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886B1 - 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886B1
KR101326886B1 KR1020130071320A KR20130071320A KR101326886B1 KR 101326886 B1 KR101326886 B1 KR 101326886B1 KR 1020130071320 A KR1020130071320 A KR 1020130071320A KR 20130071320 A KR20130071320 A KR 20130071320A KR 101326886 B1 KR101326886 B1 KR 101326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mobile device
transparent plate
laminated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3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용승
Original Assignee
백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승 filed Critical 백용승
Priority to KR102013007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8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mobile device. The case for a mobile device comprises a transparent plate, a transparent laminating member smaller than the transparent plate and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an outer cover part covering the external side of the transparent plate. Accordingly, a mobile device is able to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outside, and a part of a display area i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device is able to be seen through the transparent laminating member and the transparent plate. The case for a mobile device provides the user convenience and an aesthetic sense.

Description

휴대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판과 투명적층부재가 서로 적층된 형태의 휴대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cas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cas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a transparent plate and a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are stacked on each other.

점차 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전자 부품들이 집적화, 소형화되어 개인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기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더형 휴대폰, 바형 휴대폰, 슬라이드형 휴대폰, MP3플레이어, CD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palm), 휴대용 소형 TV, 휴대용 게임기, 노트북 컴퓨터,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GPS수신기 등의 휴대기기가 그것이다.As technology progresses gradually,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tegrated and miniaturized, and a lot of small portable devices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individuals have been released. For example, clamshell cell phone, bar cell phone, slide cell phone, MP3 player, CD player,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alm), palm, portable small TV, portable game machine Portable devices such as notebook computers, electronic dictionaries, digital cameras, navigation, and GPS receivers.

최근에는 이러한 각 휴대기기의 기능을 합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휴대기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격이 상승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기기의 경우 디자인과 휴대 편의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는바,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하고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약한 재질의 하우징을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흠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smart pads, which combine the functions of each of these mobile devices, have been released, and prices have increased accordingly.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mobile device, the design and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are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terminal, a housing made of a weak material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외관을 적절히 꾸미기 위해 휴대기기의 하우징 외부에 견고한 별도의 휴대기기 케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기기와 외부의 하우징을 보호하고, 독특한 개성과 미감을 유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while solving this problem, in order to properly decorate the appearanc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y using a separate, rigid mobile cas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device,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and the external housing, unique personality and aesthetics The way of causing this is used.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심미감,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cas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provide aesthetics, ease of use to the user while protecting the mobile device from external shock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되 상기 투명판보다 크기가 작은 투명적층부재, 및 상기 투명판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plate, a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transparent plate, and an outer skin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

여기서, 상기 외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투명적층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Here,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outer ski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또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상기 투명판의 양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적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s may be laminated at respective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plate.

또한, 상기 투명판과 상기 투명적층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판과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접착하는 제1 투명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to bond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또한, 상기 제1 투명접착층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may be cured by ultraviolet rays.

또한, 상기 투명판은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plate may include polycarbonate (PC)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아크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may include acrylic.

또한, 상기 외피부는 상기 투명적층부재의 테두리를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kin portion may sur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또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상기 투명판에 적층되는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1 적층부재에 적층되는 제2 적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may include a first laminated member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plate, and a second laminated member laminated on the first laminated member.

또한, 상기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2 적층부재 중 어느 하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may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nd the other may include polycarbonate (PC).

또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상기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2 적층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2 적층부재를 접착하는 제2 투명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to adhere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또한, 상기 투명판에는 컬러가 들어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plate may contain a color.

또한, 휴대기기의 후면을 감싸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되, 상기 투명판, 상기 투명적층부재, 및 상기 외피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as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mobile device, and a hinge coupled to the first case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the second case including the transparent plat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and the outer skin portion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제2 케이스가 휴대기기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투명적층부재 및 상기 투명판을 통해 상기 휴대기기의 전면을 볼 수 있다.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ase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ay be viewed through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and the transparent plat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outer skin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은, 지그에 형성된 홈에 투명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투명판이 위치된 상기 지그 상면에 개구영역이 형성된 마스킹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투명판에 투명적층부재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부를 제거하고 상기 투명적층부재가 적층된 상기 투명판을 상기 지그로부터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device case, the method comprising: positioning a transparent plate in a groove formed in a jig, placing a masking part having an opening area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jig in which the transparent plate is positioned, Laminating a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on the transparent plate exposed through, and removing the masking portion and discharging the transparent plate on which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is laminated from the jig.

이때, 상기 마스킹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지그에 형성된 핀부를 상기 마스킹부의 홀부에 통과시켜 상기 마스킹부를 상기 지그에 얼라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ositioning of the masking part, the masking part may be aligned with the jig by passing the pin part formed in the jig through the hole part of the masking part.

또한,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투명판에 제1 투명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접착층 상에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투명판에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minating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may include forming a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on the transparent plat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rea, and placing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on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It may comprise the step of adhering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to.

또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1 적층부재에 적층되는 제2 적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may include a first laminated member and a second laminated member laminated on the first laminated member.

또한, 상기 투명판을 상기 지그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투명판을 감싸도록 외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discharging the transparent plate from the jig,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orming an outer skin to surround the transparent plat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휴대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휴대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 케이스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투명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는바 심미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mobile device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and a part of the display can be partially opened through the transparent area without opening the second cas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It can provide aesthetics and ease of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케이스의 투명영역을 이루는 투명판과 투명적층부재가 서로 적층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투명영역에 크랙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forming the transparent region of the second case are laminated with each other, the possibility of cracking in the transparent region may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가 장착된 휴대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2 케이스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휴대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제2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케이스의 변형예에 따른 제2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mobile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ase of the mobile device case shown in FIG. 1 is open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case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cas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case shown in FIG. 3.
5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devic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가 장착된 휴대기기(4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기기 케이스(10)의 제2 케이스(20)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휴대기기(40)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40 equipped with a mobile device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ond case 20 of the mobile device case 10 shown i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device 40 showing the open state. Hereinafter, the mobile devic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는 휴대기기(40)의 후면을 감싸는 제1 케이스(30), 및 휴대기기(40)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mobile devic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ns and closes the first case 30 surrounding the rear of the mobile device 40, and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40. It may include a second case 20.

제1 케이스(30)는 휴대기기(40)의 후면을 감싸는 부재로서, 휴대기기(40)의 후면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케이스(30)가 휴대기기(40)의 후면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기기(40)의 후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커버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ase 30 is a member surround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40, and may protect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40 from external shock. 1 and 2, the first case 30 is shown to be located only on the rear of the mobile device 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overs not only the rear of the mobile device 40 but also the side surface. Can be fixed.

제2 케이스(20)는 휴대기기(40)의 전면을 개폐하는 부재로서, 제1 케이스(30)에 대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케이스(20)는 연결부(50)를 통하여 제1 케이스(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50)의 절곡과 펴짐에 따라 제1 케이스(30)에 대하여 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기기(40)를 사용할 때 제2 케이스(20)를 도 2와 같이 개방하여 휴대기기(40)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완료되면 도 1과 같이 제2 케이스(20)를 폐쇄하여 휴대기기(40)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연결부(50)가 휴대기기(40)의 장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50)가 휴대기기(40)의 단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second case 20 is a membe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40, and may be hinged to the first case 30. In this case, the second case 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ase 3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0, and may be hin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30 as the connecting portion 50 is bent and extended. 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device 40, the user can open the second case 20 as shown in FIG. 2 to view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40. In addition, when the use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case 20 may be closed to protect the front of the portable device 40. 1 and 2 illustrate that the connection part 50 is located at the long side of the mobile device 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part 50 is located at the short side of the mobile device 40. It would also be possible.

한편, 제2 케이스(20)에는 투명영역(21)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케이스(2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휴대기기(40)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이때, 제2 케이스(20)와 휴대기기(40) 중 어느 하나에 홀센서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자석을 설치함으로써, 홀센서가 감지한 신호에 따라 휴대기기(40)의 제어부는 휴대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2 케이스(20)를 폐쇄했을 때와 개방했을 때 휴대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케이스(20)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일반적인 화면이 표시되고,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투명영역(21)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시계가 표시되거나, 전화가 오는 사람의 번호 등이 표시되는 등 제2 케이스(20)가 개방되어 있을 때와는 다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parent area 21 may exist in the second case 20, so that the user can see a partial area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40 even when the second case 20 is closed. At this time, by installing a hall sensor in one of the second case 20 and the portable device 40 and a magnet in the other,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device 40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hall sensor is a portable device (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40) can be changed. That is, when the second case 20 is closed and opened, the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4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ase 20 is open, a general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second case 20 is opened, such as when a clock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that can be observed through the transparent area 21 or when the phone number is displayed, the door is closed. Another screen may be displayed.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제2 케이스(2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ase 20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 Hereinafter, the mobile devic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i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 중 휴대기기(40)의 전면을 개폐하는 제2 케이스(20)는 투명판(110), 투명판(110)에 적층되는 투명적층부재(120), 및 투명판(110)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투명적층부재(120)가 적층된 투명판(110)에는 외피부(140)가 감싸지지 않으므로 투명영역(21)을 이룰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ase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40 among the mobile device case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the transparent plate 110. It may include a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and an outer shell portion 14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the outer shell portion 140 is a transparent plate 110,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laminated Since it is not wrapped, the transparent area 21 can be formed.

투명판(110)은 제2 케이스(20)의 베이스가 되는 부재로서 투명한 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plate 110 may be implemented in a transparent plate shape as a member serving as a base of the second case 20.

여기서, 투명판(110)은 투명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명판(110)에는 예를 들어 노란색, 빨간색과 같은 컬러가 들어갈 수 있으며, 컬러가 들어가더라도 투명판(110)을 통해 휴대기기(40)의 디스플레이를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transparent plate 110 may include a polycarbonate (PC;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hat can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late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lor such as yellow and red, and may have transparency enough to observe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40 through the transparent plate 110 even if the color enters. Can be.

한편, 투명판(110)은 베이스가 되는 부재로서 어느 정도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투명판(110)은 뼈대를 이루는 부분인바, 대략 제2 케이스(2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parent plate 110 may have a thickness of, for example, 1mm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as a base member.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late 110 is a portion forming a skeleton, and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case 20.

투명적층부재(120)는 투명판(110)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는 부재로서 투명한 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implemented in a transparent plate shape as a memb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여기서, 투명적층부재(120)는 투명판(110)보다 사이즈가 작을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 케이스(20)의 투명영역(21)에 대응되는 크기 또는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적층부재(120)는 투명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이때, 투명적층부재(120)가 투명판(110)의 양면에 각각 적층되는 경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적층될 수 있으며, 투명적층부재(120)가 적층된 투명판(110)의 영역은 제2 케이스(20)의 투명영역(21)을 이룰 수 있다.Her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smaller in size than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r a little larger than that of the transparent region 21 of the second case 20. In additio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lamin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At this time, whe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may be stack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area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on which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laminated is a second The transparent area 21 of the case 20 may be formed.

한편, 투명적층부재(120)는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린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투명판(110)과는 다른 물성을 갖되, 투명하면서도 강성이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Acry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명적층부재(120)는 투명판(110)의 약 1/5~1/4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투명판(110)이 1mm의 두께를 가질 때 투명적층부재(120)는 0.2~0.2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투명적층부재(120)의 노출된 표면에는 예를 들어, 방현층(AG; Anti-glare)나 하드코팅층과 같은 기능성층이 더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스크래치로부터 투명적층부재(120) 및 투명판(110)을 보호하고, 보다 선명하게 사용자가 투명영역(21)을 통하여 휴대기기(40)의 디스플레이 일부를 관찰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has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at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including polycarbonate (PC) or 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but is transparent and has good rigidity. Acryl)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5 ~ 1/4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for example, when the transparent plate 110 has a thickness of 1mm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 May have a thickness of 0.2 ~ 0.25 mm. In addition, a functional layer such as, for example, an anti-glare (AG) or a hard coating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to prevent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and the external impact or scratch. The transparent plate 110 may be protected, and the user may observe a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40 through the transparent area 21 more clearly.

또한, 투명판(110)과 투명적층부재(120)는 제1 투명접착층(130)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투명접착층(130)은 투명판(110)과 투명적층부재(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UV 글루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투명접착층(130)도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투명판(110), 제1 투명접착층(130), 투명적층부재(120)을 차례로 포함하는 제2 케이스(20)의 투명영역(21)을 통해 휴대기기(40)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단, 투명판(110)과 투명적층부재(120)의 결합 방식은 반드시 제1 투명접착층(130)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열접합 등 공지된 여러 방법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bonded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In this case,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for example, UV glue cured by ultraviolet light may be used. Since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is also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transparent region of the second case 20 in which the user sequentially includes the transparent plate 110,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Through 21, a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40 may be viewed.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thermal bonding.

상기와 같이 투명영역(21)을 하나의 부재를 절단 가공하여 제조하지 않고 적층 방식으로 제조하는바, 절단 가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투명판(110)이나 투명적층부재(120)의 크랙 발생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parent region 21 is manufactured by a lamination method without cutting and manufacturing a single member, and thus a crack occurrence phenomenon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or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occur when the cutting process is performed. Can be removed

외피부(140)는 투명판(110)의 외면을 감싸는 부재로서 투명판(1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outer skin 140 may be a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to prevent the transparent plate 11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여기서, 외피부(140)는 투명판(110)의 외면을 감싸고, 더 나아가 투명적층부재(120)의 테두리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투명적층부재(120)의 테두리를 제외한 적어도 일부 영역은 외피부(140)의 개구부(14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명적층부재(120) 및 투명판(110)을 포함하는 투명영역(21)을 통해 디스플레이 일부를 볼 수 있고,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성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outer skin 140 ma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may further cover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Therefore, at least some regions except for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41 of the outer skin portion 140, and thus the user may transparently expos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and the transparent plate 110. A portion of the display can be viewed through the transparent area 21 including), and can provide convenience and aesthetics to the user.

한편, 외피부(140)는 제2 케이스(20)의 외관이 되는 부분이므로 상대적으로 충격에 강하고 디자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성형성이 좋은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나 가죽, 또는 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케이스(20)의 외피부(140)는 제1 케이스(30), 연결부(50)의 외피부와 동일한 물질로 일체로 또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uter skin portion 140 is a part that becomes the appearance of the second case 20, a material having good moldability may be used so as to be relatively impact resistant and to facilitate the design, for example, synthetic resin or leather, or It may be made of cloth. In addition, the outer skin 140 of the second case 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kin of the first case 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 integrally or independently.

또한, 외피부(140)는 다양한 컬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앞서 살핀 바와 같은 투명판(110)에 들어가는 컬러와 톤이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다. 단, 외피부(140)가 투명판(110)과 같이 컬러가 들어가더라도 투명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며, 불투명해도 무관하고 유사한 톤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outer skin 140 may be made of various colors, so that the color and ton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such as salping, may be similarly made, thereby inducing aesthetic aesthetics. However, the outer skin 140 does not have to be transparent even if the color enters like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it may be preferable if it is made of a similar tone regardless of opacity.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케이스(20)의 변형예에 따른 제2 케이스(2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케이스(2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ase 20 ′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case 20 shown in FIG. 3. Hereinafter, the second case 2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Here,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적층부재(120)는 제1 적층부재(121)와 제2 적층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aminated member 121 and a second laminated member 122.

제1 적층부재(121)는 투명판(110)에 적층되고 제2 적층부재(122)는 제1 적층부재(121)에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적층부재(121)는 투명판(110)과의 사이에 개재된 제1 투명접착층(130)을 통해 투명판(110)에 접착되고, 제2 적층부재(122)는 제1 적층부재(121)와의 사이에 개지된 제2 투명접착층(123)을 통해 제1 적층부재(121)에 접착될 수 있다.The first stacking member 121 may be stacked on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122 may be stacked on the first stacking member 121. At this time,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is bonded to the transparent plate 110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110, the second laminated member 122 is the first laminated It may be adhered to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123 interposed between the member 121.

여기서, 제1 적층부재(121)와 제2 적층부재(122)는 서로 보완할 수 있도록 물성이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어느 하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명적층부재(120)가 두 개 내지는 세 개의 층으로 나뉘어지는바 각 층의 두께는 얇아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투명판(110)의 두께가 1mm일 때 제1 적층부재(121)와 제2 적층부재(122)의 두께는 각각 0.1~0.125m를 이루어 적층되었을 때 투명적층부재(120)가 0.2~0.25mm의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12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to complement each other, for example, one of th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It may include acrylic, such as and the other may include polycarbonate (PC). At this tim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divided into two or three layers, the thickness of each layer can be thin,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is 1mm,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minated member 122 may be made of 0.1 ~ 0.125m respectively whe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have a thickness of 0.2 ~ 0.25mm.

이와 같이 투명적층부재(120)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굴곡에 대해서도 크랙이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강도가 향상된 제2 케이스(20')의 투명영역(21)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possibility of cracking may be reduced even when bending. Thus, the transparent region 21 of the second case 20 ′ having improved strength may be reduced. Can provide.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1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5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device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obile device cas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211)이 형성된 지그(210)를 준비하고, 지그(210)의 홈(211)에 투명판(110)을 위치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jig 210 in which the groove 211 is formed is prepared, and the transparent plate 110 is positioned in the groove 211 of the jig 210.

이때, 홈(211)은 지그(210)의 상면에 대하여 움푹 함몰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홈(211)에는 투명판(110)이 위치되는바 투명판(110)이 홈(211)에 위치된 후 이동되지 않도록 홈(211)은 투명판(11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ove 211 may be embodied in a recessed shap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ig 210, the transparent plate 110 is located in the groove 211 bar transparent plate 110 in the groove 211 The groove 211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late 110 so as not to move after being positioned.

또한, 지그(210)에는 상면에 대하여 돌출된 형상의 핀부(2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핀부(212)는 한 쌍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jig 210 may be provided with a pin portion 21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he pin portion 212 may be implemented in a pair.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판(110)이 위치된 지그(210)에 마스킹부(220)를 위치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masking unit 220 is positioned on the jig 210 in which the transparent plate 110 is located.

이때, 마스킹부(220)에는 홀부(2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홀부(222)에 지그(210)의 핀부(212)를 통과시켜 마스킹부(220)를 지그(210)에 대하여 얼라인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킹부(220)는 예를 들어 테이프와 같은 접착력이 있는 부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스킹부(220)를 위치시킨 후 마스킹부(220)가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sking part 220 may be provided with a hole part 222, and the mask part 220 may b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jig 210 by passing the pin part 212 of the jig 210 through the hole part 222. Can be. In addition, the masking unit 220 may be implemented as a member having an adhesive force such as, for example, a tape, so that the masking unit 220 may not be moved after positioning the masking unit 220.

한편, 마스킹부(220)에는 개구영역(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영역(221)을 통해 투명판(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Meanwhile, an opening region 221 may be formed in the masking unit 220, and a part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region 221.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킹부(220)의 개구영역(221)에 의해 노출된 투명판(110) 상에 차례로 제1 투명접착층(130)과 투명적층부재(120)를 적층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transparent plate 110 exposed by the opening region 221 of the masking unit 220. Can be laminated.

이때, 투명적층부재(120)는 제1 투명접착층(130)에 의해 투명판(110) 상에 접착될 수 있으며, 투명적층부재(120)는 마스킹부(220)의 개구영역(221)에 대응되는 크기 또는 약간 작은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투명접착층(13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투명적층부재(120)의 적층 후 자외선을 조사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투명접착층(130)은 경화 전에 액상에 가까울 수 있어 오버플로우가 일어날 수 있는바, 투명적층부재(120)를 적층하는 전후에 오버플로우된 제1 투명접착층(130)을 흡착포로 적절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adhered to the transparent plate 110 by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correspond to the opening region 221 of the masking unit 220. Can be implemented in a slightly smaller siz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cured by ultraviolet rays,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after the lamination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may be close to the liquid phase before curing, an overflow may occur, and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that overflows before and after stacking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suitably used as an absorbent cloth. It is desirable to remove.

한편, 투명적층부재(120)는 도 3과 같이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적층부재(121)와 제2 적층부재(122)가 적층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투명적층부재(120)로서 이미 제1 적층부재(121)와 제2 적층부재(122)가 적층된 상태인 완성품을 제1 투명접착층(130)을 통해 투명판(110)에 접착시킬 수도 있고, 또는 제1 투명접착층(130) 상에 제1 적층부재(121)를 접착시키고 제1 적층부재(121) 상에 제2 투명접착층(123)을 위치시키며 제2 투명접착층(123) 상에 제2 적층부재(122)를 접착시킨 후 제1 투명접착층(130)과 제2 투명접착층(123)을 동시에 경화하여 상호 부재를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Meanwhil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member as shown in FIG. 3, but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122 are stacked as shown in FIG. 4. It may be. At this time, the finished product in which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122 are already stacked as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adhered to the transparent plate 110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Alternatively, or bonding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on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and placing the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123 on the first laminated member 121 and on the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123. After adhering the second laminated member 122, it may be possible to simultaneously cure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and the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123 to bond the mutual members.

다음,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킹부(220)를 제거하고 투명적층부재(120)가 적층된 투명판(110)을 지그(21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masking unit 220 may be removed and the transparent plate 110 on which the transparent stacking member 120 is stacked may be discharged from the jig 210.

이때, 투명적층부재(120)를 투명판(110)의 양면에 형성하려는 경우에는 투명적층부재(120)가 지그(210)의 홈(211)에 맞닿도록 투명판(110)을 반대 방향으로 뒤집어 지그(210)의 홈(211)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공정을 재현하여 투명판(110)의 다른 면에도 투명적층부재(120)를 적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서 마스킹부(220)의 제거 전에 제1 투명접착층(130) 또는 제2 투명접착층(123)을 경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마스킹부(220)의 제거 후에 경화하여도 무관하다 할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to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is turned upside down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contacts the groove 211 of the jig 210. After placing the groove 211 of the jig 210, the process may be reproduced to stack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hardening of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or the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123 before the masking unit 220 is removed, but may be cured after removal of the masking unit 220.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투명접착층(130)은 오버플로우될 수 있고, 오버플로우된 제1 투명접착층(130)이 적절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 투명판(110) 또는 투명적층부재(120)의 외관이 지저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적층부재(120)를 실제 설계한 크기보다 크게 만든 후 CNC와 같은 절단공정을 통해 테두리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오버플로우된 제1 투명접착층(130)까지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투명판(110) 및 투명적층부재(120)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투명접착층(130)의 위치가 다소 틀어지더라도 CNC 가공에 의해 테두리 영역을 제거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제1 투명접착층(130)의 위치설정이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may overflow, and when the overflowed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is not properly removed, the appearanc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or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This can be mess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may be made larger than the actual designed size and then removed to the overflowed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by removing the edge region through a cutting process such as CNC. The appearance of the transparent plate 110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0 can be kept clean. Moreover,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is slightly displaced, since the edge region is removed by CNC machining, more accurate positioning of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can be realized.

다음, 배출된 투명판(110)을 감싸도록 외피부(140)를 형성하여 제2 케이스(20)를 제조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case 20 may be manufactured by forming the outer skin part 140 to surround the discharged transparent plate 110.

이때, 외피부(140)는 제2 케이스(20)뿐 아니라 제1 케이스(30)와 연결부(50)의 외피부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케이스(30) 및 제2 케이스(20)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10)를 제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er skin 14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kin of the first case 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 as well as the second case 20, accordingly, the first case 30 and the second case A mobile device case 10 including 20 can be manufactur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mobile device cas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휴대기기 케이스 20 : 제2 케이스
21 : 투명영역 30 : 제1 케이스
110 : 투명판 120 : 투명적층부재
121 : 제1 적층부재 122 : 제2 적층부재
123 : 제2 투명접착층 130 : 제1 투명접착층
140 : 외피부 210 : 지그
220 : 마스킹부
10: mobile device case 20: second case
21: transparent area 30: the first case
110: transparent plate 120: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121: first laminated member 122: second laminated member
123: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130: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140: outer skin 210: jig
220: masking part

Claims (19)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되 상기 투명판보다 크기가 작은 투명적층부재; 및
상기 투명판의 외면을 감싸는 외피부;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ransparent plate;
A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and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transparent plate; And
An outer ski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plate;
Mobile device cas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투명적층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n opening is formed in the outer ski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상기 투명판의 양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is a mobile device case, characterized in that laminated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transparent plat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과 상기 투명적층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판과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접착하는 제1 투명접착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to bond the transparent plate and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Mobile device case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접착층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is a mobile devic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ured by ultraviolet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arent plate is a mobile device case comprising a polycarbonate (PC)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is a mobile devic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ing acryl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는 상기 투명적층부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hell part is a mobile device case, characterized in that surrounding the edge of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상기 투명판에 적층되는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1 적층부재에 적층되는 제2 적층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A first stacking member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plate; And
A second stacking member stacked on the first stacking member;
Mobile device case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2 적층부재 중 어느 하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폴리카보네이트(P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obile device cas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comprises a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nd the other comprises a polycarbonate (PC).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상기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2 적층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2 적층부재를 접착하는 제2 투명접착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A second transparent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to bond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to each other;
Mobile device cas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에는 컬러가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Mobile devic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plate is filled with color.
제2항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후면을 감싸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전면을 개폐하되, 상기 투명판, 상기 투명적층부재, 및 상기 외피부를 포함하는 제2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cas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mobile device; And
A second case hinged to the first case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the second case including the transparent plate,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and the outer skin part;
Mobile device case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가 휴대기기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외피부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투명적층부재 및 상기 투명판을 통해 상기 휴대기기의 전면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3,
A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can be seen through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and the transparent plat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outer shell portion in a state that the second case closed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case.
지그에 형성된 홈에 투명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투명판이 위치된 상기 지그 상면에 개구영역이 형성된 마스킹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투명판에 투명적층부재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킹부를 제거하고 상기 투명적층부재가 적층된 상기 투명판을 상기 지그로부터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Positioning a transparent plate in a groove formed in the jig;
Positioning a masking part in which an opening area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jig in which the transparent plate is located;
Stacking a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on the transparent plat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region; And
Removing the masking part and discharging the transparent plate on which the transparent lamination member is stacked from the jig;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device case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지그에 형성된 핀부를 상기 마스킹부의 홀부에 통과시켜 상기 마스킹부를 상기 지그에 얼라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In positioning the masking unit,
And a pin part formed in the jig to pass through the hole of the masking part to align the masking part with the ji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투명판에 제1 투명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투명접착층 상에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투명판에 상기 투명적층부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Laminating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Forming a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on the transparent plat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region; And
Bonding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to the transparent plate by placing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on the first transparent adhesive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device case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적층부재는,
제1 적층부재; 및
상기 제1 적층부재에 적층되는 제2 적층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ransparent laminated member,
First laminated member; And
A second stacking member stacked on the first stacking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device case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을 상기 지그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투명판을 감싸도록 외피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fter discharging the transparent plate from the jig,
Forming an outer skin portion to surround the transparent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a mobile device case further comprising a.
KR1020130071320A 2013-06-21 2013-06-21 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26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20A KR101326886B1 (en) 2013-06-21 2013-06-21 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320A KR101326886B1 (en) 2013-06-21 2013-06-21 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886B1 true KR101326886B1 (en) 2013-11-11

Family

ID=4985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320A KR101326886B1 (en) 2013-06-21 2013-06-21 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88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454Y1 (en) 2005-02-18 2005-06-17 오성택 Mirror plate for protecting lcd of cellular phone
KR20120005719U (en) * 2012-06-25 2012-08-08 임동춘 Case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454Y1 (en) 2005-02-18 2005-06-17 오성택 Mirror plate for protecting lcd of cellular phone
KR20120005719U (en) * 2012-06-25 2012-08-08 임동춘 Case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230B2 (en) Offset control for assembling an electronic device housing
EP3012708B1 (en)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36596A (en) Case for mobile device
US20160157573A1 (en)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20101175A (en) Foldable case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US10206490B2 (en) Accessory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X2012008888A (en) Handheld device enclosure.
CN105518523B (en) light source window paint
KR101282081B1 (en) Cover accessory for mobil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326886B1 (en) Case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1511639A (en) Cover, electronic device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031552B2 (en) Display cover panel with insert molding
KR20130048591A (en) Protecting cover for mobile terminal
CN209980216U (en) Display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KR101266879B1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KR20120004714U (en) Case of portable device
KR101377472B1 (en) Viewing window pannel of flip cover for movile ph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M637174U (en) Magnetic attraction structure of back film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140024752A (en) Portable terminal
KR101628536B1 (en) Protective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20002991U (en) Structure of multilayered liquid crystal protective film
KR20140000113U (en) Film Assembly For Protecting Display Panel Of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