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162B1 -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162B1
KR101327162B1 KR1020120015734A KR20120015734A KR101327162B1 KR 101327162 B1 KR101327162 B1 KR 101327162B1 KR 1020120015734 A KR1020120015734 A KR 1020120015734A KR 20120015734 A KR20120015734 A KR 20120015734A KR 101327162 B1 KR101327162 B1 KR 101327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b
drm
signal
software module
digita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445A (ko
Inventor
이민수
강민구
Original Assignee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9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03Software-defined radio [SDR] systems, i.e. systems wherein components typically implemented in hardware, e.g. filters or modulators/demodulators, are implented using software, e.g. by involving an AD or DA conversion stage such that at least part of the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digit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au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2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radio mondiale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AB(DAB+)/DRM(DRM+) 멀티모드 디지털라디오용 통합수신기 설계를 위해 베이스 밴드의 공용화된 수신 통합S/W의 설계를 통해 DAB(DAB+)와 DRM(DRM+) 신호를 구분하는 S/W 모듈을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신 통합 S/W모듈에서 수신되는 DAB(DAB+)와 DRM(DRM+)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베이스밴드 신호의 프레임(Frame)을 분석하는 방법과 DAB(DAB+)인 경우 FIG0/2의 ASCTy필드 값에 따라 DAB(DAB+) 서비스를 구분하는 방법 및 DRM(DRM+)의 FAC와 SDC 및 MSC를 복호 및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CRC 와 같은 공용 블럭을 통해 디지털 라디오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으로 유럽형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멀티 표준의 디지털 라디오를 지원하는 DAB(DAB+)/DRM(DRM+)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베이스 밴드를 통합할 수 있는 수신기의 공용화된 통합 S/W를 모듈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Design of SW Common Receiver for Multi-mode Digital Radios}
본 발명은 유럽형 멀티모드(DAB(DAB+)/DRM(DRM+)의 다중방식 통합형)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수신통합 소프트웨어 모듈 설계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가 전송받은 소정 베이스밴드 신호의 프레임(Frame)을 분석하여 DAB(DAB+)와 DRM(DRM+)으로 구분하고, 공통으로 사용되는 블록(오류정정 블럭인 CRC, Cyclic Redundancy Check 등)을 공용화한 뒤 DAB(DAB+)와 DRM(DRM+)의 각 시스템별로 복호(Decoding)를 수행함으로써 유럽형 디지털 라디오 방송 전환에 따른 기존의 아날로그 FM과 AM 라디오 수신기를 대체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럽형 멀티모드(DAB(DAB+)/DRM(DRM+)의 다중방식 통합형)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SW 공용화 모듈설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럽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AM 방송과 FM 방송에서 DAB(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및 DRM(DRM+, Digital Radio Mondial)의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 방송서비스가 진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현재에는 DAB(DAB+)/DRM(DRM+)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베이스 밴드의 공용화 설계(CRC등)를 통해 유럽형 디지털 라디오 방송 전환에 따른 기존의 아날로그 FM과 AM 라디오 수신기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DAB(DAB+)/DRM(DRM+)의 CRC 등 공통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프로세싱 통합형 S/W 설계를 통해 소형화와 저 전력화한 통합형 수신 S/W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가 전송받은 소정 베이스밴드 신호의 프레임(Frame)을 분석하여 DAB(DAB+)와 DRM(DRM+)으로 구분하고, 공통으로 사용되는 블록(CRC 등)을 공용화한 뒤 DAB(DAB+)와 DRM(DRM+)의 각 시스템별로 복호(Decoding)를 수행함으로써 유럽형 디지털 라디오 방송 전환에 따른 기존의 아날로그 FM과 AM 라디오 수신기를 대체할 수 있는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DAB(DAB+)/DRM(DRM+)의 CRC등 공통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프로세싱 수신 통합형 소프트웨어(S/W)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소형화와 저 전력화한 통합형 수신 S/W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RF와 베이스밴드로부터 소정신호를 입력받는 (A)단계;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A)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소정신호의 프레임(Frame)을 분석하여 DAB(DAB+) 신호인지 DRM(DRM+) 신호인지를 구분하는 (B)단계; 및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DAB(DAB+) 신호인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복호화를 실행하고, DRM(DRM+) 신호인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복호화를 실행하는 (C)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B)단계에서 입력된 신호가 DAB(DAB+)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DAB(DAB+) 신호를 FIC를 파싱하여 FIG0/2의 ASCTy(Audio Service Component Type)필드 값에 따라 DAB(DAB+) 서비스로 구분한 뒤 디코더를 통해 복호화하여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C)단계는,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B)단계에서 입력된 신호가 DRM(DRM+)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DRM(DRM+) 신호를 FAC와 SDC 및 MSC를 통해 복호화하여 DRM(DRM+) 오디오 스트림을 추출하고, 디코더를 통해 복호화하여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DAB(DAB+)/DRM(DRM+) 멀티모드 디지털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베이스 밴드의 공용화 설계(CRC등)를 통해 유럽형 디지털 라디오 방송 전환에 따른 기존의 아날로그 FM과 AM 라디오 수신기를 대체할 수 있는 DAB(DAB+)/DRM(DRM+)의 CRC등 공통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프로세싱 통합형 S/W 설계를 통해 소형화와 저 전력화한 통합형 수신 소프트웨어 플랫폼 설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멀티모드 디지털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수신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DAB(DAB+)와 DRM(DRM+) 프레임을 구분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DAB, DAB+, DRM, DRM+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에는 DAB, DRM, DRM+의 규격 비교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DAB, DRM, DRM+의 규격 비교를 통하여 공통 블럭(CRC 오류정정 등)을 도출하였다.
Figure 112012012453305-pat00001
그리고 [표 2]에는 DAB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도시하였다.
Figure 112012012453305-pat00002
유럽형 디지털라디오 표준은 1987년 차세대 디지털라디오 프로젝트 Eureka- 147(European resea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에서 시작되어 상용화 과정에서 DAB(DAB+)라 부르며, DRM(DRM+)은 2009년 유럽 표준기구인 ETSI (ETSI ES 201 980 v3.1.1)에서 승인된 디지털 라디오 기술로 9KHz, 10KHz전송 대역폭으로 하는 디지털 라디오 기술 표준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멀티모드 디지털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수신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DAB(DAB+)와 DRM(DRM+) 프레임을 구분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RF와 베이스밴드로부터 소정신호를 입력받는다(단계 S100).
이후,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단계 S100에 의해 입력받은 소정신호의 프레임(Frame)을 분석하여 DAB(DAB+) 신호인지 DRM(DRM+) 신호인지를 구분한다(단계 S110). 즉, 본 발명에 의한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은 RF와 베이스 밴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각 시스템의 선택에 따라 DAB(DAB+)프레임과 DRM(DRM+) 프레임을 구분하여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DAB(DAB+) 및 DRM(DRM+) 신호를 구분하는 이유는 각 시스템 별로 복호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단계 S110의 구분결과 DRM(DRM+)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DAB(DAB+) 신호를 FIC를 파싱하여 FIG0/2의 ASCTy(Audio Service Component Type)필드 값에 따라 DAB(DAB+) 서비스로 구분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의 FIC 분석결과, DAB+가 아닌 경우, 구분된 DAB 오디오(Audio) 스트림은 MPEG Layer-II 복호기(Decoder)에 의해 복호함으로써(단계 S150), 디지털 라디오의 오디오 리소스를 이용해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230).
한편, 단계 S120의 FIC 분석결과, DAB+ 오디오 스트림의 경우 RS(Reed-Solomon)부호화와 역 인터리빙(Deinterleaving)를 수행하고(단계 S160) MPEG-4 HE AAC v2 복호기에 의해 복호함으로써(단계 S180)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230).
그리고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단계 S110의 구분결과 DRM(DRM+)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DRM(DRM+) 신호를 FAC 분석을 하고(단계 S190), SDC 분석을 하며(단계 S200), 및 MSC를 통해 복호화하여 DRM(DRM+) 오디오 스트림을 추출하고, MPEG-4 AAC 복호기의 복호과정으로(단계 S220) DRM(DRM+)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단계 S2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AB(DAB+)/DRM(DRM+) 멀티모드 디지털라디오용 통합수신기 설계를 위해 베이스 밴드의 공용화된 수신 S/W에서 수신되는 DAB(DAB+)와 DRM(DRM+)신호를 구분하는 방법과 각 신호를 파싱(Parsing)하고 복호함으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작용으로는 RF수신 모듈의 H/W로부터 스트림 수신 후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의 응용 S/W가 DAB(DAB+)와 DRM(DRM+) 신호를 구분하는 각 시스템 별 S/W모듈과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CRC 와 같은 공용 블럭 부분(DAB 프레임, DRM 프레임), 각 시스템의 주파수 설정과 RF신호 상태 및 수신기의 스트림을 처리하는 상태표시 S/W모듈 부분, 각 시스템별로 파싱된 서비스의 목록을 보여주는 부분과 선택한 오디오 서비스에 대한 디지털 라디오의 오디오 플레이어(단계 S100 내지 단계 S250)위한 공통의 오류정정 방식인 CRC(단계 S140, S170, S210)등의 공통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프로세싱 통합형 S/W를 설계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RF와 베이스밴드로부터 소정신호를 입력받는 (A)단계;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A)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소정신호의 프레임(Frame)을 분석하여 DAB(DAB+) 신호인지 DRM(DRM+) 신호인지를 구분하는 (B)단계; 및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DAB(DAB+) 신호인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복호화를 실행하고, DRM(DRM+) 신호인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복호화를 실행하는 (C)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B)단계에서 입력된 신호가 DAB(DAB+)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DAB(DAB+) 신호를 FIC를 파싱하여 FIG0/2의 ASCTy(Audio Service Component Type)필드 값에 따라 DAB(DAB+) 서비스로 구분한 뒤 디코더를 통해 복호화하여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3.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RF와 베이스밴드로부터 소정신호를 입력받는 (A)단계;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A)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소정신호의 프레임(Frame)을 분석하여 DAB(DAB+) 신호인지 DRM(DRM+) 신호인지를 구분하는 (B)단계; 및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DAB(DAB+) 신호인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복호화를 실행하고, DRM(DRM+) 신호인 경우 기 설정된 방법으로 복호화를 실행하는 (C)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는 상기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B)단계에서 입력된 신호가 DRM(DRM+) 신호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DRM(DRM+) 신호를 FAC와 SDC 및 MSC를 통해 복호화하여 DRM(DRM+) 오디오 스트림을 추출하고, 디코더를 통해 복호화하여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20015734A 2011-02-16 2012-02-16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27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3538 2011-02-16
KR1020110013538 2011-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445A KR20120094445A (ko) 2012-08-24
KR101327162B1 true KR101327162B1 (ko) 2013-11-06

Family

ID=4688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734A KR101327162B1 (ko) 2011-02-16 2012-02-16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96B1 (ko) * 2012-12-27 2014-11-19 전자부품연구원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142650B1 (ko) * 2015-01-23 2020-08-07 전자부품연구원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 및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DE102015214079B4 (de) 2015-07-24 2023-11-02 Rfmondial Gmbh System und Verfahren zum Senden eines digitalen Radiosign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087A (ko) * 2004-07-02 2007-04-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아날로그 라디오 전송 시스템 내의, 대체 r 디지털 송신주파수와 관련한 부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843853B1 (ko) * 2006-06-07 2008-07-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독립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라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087A (ko) * 2004-07-02 2007-04-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아날로그 라디오 전송 시스템 내의, 대체 r 디지털 송신주파수와 관련한 부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843853B1 (ko) * 2006-06-07 2008-07-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독립 디지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라디오 방송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445A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39B1 (ko) 방송 수신기 및 디코딩 방법
US201401736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transmitting apparatus
KR101327162B1 (ko) 수신 통합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한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용 통합수신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WO2009017345A3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EP1879310A1 (en) Method for decoding a digital radio stream
KR101411078B1 (ko) 호스트 프로세서와 최소의 상호작용으로 하나 이상의 라디오 스테이션들을 탐색 또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스테이션들에 튜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56714B1 (ko)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rds)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CN103686011A (zh) 电视信号接收模块及接收方法
EP3001587B1 (en) Radio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reception broadcasting services
US11784736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system
KR101115267B1 (ko)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rds)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rds 그룹 타입 프로세싱 루틴을 다운로딩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800525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10608762B2 (en) Method for improving digital radio mondiale (DRM) acquisition time
KR102142650B1 (ko) 멀티모드 디지털 라디오 및 오디오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3731713A (zh) 电视信号接收系统及接收方法
US7760764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output time of broadcast content
US8826323B2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inor channels for digital televisions
US20130191133A1 (en) Apparatus for audio data processing and method therefor
KR10071025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의 립싱크 제어방법
KR20060101580A (ko) 외부기기를 이용한 디엠비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KR10070027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서의 비디오 수신속도개선 장치 및 그 방법
CN203675249U (zh) 电视信号接收系统
CN101052058B (zh) 一种移动多媒体节目的基带数字信号的处理方法
JP6504980B2 (ja) 電子装置、番組の切替えプログラムおよび切替え方法
Park et al. Implementation of a global mobile TV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