja) 転送装置、転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74332A (ja) マルチキャストパケット転送装置及びマルチキャストパケット転送方法、マルチキャスト配信システム
KR101051424B1 (ko) 이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패킷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20243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error rate of a serial/de-serial backplane connection
JP7102361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4544015B2 (ja) 二重系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
US10178440B2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16279704A (zh) 通信系统、通信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