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14B1 - 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714B1
KR101326714B1 KR1020127012406A KR20127012406A KR101326714B1 KR 101326714 B1 KR101326714 B1 KR 101326714B1 KR 1020127012406 A KR1020127012406 A KR 1020127012406A KR 20127012406 A KR20127012406 A KR 20127012406A KR 101326714 B1 KR101326714 B1 KR 10132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tand
shift
delete dele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8037A (en
Inventor
타다시 콘도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49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1113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4971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1114B2/en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7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됨으로써 전동 기구(7)가 왼쪽 차륜(4L) 및 오른쪽 차륜(4R)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함과 함께,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전동 기구(7)가 식부 장치(5)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조작축(411)과,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 조작축(411)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는 주행 변속 레버(437)와,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 조작축(411)을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하는 주간 변속 레버(435)를 구비하였다.The transmission mechanism 7 changes the speed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left wheel 4L and the right wheel 4R by sli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rotates around the axis to rotate the rotation mechanism around the planting device ( 5) a shift shifting shaft 411 for shifting the shift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to 5) and a traveling shift lever 437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operator touches the plant during the planting operation and sliding the shift shifting shaft 411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weekly shift lever 435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out of reach of an operator in planting work and which rotates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round the axis.

Description

보행형 이앙기{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보행형 이앙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보행형 이앙기의 주행 속도의 변경 및 주간(株間)의 변경을 각각 별개의 조작구(操作具)로 바꾸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of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hanging the change in the traveling speed and the change in the daytim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into separate operating tools.

종래,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하여 차륜(車輪)에 전달하는, 즉 주행 속도를 변경함과 함께,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하여 식부(植付) 장치에 전달하는, 즉 주간을 변경하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가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a transmission mechanism for shif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and transmitting it to the wheels, that is,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and shif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to the planting device, that is, changing the daytime, is provided. A walking rice transplanter is known.

이와 같은 보행형 이앙기의 일 예로서는, 주로 미션 케이스에 수용되는 전달 기구와, 미션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변속축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2개의 변속축 중, 한쪽의 변속축을 조작함으로써 주행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쪽의 변속축을 조작함으로써 주간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One example of such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includes a transmission mechanism accommodated mainly in a mission case and two transmission shafts protruding from the mission ca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raveling speed by operating one of the two transmission shafts,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aytime by operating the other transmission shaft.

이와 같은 보행형 이앙기는, 변속축과 미션 케이스의 슬라이딩부에 진흙이나 먼지 등이 끼어들어 가는 것에 의한 오일 누출의 발생이나, 슬라이딩부로부터 미션 케이스 내부로의 진흙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다.Such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s ne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il leakage due to the ingress of mud or dust into the sliding portion of the shift shaft and the mission case, and the intrusion of mud or dust from the sliding portion into the mission case. There was.

보행형 이앙기의 다른 일 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is known.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는, 미션 케이스로부터 돌출되고,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되면 주행 속도를 변경함과 함께, 축선 주위로 회동(回動) 조작되면 주간을 변경하는 변속축과,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축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는 주행 조작구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축을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하는 주간 조작구를 구비하는 것이다.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protrudes from a mission case, changes the running speed when it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hift shaft which changes a day when it rotates around an axis, and is working It is provided with the traveling operation tool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in a position which can be operated from an operator, and slides a transmission shaft in an axial direction, and the weekly operation tool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an be operated by an operator in operation, and rotates a transmission shaft around an axis.

이와 같이, 미션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변속축을 1개로 함으로써, 변속축과 미션 케이스의 슬라이딩부에 진흙이나 먼지 등이 끼어들어 갈 가능성을 줄여서, 오일 누출의 발생이나, 미션 케이스 내부로의 진흙이나 먼지 등의 침입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one shifting shaft that protrudes from the mission case, the possibility of mud and dust getting into the shifting shaft and the sliding part of the mission case is reduced, so that an oil leak occurs, mud, dust, etc. into the inside of the mission case. Intrusion suppression can be aimed at.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의 경우, 변속축을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작구와 주간 조작구의 2개의 조작구가 작업자의 주변에 배치되기 때문에, 모(苗)의 식부 작업을 한창 진행하고 있는 도중에, 작업자는 목적에 따라 2개의 조작구 중 어느 조작구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지를 판단하고, 선택한 한쪽의 조작구를 잡고 조작할 필요가 있거나, 조작구를 오조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작이 번잡(煩雜)하여 작업성이 악화된다는 점에서 불리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since two operation tools for driving the shifting shaft and a weekly operation tool are arranged around the operator, the mother planting work is in full swing. The operator may decide which of the two operating tools should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operator needs to hold the selected operating tool and operate it, or the operation tool may be misoperated. It was disadvantageous in that it was troublesome and worsened workability.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가 가지는 과제를 해결하는 보행형 이앙기의 다른 일 예로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Moreover, as another exampl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solves the subject which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of patent document 1 has,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2 is known.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는, 상하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주행 속도를 변경함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주간을 변경하는 1개의 변속 조작구를 구비하는 것이다.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of patent document 2 is equipped with one shift operation tool which changes a daytime by operating in a left-right direction while changing a running speed by operating in an up-down direction.

이와 같이, 1개의 변속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주행 속도의 변경과 주간의 변경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작구의 수를 삭감하여 조작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veling speed can be changed and the weekly can be changed by operating one shift operation tool, the number of operation tools arranged around the operator can be reduced,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의 경우, 1개의 변속 조작구로 주행 속도의 변경과 주간의 변경을 하기 때문에, 변속 조작구의 조작 방법이 복잡해져서 작업성이 악화된다는 점에서 불리하였다. 특히, 한 포장(圃場)(논)에서의 모의 식부 작업에 있어서, 작업 도중에 주행 속도의 변경을 하는 일은 자주 있어도, 작업 도중에 주간의 변경을 하는 일은 거의 없다. 즉, 작업 도중에 주간 변경을 하는 일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주변에서 주간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변속 조작구의 조작 방법이 필요 이상으로 복잡해져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식부 작업 도중에 회행(回行)하거나 모 보급을 할 때에 주행 속도의 변경 및 주간의 변경을 한 경우에, 작업자가 변경 전의 주간을 잊는 일이 있어서, 동일한 포장에서의 작업 도중에 주간이 변경될 우려도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since the change of a traveling speed and the change of a day are performed with one shift control tool, the operation method of a shift control tool becomes complicated and workability deteriorates. In particular, in the simulated planting work in a pavement, although the driving speed is often changed in the middle of the work, the weekly change is rarely performed in the middle of the work. That is, even though the weekly change is not made during the work, the weekly change is possible around the work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hift operation tool is more complicated than necessary. In addition, when the traveling speed is changed during the planting work or the mother's food is supplied, the operator may forget the week before the change, and the day may be changed during the work on the same pavement. There was also concern.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9-8131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9-81310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21464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214649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속도의 변경과 주간의 변경을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보행형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capable of easily and accurately changing the running speed and changing the daytim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어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will be described.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식부 장치와,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함과 함께, 차륜 및 식부 장치에 전달하는 전동(傳動) 기구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로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됨으로써 전동 기구가 차륜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함과 함께,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전동 기구가 식부 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조작축과,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 조작축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는 제1 조작구와,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 조작축을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하는 제2 조작구를 구비하는 것이다.That is, in this invention, it is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the planting apparatus which transplants a grain in a pavement,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which transmits the power transmitted from an engine, and transmits to a wheel and a planting apparatus, and is an axial direction. The shift operation shaft which changes the transmission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power mechanism to the wheel by sliding operation, and the transmission operation shaft which changes the transmission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electric mechanism to the planting device by rotating around the axis, and hands from the worker in planting operation And a first operating tool for sliding the shifting operation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operating tool for rotating the shifting operation shaft around the axis, the first operating tool being disposed at the touching position and being out of reach of the worker in planting operation. It is.

본 발명에 있어서, 변속 조작축에 연동하여, 변속 조작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축선 주위로 회동하는 지시 부재와, 지시 부재의 위치에 근거하여 전동 기구가 차륜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 및 전동 기구가 식부 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표시하는 표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change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power mechanism to the whee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struction member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or rotating around the axis, in conjunction with the shift operation shaft, and the transmission It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member which displays the gear ratio of the power which a mechanism transmits to a planting apparatus.

본 발명에서는 주행 속도의 변경과 주간의 변경을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change the running speed and the change of the day, and thus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좌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우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기체(機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전동 기구를 나타내는 스켈리턴 다이어그램 (skeleton diagram)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미션 케이스를 나타내는 전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센터 플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왼쪽 사이드 플로트 및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피칭 제어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펌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피칭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피칭 실린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스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주(主)클러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주클러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주클러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맞물림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맞물림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주클러치가 ‘ON’으로 되어 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와이어 부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주클러치가 ‘OFF’로 되어 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와이어 부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조작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변속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변속 기구를 나타내는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변속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변속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변속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의 변속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left front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right rear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left side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of one embodiment of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keleton diagram which shows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n expanded 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mission case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enter float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left side float and the right side float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pump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pitching sensor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pitching cylinder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wing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nd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ain clutch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 is a left side view which shows the main clutch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b)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main clutch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o be.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operation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 is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ngaging member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b)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engaging member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o be.
It is a left side view which shows the wire member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when the main clutch is set to "ON".
It is a left side view which shows the wire member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when the main clutch is set to "OFF."
It is a left side view which shows 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24 is a left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ansmission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lan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ransmission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peed change control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t is a left side view which shows the transmission operation mechanism of one Embodiment of the walk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의 일 형태인 보행형 이앙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hole structur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보행형 이앙기(1)는 이른바 4조 심기의 보행형 이앙기이다. 도 1 내지 도 7, 도 10, 도 15, 도 16, 도 23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행형 이앙기(1)는 주로 기체(2)(도 5 참조), 엔진(3), 왼쪽 차륜(4L), 오른쪽 차륜(4R), 식부 장치(5)(도 6 및 도 7 참조), 모 공급 장치(6), 전동 기구(7)(도 6 및 도 7 참조), 센터 플로트(10C),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 피칭 제어 기구(11)(도 10 참조), 스탠드(15)(도 15 참조), 주클러치(16)(도 16 참조), 조작부(17), 변속 기구(12)(도 23 참조) 및 변속 조작 기구(13)(도 26 참조)를 구비한다.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of what is called 4 sets planting. As shown in FIGS. 1-7, 10, 15, 16, 23, and 26,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mainly comprises the body 2 (refer FIG. 5), the engine 3, the left wheel. 4L, right wheel 4R, planting device 5 (see FIGS. 6 and 7), mother feeder 6, power mechanism 7 (see FIGS. 6 and 7), center float 10C , Left side float 10L, right side float 10R, pitching control mechanism 11 (see FIG. 10), stand 15 (see FIG. 15), main clutch 16 (see FIG. 16), control panel ( 17), the transmission mechanism 12 (see FIG. 23) and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13 (see FIG. 26).

기체(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의 실시의 일 형태이며, 보행형 이앙기(1)의 주된 구조체를 이루는 부재군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2)는 엔진대(21), 범퍼(22), 미션 케이스(23), 센터 프레임(24), 왼쪽 차축 케이스(25L),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 좌측방 프레임(26L), 우측방 프레임(26R), 중앙 식부 케이스(27C), 왼쪽 식부 케이스(27L), 오른쪽 식부 케이스(27R), 왼쪽 뒤 프레임(28L), 오른쪽 뒤 프레임(28R)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체는 본 실시 형태의 기체(2)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base 2 is one embodiment of th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member group form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As shown in FIG. 5, the base 2 includes an engine stage 21, a bumper 22, a mission case 23, a center frame 24, a left axle case 25L, a right axle case 25R, and a left side. Room frame 26L, right side frame 26R, center planting case 27C, left planting case 27L, right planting case 27R, left rear frame 28L, right rear frame 28R are provided. . In addition, the base | substrat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structure as the base | substrate 2 of this embodiment.

엔진대(21)는 기체(2)의 앞 부분을 이루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엔진대(21)는 금속판을 적절히 절곡함으로써 제조된다.The engine stand 21 is a member that forms the front part of the base 2. The engine stand 21 of this embodiment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metal plate suitably.

범퍼(22)는 기체(2)의 앞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범퍼(22)는 엔진대(21)의 전단부(前端部)에 고정된다.The bumper 22 is a member for protecting the front part of the base 2. The bumper 22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engine stand 21.

미션 케이스(23)는 후술하는 전동 기구(7)를 구성하는 부재군(의 일부)을 수용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미션 케이스(23)는 주조품인 좌측 부재(23L) 및 우측 부재(23R), 그리고 이것들을 고정하는 볼트를 구비한다. 미션 케이스(23)의 전단부는 엔진대(21)의 후단부(後端部)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The mission case 23 is a member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member group constitut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7 described later. The mission case 23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left member 23L and right member 23R which are casting goods, and the bolt which fixes these. The front end of the mission case 23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engine stand 21 by bolts.

센터 프레임(24)은 기체(2)의 중앙부를 이루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센터 프레임(2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제의 각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센터 프레임(24)의 전단부는 미션 케이스(23)의 후단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The center frame 24 is a member that forms the center of the base 2. The center frame 24 of this embodiment is a metal prism-shaped member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rame 24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mission case 23 by bolts.

왼쪽 차축 케이스(25L)는 왼쪽 차륜(4L)을 기체(2)에 대하여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왼쪽 차륜(4L)을 축지(軸支)하는 부재이다. 왼쪽 차축 케이스(25L)의 일단부(전단부)는 미션 케이스(23)의 좌측면(좌측 부재(23L))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왼쪽 차축 케이스(25L)의 타단부는 대체로 왼쪽 차축 케이스(25L)의 일단부의 후방에 배치된다. 왼쪽 차축 케이스(25L)의 타단부(후단부)에는 왼쪽 차륜(4L)이 축지된다.The left axle case 25L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left wheel 4L so as to be able to sw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2, and further supports the left wheel 4L. One end (front end) of the left axle case 25L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eft side (left member 23L) of the mission case 23,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axle case 25L is generally left axle case It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one end of 25L. On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left axle case 25L, the left wheel 4L is held.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는 오른쪽 차륜(4R)을 기체(2)에 대하여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오른쪽 차륜(4R)을 축지하는 부재이다.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의 일단부(전단부)는 미션 케이스(23)의 우측면(우측 부재(23R))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의 타단부는 대체로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의 일단부의 후방에 배치된다.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의 타단부(후단부)에는 오른쪽 차륜(4R)이 축지된다.The right axle case 25R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right wheel 4R so as to be able to sw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2, and also holds the right wheel 4R. One end (front end) of the right axle case 25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ight side (right member 23R) of the mission case 23,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axle case 25R is generally the right axle case ( It is arranged at the rear of one end of 25R). The right wheel 4R is held by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right axle case 25R.

본 실시 형태의 왼쪽 차축 케이스(25L) 및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는 금속판에 프레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길고 가느다란 케이스 형상(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형상)으로 성형된 부재이다.The left axle case 25L and the right axle case 25R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members formed into a long and thin case shape (a shap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by pressing a metal plate.

좌측방 프레임(26L)은 기체(2)의 좌측부를 이루는 부재이고, 우측방 프레임(26R)은 기체(2)의 우측부를 이루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좌측방 프레임(26L) 및 우측방 프레임(26R)은 2개의 금속제 원통의 단부(端部)를 외형이 대체로 ‘L’자형인 조인트 부재로 연결한 것이다. 좌측방 프레임(26L)의 일단부(조인트 부재로 연결된 2개의 원통 중, 한쪽의 원통에 있어서 조인트 부재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는 미션 케이스(23)의 좌측면(좌측 부재(23L))에 고정되고, 좌측방 프레임(26L)의 타단부(조인트 부재로 연결된 2개의 원통 중, 다른 쪽의 원통에 있어서 조인트 부재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는 좌측방 프레임(26L)의 일단부의 뒤쪽 좌측방이면서 약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우측방 프레임(26R)의 일단부는 미션 케이스(23)의 우측면(우측 부재(23R))에 고정되고, 우측방 프레임(26R)의 타단부는 우측방 프레임(26R)의 일단부의 뒤쪽 우측방이면서 약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left frame 26L is a member that forms the left side of the base 2, and the right frame 26R is a member that forms the right side of the base 2. The left side frame 26L and the right side frame 26R of this embodiment connect the edge part of two metal cylinders with the joint member whose external shape is substantially "L" shape. One end of the left frame 26L (the end of the two cylinders connected by the joint member, which is not fixed to the joint member in one cylinder) is the left side of the mission case 23 (the left member 23L). ), And the other end of the left frame 26L (the end of the two cylinders connected by the joint member, the end of which is not fixed to the joint member in the other cylinder) is one end of the left frame 26L. It is located at a position slightly behind the left side of the part. Similarly, one end of the right side frame 26R is fixed to the right side (right member 23R) of the mission case 23,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ide frame 26R is rear right of one end of the right side frame 26R. It is located in a slightly downward position while being a room.

중앙 식부 케이스(27C)는 후술하는 식부 장치(5) 중 중앙 좌측 식부 아암부(51L) 및 중앙 우측 식부 아암부(51R)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함과 함께, 이것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중앙 식부 케이스(27C)는 주조품이며, 중앙 식부 케이스(27C)의 전단부는 센터 프레임(24)의 후단부에 고정된다.The center planting case 27C holds the center left planting arm portion 51L and the center right planting arm portion 51R rotatably in the planting apparatus 5 described later, and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m. The central planting case 27C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ast product, and the front end of the central planting case 27C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center frame 24.

왼쪽 식부 케이스(27L)는 후술하는 식부 장치(5) 중 좌측 식부 아암부(52L)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함과 함께, 이것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왼쪽 식부 케이스(27L)는 주조품이며, 왼쪽 식부 케이스(27L)의 전단부는 좌측방 프레임(26L)의 타단부(후단부)에 고정된다.27 L of left planting cases hold | maintain rotatably the left planting arm part 52L among the planting apparatus 5 mentioned later, and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is. The left planting case 27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ast product, and the front end of the left planting case 27L is fixed to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left frame 26L.

오른쪽 식부 케이스(27R)는 후술하는 식부 장치(5) 중 우측 식부 아암부(52R)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함과 함께, 이것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오른쪽 식부 케이스(27R)는 주조품이며, 오른쪽 식부 케이스(27R)의 전단부는 우측방 프레임(26R)의 타단부(후단부)에 고정된다.27 R of right planting cases hold | maintains the right planting arm part 52R rotatably among the planting apparatuses 5 mentioned later, and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is. The right planting case 27R of this embodiment is a cast product, and the front end part of the right planting case 27R is fixed to the other end (rear end part) of the right side frame 26R.

왼쪽 뒤 프레임(28L)은 기체(2)의 왼쪽 후부를 이루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왼쪽 뒤 프레임(28L)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제의 각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왼쪽 뒤 프레임(28L)의 전단부는 왼쪽 식부 케이스(27L)의 후단부에 고정된다.The left rear frame 28L is a member forming the left rear portion of the base 2. The left rear frame 28L of this embodiment is a metal prismatic member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left rear frame 28L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left planting case 27L.

오른쪽 뒤 프레임(28R)은 기체(2)의 오른쪽 후부를 이루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오른쪽 뒤 프레임(28R)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제의 각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오른쪽 뒤 프레임(28R)의 전단부는 오른쪽 식부 케이스(27R)의 후단부에 고정된다.The right rear frame 28R is a member that forms the right rear side of the base 2. The right rear frame 28R of this embodiment is a metal prismatic member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right rear frame 28R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right planting case 27R.

도 6에 나타내는 엔진(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실시의 일 형태이며, 보행형 이앙기(1)의 구동원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엔진(3)은 가솔린 엔진이며, 엔진대(21)의 상면의 후부에 고정된다.The engine 3 shown in FIG. 6 is one Embodiment of the engin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is a drive sourc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engine 3 of this embodiment is a gasoline engine, and is fixed to the rea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gine stand 21.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왼쪽 차륜(4L) 및 오른쪽 차륜(4R)은 보행형 이앙기(1)의 구동륜이다. 왼쪽 차륜(4L)은 왼쪽 차축 케이스(25L)의 타단부(후단부)에 축지된다. 오른쪽 차륜(4R)은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의 타단부(후단부)에 축지된다.The left wheel 4L and the right wheel 4R shown in FIGS. 1 to 4 are driving wheels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left wheel 4L is hung on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left axle case 25L. The right wheel 4R is held by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right axle case 25R.

도 6에 나타내는 식부 장치(5)는 모의 식부를 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식부 장치(5)는 크랭크식의 식부 장치이며, 중앙 좌측 식부 아암부(51L), 중앙 우측 식부 아암부(51R), 좌측 식부 아암부(52L), 우측 식부 아암부(52R) 및 도시하지 않은 구동 아암이나 연동 아암 등을 구비한다. 좌측 식부 아암부(52L), 중앙 좌측 식부 아암부(51L), 중앙 우측 식부 아암부(51R) 및 우측 식부 아암부(52R)는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로,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의 뒤쪽 하부에 배치된다. 중앙 좌측 식부 아암부(51L), 중앙 우측 식부 아암부(51R), 좌측 식부 아암부(52L) 및 우측 식부 아암부(52R)는 후술하는 모 공급 장치(6)(모 탑재대(61)의 전단부)에 탑재된 모 매트로부터 소정량의 모를 떼어내고, 떼어 내어진 모를 논에 이식하는 일련의 작업을 행함으로써, 모를 논에 식부한다.The planting apparatus 5 shown in FIG. 6 is a device which simulates planting. The planting apparatus 5 of this embodiment is a crank planting apparatus, The center left planting arm part 51L, the center right planting arm part 51R, the left planting arm part 52L, and the right planting arm part 52R And a driving arm, an interlocking arm, and the like, not shown. The left planting arm part 52L, the center left planting arm part 51L, the center right planting arm part 51R, and the right planting arm part 52R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order from the left, and are walk-type rice transplanters ( It is arranged in the lower back of the body 2 of 1). The center left planting arm part 51L, the center right planting arm part 51R, the left planting arm part 52L, and the right planting arm part 52R are described in the mother supply apparatus 6 (the parent mounting table 61). The seedlings are planted in the rice paddy by carrying out a series of operations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seedlings are removed from the mother mat mounted on the front end) and the seeded seedlings are transplanted into the rice padd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축(73)은 엔진(3)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23)에 입력하기 위한 회전축이다. 주축(73)은 미션 케이스(23)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주축(73) 중, 일단부(좌단부)는 미션 케이스(23)의 좌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밖의 부분은 미션 케이스(23)에 수용된다.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main shaft 73 is a rotating shaft for inpu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in the engine 3 to the mission case 23. The main shaft 73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ission case 23. One end part (left end part) of the main shaft 73 protrudes to the left side of the mission case 23, and the other part is accommodated in the mission case 23. As shown in FIG.

기어(73a·73b·73c·73d·73e·73f)는 모두 주축(73)에 상대 회전 불능이면서 주축(73)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고정되어, 미션 케이스(23)에 수용된다. 기어(73a·73b)는 보행형 이앙기(1)의 주행 속도의 변경에 관련되는 평(平)톱니바퀴(spur gear)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73a)의 치수(齒數)는 기어(73b)의 치수보다 많다. 기어(73c·73d·73e·73f)는 보행형 이앙기(1)에 의해 식부되는 모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주간)의 변경에 관련되는 톱니바퀴이며, ‘기어(73c)의 치수<기어(73d)의 치수<기어(73e)의 치수<기어(73f)의 치수’의 관계가 성립한다.All of the gears 73a, 73b, 73c, 73d, 73e, 73f are incapable of rotation relative to the main shaft 73 and are immovably fixed in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shaft 73 and accommodated in the mission case 23. do. The gears 73a and 73b are spur gear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and in this embodiment, the dimension of the gear 73a is the gear 73b. More than the dimensions of). The gears 73c, 73d, 73e, 73f are cogwheel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interval (weekly) in the simulation traveling direction implanted by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and the size of the gear 73c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gear 73d < the size of the gear 73e < the size of the gear 73f &quot;

변속축(74)은 보행형 이앙기(1)의 주행 속도의 변경에 관련되는 회전축이다. 변속축(74)은 미션 케이스(23)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미션 케이스(23)에 수용된다.The shift shaft 74 is a rotation shaft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shift shaft 7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ission case 23 and is accommodated in the mission case 23.

기어(74a)는 변속축(74)에 상대 회전 불능이면서 변속축(74)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고정되는 평톱니바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축(74)의 우반부에 기어(74a)가 일체로 형성되고, 변속축(74)의 좌반부에는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다.The gear 74a is a spur wheel fixed to the shift shaft 74 while being unable to rotat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ift shaft 74. In this embodiment, the gear 74a is integrally formed in the right half part of the transmission shaft 74, and the spline groove is formed in the left half part of the transmission shaft 74. As shown in FIG.

변속 기어(75)는 보행형 이앙기(1)의 주행 속도의 변경에 관련되는 톱니바퀴이다. 변속 기어(75)는 치수가 서로 다른 2개의 평톱니바퀴를 동축으로 적층한 형상을 가진다. 변속 기어(75) 중 치수가 적은 쪽의 평톱니바퀴를 이루는 부분이 소기어부(75a), 치수가 많은 쪽의 평톱니바퀴를 이루는 부분이 대기어부(75b)이다. 변속 기어(75)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에는 스플라인 홈이 형성된다. 변속 기어(75)는 변속축(74)의 좌반부에 관통된다. 변속 기어(75)의 관통공에 형성된 스플라인 홈과 변속축(74)의 좌반부에 형성된 스플라인 홈이 맞물림으로써, 변속 기어(75)는 변속축(74)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이면서 변속축(74)의 축선 방향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 transmission gear 75 is a gearwheel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transmission gear 75 has a shape in which two cog wheels having different dimensions are stacked coaxially. The part which comprises the flat gear of the smaller dimension among the transmission gears 75 is the small gear part 75a, and the part which comprises the flat gear of the larger dimension is the standby gear part 75b.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gear 75, and a spline groove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The shift gear 75 penetrates to the left half of the shift shaft 74. As the spline groove form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shift gear 75 meshes with the spline groove formed in the left half of the shift shaft 74, the shift gear 75 is in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shift shaft 74 and the shift shaft 74. )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센터 플로트(10C),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 및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enter float 10C, the left side float 10L, and the right side float 10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8, and 9.

센터 플로트(10C),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 및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는 보행형 이앙기(1)에 부력을 부여하는(나아가서는, 보행형 이앙기(1)가 논에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센터 플로트(10C),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 및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대체로 판상의 부재이다. 센터 플로트(10C),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 및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이 형성되고, 이들 공간에는 공기가 봉입된다.The center float 10C, the left side float 10L, and the right side float 10R give buoyancy to the walkthrough rice transplanter 1 (preferably, preventing the walked rice transplanter 1 from being buried in the paddy field). will be. Center float 10C, left side float 10L, and right side float 10R are generally plate-like member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paces are formed inside the center float 10C, the left side float 10L, and the right side float 10R, respectively, and air is enclosed in these spaces.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플로트(10C)는 기체(2)의 좌우 중앙이면서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1-3, center float 10C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a downward while being the left-right center of the base | substrate 2. As shown to FIG.

도 1, 도 3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플로트(10C)의 후단부는 브래킷(101C) 및 핀(102C)에 의해 기체(2)의 좌우 중앙부이면서 뒤쪽 하부가 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킷(101C)이 센터 플로트(10C)의 후단부의 상면에 고정된다. 핀(102C)은 기체(2)의 좌우 중앙이면서 뒤쪽 하부가 되는 부분(엄밀하게는, 기체(2)에 고정되는 핸들 프레임(171)의 하부 프레임(171a)의 중앙부(도 18 참조)) 및 브래킷(101C)에 관통된다.As shown in FIG. 1, FIG. 3, and FIG. 8, the rear end part of the center float 10C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bracket 101C and the pin 102C to the position which becomes the left and right center part of the base | substrate 2, and becomes the lower back part. do. More specifically, the bracket 101C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center float 10C. The pin 102C is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base 2 and the bottom rear portion (strictly,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71a of the handle frame 171 fixed to the base 2 (see Fig. 18)) and It penetrates through bracket 101C.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는 브래킷(103C), 플로트 아암(104C), 핀(107C) 및 핀(108C)에 의해 기체(2)의 좌우 중앙부이면서 앞쪽 하부가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킷(103C)은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의 상면에 고정된다. 플로트 아암(104C)의 일단부(하단부)에는 관통공(105C)이 형성되고, 플로트 아암(104C)의 타단부(상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부분에는 관통장공(106C)이 형성된다. 핀(107C)이 관통공(105C) 및 브래킷(103C)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됨으로써,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와 플로트 아암(104C)의 일단부(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핀(108C)이 관통장공(106C) 및 범퍼(22)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됨으로써, 플로트 아암(104C)은 슬라이딩 가능(플로트 아암(104C)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범퍼(2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enter float 10C is movable up and down in a position that is the left and right center portions of the base 2 and becomes the front lower portion by the bracket 103C, the float arm 104C, the pin 107C, and the pin 108C. (Swivelable) is connected. More specifically, the bracket 103C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A through hole 105C is formed in one end (lower end) of the float arm 104C, and a through hole 106C is formed in a portion from the other end (upper end) to the middle of the float arm 104C. As the pin 107C penetrates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rough hole 105C and the bracket 103C,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and the one end (lower end) of the float arm 104C are rotatably connected. As the pin 108C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06C and the through hole formed under the bumper 22, the float arm 104C is slidabl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 arm 104C) while the bumper 22 Is connected rotatably.

이와 같이, 센터 플로트(10C)는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에 대하여 핀(102C)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는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요동 가능)하다.Thus, the center float 10C can be rotated centering on the fin 102C with respect to the base 2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is movable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2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n the up-down direction.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는 기체(2)의 하방이면서 좌측 뒤쪽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As shown to FIG. 1 thru | or 4, the left side float 10L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base | substrate 2, and becomes a position back to the left.

도 1, 도 3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의 후단부는 브래킷(101L) 및 핀(102L)에 의해 기체(2)의 좌측 뒤쪽 하부가 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킷(101L)은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의 후단부의 상면에 고정된다. 핀(102L)은 기체(2)의 좌측 뒤쪽 하부가 되는 부분(엄밀하게는, 기체(2)에 고정되는 핸들 프레임(171)의 하부 프레임(171a)의 좌단부(도 18 참조)) 및 브래킷(101L)에 관통된다.As shown in FIG. 1, FIG. 3, and FIG. 9, the rear end of the left side float 10L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bracket 101L and the pin 102L to the position which becomes lower left rear part of the base | substrate 2 . More specifically, the bracket 101L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left side float 10L. The pin 102L is a portion that becomes the lower left rear portion of the base 2 (strictly, the left end of the lower frame 171a of the handle frame 171 fixed to the base 2 (see Fig. 18)) and the bracket It penetrates 101L.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의 전단부는 브래킷(103L), 플로트 아암(104L), 핀(107L) 및 왼쪽 사이드 플로트 아암(108L)에 의해 기체(2)의 전후 중앙부이면서 왼쪽 하부가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래킷(103L)이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의 전단부의 상면에 고정된다. 왼쪽 사이드 플로트 아암(108L)의 일단부가 좌측방 프레임(26L)의 굴곡부에 고정된다. 플로트 아암(104L)의 일단부(하단부)에는 관통공(105L)이 형성되고, 플로트 아암(104L)의 타단부(상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부분에는 관통장공(106L)이 형성된다. 핀(107L)이 관통공(105L) 및 브래킷(103L)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됨으로써,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의 전단부와 플로트 아암(104L)의 일단부(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왼쪽 사이드 플로트 아암(108L)의 타단부가 관통장공(106C)에 관통됨으로써, 플로트 아암(104L)은 슬라이딩 가능(플로트 아암(104L)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좌측방 프레임(26L)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float 10L is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centers of the base 2 while being lower left by the bracket 103L, the float arm 104L, the pin 107L and the left side float arm 108L. Is connected movably (stable). More specifically, the bracket 103L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float 10L. One end of the left side float arm 108L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left frame 26L. A through hole 105L is formed in one end (lower end) of the float arm 104L, and a through hole 106L is formed in a portion from the other end (upper end) to the middle of the float arm 104L. As the pin 107L penetrates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rough hole 105L and the bracket 103L, 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float 10L and one end (lower end) of the float arm 104L are rotatably connected. . The other end of the left side float arm 108L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hole 106C, whereby the float arm 104L is slidabl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 arm 104L) and with respect to the left frame 26L. It is connected rotatably.

이와 같이,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는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에 대하여 핀(102L)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왼쪽 사이드 플로트(10L)의 전단부는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요동 가능)하다.In this way, the left side float 10L is rotatable around the pin 102L with respect to the base 2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left side float 10L is movable (oscillat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2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는 기체(2)의 하방이면서 우측 뒤쪽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As shown to FIG. 1 thru | or 4, the right side float 10R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base | substrate 2 and becomes a right back side.

도 1, 도 3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의 후단부는 브래킷(101R) 및 핀(102R)에 의해 기체(2)의 우측 뒤쪽 하부가 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FIG. 3, and FIG. 9, the rear end of the right side float 10R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bracket 101R and the pin 102R to the position which becomes the lower right back side of the base | substrate 2 .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의 전단부는 브래킷(103R), 플로트 아암(104R), 핀(107R) 및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 아암(108R)에 의해 기체(2)의 전후 중앙부이면서 오른쪽 하부가 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플로트 아암(104R)의 일단부(하단부)에는 관통공(105R)이 형성되고, 플로트 아암(104R)의 타단부(상단부)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부분에는 관통장공(106R)이 형성된다.The front end of the right side float 10R is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center portions of the base body 2 by the bracket 103R, the float arm 104R, the pin 107R, and the right side float arm 108R, and the lower right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movably (stable). A through hole 105R is formed in one end (lower end) of the float arm 104R, and a through hole 106R is formed in a portion from the other end (upper end) to the middle of the float arm 104R.

이와 같이,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는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에 대하여 핀(102R)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오른쪽 사이드 플로트(10R)의 전단부는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요동 가능)하다.In this way, the right side float 10R is rotatable around the fin 102R with respect to the base 2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right side float 10R is movable (oscillat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2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에서는 도 15,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스탠드(1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탠드(15)는 스탠드 바(151), 조작 아암 유닛(152) 및 스탠드 스프링(153)을 구비한다. 스탠드 바(151)는 금속제의 원형봉을 적절히 굴곡시킴으로써 크랭크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스탠드 바(151)는 스탠드축부(151a), 연결부(151b), 접촉부(151c), 연결부(151d) 및 스탠드축부(151e)를 가진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tand 15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15, FIG. 20, and FIG. The stand 15 includes a stand bar 151, an operation arm unit 152, and a stand spring 153. The stand bar 151 is shape | molded in the crank shape by bending the metal round rod suitably. The stand bar 151 has a stand shaft portion 151a, a connecting portion 151b, a contact portion 151c, a connecting portion 151d and a stand shaft portion 151e.

스탠드축부(151a·151e)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축부의 실시의 일 형태이며, 각각 스탠드 바(151)의 좌단부 및 우단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스탠드축부(151a)의 축선 및 스탠드축부(151e)의 축선은 서로 일직선이 되므로, 스탠드축부(151a) 및 스탠드축부(151e)를 일치시킨 것은 실질적으로 1개의 회동축을 이룬다.The stand shaft part 151a * 151e is one Embodiment of the stand shaft par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is a part which comprises the left end part and the right end part of the stand bar 151, respectively. Since the axis line of the stand shaft part 151a of this embodiment, and the axis line of the stand shaft part 151e are mutually linear, what made the stand shaft part 151a and the stand shaft part 151e coincide substantially one rotation shaft.

연결부(151b)는 스탠드축부(151a)의 우단부와 접촉부(151c)의 좌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부(151d)는 스탠드축부(151e)의 좌단부와 접촉부(151c)의 우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부(151b)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은 스탠드축부(151a)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연결부(151d)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은 스탠드축부(151e)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연결부(151b)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은 연결부(151d)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다.The connection part 151b is a part which connects the right end part of the stand shaft part 151a and the left end part of the contact part 151c. The connection part 151d is a part which connects the left end part of the stand shaft part 151e and the right end part of the contact part 151c.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51b is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stand shaft part 151a. The axis line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51d is perpendicular to the axis line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stand shaft part 151e.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51b is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51d.

접촉부(151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부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접촉부(151c)는 연결부(151b) 및 연결부(151d)를 개재하여 스탠드축부(151a·151e)에 연결된다(실질적으로는, 접촉부(151c)는 연결부(151b) 및 연결부(151d)를 개재하여 스탠드축부(151a·151e)에 고정된다). 접촉부(151c)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은 스탠드축부(151a·151e)의 축선 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다.The contact part 151c is one Embodiment of the contact par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contact part 151c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stand shaft part 151a * 151e via the connection part 151b and the connection part 151d (actually, the contact part 151c is the connection part 151b and the connection part 151d). Fixed to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contact part 151c is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stand shaft part 151a * 151e.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바(151)는 기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축부(151a)가 엔진대(21)의 좌측면을 이루는 판재의 전후 중앙부이면서 하부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축지공(21c)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됨과 함께 스탠드축부(151e)가 엔진대(21)의 우측면을 이루는 판재의 전후 중앙부이면서 하부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축지공(21d)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됨으로써, 스탠드 바(151)(나아가서는, 스탠드축부(151a) 및 스탠드축부(151e)를 일치시킨 것)이 엔진대(21)의 전후 중앙부이면서 하부가 되는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다.As shown in FIG. 15, the stand bar 15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ase 2. More specifically, the stand shaft portion 151a is rotatably penetrated through the bearing hole 21c formed at a position which is the front and rear center portions of the plate forming the left side of the engine stand 21 and becomes a lower portion, and the stand shaft portion 151e is rotatable. By penetrating rotatably through the bearing hole 21d formed at the position which becomes the front and rear center part of the board | plate material which forms the right side of the engine stand 21, and becomes a lower part, the stand bar 151 (proceedingly, the stand shaft part 151a and the stand shaft part ( 151e) is pivotally rotatable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the lower part while being the front-back center part of the engine stand 21, and is rotated.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축부에 외력(모멘트)이 작용했을 때 스탠드축부 및 접촉부가 일체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되므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스탠드축부(151a·151e)와 접촉부(151c)가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도 ‘접촉부가 스탠드축부에 고정되는’ 구성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nd shaf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need to be rotated integrally when an external force (moment) is applied to the stand shaft portion,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and the contact portion 151c are integrally form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is that the contact portion is fixed to the stand shaft portion.

조작 아암 유닛(152)은 통부(筒部)(152a), 회동 각도 규제부(152b) 및 조작 아암부(152c)를 가진다. 통부(152a)는 금속제의 대체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회동 각도 규제부(152b)는 금속제의 길고 가느다란 판상의 부재이며, 회동 각도 규제부(152b)의 중간부는 통부(152a)의 일단부(우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통부(152a)에 고정된 회동 각도 규제부(152b)의 길이 방향은 통부(152a)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조작 아암부(152c)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아암부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아암부(152c)는 금속제의 길고 가느다란 판상의 부재이며, 조작 아암부(152c)의 일단부는 통부(152a)의 타단부(좌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조작 아암부(152c)의 타단부에는 관통공(152d)이 형성된다.The operation arm unit 152 has a cylinder part 152a, the rotation angle control part 152b, and the operation arm part 152c. The cylinder part 152a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ember made of metal. The rotation angle control part 152b is a metal long thin plate-shaped member, and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rotation angle control part 152b is fixed by welding to the one end (right end part) of the cylinder part 152a.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ngle control part 152b fixed to the cylinder part 152a is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part 152a. The operation arm part 152c is one Embodiment of the operation arm par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operation arm part 152c of this embodiment is a long, thin plate-shaped member made of metal, and one end of the operation arm part 152c is fixed by welding to the other end (left end part) of the cylinder part 152a. The through hole 152d is formed in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arm part 152c.

조작 아암 유닛(152)은 스탠드 바(151)의 좌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대(21)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 스탠드 바(151)의 스탠드축부(151a) 중, 엔진대(21)의 좌측면을 이루는 판재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조작 아암 유닛(152)의 통부(152a)가 관통되고, 통부(152a)는 분할 핀 등에 의해 스탠드 바(151)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 그 결과, 조작 아암부(152c)는 스탠드축부(151a·151e)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The operation arm unit 152 is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stand bar 151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impossible.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arm is a part of the stand shaft portion 151a of the stand bar 151 which is pivotally rotatable on the engine stand 21, which protrudes to the left side of the plate forming the left surface of the engine stand 21. The tubular portion 152a of the unit 152 penetrates through, and the tubular portion 152a is fixed to the stand bar 151 in a relative impossible rotation by a split pin or the like. As a result, the operation arm portion 152c is fixed to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in a relative non-rotational manner.

스탠드 스프링(153)은 스탠드축부(151a·151e)를 중심으로 하여 스탠드 바(151)를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스탠드 스프링(153)은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며, 스탠드 바(151)의 스탠드축부(151e)에 관통된다. 스탠드 스프링(153)의 일단부는 스탠드 바(151)의 연결부(151d)에 걸리고, 스탠드 스프링(153)의 타단부는 엔진대(21)에 걸린다.The stand spring 153 is a member which biases in the direction which rotates counterclockwise when the stand bar 151 is viewed from the left side centering on the stand shaft part 151a * 151e. The stand spring 153 of this embodiment is a metal coil spring, and penetrates through the stand shaft part 151e of the stand bar 151.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stand spring 153 is caught by the connecting portion 151d of the stand bar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stand spring 153 is caught by the engine stand 21.

스탠드 바(151)에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 이외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스탠드 바(151)는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스탠드축부(151a·151e)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스탠드 바(151)의 접촉부(151c)가 스탠드축부(151a·151e)의 후방에 배치되는 위치까지 스탠드 바(151)가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조작 아암 유닛(152)의 회동 각도 규제부(152b)의 일단부가 엔진대(21)의 좌측면을 이루는 판재의 하단부에 형성된 날밑부(21e)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탠드 바(151)의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의 회동이 규제된다.When no external force other than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is applied to the stand bar 151, the stand bar 151 is centered on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Rotate counterclockwise from the left side. Operation arm unit 152 when the stand bar 15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s seen from the left side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part 151c of the stand bar 151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stand shaft parts 151a and 151e. When one end of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ortion 152b of th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21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plate forming the left surface of the engine stand 21, the counter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of the stand bar 151 Rotation of direction is regulated.

스탠드 바(151)의 접촉부(151c)가 스탠드축부(151a·151e)의 후방에 배치되는 위치에 스탠드 바(151)가 배치되어 있을 때의 스탠드(15)의 자세는, 본 발명에 따른 퇴피(退避) 자세의 실시의 일 형태에 상당한다.The posture of the stand 15 when the stand bar 151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tact portion 151c of the stand bar 151 is disposed behind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is defined as a retraction ( I) It corresponds to one form of implementation of a posture.

스탠드(15)의 자세가 ‘퇴피 자세’로 유지되고 있을 때, 스탠드 바(151)의 접촉부(151c)는 엔진대(21)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일은 없으므로(엔진대(21)의 하단부보다 상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접촉부(151c)는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에 접촉하지 않는다(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퇴피 자세’로 유지되고 있을 때의 스탠드(15)는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지 않는다(허용한다).When the posture of the stand 15 is maintained in the 'retraction posture', the contact portion 151c of the stand bar 151 does not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ngine stand 21 (the lower end of the engine stand 21). Since the contact portion 151c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enter float 10C (because it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e contact portion 151c does not interfere. Therefore, the stand 15 at the time of being kept in the "retraction posture" does not restrict (permit) that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moves upwards.

스탠드 바(151)에 외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스탠드 바(151)를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스탠드축부(151a·151e)를 중심으로 하여 스탠드 바(151)를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탠드 바(151)의 접촉부(151c)가 스탠드축부(151a·151e)의 하방에 배치되는 위치까지 스탠드 바(151)가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조작 아암 유닛(152)의 회동 각도 규제부(152b)의 타단부가 날밑부(21e)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스탠드 바(151)의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의 회동이 규제된다. 스탠드 바(151)의 접촉부(151c)가 스탠드축부(151a·151e)의 하방에 배치되는 위치에 스탠드 바(151)가 배치되어 있을 때의 스탠드(15)의 자세는, 본 발명에 따른 규제 자세의 실시의 일 형태에 상당한다.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and bar 151, the stand bar 151 is resisted to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and the stand bar 151 is viewed from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It is possible to rotate clockwise. When the stand bar 151 is rotated 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the stand portion 151c of the stand bar 151 is disposed below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angle regulating portion 152b come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21e, the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restricted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of the stand bar 151.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stand 15 when the stand bar 151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part 151c of the stand bar 151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stand shaft parts 151a and 151e is the regulation postur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orresponds to one embodiment of implementation.

스탠드(15)의 자세가 ‘규제 자세’로 유지되고 있을 때, 스탠드 바(151)의 접촉부(151c)는 엔진대(21)의 하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엔진대(21)의 하단부보다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접촉부(151c)는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의 상면에 접촉한다(간섭한다). 따라서, ‘규제 자세’로 유지되고 있을 때의 스탠드(15)는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규제 자세’로 유지되고 있을 때의 스탠드(15)의 접촉부(151c)에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가 접촉하고 있을 때, 피칭 제어 기구(11)의 피칭 센서(120)의 회동 각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기체(2)에 대한 왼쪽 차륜(4L) 및 오른쪽 차륜(4R)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각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조정된다.When the posture of the stand 15 is maintained in the 'regulated posture', the contact portion 151c of the stand bar 151 project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engine stand 21 (than the lower end of the engine stand 21). Since the contact portion 151c contacts (interfer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enter float 10C, since it is disposed at a downward position. Therefore, the stand 15 at the time of being maintained in a "regulation posture" restricts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from moving upw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enter float 10C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51c of the stand 15 when being held in the 'regulated posture', the rotation angle of the pitching sensor 120 of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11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member is adjusted so that is withi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up-down positions of the left wheel 4L and the right wheel 4R with respect to the base 2 are kept constant).

이와 같이, 스탠드(15)는 스탠드축부(151a·151e)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규제 자세’와 ‘퇴피 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stand 15 can be rotated around the stand shaft portions 151a and 151e, thereby changing the posture between the "regulated posture" and the "retreat posture."

이하에서는 도 6,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주클러치(16)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main clutch 1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16, and 17.

주클러치(16)는 엔진(3)으로부터 ‘보행형 이앙기(1)의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 및 그 정지를 행하는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주클러치(16)는 이른바 벨트 텐션식의 클러치이며, 주클러치 아암(161), 주클러치 롤러(162), 맞물림 아암(163) 및 주클러치 스프링(164)을 구비한다.The main clutch 16 transmits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3 to the "transmission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and stops it. The main clutch 16 shown in FIG. 16 and FIG. 17 is what is called a belt tension type | mold clutch, and is provided with the main clutch arm 161, the main clutch roller 162, the engagement arm 163, and the main clutch spring 164. FIG. .

주클러치 아암(161)은 아암 부재(161a), 지지축 부재(161b) 및 통 부재(161c)를 구비한다. 아암 부재(161a)는 금속제의 길고 가느다란 판상의 부재이다. 아암 부재(161a)의 중간부에는 관통공(161d)이 형성된다. 지지축 부재(161b)는 금속제의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축 부재(161b)는 아암 부재(161a)의 일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통 부재(161c)는 금속제의 대체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통 부재(161c)는 아암 부재(161a)의 타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통 부재(161c)는 엔진대(21)의 좌측면을 이루는 판재에 고정된 회동축(21b)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 통 부재(161c)가 회동축(21b)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됨으로써, 주클러치 아암(161)은 기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main clutch arm 161 is provided with the arm member 161a, the support shaft member 161b, and the cylinder member 161c. The arm member 161a is a long, thin plate-shaped member made of metal. A through hole 161d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rm member 161a. The support shaft member 161b is a metal substantially cylindrical member. The support shaft member 161b is fixed to one end of the arm member 161a by welding. The cylinder member 161c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ember made of metal. The cylinder member 161c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arm member 161a by welding. The cylinder member 161c penetrates through the rotational shaft 21b fixed to the board | plate material which forms the left surface of the engine stand 21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As the cylinder member 161c penetrates to the rotation shaft 21b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the main clutch arm 161 is supported by the base 2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주클러치 롤러(162)는 대체로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주클러치 롤러(162)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주클러치 롤러(162)는 주클러치 아암(161)의 지지축 부재(161b)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 주클러치 롤러(162)가 지지축 부재(161b)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됨으로써, 주클러치 롤러(162)는 주클러치 아암(161)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main clutch roller 162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ember, and a ring-shaped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clutch roller 162. The main clutch roller 162 penetrates through the support shaft member 161b of the main clutch arm 161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main clutch roller 16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member 161b so that the main clutch roller 162 is rotatab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main clutch arm 161.

맞물림 아암(163)은 대체로 각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맞물림 아암(163)의 일단부는 통 부재(161c)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주클러치(16)에 마련된다. 맞물림 아암(163)에는 관통 홈(163a) 및 맞물림 홈(163b)이 형성된다. 관통 홈(163a)은 맞물림 아암(163)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하고, 또한 맞물림 아암(163)의 하면에 개구되는 홈이며, 후술하는 와이어 부재(181)(보다 엄밀하게는, 이너 와이어(181b))가 관통 홈(163a)을 관통한다. 맞물림 홈(163b)은 맞물림 아암(163)의 좌측면으로부터 관통 홈(163a)을 거쳐 맞물림 아암(163)의 우측면까지 관통하고, 또한 맞물림 아암(163)의 전면(前面)에 개구되는 홈이다. 맞물림 홈(163b)의 후단부는 자루 모양으로 되어 있고, 맞물림 홈(163b)의 전단부(맞물림 아암(163)의 전면에 개구되어 있는 부분)보다 상하 방향에서 크다. 맞물림 홈(163b)에 후술하는 맞물림 부재(182)가 수용됨으로써, 맞물림 아암(163)은 후술하는 맞물림 부재(182)에 맞물린다(도 19, 도 20 및 도 21 참조).The engagement arm 163 is generally a prismatic member, and one end of the engagement arm 163 is fixed to the cylinder member 161c by welding and provided to the main clutch 16. The engagement arm 163 is formed with a through groove 163a and an engagement groove 163b. The through groove 163a is a groove which penetrates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rear surface of the engagement arm 163 and is ope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ement arm 163, and more specifically, the inner wire 181b (more specifically, the inner wire 181b). )) Penetrates the through grooves 163a. The engagement groove 163b is a groove which penetrates from the left side of the engagement arm 163 to the right side of the engagement arm 163 via the through groove 163a and is open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ngagement arm 163.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groove 163b is shaped like a bag, and is larger in the up-down direction than the front end of the engaging groove 163b (the part open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engaging arm 163). The engagement arm 163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member 182 described later by receiving the engagement member 182 described later in the engagement groove 163b (see FIGS. 19, 20, and 21).

주클러치 스프링(164)은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다. 주클러치 스프링(164)의 일단부는 주클러치 아암(161)의 아암 부재(161a)에 형성된 관통공(161d)에 걸린다. 주클러치 스프링(164)의 타단부는 풀리(72b)를 보호하기 위해서 미션 케이스(23)의 좌측면에 고정되는 풀리 커버(29)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바(29a)에 걸린다. 주클러치 스프링(164)은 수축하려고 하는 탄성력(바이어스 힘)에 의해, 주클러치 아암(161)이 회동축(21b)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바이어스한다. 그 결과, 주클러치 아암(161)의 일단부에 지지된 주클러치 롤러(162)는 벨트(72c)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주클러치 롤러(162)가 벨트(72c)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벨트(72c)의 장력이 증대되고, 풀리(72a)로부터 벨트(72c)를 거쳐 풀리(72a)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main clutch spring 164 is a metal coil spring. One end of the main clutch spring 164 is caught by a through hole 161d formed in the arm member 161a of the main clutch arm 161. The other end of the main clutch spring 164 is caught by a locking bar 29a extending from the pulley cover 29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mission case 23 to protect the pulley 72b. The main clutch spring 164 biases the main clutch arm 161 to rotate 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about the rotation shaft 21b by the elastic force (bias force) to be retracted. As a result, the main clutch roller 162 supported at one end of the main clutch arm 16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72c. When the main clutch roller 162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72c, the tension of the belt 72c is increased, and the driving force can be transmitted from the pulley 72a to the pulley 72a via the belt 72c. .

주클러치 아암(161)과 맞물림 아암(163)은 별도의 부재이며, 양자가 용접에 의해 고정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맞물림부에 외력(모멘트)이 작용했을 때 주아암부 및 맞물림부가 일체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즉, ‘맞물림부가 주아암부에 고정되는’ 것에는 ‘주아암부 및 맞물림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포함된다.The main clutch arm 161 and the engaging arm 163 are separate members, both of which are fixed by welding,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arm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moment) is applied to the engaging portion. You just need to have a rotating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engaging portion is fixed to the main arm portion' includes 'the main arm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molded integral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에서는 도 2, 도 18, 도 19,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18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 of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180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2, FIG. 18, FIG. 19, FIG. 20, and FIG.

종래, 엔진의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에 전달할지 여부를 전환하는 주클러치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는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주클러치의 일 예로서는, 벨트 텐션식의 클러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90315호 공보 및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951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having a main clutch for switching whether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an engine to a mission case is known. As an example of such a main clutch, a belt tension type clutch is known. For example, it is a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90315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4-9513.

일반적인 벨트 텐션식의 클러치의 일 예로서는, 보행형 이앙기의 기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과, 아암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와, 일단부가 아암에 고정됨과 함께 타단부가 보행형 이앙기의 기체에 고정되고, 엔진의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에 롤러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 하는 스프링과, 일단부가 아암의 중간부 또는 아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주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와,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됨과 함께 보행형 이앙기의 후부의 핸들에 마련되는 주클러치 레버(주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벨트 텐션식의 클러치의 경우, 작업자가 주클러치 레버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롤러가 벨트에 눌려서, 벨트의 장력이 증대됨으로써 주클러치가 ‘ON’(엔진의 구동력이 미션 케이스에 전달되는 상태)이 된다. 또한, 작업자가 주클러치 레버를 잡았을 때에는, 스프링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롤러가 벨트로부터 이격되어, 벨트의 장력이 감소됨으로써 주클러치가 ‘OFF’(엔진의 구동력이 미션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An example of a general belt tension type clutch is an arm supported rotatably on a body of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 roller supported rotatably on one end of the arm, and one end fixed to the arm, and the other end walking on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 spring fixed to the body of the engine and bia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 is pressed against the bel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to the mission case, and a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arm or the other end of the arm (manipulating the main clutch) And a main clutch lever (a lever for operating the main clutch) provided at the handle of the rear sid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le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In the case of the belt tension type clutch, when the operator is not in contact with the main clutch lever, the roller is pressed against the belt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tension of the belt is increased so that the main clutch is 'ON'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Is delivered to the case).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grasps the main clutch lever, the roller is spaced apart from the belt in response to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tension of the belt is reduced so that the main clutch is 'OFF'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is not transmitted to the mission case). Becomes

또한, 종래, 보행형 이앙기의 기체의 전후 방향의 기울기, 나아가서는 논에 대한 기체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보행형 이앙기에 의한 모의 식부 깊이를 안정시키는 기구인 피칭 제어 기구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90315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951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249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9-880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3-1415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7861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다.Moreover,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which is a mechanism which stabilizes the simulated planting depth by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is also known conventionally by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body of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nd also the height of the gas with respect to a rice field. For example,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1-90315,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4-9513,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4-24908,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88016,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It is as having description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3-141510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78611.

일반적인 피칭 제어 기구의 일 예로서는, 일단부가 기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타단부에는 주행륜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을 회동시키기 위한 단동식(單動式)의 유압 실린더(피칭 실린더)와, 유압 실린더에 작동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유압 실린더를 신장시키는 상태, 작동 오일을 유압 실린더에 봉입함으로써 유압 실린더의 전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태 및 유압 실린더로부터 작동 오일을 회수함으로써 유압 실린더를 수축시키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가능한 유압 펌프와, 보행형 이앙기의 기체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로트와, 보행형 이앙기의 기체에 대한 플로트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플로트 센서와, 플로트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플로트의 회동 각도와 유압 펌프의 상태를 연계시키기 위한 연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general pitching control mechanism, a single-acting hydraulic cylinder (pitching cylinder) for rotating an arm whose one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while the other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a traveling wheel, While extending the hydraulic cylinder by supplying the hydraulic oil to the hydraulic cylinder,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hydraulic cylinder by filling the hydraulic oil into the hydraulic cylinder, and contracting the hydraulic cylinder by recovering the hydraulic oil from the hydraulic cylinder. A hydraulic pump that can be switched to any one, a float rotatably suppor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 float sensor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 with respect to the gas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nd a float detected by the float sensor. Establish a linkage mechanism to link the rotation angle to the state of the hydraulic pump To compare.

보행형 이앙기에 예비 모를 싣는 작업을 할 때에는 보행형 이앙기의 중량이 크게 증대되기 때문에 보행형 이앙기의 자세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로 보행형 이앙기에 예비 모를 싣는 작업을 했을 때, 보행형 이앙기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보행형 이앙기가 작업자에게 있어 예상 밖의 거동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는 상태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90315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951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249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9-880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3-1415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7861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다.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는 상태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기구’의 구체예로서는, 플로트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플로트의 회동 각도와 유압 펌프의 상태를 연계시키기 위한 연계 기구를 이루는 아암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플로트 센서가 회동 가능한 상태와 회동 불능인 상태를 전환하는 것(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9513호 공보 참조), 플로트 센서의 회동축의 중간부에 클러치를 마련하여 클러치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것(일본 특허 공개 소63-141510호 공보 참조), 플로트에 접촉함으로써 플로트의 이동(회동)을 규제하는 스탠드의 자세를 변경하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When the pre-loading work is carried out on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the weight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is greatly increased, so the postur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may change. Therefore, the posture of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may become unstable (when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shows unexpected behavior to an operator) when the work | work is put on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it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operating. As a solution to such a problem,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is also known that includes a 'mechanism for manually switching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operates and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does not operate'. For example,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1-90315,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4-9513,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4-24908,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9-88016,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It is as having description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3-141510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78611.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echanism for manually switching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operates and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does not operate", a linkage mechanism for link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 detected by the float sensor with the state of the hydraulic pump is provided. Switching the state where the float sensor can be rotated and the state that cannot be rotated by operating a member that detachably engages the arm to be formed (see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No. 64-9513), in the middl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float sensor It is known to provide a clutch to switch the clutch on and off (se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141510), to change the posture of a stand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rotation) of the float by contacting the float, and the like. .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951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4-2490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소63-141510호 공보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의 경우, 주클러치의 조작계(와이어 및 클러치 레버를 합한 것)와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는 상태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기구’의 조작계는 별개이기 때문에, 이들 조작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와이어 및 2개의 클러치 레버를 요한다.In the cas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described in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No. 64-9513,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No. 64-24908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141510, the control system of the main clutch (wire and clutch lever And the mechanism for manually switching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is in operat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is not in operation, so to achieve these operating systems, at least two wires and two clutch levers are used. It costs.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여 보행형 이앙기에 예비 모를 싣는 작업을 할 때에는 통상, 보행형 이앙기는 주행하지 않고 모심기 작업도 하지 않으므로, 주클러치의 조작계와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는 상태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기구’의 조작계를 연계함으로써, 주클러치를 ‘OFF’ 상태로 유지했을 때에는 피칭 제어 기구를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보행형 이앙기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903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9-88016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6-7861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다.When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is kept inoperable and the spare brim is loaded on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since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does not travel and does not work the seedlings, the operation system of the main clutch and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are operated. And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that maintains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in a non-operating state when the main clutch is kept in an 'OFF' state by link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mechanism for manually switching the non-operating state of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 For example, it is as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90315,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9-88016,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6-78611.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903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59-88016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6-78611호 공보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의 경우, 결국에는 주클러치의 조작계를 이루는 와이어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는 상태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기구’의 조작계를 이루는 와이어의 2개의 와이어를 요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의 경우,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는 상태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59-88016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6-78611호 공보에 기재된 보행형 이앙기의 경우, 2개의 조작계를 연계시키기 위한 복잡한 링크 기구를 요한다. 이와 같이, 주클러치의 조작계와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는 상태 및 피칭 제어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기구’의 조작계를 연계시키는 경우에는 이것들의 조작계가 복잡해지고, 부품 수도 많아진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described in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Hei 1-90315,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59-88016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6-78611, the wire forming the operation system of the main clutch and It requires two wires of wires that constitute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echanism for manually switching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operates and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does not operate'. In the cas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of patent document 1,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mechanism which switches a state in which a pitching control mechanism works and a state in which a pitching control mechanism does not operate" is not disclosed. In addition, the walk type rice transplanter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9-88016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6-78611 requires a complicated linking mechanism for linking two operating systems. In this way, when the operation system of the main clutch and the operation system of 'the mechanism for manually switching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operates and the state in which the pitching control mechanism does not operate' are linked, these operating systems become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

상기와 같은 과제에 착안하여, 종래에 비해 부품 수가 적은 간소한 구조로 주클러치, 및 플로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탠드를 연계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보행형 이앙기를 제공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which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main clutch and a stand for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float in a simple structure having a smaller number of parts than in the related art.

즉, 플로트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자세 및 규제하지 않는 퇴피 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스탠드와, 엔진으로부터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 및 그 정지를 행하는 주클러치에 마련되는 온 오프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기구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로서, 조작 기구는, 일단부가 스탠드에 고정되는 와이어 부재와,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주클러치의 온 오프 부재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와,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이면서 맞물림 부재보다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스프링 부재와, 와이어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조작 부재를 구비하고,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와이어 부재의 타단부를 잡아당겼을 때, 스탠드가 회동함으로써 스탠드의 자세가 퇴피 자세로부터 규제 자세로 변경됨과 함께, 온 오프 부재가 맞물림 부재와 맞물리면서 주클러치가 회동됨으로써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정지되는 것이다.That is, the stand which can change a posture between the regulation posture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front end of a float upward, and the retraction posture which does not regulate, and the main clutch which transmits the driving force from an engine to a transmission, and stops are provided.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having an operating mechanism for operating an on-off member, wherein the operating mechanism is a wire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a stand, and an engagement member fix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wire member and engaged with the on-off member of the main clutch. And a spring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that is at the one end side of the wire member rather than the engagement member while being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wire member, and an oper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by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When the end is pulled, the stand rotates from the retracted position by rotating the stand. A first position with the changes, the on-off member matmulrimyeonseo main clutch is rotated with the engaging member thereby will be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to the transmission stops.

또한, 스탠드는 기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스탠드축부와, 스탠드축부에 고정되고, 규제 자세일 때 플로트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일단부가 스탠드축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조작 아암부를 구비하고, 주클러치는 기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주아암부와, 주아암부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부와, 주아암부에 고정되고, 맞물림 부재에 맞물리는 맞물림부와, 롤러부가 엔진으로부터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벨트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주아암부를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부를 구비하고, 주클러치의 맞물림부는 온 오프 부재에 상당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and is fixed to the stand shaft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the contact portion fixed to the stand shaft portion,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 when in a regulated position, one end is fixed to the stand shaft portion, one end portion of the wire member to the other end A main arm portion having a fixed operation arm portion, the main clutch portion rotatably supported by the body, a roller portion rotatab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main arm portion, and an engaging portion fixed to the main arm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engagement member. And a bias portion for biasing the main arm portion so that the roller portion rotates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belt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to the transmission,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main clutch corresponds to the on-off member.

또한, 강선(鋼線)의 중간부를 나선상으로 성형함으로써, 강선 중 나선상으로 성형된 부분을 스프링 부재로 하고, 강선 중 나선상으로 성형되지 않은 부분을 와이어 부재로 하는 것이다.Further, by form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wire in a spiral shape, a portion formed in a spiral shape among the steel wires is used as a spring member, and a part not formed in a spiral shape in the steel wire is a wire member.

이에 의해, 종래에 비해 부품 수가 적은 간소한 구조로 주클러치, 및 플로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탠드를 연계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As a result, the main clutch and the stand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float can be operated in a simple structure having a smaller number of parts than in the related art.

즉,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180)는 스탠드(15) 및 주클러치(16)를 조작하는 것, 보다 엄밀하게는 작업자가 스탠드(15) 및 주클러치(16)를 조작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180)는 와이어 부재(181), 맞물림 부재(182), 스프링 부재(187) 및 조작 부재(190)를 구비한다.That is,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180 is used to operate the stand 15 and the main clutch 16, and more precisely, for the operator to operate the stand 15 and the main clutch 16. As shown in FIG. 18,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180 includes a wire member 181, an engagement member 182, a spring member 187, and an operation member 190.

와이어 부재(181)는 아우터 와이어(181a) 및 이너 와이어(181b)를 구비한다.The wire member 181 includes an outer wire 181a and an inner wire 181b.

아우터 와이어(181a)는 가요성을 가지는(탄성변형할 수 있는) 관상(管狀)의 부재이다. 아우터 와이어(181a)의 일단부(전단부)는 기체(2), 더욱 상세하게는 센터 프레임(24)의 좌측면에 마련된 브래킷(24a)(도 5 참조)에 고정된다. 아우터 와이어(181a)의 타단부(후단부)는 핸들 프레임(171),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프레임(171c)의 중간부이면서 좌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마련된 레버 지지 부재(171f)에 고정된다.The outer wire 181a is a tubular member having flexibility (elastic deformation). One end (front end) of the outer wire 181a is fixed to the base 2 and more specifically to a bracket 24a (see FIG. 5)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frame 24.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outer wire 181a is fixed to the lever support member 171f provided at the handle frame 171, more specifically, at the position which is the middle end of the upper frame 171c and becomes the left end side.

이너 와이어(181b)는 가요성을 가지는(탄성변형할 수 있는) 끈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이너 와이어(181b)는 복수의 가는 강선을 서로 꼰 것이며, 아우터 와이어(181a)에 관통된다. 아우터 와이어(181a)에 관통된 이너 와이어(181b)는 아우터 와이어(181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아우터 와이어(181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너 와이어(181b)의 전체 길이는 아우터 와이어(181a)의 전체 길이보다 크다. 이너 와이어(181b)의 일단부(전단부)는 후술하는 스프링 부재(187)의 코일 스프링부(187a)의 일단부(후단부)에 고정된다. 이너 와이어(181b)의 타단부(후단부)는 후술하는 레버 아암(193)에 고정된다.The inner wire 181b is a string-shaped member having flexibility (which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he inner wire 181b of this embodiment is braided with several thin steel wires, and penetrates through the outer wire 181a. The inner wire 181b penetrated through the outer wire 181a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outer wire 181a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wire 181a). The total length of the inner wire 181b is lar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outer wire 181a. One end (front end) of the inner wire 181b is fixed to one end (rear end) of the coil spring part 187a of the spring member 187 described later.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inner wire 181b is fixed to the lever arm 193 described later.

맞물림 부재(182)는 본 발명에 따른 맞물림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맞물림 부재(182)는 볼트(183) 및 너트(186)를 구비한다.The engagement member 182 is one Embodiment of the engagement memb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 19, the engagement member 182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bolt 183 and the nut 186. As shown in FIG.

볼트(183)는 두부(頭部)(184) 및 동체부(185)를 가진다. 두부(184)는 한 쌍의 단면 및 6개의 측면을 가지는 육각 기둥 모양의 부분이다. 동체부(185)는 두부(184)의 한쪽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부분이다. 동체부(185)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동체부(185)의 기단부(두부(184)에 연결되어 있는 쪽의 단부)에는 동체부(185)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동체부(185)의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85a)이 형성된다.The bolt 183 has a head 184 and a body 185. Head 184 is a hexagonal columnar portion with a pair of cross sections and six sides. The body portion 185 is a cylindrical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surface of the head 184.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85. At the proximal end of the fuselage 185 (the end connected to the head 184), a through hole 185a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uselage 18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fuselage 185 is provided. Is formed.

너트(186)는 한 쌍의 단면 및 6개의 측면을 가지는 육각 기둥 모양의 부재이다. 너트(186)에는 한 쌍의 단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86a)이 형성된다. 관통공(186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The nut 186 is a hexagonal columnar member having a pair of cross sections and six sides. The nut 186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86a passing through a pair of cross sections. A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86a.

맞물림 부재(182)는 와이어 부재(181)의 중간부에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8 및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83)의 동체부(185)에 형성된 관통공(185a)에 와이어 부재(181)의 이너 와이어(181b)를 관통시키고, 볼트(183)에 너트(186)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맞물림 부재(182)는 이너 와이어(181b)의 중간부이면서 전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고정된다.The engagement member 182 is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wire member 181.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8 and FIG. 19B, the inner wire 181b of the wire member 18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85a formed in the body portion 185 of the bolt 183. By screwing the nut 186 to the bolt 183, the engagement member 182 is fixed at a position which is the middle of the inner wire 181b and becomes the front end.

맞물림 부재(182)는 주클러치(16)의 맞물림 아암(163)에 맞물린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와이어(181b)의 중간부이면서 전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고정된 맞물림 부재(182)는 맞물림 아암(163)에 형성된 맞물림 홈(163b)에 수용된다. 맞물림 부재(182)가 맞물림 홈(163b)에 수용되었을 때, 이너 와이어(181b)는 맞물림 아암(163)에 형성된 관통 홈(163a)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The engagement member 182 meshes with the engagement arm 163 of the main clutch 16.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0 and FIG. 21, the engagement member 182 fixed at a position which is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wire 181b and the front end side thereof is an engagement groove 163b formed in the engagement arm 163. Is accommodated). When the engagement member 182 is accommodated in the engagement groove 163b, the inner wire 181b penetrates the through groove 163a formed in the engagement arm 163 in the front-rear direction.

본 실시 형태의 맞물림 부재(182)는 볼트(183) 및 너트(186)를 구비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맞물림 부재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맞물림 부재는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를 주클러치의 맞물림부에 맞물림 가능하면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Although the engagement member 182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bolt 183 and the nut 186, the engagement memb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engagement memb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may have another shape as long as it can engage the intermediate part of a wire member with the engagement part of a main clutch.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187)는 코일 스프링부(187a) 및 후크부(187b)를 가지는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다. 코일 스프링부(187a)는 스프링 부재(187) 중, 나선상으로 감긴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코일 스프링부(187a)의 일단부(후단부)는 이너 와이어(181b)의 일단부(전단부)에 고정된다. 후크부(187b)는 코일 스프링부(187a)의 타단부에 연결된 부분이다. 후크부(187b)의 일단부(후단부)는 코일 스프링부(187a)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후크부(187b)의 타단부(전단부)는 갈고리 모양으로 굴곡된다. 도 15,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187b)의 타단부는 스탠드(15)의 조작 아암 유닛(152)의 조작 아암부(152c)에 형성된 관통공(152d)에 고정된다(걸린다).As shown in FIG. 18, the spring member 187 is a metal coil spring which has the coil spring part 187a and the hook part 187b. The coil spring portion 187a is a portion formed in a spiral wound shape of the spring member 187. One end (rear end) of the coil spring portion 187a is fixed to one end (front end) of the inner wire 181b. The hook portion 187b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portion 187a. One end (rear end) of the hook part 187b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il spring part 187a, and the other end (front end) of the hook part 187b is bent in a hook shape. As shown in FIG. 15, FIG. 20, and FIG. 21, the other end part of the hook part 187b is fixed to the through-hole 152d formed in the operation arm part 152c of the operation arm unit 152 of the stand 15. As shown to FIG. (It takes).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부재(181)의 아우터 와이어(181a) 및 이너 와이어(181b), 및 스프링 부재(187)의 후크부(187b)를 합한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에 상당하고, 스프링 부재(187)의 코일 스프링부(187a)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에 상당한다. 즉,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187)의 후크부(187b)는 스탠드(15)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 부재(187)의 코일 스프링부(187a)는,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부재(와이어 부재(181)의 아우터 와이어(181a) 및 이너 와이어(181b), 그리고 스프링 부재(187)의 후크부(187b)를 합한 것)의 중간부이면서 맞물림 부재(182)보다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전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마련된다.In this embodiment, what combined the outer wire 181a of the wire member 181, the inner wire 181b, and the hook part 187b of the spring member 187 to one Embodiment of the wire memb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coil spring portion 187a of the spring member 187 corresponds to one embodiment of the sp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hook portion 187b of the spring member 187 is fixed to the stand 15. Moreover, the coil spring part 187a of the spring member 187 is the wire member (outer wire 181a and inner wire 181b of the wire member 181, and the hook part of the spring member 187 of this embodiment). (187b) is added,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one end (front end) side of the wire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loser than the engagement member 182.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부재(187)의 후크부(187b)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의 일부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크부(187b)를 전후 방향으로 짧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코일 스프링부(187a)의 전단부를 스탠드(15)에 고정하고, 코일 스프링부(187a)의 후단부에 이너 와이어(181b)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이너 와이어(181b)의 중간부에 맞물림 부재(182)를 고정해도 된다. 즉,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가 스탠드에 고정되고, 또한 스프링 부재가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이면서 맞물림 부재보다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에는 ‘스프링 부재의 일단부가 스탠드에 고정되고,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가 스프링 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또한 맞물림 부재가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 또는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포함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hook part 187b of the spring member 187 performed the function as a part of one Embodiment of the wire memb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by forming the hook portion 187b in a short 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portion 187a is substantially fixed to the stand 15, and the inner wire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portion 187a) is formed. One end of the 181b may be fixed, and the engaging member 182 may be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wire 181b.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wire member is fixed to the stand, and the spring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pring member is at the end of the wire member rather than the engagement member while being a middle part of the wire member'. And one end of the wire member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pring member, and the engagement member is fixed to the middle part of the wire member or one end of the wire member.

조작 부재(190)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이며, 스탠드(15) 및 주클러치(16)를 조작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190)는 주클러치 레버(191), 주클러치 핀(192), 레버 아암(193), 스페이서(194a·194b) 및 아암 핀(195)을 구비한다.The operation member 190 is one embodiment of the opera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ortion that an operator makes contact with by hand when operating the stand 15 and the main clutch 16. As shown in FIG. 18, the operation member 190 of this embodiment uses the main clutch lever 191, the main clutch pin 192, the lever arm 193, the spacer 194a, 194b, and the arm pin 195. Equipped.

주클러치 레버(191)는 조작 부재(190)의 주된 구조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주클러치 레버(191)는 회동통(191a), 레버 본체(191b), 그립(191c), 브래킷(191d) 및 롤러(191e)를 구비한다.The main clutch lever 191 is a part of the main structure of the operation member 190. The main clutch lever 191 is equipped with the rotating cylinder 191a, the lever main body 191b, the grip 191c, the bracket 191d, and the roller 191e.

회동통(191a)은 금속제의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회동통(191a)에는 한 쌍의 단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The rotating cylinder 191a is a metallic cylindrical member. The through hole 191a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a pair of cross sections.

레버 본체(191b)는 금속제의 막대 모양의 부재이다. 레버 본체(191b)의 일단부(기단부)는 회동통(191a)의 외주면의 일단부(좌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The lever body 191b is a metal rod-shaped member. One end (base end) of the lever main body 191b is fixed to one end (left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ylinder 191a by welding.

그립(191c)은 스탠드(15) 및 주클러치(16)를 조작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을 이루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그립(191c)은 수지 재료제의 일단부가 폐색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레버 본체(191b)의 타단부(선단부)가 그립(191c)의 개구부에 삽입됨으로써, 그립(191c)이 레버 본체(191b)에 고정된다.The grip 191c is a member constituting a part held by a worker when operating the stand 15 and the main clutch 16. The grip 191c of this embodiment is a cylindrical member in which one end of the resin material was closed. The other end (tip) of the lever body 191b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grip 191c, so that the grip 191c is fixed to the lever body 191b.

브래킷(191d)은 길고 가느다란 금속판의 일단부와 중간부의 경계선 및 금속판의 중간부와 타단부의 경계선에서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의 부재이다. 브래킷(191d)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금속판의 중간부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브래킷(191d)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단부의 판면과 타단부의 판면이 평행하게 대향된다. 브래킷(191d)의 중간부가 회동통(191a)의 외주면의 타단부(우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브래킷(191d)은 ‘브래킷(191d)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회동통(191a)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동통(191a)에 고정된다.The bracket 191d is a member that is bent at right angles at the boundary between one end and the middle of the long and thin metal plate and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middle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bracket 191d are connected by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etal plate,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bracket 191d face in parallel. As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bracket 191d is fixed by welding to the other end (right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cylinder 191a, the bracket 191d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191d are pivoting tube 191a.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cylinder (191a).

롤러(191e)는 금속제의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롤러(191e)는 브래킷(191d)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The roller 191e is a metal cylindrical member. The roller 191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bracket 191d.

주클러치 핀(192)은 주클러치 레버(191)를 핸들 프레임(1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주클러치 핀(192)은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주클러치 레버(191)의 회동통(191a)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 주클러치 핀(192)의 좌우 양단부는 회동통(191a)의 한 쌍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핸들 프레임(171)의 상부 프레임(171c)의 중간부이면서 왼쪽이 되는 위치에 고정된 레버 지지 부재(171f)에 축지된다. 주클러치 핀(192)에 의해 레버 지지 부재(171f)에 지지된 주클러치 레버(191)는 전후 방향으로(주클러치 레버(191)의 그립(191c)이 전방 및 후방으로 경도(傾倒)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in clutch pin 192 is a member for supporting the main clutch lever 191 rotatably to the handle frame 171. The main clutch pin 192 of this embodiment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member, and rotatably penetrates the rotation cylinder 191a of the main clutch lever 191.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clutch pin 192 protrude from a pair of end faces of the rotating cylinder 191a, and are fixed to a position which is left in the middle of the upper frame 171c of the handle frame 171 and on the left side thereof. 171f). The main clutch lever 191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ing member 171f by the main clutch pin 192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grip 191c of the main clutch lever 191 is longitudinally and backwardly moved). It is possible to rotate.

레버 아암(193)은 금속제의 막대 모양의 부재이다. 레버 아암(193)은 그 양단부(전단부 및 후단부)보다 중간부 쪽이 상방으로 튀어나오도록(위쪽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레버 아암(193)의 일단부(전단부)에는 와이어 부재(181)의 이너 와이어(181b)의 타단부(후단부)가 고정된다(연결된다).The lever arm 193 is a metal rod-shaped member. The lever arm 193 has a curved shape so that the middle portion protrudes upward (protrudes upward) from both ends thereof (front end and rear end).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inner wire 181b of the wire member 181 is fixed (connected) to one end (front end) of the lever arm 193.

스페이서(194a·194b)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스페이서(194a·194b)에는 모두 한 쌍의 단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The spacers 194a and 194b are cylindrical members. The spacers 194a and 194b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penetrating through a pair of end faces.

아암 핀(195)은 레버 아암(193)을 핸들 프레임(1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아암 핀(195)은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레버 아암(193)의 타단부(후단부)에 형성된 관통공 및 스페이서(194a·194b)에 형성된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 아암 핀(195)의 좌우 양단부는 각각 스페이서(194a)의 좌단부 및 스페이서(194b)의 우단부로부터 돌출되고, 레버 지지 부재(171f)에 있어서 주클러치 핀(192)이 축지된 위치보다 후방이 되는 위치에 축지된다. 아암 핀(195)에 의해 레버 지지 부재(171f)에 지지된 레버 아암(193)은 상하 방향으로(레버 아암(193)의 전단부가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rm pin 195 is a member which supports the lever arm 193 to the handle frame 171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The arm pin 195 of this embodiment is a cylindrical member generally, and rotatably penetrates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lever arm 193, and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spacer 194a, 194b. .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arm pin 195 protrude from the left end of the spacer 194a and the right end of the spacer 194b, respectively, and are rearwar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main clutch pin 192 is axially held in the lever support member 171f. It is moistened in the position to become. The lever arm 193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 member 171f by the arm pin 195 can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lever arm 193 moves upward and downward).

주클러치 레버(191) 및 레버 아암(193)이 핸들 프레임(17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었을 때, 레버 아암(193)의 하면이 롤러(191e)의 외주면에 접촉한다.When the main clutch lever 191 and the lever arm 193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handle frame 171,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arm 193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191e.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서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180)에 의한 스탠드(15) 및 주클러치(16)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tand 15 and the main clutch 16 by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18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탠드 바(151)는 스탠드 스프링(153)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187), 이너 와이어(181b) 및 맞물림 부재(182)를 합한 것은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tand bar 151 is biased in the direction which rotates counterclockwise as seen from the left side by the stand spring 153, the spring member 187, the inner wire 181b, and the engagement member The sum of 182 is moved forward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주클러치 레버(191)가 전방으로 경도된 자세로 유지되고 있을 때, 레버 아암(193)은 롤러(191e)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레버 아암(193)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한 상태(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부재(187), 이너 와이어(181b) 및 맞물림 부재(182)를 합한 것은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전방으로 끌어 당겨져,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바(151)는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탠드(15)의 자세는 ‘퇴피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맞물림 부재(182)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맞물림 부재(182)에 맞물리는 맞물림 아암(163), 나아가서는 주클러치 아암(161), 주클러치 롤러(162) 및 맞물림 아암(163)은 주클러치 스프링(164)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주클러치 롤러(162)가 벨트(72c)의 외주면에 접촉되고(눌리고), 벨트(72c)의 장력이 증대되어, 주클러치(16)가 ‘ON’이 된다. 즉, 풀리(72a)로부터 벨트(72c)를 거쳐 풀리(72a)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main clutch lever 191 is held in a forwardly tilted position, the lever arm 193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ller 191e while the front end of the lever arm 193 is rotated downward (from the left side)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rotated counterclockwise as viewed, the sum of the spring member 187, the inner wire 181b and the engagement member 182 is pulled forward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It is kept moving forwar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0, the stand bar 151 rotates counter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and the posture of the stand 15 is set to the "retraction posture". maintain. In addition, as the engaging member 182 moves forward, the engaging arm 163 which engages with the engaging member 182, and further, the main clutch arm 161, the main clutch roller 162, and the engaging arm 163 are the main parts. It rotates clockwise when seen from the left side by the biasing force of the clutch spring 164. As a result, the main clutch roller 162 contacts (de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72c, and the tension of the belt 72c is increased, so that the main clutch 16 is 'ON'. That is, the driving force can be transmitted from the pulley 72a to the pulley 72a via the belt 72c.

주클러치 레버(191)가 전방으로 경도된 자세로부터 후방으로 경도되는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레버 아암(193)의 전단부가 롤러(191e)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레버 아암(193)이 상방으로 회동한다(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레버 아암(193)이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이너 와이어(181b)의 타단부(후단부)는 주클러치 레버(191)가 전방으로 경도된 자세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보다 상방으로 잡아당겨져, 스프링 부재(187), 이너 와이어(181b) 및 맞물림 부재(182)를 합한 것은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끌어 당겨진다(후방으로 이동한다).When the main clutch lever 191 rotates in a direction that is inclined backward from the forwardly inclined posture, the front end of the lever arm 193 is pushed upward by the roller 191e, and the lever arm 193 is upward. Rotate to (rotate clockwise when seen from left side). As the lever arm 193 rotates upward,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inner wire 181b is pulled upward than the case where the main clutch lever 191 is kept in a forwardly inclined position, and thus the spring member ( 187, the inner wire 181b and the engagement member 182 combined are pulled backwards (moving backwards)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그 결과,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바(151)는 스탠드 스프링(153)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탠드(15)의 자세는 ‘퇴피 자세’로부터 ‘규제 자세’로 변경된다. 또한, 맞물림 부재(182)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맞물림 아암(163), 나아가서는 주클러치 아암(161), 주클러치 롤러(162) 및 맞물림 아암(163)을 합한 것은 맞물림 부재(182)에 맞물리면서 주클러치 스프링(164)의 바이어스 힘에 저항하여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주클러치 롤러(162)가 벨트(72c)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벨트(72c)의 장력이 감소되어, 주클러치(16)가 ‘OFF’가 된다. 즉, 풀리(72a)로부터 벨트(72c)를 거쳐 풀리(72a)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없게 되며, 나아가서는 엔진(3)으로부터 보행형 이앙기(1)의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정지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21, the stand bar 151 rotates 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in response to the biasing force of the stand spring 153, and the posture of the stand 15 is from the "retraction posture". It changes to 'regulated posture'. In addition, as the engagement member 182 moves backward, the combination of the engagement arm 163, and thus the main clutch arm 161, the main clutch roller 162, and the engagement arm 163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member 182. In response to the bias force of the main clutch spring 164, it rotates counterclockwise as seen from the left side. As a result, the main clutch roller 162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72c, the tension of the belt 72c is reduced, and the main clutch 16 is 'OFF'. That is, the driving force cannot be transmitted from the pulley 72a to the pulley 72a via the belt 72c, and further,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3 to the transmission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s stopped.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형 이앙기(1)는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자세 및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지 않는 퇴피 자세 사이에서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스탠드(15)와, 엔진(3)으로부터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 및 그 정지를 행하는 주클러치(16)에 마련되는 온 오프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맞물림 아암(163))를 조작하는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180)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로서,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180)는 일단부(전단부)가 스탠드(15)에 고정되는 와이어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부재(181)의 아우터 와이어(181a) 및 이너 와이어(181b), 그리고 스프링 부재(187)의 후크부(187b)를 합한 것)와,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주클러치(16)의 온 오프 부재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182)와,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이면서 맞물림 부재(182)보다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전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스프링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부재(187)의 코일 스프링부(187a))와, 와이어 부재의 타단부(후단부)에 연결되는 조작 부재(190)를 구비하고, 조작 부재(190)를 조작함으로써(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클러치 레버(191)를 후방으로 경도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와이어 부재의 타단부(후단부)를 잡아당겼을 때, 스탠드(15)가 회동함으로써 스탠드(15)의 자세가 ‘퇴피 자세’로부터 ‘규제 자세’로 변경됨과 함께, 주클러치(16)의 온 오프 부재가 맞물림 부재(182)와 맞물리면서 주클러치(16)가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보행형 이앙기(1)의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즉, 종래에 비해 부품 수가 적은 간소한 구조(실질적으로는 1개의 와이어 부재)로 주클러치(16) 및 스탠드(15)를 연계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클러치(16) 및 스탠드(15)를 연계하여 조작하는 구조를 종래에 비해 부품 수가 적은 간소한 구조(실질적으로는 1개의 와이어 부재)로 함으로써, 당해 구조를 적은 스페이스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행형 이앙기(1)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As described above,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s provided between a restraint posture that regulates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to move upward and a retreat posture that does not restrict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to move upward. On-off member (engagement arm 163 in this embodiment) provided in the stand 15 which can change a posture, and the main clutch 16 which transmits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3 to a transmission, and stops it.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having a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180 for operating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on mechanism, wherein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180 has a wire member having one end (front end) fixed to the stand 15 (this embodiment). In the form, the outer wire 181a and the inner wire 181b of the wire member 181, and the hook portion 187b of the spring member 187) are fix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wire member, and the main clutch 16 on and off The spring member (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member (182) which is provided in the engagement member 182 which meshes with a member, and the intermediate | middle part of a wire member, and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one end (front end) side of a wire member rather than the engagement member 182. A coil spring portion 187a of 187 and an operation member 190 connected to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wire member, and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190 (in this embodiment, the main clutch lever). When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wire member is pulled out by rotating the 191 in the backward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and 15 is rotated so that the posture of the stand 15 is changed from the "retreat posture" to the "regulated posture". And the on-off member of the main clutch 16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member 182 while the main clutch 1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so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It is not. This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That is, the main clutch 16 and the stand 15 can be operated in linkage with a simple structure (substantially one wire member) with fewer part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operating the main clutch 16 and the stand 15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can be arranged in a smaller space by using a simpler structure (substantially one wire member) with fewer parts than before. This increases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가 논으로부터의 부력 등의 외력을 받아서 이미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로 조작 부재(190)를 조작하는 경우(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클러치 레버(191)를 후방으로 경도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스탠드(15)가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를 하방으로 내리누르면서 스탠드(15)의 자세를 ‘퇴피 자세’로부터 ‘규제 자세’로 변경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조작 부재(190)를 조작하는 힘으로 보행형 이앙기(1)의 기체(2)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 조작 부재(190)를 조작할 때 큰 힘을 요한다.When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operates the operation member 190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enter float 10C is already moved upward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such as buoyancy from the paddy field (in this embodiment, the main clutch lever 191 is stiffened backwards). Rotation of the stand 15, the stand 15 changes the posture of the stand 15 from the "retreat posture" to the "regulated posture" while pushing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downward. The body 2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s lifted by the force which manipulates the operation member 190. FIG. In this case, great force is required when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190.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부재의 중간부이면서 맞물림 부재(182)보다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전단부) 쪽이 되는 위치에 스프링 부재(187)의 코일 스프링부(187a)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조작 부재(190)를 조작했을 때(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클러치 레버(191)를 후방으로 경도되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187)의 코일 스프링부(187a)가 탄성변형되어 늘어남으로써 스탠드(15)의 자세가 ‘퇴피 자세’로 유지되고, 또한 주클러치(16)는 즉시(확실하게) ‘OFF’가 된다. 이와 같이, 보행형 이앙기(1)는 센터 플로트(10C)의 전단부가 외력을 받아서 이미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스탠드(15)의 자세를 ‘퇴피 자세’로부터 ‘규제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서 큰 힘을 요하는 경우에는, 스탠드(15)의 자세를 ‘퇴피 자세’로 유지하면서 주클러치(16)를 ‘ON’에서 ‘OFF’로 확실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il spring part 187a of the spring member 187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is an intermediate part of a wire member, and becomes one end (front end) side of a wire member rather than the engagement member 182, operation When the member 190 is operate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main clutch lever 191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clined backward), the coil spring portion 187a of the spring member 187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tretched. The posture of the stand 15 is kept in the 'retraction posture', and the main clutch 16 is immediately (surely) turned 'OFF'. As described above,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changes the posture of the stand 15 from the "retreat posture" to the "regulated posture" due to the fact that the front end of the center float 10C is already moved upward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case where a large force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switch the main clutch 16 from 'ON' to 'OFF'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stand 15 in the 'retraction posture'.

또한, 보행형 이앙기(1)의 스탠드(15)는 기체(2)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는 스탠드축부(151a·151e)와, 스탠드축부(151a·151e)에 (연결부(151b·151d)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규제 자세’일 때 센터 플로트(10C)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부(151c)와, 일단부가 스탠드축부(151a)에 (통부(152a)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와이어 부재의 일단부(스프링 부재(187)의 후크부(187b))가 고정되는 조작 아암부(152c)를 구비하고, 보행형 이앙기(1)의 주클러치(16)는 기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주클러치 아암(161)과, 주클러치 아암(161)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주클러치 롤러(162)와, 주클러치 아암(161)에 고정되고, 맞물림 부재(182)에 맞물리는 맞물림 아암(163)과, 주클러치 롤러(162)가 엔진(3)으로부터 보행형 이앙기(1)의 트랜스미션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행하는 벨트(72c)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주클러치 아암(161)을 바이어스하는 주클러치 스프링(164)을 구비하고, 주클러치(16)의 맞물림 아암(163)은 보행형 이앙기(1)의 온 오프 부재에 상당한다.Moreover, the stand 15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s connected to the stand shaft part 151a * 151e and the stand shaft part 151a * 151e rotatably supported by the base | substrate 2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51b * 151d). The contact portion 151c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loat 10C and the one end portion is fixed to the stand shaft portion 151a (via the cylinder portion 152a) when the control position is fixed. The operation arm part 152c to which the one end part of the wire member (hook part 187b of the spring member 187) is fixed is provided, and the main clutch 16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rotates to the base | substrate 2 The main clutch arm 161 supported by the main clutch, the main clutch roller 162 rotatab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main clutch arm 161, and the main clutch arm 161 are fixed to each other, and the engagement member 182 is fixed. The engagement arm 163 engaged with the main arm and the main clutch roller 162 transmit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3 to the transmission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main clutch spring 164 biases the main clutch arm 161 so as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belt 72c, and the engaging arm 163 of the main clutch 16 is turned on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t corresponds to an off member.

이하에서는, 도 22를 참조하면서 보행형 이앙기의 조작 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인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38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보행형 이앙기(1)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on mechanism 380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mechanism of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In addition, below,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by attaching | subjecting the same member number with respect to the member same as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380)는 제1 강선(381), 맞물림 부재(182), 회동 브래킷(383), 제2 강선(384) 및 조작 부재(19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2,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380 includes a first steel wire 381, an engagement member 182, a rotation bracket 383, a second steel wire 384, and an operation member 190. do.

제1 강선(381)은 강선의 실시의 일 형태이며, 철강 재료에 드로잉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이것을 선형으로 성형한 것이다.The first steel wire 381 is one embodiment of steel wire, and is formed by linearly forming a steel material by drawing.

제1 강선(381)의 일단부(전단부)는 갈고리 모양으로 굴곡됨으로써 후크부(381a)를 이룬다. 후크부(381a)는 스탠드(15)의 조작 아암 유닛(152)의 조작 아암부(152c)에 형성된 관통공(152d)에 고정된다(걸린다)(도 17 참조).One end (front end) of the first steel wire 381 is hooked to form a hook portion 381a. The hook portion 381a is fixed (hung) to the through hole 152d formed in the operation arm portion 152c of the operation arm unit 152 of the stand 15 (see Fig. 17).

제1 강선(381)의 중간부는 나선상으로 성형됨으로써 스프링부(381b)를 이룬다. 스프링부(381b)는 스프링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이며, 탄성 변형 가능하다.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steel wire 381 forms a spiral to form a spring portion 381b. The spring portion 381b is one embodiment of the spring member an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제1 강선(381)으로부터 후크부(381a) 및 스프링부(381b)를 제외한 부분(더욱 상세하게는, 제1 강선(381) 중 후크부(381a)와 스프링부(381b) 사이에 낀 부분 및 스프링부(381b)의 후단부로부터 제1 강선(381)의 후단부까지의 부분을 합한 것)은 와이어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A portion except for the hook portion 381a and the spring portion 381b from the first steel wire 381 (more specifically, the portion caught between the hook portion 381a and the spring portion 381b of the first steel wire 381 and The sum of the parts from the rear end of the spring portion 381b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steel wire 381) is one embodiment of the wire member.

제1 강선(381)의 중간부로서 스프링부(381b)보다 제1 강선(381)의 후단부 쪽이 되는 부분에는 맞물림 부재(182)가 고정된다.An engagement member 182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first steel wire 381 that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steel wire 381 as a middle portion of the first steel wire 381b.

회동 브래킷(383)은 원통부(383a), 제1 아암부(383b) 및 제2 아암부(383c)를 구비한다.The rotation bracket 383 is provided with the cylindrical part 383a, the 1st arm part 383b, and the 2nd arm part 383c.

원통부(383a)는 금속제의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원통부(383a)는 핸들 프레임(171)의 하부 프레임(171a)(도 18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다.The cylindrical portion 383a is a metallic cylindrical member. The cylindrical portion 383a is rotatably penetrated through the lower frame 171a (see FIG. 18) of the handle frame 171.

제1 아암부(383b) 및 제2 아암부(383c)는 금속제의 길고 가느다란 판상의 부재이다. 제1 아암부(383b) 및 제2 아암부(383c)의 일단부는 원통부(383a)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원통부(383a)의 외주면에 고정된 제1 아암부(383b) 및 제2 아암부(383c)의 길이 방향은 원통부(383a)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제1 아암부(383b) 및 제2 아암부(383c)의 타단부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 아암부(383b)의 타단부에는 제1 강선(381)의 후단부가 고정된다(제1 강선(381)의 후단부는 제1 아암부(383b)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걸린다).The first arm portion 383b and the second arm portion 383c are long, thin plate-shaped members made of metal. One end of the first arm portion 383b and the second arm portion 383c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83a by wel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1st arm part 383b and the 2nd arm part 383c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383a is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part 383a.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rm portion 383b and the second arm portion 383c, respectively. The rear end of the first steel wire 381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portion 383b (the rear end of the first steel wire 381 is caught by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portion 383b).

제2 강선(384)은 철강 재료에 드로잉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이것을 선형으로 성형한 것이다. 제2 강선(384)의 일단부는 제2 아암부(383c)의 타단부에 고정된다(제2 강선(384)의 일단부는 제2 아암부(383c)의 타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걸린다).The second steel wire 384 is formed by linearly forming the steel material by drawing. One end of the second steel wire 384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portion 383c (one end of the second steel wire 384 is caught by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portion 383c).

상술한 바와 같이,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380)는 제1 강선(381)의 중간부를 나선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1 강선(381) 중 나선상으로 성형된 부분인 스프링부(381b)를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로 하고, 제1 강선(381) 중 나선상으로 성형되지 않은 부분을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부재의 실시의 일 형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즉, 도 1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보행형 이앙기(1)의 와이어 부재(181)는 아우터 와이어(181a) 및 이너 와이어(181b)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보행형 이앙기(1)를 예를 들어 황사와 같이 미소한 분진이 많은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18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너 와이어(181b)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진이 아우터 와이어(181a)의 내부(아우터 와이어(181a)의 내주면과 이너 와이어(181b)의 외주면의 틈)에 들어와서, 아우터 와이어(181a)에 대한 이너 와이어(181b)의 이동(슬라이딩)을 저해하는(움직임이 무거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이너 와이어(181b)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빈번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어서, 유지 및 보수가 번잡해진다. 그러나, 주클러치·스탠드 조작 기구(380)의 경우에는, 원래 아우터 와이어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강선(381)의 외주면에 부착된 분진에 의해 제1 강선(381)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아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와이어 부재로서 강선을 이용하고, 강선의 중간부를 나선상으로 성형하고, 나선상으로 성형한 부분을 스프링 부재로 이용함으로써, 와이어 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별체(別體)로 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380 forms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steel wire 381 in a spiral shape, thereby forming the spring portion 381b, which is a portion formed in the spiral shape among the first steel wires 38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sp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first steel wire 381 that is not formed in a spiral shape is one embodiment of the wir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That is, the wire member 181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shown to FIGS. 1-21 is equipped with the outer wire 181a and the inner wire 181b,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s a yellow sand, for example. When used in an area with a small amount of dust, such as, the dust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ire 181b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180 is formed inside the outer wire 181a (outer wire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181a and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ire 181b may come in to inhibit movement (sliding) of the inner wire 181b relative to the outer wire 181a. In order to avoid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remove the dust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inner wire 181b, resulting in complicated maintenance and repair.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in clutch stand operating mechanism 380, since the structure does not include the outer wire, the movement of the first steel wire 381 is inhibited by the dust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el wire 381. Not easy to maintain and repair. In addition, by using a steel wire as a wire member, form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wire in a spiral shape, and using a spiral molded portion as a spring member,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wire member and the spring member are separated. It is possible to cut.

이하에서는 도 23 내지 도 25까지를 참조하면서 변속 기구(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속 기구(12)는 전동 기구(7)에 있어서의 변속 기어(75) 및 주간 변속 기어(88)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기구이다. 변속 기구(12)는 변속 조작축(411), 맞물림 부재(412), 제1 주행 변속 아암(413), 제2 주행 변속 아암(414), 주행 변속 포크축(415), 주행 변속 포크(416), 볼(417), 스프링(418), 주간 변속 아암(419), 주간 변속 포크축(420), 주간 변속 포크(421), 볼(422) 및 스프링(423)을 구비한다.Hereinafter, the transmission mechanism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25. The shift mechanism 12 is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shift gear 75 and the main shift gear 88 in the transmission mechanism 7. The shift mechanism 12 includes a shift operation shaft 411, an engagement member 412, a first travel shift arm 413, a second travel shift arm 414, a travel shift fork shaft 415, and a travel shift fork 416. ), A ball 417, a spring 418, a weekly shifting arm 419, a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a weekly shifting fork 421, a ball 422, and a spring 423.

변속 조작축(411)은 작업자에 의한 조작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변속 조작축(411)은 오일 씰(23a)을 개재하여 미션 케이스(23)(우측 부재(23R))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공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된다. 변속 조작축(411)의 후단부는 미션 케이스(23)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변속 조작축(411)은 미션 케이스(23)에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면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변속 조작축(411)의 후단에는 좌우 한 쌍의 측면을 가지는 판상부(411a)가 형성된다.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transmits the operation force by the operator.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inserted inward from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ission case 23 (right member 23R) via the oil seal 23a. The rear end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protrudes from the mission case 23.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supported by the mission case 23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and slidably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 plate-shaped portion 411a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is formed.

맞물림 부재(412)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대체로 원통상의 부재이다. 맞물림 부재(412)의 전후 양단부에 전후 중앙부보다 외경이 커지는 한 쌍의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맞물림 부재(412)의 전후 한 쌍의 플랜지부 사이에 맞물림 홈(412a)이 형성된다. 맞물림 부재(412)의 관통공에는 변속 조작축(411)이 삽입관통된다. 맞물림 부재(412)는 변속 조작축(411)에 상대 회전 불능이면서 슬라이딩 불능으로 지지된다.The engagement member 412 is a generally cylindrical member with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air of flange portions whose out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center portions are formed at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engagement member 412, and an engagement groove 412a is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air of flange portions of the engagement member 412.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engagement member 412. The engagement member 412 is supported by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while being un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sliding operation shaft 411.

제1 주행 변속 아암(413)은 맞물림 부재(412)에 의해 회동 조작되는 것이다. 제1 주행 변속 아암(413)은 대체로 타원 형상의 주판(主板)(413a), 원통부(413b) 및 원기둥 형상의 맞물림부(413c)를 구비한다. 주판(413a)은 판면을 상하를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주판(413a)의 일단 측에는 원통부(413b)가 주판(413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고정된다. 주판(413a)의 상면의 타단 측에는 맞물림부(413c)가 마련된다. 맞물림부(413c)는 맞물림 부재(412)의 맞물림 홈(412a)에 맞물린다.The first travel shift arm 413 is rotated by the engagement member 412. The first traveling shift arm 413 includes an elliptical main plate 413a, a cylindrical portion 413b, and a cylindrical engaging portion 413c. The main plate 413a is disposed with the plate surface facing up and down. At one end of the main plate 413a, the cylindrical portion 413b is fixed to penetrate the main plate 413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ngaging portion 413c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late 413a. The engagement portion 413c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412a of the engagement member 412.

제2 주행 변속 아암(414)은 제1 주행 변속 아암(413)과 함께 회동하는 것이다. 제2 주행 변속 아암(414)은 원기둥부(414a) 및 대체로 테이퍼상으로 형성된 일단을 가지는 맞물림판(414b)을 구비한다. 원기둥부(414a)는 그 축선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다. 원기둥부(414a)의 하단에는 맞물림판(414b)의 타단이 고정된다. 원기둥부(414a)의 중간부는 미션 케이스(2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부(미션 케이스(23)에 의해 지지된 부분보다 상방의 부분)는 제1 주행 변속 아암(413)의 원통부(413b)에 삽입관통된다. 원기둥부(414a)는 제1 주행 변속 아암(413)에 상대 회전 불능이면서 슬라이딩 불능으로 고정된다.The second travel shift arm 414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travel shift arm 413. The second traveling shift arm 414 includes an engagement plate 414b having a cylindrical portion 414a and a generally tapered end. The cylinder part 414a is arrange | positioned making the axial direction the up-down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plate 414b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4a.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cylinder part 414a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ission case 23, and the upper end part (part above upper part supported by the mission case 23) is the cylindrical part of the 1st traveling shift arm 413 ( 413b). The cylinder portion 414a is fixed to the first travel shift arm 413 while being incapable of relative rotation and incapable of sliding.

주행 변속 포크축(415)은 주행 변속 포크(416)를 지지하는 것이다. 주행 변속 포크축(415)은 그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미션 케이스(23)에 회동 불능으로 지지된다. 주행 변속 포크축(415)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을 축선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홈부(415a)가 형성된다.The traveling shift fork shaft 415 supports the traveling shift fork 416. The traveling transmission fork shaft 415 is disposed with its axis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supported by the mission case 23 in a non-rotable mann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veling transmission fork shaft 415, a groove portion 415a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주행 변속 포크(416)는 변속 기어(75)와 맞물리는 것이다. 주행 변속 포크(416)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공(416a), 단부에 대체로 반원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맞물림부(416b), 및 상향으로 개구되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오목한 형상의 맞물림 홈(416c)을 구비한다. 관통공(416a)에 주행 변속 포크축(415)이 삽입관통되고, 주행 변속 포크(416)가 주행 변속 포크축(415)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맞물림부(416b)는 변속 기어(75)에 맞물린다. 맞물림 홈(416c)에는 제2 주행 변속 아암(414)의 맞물림판(414b)이 맞물린다.The traveling transmission fork 416 meshes with the transmission gear 75. The traveling shift fork 416 has a through hole 416a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 engaging portion 416b having a semicircular recess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n engaging groove 416c having a concave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pening upward. Equipped. The travel shift fork shaft 415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6a, and the travel shift fork 416 is supported by the travel shift fork shaft 415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engagement portion 416b is engaged with the transmission gear 75. The engaging plate 414b of the second travel shift arm 41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416c.

볼(417) 및 스프링(418)은 관통공(416a)과 직교하도록 주행 변속 포크(416)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수용된다. 스프링(418)은 볼(417)을 관통공(416a)에 삽입관통된 상태의 주행 변속 포크축(415)을 향하여 바이어스한다. 볼(417)의 일부가 주행 변속 포크(416)의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홈부(415a)의 어느 홈에 맞물려 있는 경우, 주행 변속 포크(416)의 주행 변속 포크축(415)에 대한 상대 위치가 당해 위치로 유지되기 쉬워진다.The ball 417 and the spring 418 are accommodated in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traveling shift fork 416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through hole 416a. The spring 418 biases the ball 417 toward the traveling shift fork shaft 415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16a. When a part of the ball 417 protrudes from the hole of the traveling shift fork 416 and is engaged with any groove of the groove 415a,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raveling shift fork 416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shift fork shaft 415 is It becomes easy to hold | maintain in the said position.

주간 변속 아암(419)은 변속 조작축(411)에 의해 회동 조작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주간 변속 아암(419)은 원통부(419a) 및 대체로 테이퍼상으로 형성된 일단을 가지는 맞물림판(419b)을 구비한다. 원통부(419a)는 그 개구부를 전후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원통부(419a)의 전단 하측에는 맞물림판(419b)의 타단이 고정된다. 원통부(419a)에는 변속 조작축(411)이 삽입관통된다. 원통부(419a)는 변속 조작축(411)에 상대 회전 불능이면서 슬라이딩 불능으로 고정된다. 맞물림판(419b)은 일단을 대체로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The weekly shifting arm 419 is rotated by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nd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weekly shifting arm 419 has an engaging plate 419b having a cylindrical portion 419a and a generally tapered end. The cylindrical portion 419a is disposed with its opening facing the front-back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plate 419b is fixed below the front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9a.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inserted through the cylindrical portion 419a. The cylindrical portion 419a is fixed to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while being un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cylinder 411a. Engagement plate 419b is disposed with one end generally downward.

주간 변속 포크축(420)은 주간 변속 포크(421)를 지지하는 것이다. 주간 변속 포크축(420)은 그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하여, 미션 케이스(23)에 회동 불능으로 지지된다. 주간 변속 포크축(4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을 축선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홈부(420a)가 형성된다.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supports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is supported by the mission case 23 in a non-rotatable manner so that its axial direction is direct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is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420a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groov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주간 변속 포크(421)는 주간 변속 기어(88)와 맞물리는 것이다. 주간 변속 포크(421)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공(421a), 단부에 대체로 반원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맞물림부(421b), 및 상향으로 개구되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오목한 형상의 맞물림 홈(421c)을 구비한다. 관통공(421a)에는 주간 변속 포크축(420)이 삽입관통되고, 주간 변속 포크(421)가 주간 변속 포크축(420)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맞물림부(421b)는 주간 변속 기어(88)에 맞물린다. 맞물림 홈(421c)에는 주간 변속 아암(419)의 맞물림판(419b)이 맞물린다.The weekly shifting fork 421 is in engagement with the weekly shifting gear 88.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has a through hole 421a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 engaging portion 421b having a semicircular recess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n engaging groove 421c having a concave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pening upward. Equipped.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21a, and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is supported by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engagement portion 421b is engaged with the weekly shift gear 88. The engaging plate 419b of the weekly shifting arm 419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421c.

볼(422) 및 스프링(423)은 관통공(421a)과 직교하도록 주간 변속 포크(421)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수용된다. 스프링(423)은 볼(422)을 관통공(421a)에 삽입관통된 상태의 주간 변속 포크축(420)을 향하여 바이어스한다. 볼(422)의 일부가 주간 변속 포크(421)의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홈부(420a)의 어느 홈에 맞물려 있는 경우, 주간 변속 포크(421)의 주간 변속 포크축(420)에 대한 상대 위치가 당해 위치로 유지되기 쉬워진다.The ball 422 and the spring 423 are accommodated in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through hole 421a. The spring 423 biases the ball 422 toward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1a. When a part of the ball 422 protrudes from the hole of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and is engaged with any groove of the groove portion 420a,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with respect to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is It becomes easy to hold | maintain in the said position.

이하에서는,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서 변속 기구(12)의 동작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변속 기어(75)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spect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12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24 and FIG. First,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75 is changed is demonstrated.

변속 조작축(411)이 축선 방향(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변속 조작축(411)과 함께 맞물림 부재(412)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맞물림 부재(41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맞물림 부재(412)와 함께 맞물림부(413c)도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주행 변속 아암(413)이 원통부(413b)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제1 주행 변속 아암(413)이 회동하면, 제1 주행 변속 아암(413)과 함께 제2 주행 변속 아암(414)도 회동한다. 제2 주행 변속 아암(414)이 회동하면, 주행 변속 포크(416)의 맞물림 홈(416c)에 맞물린 맞물림판(414b)에 의해, 주행 변속 포크(416)가 주행 변속 포크축(415)의 축선 방향(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주행 변속 포크(416)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주행 변속 포크(416)와 함께 변속 기어(75)가 변속축(74) 위를 이동한다.When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engagement member 412 also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When the engagement member 412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engagement portion 413c generally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engagement member 412, and the first travel shift arm 413 is centered on the cylindrical portion 413b. Rotate. When the first travel shift arm 413 rotates, the second travel shift arm 414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travel shift arm 413. When the second travel shift arm 414 is rotated, the travel shift fork 416 is driven by the engagement plate 414b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416c of the travel shift fork 416. Sliding in the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travel shift fork 416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hift gear 75 moves along the shift shaft 74 together with the travel shift fork 416.

이와 같이, 변속축(74)에 대한 변속 기어(75)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행형 이앙기(1)의 주행 및 정지, 주행 방향(전진 및 후진), 그리고 전진 시의 주행 속도(전진 1속 및 전진 2속)를 전환하는(즉, 주행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Thu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75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shaft 74, the traveling and stopping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driving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traveling speed (forward forward 1 speed) And 2 forward speeds (that is,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can be made.

한편, 주행 변속 포크축(415)의 홈부(415a)의 각 홈은 변속축(74)에 대한 변속 기어(75)의 위치(‘왼쪽으로부터 첫 번째 위치’로부터 ‘왼쪽으로부터 네 번째 위치’까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행 변속 포크(416)를 각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groove of the groove portion 415a of the traveling transmission fork shaft 415 is the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75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shaft 74 (from the first position from the left to the fourth position from the left). It is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reby, the traveling transmission fork 416 can be maintained in each position.

이어서, 주간 변속 기어(88)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weekly speed change gear 88 is changed is demonstrated.

변속 조작축(411)이 축선 주위로 회동되면, 변속 조작축(411)과 함께 주간 변속 아암(419)도 원통부(419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주간 변속 아암(419)이 회동하면, 주간 변속 포크(421)의 맞물림 홈(421c)에 맞물린 맞물림판(419b)에 의해, 주간 변속 포크(421)가 주간 변속 포크축(420)의 축선 방향(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주간 변속 포크(421)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주간 변속 포크(421)와 함께 주간 변속 기어(88)가 주간 변속축(85) 위를 이동한다.When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rotated around the axis, the weekly shift arm 419 also rotates around the cylindrical portion 419a together with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When the weekly shifting arm 419 rotates, the interlocking plate 419b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421c of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causes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Sliding side to side). When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weekly shifting gear 88 moves along the weekly shifting shaft 85 together with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이와 같이, 주간 변속축(85)에 대한 주간 변속 기어(88)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행형 이앙기(1)의 주간을 전환하는(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witch (change) the daytim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weekly speed change gear 88 with respect to the weekly speed change shaft 85.

한편, 주간 변속 포크축(420)의 홈부(420a)의 각 홈은 주간 변속축(85)에 대한 주간 변속 기어(88)의 위치(‘왼쪽으로부터 첫 번째 위치’로부터 ‘왼쪽으로부터 다섯 번째 위치’까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간 변속 포크(421)를 각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groove of the groove portion 420a of the weekly shifting fork shaft 420 is the position of the weekly shifting gear 88 with respect to the weekly shifting shaft 85 (from the first position from the left to the fifth position from the lef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reby, the weekly speed change fork 421 can be maintained at each position.

또한, 변속 조작축(411)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경우, 주간 변속 아암(419)의 맞물림판(419b)은 주간 변속 포크(421)의 맞물림 홈(421c)의 전후 방향폭 내에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변속 조작축(411)의 축선 방향 위치에 관계없이 맞물림판(419b)과 맞물림 홈(421c)이 맞물리고, 변속 조작축(411)을 회동 조작하면 주간 변속 포크(421)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the engaging plate 419b of the weekly shifting arm 419 moves within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engaging groove 421c of the weekly shifting fork 421. As a result, the engagement plate 419b and the engagement groove 421c are engaged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axial position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nd when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s rotated, the weekly shift fork 421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slid.

상술한 바와 같이, 변속 조작축(411)을 조작함으로써, 주행 속도의 변경 및 주간의 변경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행 속도의 변경 및 주간의 변경의 2개의 변속을 행함에도 불구하고, 미션 케이스(23)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는 조작축은 변속 조작축(411) 하나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23)의 후면에 형성된 삽입공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23)와 변속 조작축(411)의 슬라이딩부에 진흙이나 먼지 등이 끼어들어 갈 가능성을 줄여서, 오일 누출의 발생이나, 미션 케이스 내부로의 진흙이나 먼지 등의 침입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traveling speed and change the daytime. Thereby, despite the two shifts of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and changing the daytime, only one shifting operation shaft 411 is sufficient for the operation shaft projecting from the inside of the mission case 23 to the outside. 23, the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reduces the possibility of mud or dust getting into the sliding portions of the mission case 23 and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so that oil leakage or Intrusion of mud and dust can be suppressed.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28까지를 참조하면서 변속 조작 기구(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속 조작 기구(13)는 변속 기구(12)에 있어서의 변속 조작축(411)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축선 주위로 회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변속 조작 기구(13)는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 변속 로드(432), 볼트(433), 너트(434), 제2 조작구로서의 주간 변속 레버(435), 주행 변속 레버 지렛목 부재(436), 제1 조작구로서의 주행 변속 레버(437), 와셔(438), 스프링(439), 레버 가이드 시트(440), 지시 부재로서의 지시 핀(441) 및 표시 부재로서의 표시 부재(442)를 구비한다.Hereinafter,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to 28.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13 is a mechanism for sliding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in the shift mechanism 12 in the axial direction and rotating around the axis.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13 includes a travel shift lever guide 431, a shift rod 432, a bolt 433, a nut 434, a weekly shift lever 435 as a second operation tool, and a travel shift lever lever member 436. ), A traveling shift lever 437 as a first operating tool, a washer 438, a spring 439, a lever guide sheet 440, an instruction pin 441 as an instruction member, and a display member 442 as a display member. do.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는 주행 변속 레버(437)의 조작 방향을 작업자에게 나타냄과 함께, 주행 변속 레버(437)를 안내하는 것이다.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는 금속판이나 수지판 등에 의해 형성되고, 후측의 판면을 뒤쪽 상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에는 좌우 방향에 걸쳐 가이드 구멍(431a)이 형성된다.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는 중앙 식부 케이스(27C)의 상부에 세로 반송 케이스(65)를 개재하여 고정된다. 세로 반송 케이스(65)는 모 공급 장치(6)의 세로 반송 장치(62)를 수용하는 부재이다.As shown in FIG. 26,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shows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to an operator, and guides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As shown in FIG.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is formed of a metal plate, a resin plate, or the like, and is disposed with the rear plate face facing upward. A guide hole 431a is formed in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planting case 27C via the vertical conveyance case 65. The vertical conveyance case 65 is a member which accommodates the vertical conveyance apparatus 62 of the mother supply apparatus 6.

도 26 내지 도 2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속 로드(432)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력을 변속 조작축(411)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변속 로드(432)는 주판(432a), 연결판(432b·432c), 원기둥부(432d), 플랜지부(432e·432f) 및 맞물림 홈(432g)을 구비한다. 주판(432a)은 대체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판재이다. 주판(432a)은 판면을 전후를 향하게 하고, 길이 방향을 대체로 좌우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연결판(432b·432c)은 주판(432a)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판재이다. 한쪽의 연결판(432b)은 주판(432a)의 좌우 중앙보다 좌측에, 다른 쪽의 연결판(432c)은 주판(432a)의 좌우 중앙보다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좌우의 연결판(432b·432c)은 서로 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게 마련된다. 원기둥부(432d)는 주판(432a)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대체로 원기둥상의 부재이다. 원기둥부(432d)는 주판(432a)의 좌우 중앙에 배치된다. 플랜지부(432e·432f)는 원기둥부(432d)의 후단 및 전후 중간부에 형성되고, 원기둥부(432d)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전후 한 쌍의 원형 판상의 부분이다. 플랜지부(432e·432f)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이 마련된다. 맞물림 홈(432g)은 플랜지부(432e·432f) 사이에 형성되는 홈이다.As shown to FIG. 26 to FIG. 28, the shift rod 432 transmits the operation force by an operator to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s shown to FIG. The speed change rod 432 includes a main plate 432a, a connecting plate 432b and 432c, a cylinder portion 432d, a flange portion 432e and 432f, and an engagement groove 432g. The main plate 432a is a plate formed in an generally oval shape. The main plate 432a is disposed so that the plate surface face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generally fac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nnecting plates 432b and 432c are a pair of left and right plate members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plate 432a. One connecting plate 432b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main plate 432a, and the other connecting plate 432c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main plate 432a. These left and right connecting plates 432b and 432c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cylinder portion 432d is a generally cylindrical member that projects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432a toward the rear side. The cylinder portion 432d is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main plate 432a. The flange portions 432e and 432f are formed at the rear end and the front and rear middle portions of the cylinder portion 432d and are a pair of front and rear circular plate-shaped portion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portion 432d. A gap of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432e and 432f. The engagement groove 432g is a groove forme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432e and 432f.

좌우의 연결판(432b·432c) 사이에는 미션 케이스(23) 밖에 있는 변속 조작축(411)의 판상부(411a)가 삽입된다. 볼트(433)가 우측의 연결판(432c), 판상부(411a), 좌측의 연결판(432b) 순으로 삽입관통되고, 연결판(432b)의 좌측방에서 너트(43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변속 조작축(411)과 변속 로드(432)가 연결된다. 이때, 변속 조작축(411)과 변속 로드(432)의 원기둥부(432d)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다.The plate-shaped part 411a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which is outside the mission case 23 is inser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plates 432b and 432c. The bolt 433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ng plate 432c on the right side, the plate portion 411a, and the connecting plate 432b on the left side, and is fastened by the nut 434 on the left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432b.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nd the shift rod 432 are connected. At this time,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32d of the shift rod 432 are disposed on the same axis.

주간 변속 레버(435)는 변속 로드(432)를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하는 것이다. 주간 변속 레버(435)는 원기둥상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그 축선 방향을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다. 주간 변속 레버(435)의 하단은 변속 로드(432)의 원기둥부(432d)의 외주면 상측에 고정된다. 주간 변속 레버(435)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를 절곡함으로써, 주간 변속 레버(435)의 상부는 하부에 대하여 좌방으로 기울어진다. 주간 변속 레버(435)의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잡기 위한 그립이 장착된다. 주간 변속 레버(435)는 변속 로드(432)로부터, 조작부(17)를 이용하여 보행형 이앙기(1)에 의해 모의 식부 작업 중에 기체(2)의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로부터는 손이 닿지 않아서 조작 불가능하지만, 이 작업을 중단하고 기체(2)의 측방(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행 방향 좌방)으로 이동한 작업자로부터는 조작 가능한 위치까지 연장된다. 작업자는 보행형 이앙기(1)의 좌측방(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대(21)의 좌측방이면서 좌측방 프레임(26L)의 전방)에 서서 주간 변속 레버(435)를 조작할 수 있다.The weekly shift lever 435 rotates the shift rod 432 around the axis. The weekly shift lever 435 is formed by bending a cylindrical member, and is disposed with its axial direction substant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weekly shift lever 435 is fixed abov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portion 432d of the shift rod 432. By bending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ekly shift lever 435, the upper portion of the weekly shift lever 435 is inclined left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weekly shift lever 435 is equipped with a grip for the operator. The weekly shift lever 435 is operated by the operator from the shift rod 432 by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using the operation unit 17 so as not to reach the operator located behind the base 2 during the simulated planting operation. Although it is impossible, it extends to the position which can be operated from the operator who stopped this operation | movement and moved to the side of the base | substrate 2 (in this embodiment, the advancing direction left).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weekly shift lever 435 in the left sid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more specifically, in front of the left side frame 26L while being the left side of the engine stage 2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간 변속 레버(435)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센터 프레임(24)으로부터 우방으로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주간 변속 레버(435)의 상부를 좌방으로 기울이고 있다. 이에 의해, 오른쪽 차축 케이스(25R)가 상하로 회동할 때 주간 변속 레버(435)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주간 변속 레버(435)의 형상 및 배치는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보행형 이앙기(1)의 우측방에 서서 조작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여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art of the weekly shift lever 435 is inclined leftward so that the weekly shift lever 435 may not protrude largely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frame 24 when viewed in plan. This prevents the right axle case 25R from interfering with the weekly shift lever 435 when the right axle case 25R rotates up and down. In addition, the shape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weekly shift lever 435 are not limited to the thing of this embodiment, The shape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which an operator can stand and operate in the right sid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may be sufficient.

주행 변속 레버 지렛목 부재(436)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력을 변속 로드(432)에 전달하는 것이다. 주행 변속 레버 지렛목 부재(436)는 원통부(436a) 및 맞물림판(436b·436c)을 구비한다. 원통부(436a)는 센터 프레임(24)의 상면에 마련되는 원기둥상의 회동 지렛목 부재(24c)에 삽입관통된다. 회동 지렛목 부재(24c)는 센터 프레임(24)의 전후 중간부이면서 좌측에 배치된다. 맞물림판(436b·436c)은 원통부(436a)로부터 대체로 우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판재이다. 상측의 맞물림판(436b)은 원통부(436a)의 상단 근방에, 하측의 맞물림판(436c)은 상측의 맞물림판(436b)의 하방에서 맞물림판(436b)과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맞물림판(436b·436c)의 우단측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단은 대체로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맞물림판(436b·436c)의 우단은 상하로부터 원기둥부(432d)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맞물림 홈(432g)에 맞물린다.The traveling shift lever lever member 436 transmits the operation force by the operator to the shift rod 432. The traveling shift lever lever member 436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436a and engagement plates 436b and 436c. The cylindrical portion 436a is inserted through the cylindrical pivoting lever member 24c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24. The rotating lever member 24c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while being the front and rear middle portions of the center frame 24. The engaging plates 436b and 436c are a pair of upper and lower plates which protrude toward the right side from the cylindrical portion 436a. The upper engaging plate 436b faces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436a, and the lower engaging plate 436c faces the engaging plate 436b at a lower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ngaging plate 436b, respectively. Is placed. The right end side of the engaging plate 436b * 436c is formed in taper shape, and the right end is formed in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he right end of the engaging plate 436b and 436c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432g with the cylindrical portion 432d interposed from above and below.

주행 변속 레버(437)는 변속 로드(432)를 축선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주행 변속 레버(437)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주행 변속 레버(437)의 일단(하단)은 주행 변속 레버 지렛목 부재(436)의 원통부(436a)의 외주면 후측에 고정된다. 주행 변속 레버(437)의 타단(상단) 측은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의 가이드 구멍(431a)에 삽입관통된다. 주행 변속 레버(437), 주행 변속 레버 지렛목 부재(436)로부터, 조작부(17)를 이용하여 보행형 이앙기(1)에 의해 모의 식부 작업 중에서 기체(2)의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는 조작 가능한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 탑재대(61)의 전방)까지 연장된다. 주행 변속 레버(437)의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잡기 위한 그립이 장착된다. 주행 변속 레버(437)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의 가이드 구멍(431a)에 삽입관통된 부분보다 전방)에는 주행 변속 레버(437)의 외주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도록 걸림부(437a)가 형성된다. 한편, 주행 변속 레버(437)의 형상 및 배치는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 중인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이면 된다.The travel shift lever 437 operates the shift rod 432 in the axial direction.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is formed by bending a cylindrical member. One end (lower end) of the travel shift lever 437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36a of the travel shift lever lever member 436. The other end (upper end) side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431a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From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and the traveling shift lever lever member 436, a hand is reached by an operator located behind the base 2 during the simulation planting operation by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using the operation unit 17. It extends to an operable position (in front of the mother mounting base 61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is equipped with a grip for the operator. In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before the part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431a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the engaging portion (protrudes so as to partiall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437a) is formed. In addition, the shape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are not limited to the thing of this embodiment, What is necessary is just a shape and arrangement which an operator in operation can operate.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셔(438)는 주행 변속 레버(437)에 삽입관통되고, 주행 변속 레버(437)의 걸림부(437a)에 후(상)방으로부터 걸린다. 스프링(439)은 주행 변속 레버(437)에 삽입관통되는 압축 스프링이다. 스프링(439)은 주행 변속 레버(437)에 있어서의 와셔(438)보다 상단 측에 배치된다. 레버 가이드 시트(440)는 주행 변속 레버(437)에 삽입관통된다. 레버 가이드 시트(440)는 주행 변속 레버(437)에 있어서의 스프링(439)보다 상단측, 그리고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보다 하단 측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6, the washer 438 is inserted through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and hangs from the rear (upper side) by the locking part 437a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As shown in FIG. The spring 439 is a compression spring inserted into the travel shift lever 437. The spring 439 is disposed above the washer 438 in the travel shift lever 437. The lever guide sheet 440 is inserted through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The lever guide sheet 440 is disposed above the spring 439 in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and below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와 레버 가이드 시트(440)가 접촉되고, 스프링(439)이 와셔(438)와 레버 가이드 시트(440) 사이에서 소정 길이만큼 줄어든 상태로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439)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레버 가이드 시트(440)가 소정의 힘으로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에 눌린다. 레버 가이드 시트(440)는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의 가이드 구멍(431a)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미도시)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주행 변속 레버(437)는 주행 변속 레버 가이드(431)의 가이드 구멍(431a)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The travel shift lever guide 431 is in contact with the travel shift lever guide 431 and the lever guide seat 440 and the spring 439 is shortened by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washer 438 and the lever guide seat 440. It is fixed. Thereby, the lever guide sheet 440 is pressed against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by a predetermined force by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439. The lever guide sheet 440 is fitted into a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along the guide hole 431a of the travel shift lever guide 431. As a result,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is guided to move along the guide hole 431a of the traveling shift lever guide 431.

도 26 내지 도 28까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시 핀(441)은 변속 로드(432)의 전후 방향 위치 및 축선(원기둥부(432d)의 축선) 주위의 회동 위치를 지시하는 것이다. 지시 핀(441)의 일단부(우단부)는 너트(434)의 좌측방으로부터 볼트(433)에 체결된다. 지시 핀(441)의 타단부(좌단부)는 볼트(433)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지시 핀(441)의 좌단부는 우단부에 비해 가늘게 형성된다.As shown to FIGS. 26-28, the instruction | indication pin 441 indicates the forward-backward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rod 432, and the rotation position around an axis line (axis line of cylinder part 432d). One end (right end) of the instruction pin 441 is fastened to the bolt 433 from the left side of the nut 434. The other end (left end) of the instruction pin 441 protrudes to the left from the bolt 433. The left end of the indicating pin 441 is thinner than the right end.

표시 부재(442)는 지시 핀(441)의 동작 범위를 규제함과 함께, 지시 핀(441)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 부재(442)는 고정부와 안내부를 가지고, 판상의 부재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L’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고정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전면(변속 조작축(411)의 축선 방향과 대체로 수직인 면)에서 센터 프레임에 적당한 방법에 의해 고정된다. 안내부는 우측면(변속 조작축(411)의 축선 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면)이 변속 로드(432)와 대향하도록, 고정부의 우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안내부에는 안내 홀(442a)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안내 홀(442a)에는 지시 핀(441)의 좌단부가 삽입관통된다. 안내 홀(442a)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부의 안내 홀(442a)의 주위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다.The display member 442 restricts the operation range of the instruction pin 441 and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instruction pin 441. The display member 442 has a fixed portion and a guide portion, and is formed by bending the plate-shaped member into a 'L' shape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fixing portion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fixed by a suitable method to the center frame at its front surface (a surface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The guide portion extends rear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fixing portion so that the right side surface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faces the shift rod 432. The guid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guide hole 442a penetr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left end of the instruction pin 441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442a. The guide hole 442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guide hole 442a of the guide part.

이하에서는,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서 변속 조작 기구(13)의 동작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행 변속 레버(437)를 조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7 and 28. First, the case where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is operated will be described.

작업자가 주행 변속 레버(437)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면, 주행 변속 레버(437)의 하단에 고정된 주행 변속 레버 지렛목 부재(436)도 회동 지렛목 부재(24c)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주행 변속 레버 지렛목 부재(436)가 회동하면, 맞물림판(436b·436c)의 우단은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맞물림판(436b·436c)과 맞물리는 변속 로드(432)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변속 로드(43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변속 로드(432)에 연결된 변속 조작축(411)이 축선 방향(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travel shift lever 437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travel shift lever lever member 436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travel shift lever 437 also rotates around the pivot lever 24c. When the traveling shift lever lever member 436 rotates, the right end of the engaging plate 436b and 436c generally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shifting rod 432 that engages with the engaging plate 436b and 436c also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When the shifting rod 432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shifting operation shaft 411 connected to the shifting rod 432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이와 같이, 주행 변속 레버(437)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변속 조작축(411)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보행형 이앙기(1)의 주행 및 정지, 주행 방향(전진 및 후진), 그리고 전진 시의 주행 속도(전진 1속 및 전진 2속)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operating the travel shift lever 437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can be sli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urther, the travel and stop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the travel direction (forward and Reversing), and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traveling speed (forward 1 speed and forward 2 speed) at the time of forward movement.

이어서, 주간 변속 레버(435)를 조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weekly shift lever 435 is operated will be described.

주간 변속 레버(435)를 조작하는 경우, 우선 작업자는 주간 변속 레버(435)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행형 이앙기(1)의 좌측방)까지 이동한다. 작업자가 주간 변속 레버(435)의 상부를 잡고, 변속 로드(432)의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하면, 주간 변속 레버(435)의 하단에 고정된 변속 로드(432)도 축선(원기둥부(432d)의 축선) 주위로 회동한다. 변속 로드(432)가 축선 주위로 회동하면, 변속 로드(432)에 연결된 변속 조작축(411)이 축선 주위로 회동된다.When operating the weekly shift lever 435, first, an operator moves to the position (left sid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n this embodiment) which can operate the weekly shift lever 435. As shown in FIG. When the operator grasps the upper portion of the weekly shift lever 435 and rotates around the axis of the shift rod 432, the shift rod 432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hift lever 435 also has an axis (column portion 432d). Axis of rotation). When the shift rod 432 rotates around the axis,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connected to the shift rod 432 rotates around the axis.

이와 같이, 주간 변속 레버(435)를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변속 조작축(411)을 축선 주위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보행형 이앙기(1)에 의해 식부되는 모의 간격(주간)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operating the weekly shift lever 435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round the axis line, and furthermore, the simulation interval (weekly) planted by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t is possible to switch.

또한, 표시 부재(442)의 안내 홀(442a)의 오목부는 작업자가 지시 핀(44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홀(442a)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4개의 오목부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4개의 오목부는 전진 2속, 전진 1속, 중립, 및 후진으로 변속했을 때의 지시 핀(441)의 전후 방향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안내 홀(442a)의 전부 및 후부에는 각각 5개의 오목부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5개의 오목부는 주간 1속, 주간 2속, 중립, 주간 3속, 및 주간 4속으로 변속했을 때의 지시 핀(441)의 상하 방향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지시 핀(441)이 안내 홀(442a)의 어느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관통되어 있을지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 육안 결과로부터 현재의 보행형 이앙기(1)의 변속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립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오목부는 그 밖의 오목부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중립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Further, the recessed portion of the guide hole 442a of the display member 442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instruction pin 441. That is, as shown in FIG. 28, four recessed parts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guide hole 442a, respectiv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four recesse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f the instruction pin 441 when shifting to the second forward speed, the first forward speed, the neutral, and the reverse direction. In addition, five recesses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guide hole 442a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Five recesse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down position of the instruction pin 441 when shifting to the first, second, neutral, three, and four weekly speeds.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visually observe whether the instruction pin 441 is inserted through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which recess of the guide hole 442a, and the present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can be observed from the visual result. You can recognize the gearshift stag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neutral is formed large compared with the other recessed part. As a result,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e neutral position.

한편, 변속 조작 기구(13)의 구성은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각 독립된 조작구에 의해 변속 조작축(411)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과 함께, 축선 주위로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 그리고 주행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를 모의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는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함과 함께, 주간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를 모의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지 않아서 조작 불능인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지시 핀(441) 및 표시 부재(442)의 형상 및 배치는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시 핀(441)은 변속 조작축(411)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구성이면 되며, 표시 부재(442)는 지시 핀(441)의 위치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상 및 배치이면 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shift operation mechanism 13 is not limited to the thing of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which can rotate around the axis while sliding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to an axial direction by independent operation tool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operation tool for changing the driving speed is placed in an operable position where the worker can be touched by the mock planting worker, and the operation tool for changing the daytime is inoperable because the operator does not touch the worker during the mock planting work. What is necessary is just a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at. In addition, the shape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instruction | indication pin 441 and the display member 442 are not limited to the thing of this embodiment. That is, the instruction pin 441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nd the display member 442 may be a shape and an arrangement in which an operator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instruction pin 44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보행형 이앙기(1)는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식부 장치(5)와,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함과 함께, 왼쪽 차륜(4L) 및 오른쪽 차륜(4R) 그리고 식부 장치(5)로 전달하는 전동 기구(7)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1)로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됨으로써 전동 기구(7)가 왼쪽 차륜(4L) 및 오른쪽 차륜(4R)으로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함과 함께,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전동 기구(7)가 식부 장치(5)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조작축(411)과,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 조작축(411)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는 주행 변속 레버(제1 조작구)(437)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조작 불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변속 조작축(411)을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하는 주간 변속 레버(제2 조작구)(435)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행 속도의 변경과 주간의 변경을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작업자는 주행 변속 레버(437)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주행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보행형 이앙기(1)의 좌측방으로 이동하여, 주간 변속 레버(435)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주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포장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사용하는 빈도가 낮은 주간 변속 레버(435)를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지 않는 조작 불능인 위치에 배치함과 함께,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주행 변속 레버(437)를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는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자는 작업 중에 주행 속도를 변경할 때 헷갈리지 않고 주행 변속 레버(437)를 조작할 수 있어서,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행 속도의 변경과 주간의 변경을 별개의 조작구(주행 변속 레버(437) 및 주간 변속 레버(435))에 의해 함으로써, 각 조작구의 조작 방법을 간소화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조작구의 동작이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 속도를 변경할 때 주간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또한 주간을 변경할 때 주행 속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한 변속 조작을 없애어 각 부품(예를 들어, 변속 기어(75), 주간 변속 기어(88) 등)의 마모나 열화(劣化)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빈도가 낮은 주간 변속 레버(435)를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조작 불능인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주변(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조작 가능한 범위)의 공간 절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조작구(주행 변속 레버(437) 및 주간 변속 레버(435))에 의해 주행 속도 및 주간의 변경을 행함에도 불구하고, 미션 케이스(23)로부터 돌출시키는 조작축은 변속 조작축(411) 1개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변속 조작축(411)과 미션 케이스(23)의 슬라이딩부에 진흙이나 먼지 등이 끼어들어 갈 가능성을 줄여서, 오일 누출의 발생이나, 미션 케이스 내부로의 진흙이나 먼지 등의 침입 억제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ift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3 and the planting apparatus 5 for planting seedlings on the pavement, and the left wheel 4L and the right side.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having a wheel (4R)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to be transmitted to the planting device (5), wherein the transmission mechanism (7) is operated by sliding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left wheel (4L) and the right wheel (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which changes the transmission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to 4R) and rotates around an axis, and changes the transmission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planting apparatus 5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7,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can be operated from an operator, and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is inoperable from a worker in operation, and the traveling shift lever (1st operation tool) 437 which slides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to an axial direction, Rotate 411 around the axis Weekly shift lever which is smaller (the second manipula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435. 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change the traveling speed and the change of the daytim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That is, the operator can change the traveling speed only by operating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an operator can move to the left side of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and can change a daytime only by operating the weekly shift lever 435 to an up-down direction. In this way, the weekly shift lever 435, which is frequently used for work in one pavement, is placed in an inoperable position out of reach of the worker in operation, and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where the frequency of use is high. By arranging the) in an operable position where the worker can reach it,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without being confused when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during the work, thereby preventing misope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In addition, by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and changing the daytime by separate operation tools (the driving shift lever 437 and the weekly shift lever 435), the operation method of each operating tool can be simplifi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each operating tool is independent,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aytime when changing the traveling speed,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running speed when changing the daytime, thus eliminating unnecessary shifting operations. It becomes possible to suppress abra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transmission gear 75, the weekly transmission gear 88, and the like.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weekly shift lever 435 having a low operation frequency at an inoperable position from the working worker, it is possible to save space around the worker (the range that can be operated by the working worker). In addition, despite the change of the traveling speed and the daytime by the two operation tools (the traveling shift lever 437 and the weekly shift lever 435), the operation shaft projecting from the mission case 23 is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Since only one is enough, the possibility of mud or dust getting into the sliding portions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nd the mission case 23 is reduced, and the occurrence of oil leakage or the mud or dust inside the mission case is reduced. Intrusion suppression, etc. can be aimed at.

또한, 보행형 이앙기(1)는 변속 조작축(411)에 연동하여, 변속 조작축(411)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축선 주위로 회동하는 지시 핀(441)(지시 부재)과, 지시 핀(441)의 위치에 근거하여 전동 기구(7)가 왼쪽 차륜(4L) 및 오른쪽 차륜(4R)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 그리고 전동 기구(7)가 식부 장치(5)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표시하는 표시 부재(44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지시 핀(441)의 위치를 표시 부재(442)에 의해 확인하여, 왼쪽 차륜(4L) 및 오른쪽 차륜(4R) 그리고 식부 장치(5)에 전달되는 동력의 변속비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서는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 interlocks with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and moves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ift operation shaft 411, or the instruction pin 441 (instruction member) which rotates around an axial line, and an instruction pin. Transmission ratio of power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7 to the left wheel 4L and right wheel 4R based on the position of 441 and transmission ratio of power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7 to the planting device 5. It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member 442 which displays. By such a configuration, the position of the instruction pin 441 is confirmed by the display member 442, and the transmission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left wheel 4L and the right wheel 4R and the planting device 5 can be easily confirmed. It is possible to, and further improve workability.

본 발명은 보행형 이앙기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1…보행형 이앙기 2…기체
3…엔진 4L…왼쪽 차륜(차륜)
4R…오른쪽 차륜(차륜) 5…식부 장치
6…모 공급 장치 7…전동 기구
11…변속 기구 13…변속 조작 기구
111…변속 조작축 135…주간 변속 레버(제2 조작구)
137…주행 변속 레버(제1 조작구) 141…지시 핀(지시 부재)
142…표시 부재
On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2. gas
3 ... Engine 4L… Left wheel (wheel)
4R... Right wheel 5. Planting device
6 ... Module feeder 7... An electric appliance
11 ... Transmission mechanism 13.. Shifting mechanism
111... Shift control shaft 135... Weekly shift lever (second operation tool)
137 ... Travel shift lever (first operation tool) 141... Instruction pin (instruction member)
142 ... Display member

Claims (2)

포장에 모를 식부하는 식부 장치와,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변속함과 함께, 차륜 및 상기 식부 장치에 전달하는 전동 기구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로서,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됨으로써 상기 전동 기구가 상기 차륜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함과 함께,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됨으로써 상기 전동 기구가 상기 식부 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변속 조작축과,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변속 조작축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는 제1 조작구와, 식부 작업 중인 작업자로부터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변속 조작축을 축선 주위로 회동 조작하는 제2 조작구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A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comprising a planting device for planting a pavement, a power transmission from an engine, and a wheel an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planting device to the planting device. A shift operation shaft for changing the speed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plant and the rotation ratio around the axis to change the speed ratio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planting device, and a position within reach of the worker during planting work. And a first operation tool for sliding the shift operation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operation tool for displacing the shift operation shaft around the axis and arranged at a position not reachable by an operator in planting operation. Yiangg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조작축에 연동하여, 당해 변속 조작축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축선 주위로 회동하는 지시 부재와, 상기 지시 부재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기구가 상기 차륜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 및 상기 전동 기구가 상기 식부 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의 변속비를 표시하는 표시 부재를 구비하는 보행형 이앙기.
The method of claim 1,
An instruction member tha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operation shaft or rotates about an axis in association with the shift operation shaft, and a transmission ratio of power transmitted by the transmission mechanism to the whee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struction member;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the display member which displays the gear ratio of the power which a transmission mechanism transmits to the said planting apparatus.
KR1020127012406A 2009-10-23 2010-10-21 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 KR1013267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4970A JP5431113B2 (en) 2009-10-23 2009-10-23 Walking rice transplanter
JP2009244971A JP5431114B2 (en) 2009-10-23 2009-10-23 Walking rice transplanter
JPJP-P-2009-244970 2009-10-23
JPJP-P-2009-244971 2009-10-23
PCT/JP2010/068600 WO2011049169A1 (en) 2009-10-23 2010-10-21 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037A KR20120068037A (en) 2012-06-26
KR101326714B1 true KR101326714B1 (en) 2013-11-08

Family

ID=4390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406A KR101326714B1 (en) 2009-10-23 2010-10-21 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26714B1 (en)
CN (1) CN102573443B (en)
WO (1) WO2011049169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409A (en) * 1991-12-10 1993-06-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Walking-type rice transplanter
JPH0716008A (en) * 1993-06-30 1995-01-20 Iseki & Co Ltd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JPH10127117A (en) * 1996-10-31 1998-05-19 Iseki & Co Ltd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5516U (en) * 1981-11-16 1983-05-2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Speed lever device in rice transplanter
JPS5981310U (en) * 1982-11-25 1984-06-0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Transmission device of rice transplanter
JP2519228Y2 (en) * 1990-04-05 1996-12-04 三菱農機株式会社 Interplant control device for riding type transplanter
JPH099749A (en) * 1995-06-30 1997-01-14 Kubota Corp Speed change operational device in farm working machine
JP3572468B2 (en) * 1995-10-23 2004-10-0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Transplant machine
JP4616705B2 (en) * 2005-06-08 2011-01-19 ヤンマー株式会社 Ride type rice transpla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409A (en) * 1991-12-10 1993-06-2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Walking-type rice transplanter
JPH0716008A (en) * 1993-06-30 1995-01-20 Iseki & Co Ltd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JPH10127117A (en) * 1996-10-31 1998-05-19 Iseki & Co Ltd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037A (en) 2012-06-26
CN102573443B (en) 2015-03-18
WO2011049169A1 (en) 2011-04-28
CN102573443A (en)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6439B2 (en) Walking rice transplanter
KR101114734B1 (en)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KR101326714B1 (en) Walking type rice planting machine
JP5249672B2 (en) Walking rice transplanter
JP5221944B2 (en) Walking rice transplanter
JP4966217B2 (en) Riding paddy field machine
JP2013208082A (en) Seedling stand support structure for rice transplanter
JP5753002B2 (en) Rice transplanter
JP3867732B2 (en) Riding seedling planter
JP5822770B2 (en) Rice seedling stand split structure
JP5431113B2 (en) Walking rice transplanter
JP2008037317A (en) Traveling vehicle
JP5779995B2 (en) Seedling transplanter
JP2006081552A (en) Walking type rice-planter
JP6581939B2 (en) Work vehicle
JP2007038724A (en) Riding type work vehicle
JP2010063369A (en) Combine harvester
JP7123008B2 (en) Paddy work machine
JP7154155B2 (en) Paddy work machine
JP2022035339A (en) Wire support device and work vehicle
JP7126458B2 (en) work machine
JP4017549B2 (en) Riding type rice transplanter with fertilizer
JP4726639B2 (en) Transplanter
JP2012249535A5 (en)
JP2007038725A (en) Riding type work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