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02B1 -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702B1
KR101326702B1 KR1020110078589A KR20110078589A KR101326702B1 KR 101326702 B1 KR101326702 B1 KR 101326702B1 KR 1020110078589 A KR1020110078589 A KR 1020110078589A KR 20110078589 A KR20110078589 A KR 20110078589A KR 101326702 B1 KR101326702 B1 KR 101326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ld water
storage unit
water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16571A (en
Inventor
장평순
김진섭
윤정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1007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702B1/en
Publication of KR2013001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5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7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Abstract

얼음 정수기는 얼음 생성부, 얼음 저장부, 얼음 배출부 및 보조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얼음 생성부는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얼음 저장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상기 얼음 배출부는 상기 얼음 저장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보조 저장부는 개구부가 형성된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얼음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이 녹은 냉수를 저장하며, 내부에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저장된 냉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이르면 외부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상기 냉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The ice purifier includes an ice generator, an ice reservoir, an ice discharger, and an auxiliary reservoir. The ice producing unit generates ice. The ice storage unit is disposed below the ice generator, and receives and stores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or. The ice discharge part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ice storage part, and discharges the ice of the ice storage part to the outside as required by the user.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disposed under the ice storage unit with an interface formed therebetween to store cold water in which the ice of the ice storage unit is melted, and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tored cold water including a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he col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ed discharge pipe.

Figure R1020110078589
Figure R1020110078589

Description

얼음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Ice Water Purifier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음 저장부의 온도를 얼음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낮은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얼음과 냉정수를 한번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water purifier capable of constantl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ice storage unit at a low temperatur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tate of ice, and easily supplying ice and cold water at a time. .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냉수나 온수 외에 추가적으로 얼음을 제빙하여 공급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얼음 정수기에서는 얼음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얼음을 얼음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얼음 저장부에 얼음을 장기간 저장하는 경우, 얼음 저장부의 온도를 얼음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낮은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얼음 저장부 내의 얼음은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녹은 얼음이 다시 얼면서 얼음의 형상을 불규칙하게 변형시키거나 얼음 저장부로부터의 얼음의 배출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기술에 대한 문헌정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4832호(2010.07.2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743호(2006.09.29.)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0323호(2011.06.08.)
Recently, the use of water purifiers providing cold water and hot water is increasing in homes and offices.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cold water or hot water, the use of ice water purifiers that can supply additional ice making is increasing. In general, the ice purifier is configured to store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ing module in the ice storage unit,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However, when ice is stored in the ice storage for a long time, it is difficul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ice storage constant at a low temperature that can maintain the state of the ice, so the ice in the ice storage can be frozen and melted. have. In this process, a problem arises that the melted ice freezes again, irregularly deforming the shape of the ice or making it difficult to discharge the ice from the ice storage.
(Literature information on the prior art)
Publication No. 10-2010-0084832 (2010.07.28.)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7743 (September 29, 2006)
Publication No. 10-2011-0060323 (2011.06.08.)

또한, 얼음 정수기의 얼음 배출구는 냉수 또는 정수의 배출구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얼음이 포함된 냉수 또는 정수를 사용할 때, 냉수 또는 정수의 습득과는 별도로 얼음을 습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ice outlet of the ice water purifier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of the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when the user uses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containing 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acquiring ice separately from the acquisition of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 저장부의 온도를 얼음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낮은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얼음과 냉정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this regar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ice storage unit at a low temperature that can maintain the state of the ice, ice that can supply ice and cold water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하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얼음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는 얼음 배출부;
상기 얼음 저장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얼음 저장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통형 경계면을 가지며, 상기 경계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복수개의 개구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유입된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이 녹은 냉수를 저장하며, 상기 얼음 저장부로 상기 냉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계센서를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에 외부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상기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와 인접하되 상기 얼음 저장부 및 상기 보조 저장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냉수 또는 정수가 저장되는 냉정수통; 및
상기 냉정수통에 연결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을 상기 냉정수 배출부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상기 얼음 배출부의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냉정수 배출부를 포함한다.
Ice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ice;
An ice storage unit disposed below the ice producing unit and storing and receiving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ing unit, wherein the ice storage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An ice discharge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ice storage part and discharging the ic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user's needs;
It has a semi-cylindrical boundary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ce storage portion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storage portion,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interface, the ice storage portion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Cold water is melted ice is stored, including at least two water level sensor having a limit sensor for preventing the cold water flow back to the ice storage unit through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based on the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An auxiliary storage unit for discharging the cold water to the outside;
A cold water container adjacent to the ice storage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ice storage part and the auxiliary storage part, in which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is stor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ontainer, and includes a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of the ice discharge portion for guiding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in the direction of the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얼음 생성부가 얼음 생성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저장부의 냉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임을 확인하여, 일정 수위 이상에서만 상기 배출관을 개방시키기 위한 저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vel sensor may include a low water level sensor for opening the discharge pipe only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by confirming that the water level of the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more than a certain level, when the ice generating unit performs the ice generation operation. Can b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냉수의 수위가 만수위이면, 상기 보조 저장부의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배출관을 개방시키고 상기 얼음 생성부를 동작시키기 만수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vel sensor may include a full water level sensor to open the discharge pipe and operate the ice generator to discharge the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if the level of the cold water is full water lev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저장부와 상기 얼음 생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저장부에서 배출된 냉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temporary storage unit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storage unit and the ice generator to temporarily store cold water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가 동작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냉수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 전달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ice generator is operated to generate ice, cold water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ay be delivered to the ice generato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냉수 또는 정수가 저장되는 냉정수통, 및 상기 냉정수통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수 또는 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정수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냉정수 배출부의 끝단은 상기 얼음 배출부의 끝단과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냉수 또는 정수를 얼음과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generating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cold water container for storing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and a cold wat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the end of the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end of the ice discharge portion may be supplied with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at the same ti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배출부는 경사지게 연장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을 상기 냉정수 배출부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ce discharge portion includes a guide portion extending inclined, the guide portion may guide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in the direction of the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정수 배출부는 냉수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수 배출관의 끝부는 상기 얼음 배출부의 가이드부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comprises a cold water discharge pipe, the end of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of the ice discharge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저장부가 내부에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냉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이르는 경우 배출하므로, 배출관이 자주 오픈되어 발생하는 열손실 및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냉수를 얼음 저장부에 인접하도록 저장하여 얼음 저장부의 냉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discharg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ld water reaches a certain level by including a water level sensor there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t loss and power loss caused by the frequent opening of the discharge pipe, cold water to the ice storage unit Stored adjacent to improve the freezing effect of the ice reservoir.

또한,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냉수가 얼음 생성부로 전달되어 얼음의 생성에 재사용되므로, 낮은 온도의 냉수를 이용하여 얼음 생성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며,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l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is transferred to the ice generating unit and reused in the generation of 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used in the ice generation by using cold water at a low temperature, and to save wasted water.

또한, 상기 얼음 생성부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의 냉수 공급과 동시에 동작되어 얼음을 생성하므로 낮은 온도의 냉수를 얼음 생성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 및 시스템의 기민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ce generator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cold water supply from the discharge pipe to generate ice, it is possible to directly use cold water at low temperature to generate ice,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agility of the system.

또한, 냉정수 배출부와 얼음 배출부가 인접하도록 배치되므로, 냉정수 및 얼음을 한번에 공급받아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ld water discharge unit and the ice discharge unit are disposed to be adjacent,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by receiving cold water and ice at o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보조 저장부 및 얼음 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보조 저장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저장부, 보조 저장부 및 얼음 배출부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storage unit and an ice discharge unit of the ice purifier of FIG. 1.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storage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part of the ice purifier of FIG. 1.
5 is an exploded side view illustrating an ice reservoir, an auxiliary reservoir, and an ice discharger of the ice purifier of FIG. 1.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compris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figure, step, operation,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c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얼음 정수기(1)는 본체(10), 얼음 생성부(20), 얼음 가이드부(30), 냉정수통(40), 얼음 저장부(50) 및 보조 저장부(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ice purifi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an ice generating unit 20, an ice guide unit 30, a cold water container 40, an ice storage unit 50, and an auxiliary unit. The storage unit 60 is included.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의 수납공간에 상기 얼음 생성부(20), 상기 얼음 가이드부(30), 상기 냉정수통(40), 상기 얼음 저장부(50) 및 상기 보조 저장부(60)를 수납한다. The main body 1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the ice generator 20, the ice guide unit 30, the cold water container 40, and the ice storage unit 50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상기 얼음 생성부(20)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수납공간 중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음용이 가능한 필터링 된 냉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얼음 생성부(20)는 냉수를 분사하여 얼음을 생성하고, 얼음 생성이 완료되면 상면에 부착된 열전도부에 열을 가하여 얼음을 상기 얼음 생성부(20)로부터 이탈시킨다. The ice generator 20 is disposed abov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 and receives iced filtered cold wat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ice. For example, the ice generator 20 generates ice by spraying cold water, and when the ice generation is completed, the ice generator 20 heats the heat conductive part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to separate the ice from the ice generator 20.

상기 얼음 가이드부(30)는 상기 얼음 생성부(20)로부터 이탈된 얼음을 가이드하여 상기 냉정수통(40) 또는 상기 얼음 저장부(50)로 제공한다. 상기 얼음 가이드부(30)는 상기 얼음 생성부(20)의 하부에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얼음을 가이드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얼음 가이드부(30)는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부(50)로 가이드 하지만, 상기 얼음 가이드부(30)가 소정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얼음 가이드부(30)는 얼음을 상기 냉정수통(40)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저장부(50)로 가이드 된 얼음은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되며, 상기 냉정수통(40)으로 가이드 된 얼음은 냉정수통 내부의 냉수 또는 정수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ice guide unit 30 guides the ice separated from the ice generator 20 to the cold water container 40 or the ice storage unit 50. The ice guide unit 30 is disposed to be inclined obliquely under the ice generating unit 20 to guide the ice. Meanwhile, i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ice guide unit 30 guides the ice to the ice storage unit 50, but when the ice guide unit 30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a predetermined axis, the ice guides the ice. The guide part 30 may guide the ice to the cold water container 40. The ice guided to the ice storage unit 50 is directly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ice guided to the cold water container 40 is used to keep the temperature of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inside the cold water container low.

상기 냉정수통(40)은 상기 얼음 가이드부(30)의 하부에 배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터부를 통해 음용이 가능하게 필터링 된 정수 또는 냉수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한편, 상기 냉정수통(40)은 내부의 냉수 또는 정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지만, 상기 얼음 가이드부(30)의 배치 위치에 따라 얼음을 공급받아 온도 조절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정수통(40)이 냉수 또는 정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냉수만 저장하는 냉수통, 정수만 저장하는 정수통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온수 제공을 위한 온수통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The cold water container 40 is disposed below the ice guide unit 30 and receives and stores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which is not illustrated but filtered to allow drinking through the filter unit. On the other hand, the cold water container 4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inside, but is supplied with the ic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ce guide unit 30 of the temperature control Can increase efficiency.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d water container 40 has been described as storing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but can be distinguished into a cold water container for storing only cold water, a purified water container for storing only purified water, and a hot water container for providing hot water is the main body ( 10)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side.

상기 얼음 저장부(50)는 상기 얼음 가이브부(30)의 하부에, 상기 냉정수통(40)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얼음 저장부(50)는 상기 얼음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공되는 얼음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얼음 저장부(50)는 상기 냉정수통(40)과는 소정 간격 이격되며 내부의 얼음이 녹지 않도록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ce storage unit 5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gave unit 30 to be adjacent to the cold water container 40. The ice storage unit 50 stores the ice guided by the ice guide unit 30. On the other hand, the ice storage unit 5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cold water container 40 and minimize the heat transfer so that the ice inside does not melt.

상기 보조 저장부(60)는 상기 얼음 저장부(50)이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얼음 저장부(50)를 감싸도록 상기 얼음 저장부(50)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통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50)에 저장된 얼음이 녹아 발생하는 냉수가 저장된다. When the ice storage unit 50 is cylindrically disposed,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is dispos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storage unit 50 to surround the ice storage unit 50. Cold water generated by melting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50 is stored.

구체적으로, 상기 얼음 저장부(50)의 내부에는 다수의 얼음들이 저장되며, 비록 상기 얼음 저장부(50)가 외부와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더라도, 인접한 냉정수통(4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 온수통(미도시)이 구비된 경우 온수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열, 상기 냉정수통, 온수통 및 각종 구성요소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발생되는 열 등으로 인해 상기 얼음 저장부(50)의 내부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얼음 저장부(50) 내부의 얼음도 경우에 따라 녹았다 얼었다를 반복할 수 있으며, 내부의 얼음이 녹은 냉수는 상기 보조 저장부(60)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얼음 저장부(50)와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경계면(62)에는 개구부(63)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63)를 통해 상기 얼음 저장부(50) 내부의 얼음이 녹은 냉수가 상기 보조 저장부(60)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63)는 상기 얼음 저장부(50) 내부의 단열을 고려하여, 얼음이 녹은 냉수가 흘러내릴 수 있는 정도로 최소로 형성되되, 상기 얼음 저장부(50)의 곡률이 가장 큰 위치, 즉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a plurality of ice is stored inside the ice storage unit 50, even if the ice storage unit 5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heat transfer to the outside, from the adjacent cold water reservoir 40 When the heat is transferred, the hot water tank (not shown) is provided, due to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hot water tank, the cold water reservoir, the heat generated to operate the hot water tank and various components, etc. the interior of the ice storage unit 50 It is not easy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Therefore, the ice inside the ice storage unit 50 may be repeatedly melted and frozen in some cases, and the cold water in which the ice is melted is mov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In this case, an opening 63 is formed in the boundary surface 62 of the ice storage unit 50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so that the ice inside the ice storage unit 50 melts through the opening 63. Cold water may flow into the auxiliary storage 60.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63 is formed to a minimum enough to flow the cold water mel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at insulation in the ice storage unit 50, the location where the curvature of the ice storage unit 50 is the largest That is,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이와 같이, 상기 얼음 저장부(50) 내부의 얼음이 녹는 경우, 바로 상기 보조 저장부(50)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저장부(50)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 저장부(50) 내의 얼음이 녹은 물이 상기 얼음 저장부(50)를 감싸서 온도를 내리게 하며, 상기 개구부(63)가 상기 얼음 저장부(50)의 곡률이 가장 큰 위치, 즉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얼음과의 접촉면적이 가장 작아서, 상기 얼음 저장부(50) 내부의 얼음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얼음 배출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ice inside the ice storage unit 50 melts,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is formed to flow directly in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and the ice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is formed. The melted water wraps the ice reservoir 50 and lowers the temperature, and the opening 63 is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urvature of the ice reservoir 50 is greatest, that is, the lowest position. This is the smalles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state of the ice in the ice storage unit 50, it is possible to easily maintain the discharge of ice.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보조 저장부 및 얼음 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보조 저장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storage unit and an ice discharge unit of the ice purifier of FIG. 1.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storage unit of the ice water purifier of FIG.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저장부(60)는 수위센서(65) 및 배출관(69)을 포함한다. 2 and 3,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65 and a discharge pipe 69.

상기 수위센서(65)는 한계센서(66), 저수위센서(67) 및 만수위센서(68)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센서(65)에서 측정된 수위 정보를 필요한 경우 중앙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상기 수위센서(6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앙 제어부로 수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sensor 65 includes a limit sensor 66, a low water level sensor 67, and a full water level sensor 68, and transfers the water leve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65 to a central controller (not shown) if necessary. do. The water level sensor 65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may transmit the water level information to the central control unit.

상기 배출관(69)는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 저장부(60)에 저장된 냉수를 외부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저장부(60)로부터 제공되는 냉수는 별도의 배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 생성부(20)는 필터링 된 냉수(또는 정수)를 직접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거나, 상기 보조 저장부(60)로부터 제공된 냉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거나, 상기 두 종류의 냉수를 동시에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69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and provides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cold water provid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may be provided to the ice generator 20 through a separate pipe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generator 20 directly receives the filtered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to generate ice, or receives the cold water provid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60 to generate ice, or the two types. Can be supplied with cold water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ice.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수위센서(65)에서 전달된 수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배출관(69)의 개폐를 제어하며, 상기 배출관(69)이 열리는 경우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를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전달시키며, 이 경우 상기 얼음 생성부(20)가 동시에 동작되어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얼음 생성부(20)로부터 전달되는 냉수의 양이 부족한 경우,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별도의 필터링 된 냉수(또는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entral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ipe 69 based on the water leve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65,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when the discharge pipe 69 is opened. ) Is transferred to the ice generator 20, in which case the ice generator 20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to generate ice using the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cold water delivered from the ice generator 20 is insufficient, it can be further controlled to supply a separate filtered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ice generator 20.

예를 들어, 상기 수위센서(65)의 만수위 센서(68)가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의 수위가 만수위임을 알리면,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배출관(69)을 개방시켜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를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전달시킨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가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얼음 생성부(20)를 동작시켜 얼음을 생성하며, 얼음 생성을 위한 냉수가 부족한 경우 별도의 필터링 된 냉수(또는 정수)를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추가로 공급한다. For example, when the high water level sensor 68 of the water level sensor 65 indicates that the cold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is the full water level, the central control unit opens the discharge pipe 69 to open the auxiliary storage unit ( The cold water of 60 is transferred to the ice generator 20. In this case, the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is deliv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ice generator 20 is operated to generate ice, and if the cold water for ice generation is insufficient, separate filtered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may be used. It is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ice generator 20.

이와 달리,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얼음 생성부(20)가 얼음 생성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수위센서(65)의 저수위 센서(67)로부터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임을 확인하면, 상기 배출관(69)을 개방시켜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를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전달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얼음 생성부(20)는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하여, 얼음 생성에 사용되는 냉수를 절약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ice generating unit 20 performs the ice generation opera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has a cold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from the low water level sensor 67 of the water level sensor 65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ischarge pipe 69 is opened to deliver the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to the ice generator 20. Thus, the ice generator 20 may receive cold water from the auxiliary storage 60 to generate ice, thereby saving cold water used for ice production.

한편, 상기 수위센서(65)의 한계센서(66)에서 수위가 측정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즉시 상기 배출관(69)을 개방하거나, 얼음 정수기(1)의 내부 시스템의 오류를 외부로 전달하는 등의 안전조치를 통해,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가 상기 얼음 저장부(50)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level is measured by the limit sensor 66 of the water level sensor 65, the central control unit immediately opens the discharge pipe 69, or transmits an error of the internal system of the ice water purifier 1 to the outside. Through such safety measures,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ice storage unit 5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저장부(60)의 냉수가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직접 전달되어 얼음으로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얼음 정수기(1)가 상기 보조 저장부(60)와 상기 얼음 생성부(20) 사이에 배치된 임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조 저장부(60)로부터 제공되는 냉수를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로 저장한 후, 상기 얼음 생성부(20)의 동작과 동시에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얼음 생성부(20)로 전달하여 얼음 생성에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n example in which the cold water of the secondary storage unit 60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ice generating unit 20 to generate the ice, the ice water purifier 1 is the secondary storage unit 60 and the Further comprising a temporary storage unit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ice generating unit 20, after temporarily storing the cold water provid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60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the ice generating unit ( Simultaneously with operation 20),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may be transferred to the ice generator 20 to be used for ice generation.

이와 같이, 원수를 바로 필터링한 냉수(또는 정수)보다 저온인 얼음이 녹아 형성된 냉수를 얼음 생성에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얼음 생성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며, 저온의 냉수를 재활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In this way, by using cold water formed by melting ice at a lower temperature than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filtered directly from raw water, the energy used to generate the ice can be reduced, and waste of water can be reduced by recycling the cold water at low temperature. Can be reduced.

도 4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배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ice discharge part of the ice purifier of FIG.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정수기(1)는 얼음 배출부(70) 및 냉정수 배출부(80)를 더 포함한다. 2 and 4, the ice purifier 1 further includes an ice discharge unit 70 and a cold water discharge unit 80.

상기 얼음 배출부(70)는 상기 얼음 저장부(50)의 일단에 배치되며, 개폐부(71) 및 가이드부(72)를 포함한다. The ice discharge unit 7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ice storage unit 50,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unit 71 and a guide unit 72.

상기 개폐부(71)는 상기 얼음 저장부(50)의 일단에서 상기 얼음 저장부(50)를 밀폐시키켜, 외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얼음 저장부(50)를 개방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50)의 얼음을 외부로 제공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71 seals the ice storage part 50 at one end of the ice storage part 50, opens the ice storage part 50 by an external signal, and opens the ice storage part 50. ) Ice to the outside.

상기 가이드부(72)는 상기 개폐부(7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기까지 얼음을 가이드하며, 상기 냉정수 배출부(80)를 향하여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72)는 바닥면(73), 상기 바닥면의 양 모서리로부터 상기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 가이드면(74) 및 제2 가이드면(75), 및 얼음 토출부(76)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73)은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얼음의 수직낙하를 방지하며, 상기 바닥면(73)에는 가이드 돌기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얼음의 토출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74, 75)은 얼음이 토출 중에 양 옆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guide portion 72 extends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1 to guide the ice until the ice is provided to the user, and extends toward the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80. 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72 is a bottom surface 73, the first guide surface 74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75, respectively,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from both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And an ice discharge portion 76. The bottom surface 73 is formed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to prevent vertical fall of the ice, and a guide protrusion line (not show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73 to guid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i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surfaces 74, 75 prevent ice from being ejected from both sides during discharge.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71)를 통해 제공되는 얼음은 상기 가이드부(72)의 바닥면(73)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면들(74, 75)을 통해 가이드되어 상기 얼음 토출부(7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얼음 토출부(76)는 최대한 후술할 상기 냉정수 배출부(80) 쪽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얼음과 냉수 또는 정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the ice provid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71 is guid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73 of the guide portion 72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surfaces 74 and 75 so as to discharge the ice 76. ) Is delivered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ice discharge unit 76 is formed to be disposed toward the cold water discharge unit 80 to be described later as possible, so that the ice and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상기 냉정수 배출부(80)는 상기 냉정수통(40)과 연결되며, 외부로 냉수 또는 정수를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정수 배출부(80)가 냉수 배출부(81), 정수 배출부(82) 및 냉수 배출관(85)을 포함하며, 상기 냉정수통(40)의 냉수통 및 정수통이 각각 냉수 배출부 및 정수 배출부에 연결된 것을 설명하나, 냉정수통의 구분 및 냉수 또는 정수 배출부의 구분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cold water discharge unit 80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ontainer 40, and discharges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cold water discharge unit 80 includes a cold water discharge unit 81,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82 and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85, the cold water container and the purified water container of the cold water container 40, respectively The cold water outlet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are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the division of the col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outlet may be variously modified.

상기 냉수 배출부(81) 및 상기 정수 배출부(8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냉수 배출관(85)은 상기 냉수 배출부(81)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 배출부(72)의 상기 제1 가이드면(74)의 외면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냉수 배출관(85)의 출구는 상기 얼음 배출부(72)의 상기 얼음 토출부(76)의 출구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냉수 배출관(85)으로 출수되는 냉수는 상기 얼음 토출부(76)로 출수되는 얼음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편리하게 얼음과 냉수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The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81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ortion 82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85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discharge portion 81, the first portion of the ice discharge portion 72 1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surface 74. In addition, the outlet of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85 is dispos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let of the ice discharge portion 76 of the ice discharge portion 72. Thus, the cold water discharged to the cold water discharge pipe 85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as the ice discharged to the ice discharge unit 76, the user may be conveniently provided with ice and cold water.

일반적으로, 정수와 얼음을 동시에 제공받는 경우보다, 냉수와 얼음을 동시에 제공받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수 배출부(82)는 별도의 정수 배출관과 연결하여 상기 얼음 배출부(72)와 인접하도록 배치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변형은 가능하다. In general, since the cold water and the ice is often provided at the same time, rather than receiving the purified water and the ice at the same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unit 82 is connected to a separat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ice discharge unit 72 Although not disposed adjacent to), it is possible to modif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저장부, 보조 저장부 및 얼음 배출부를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5 is an exploded side view illustrating an ice reservoir, an auxiliary reservoir, and an ice discharger of the ice purifier of FIG. 1.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저장부(50)는 얼음 공급 스크류(51)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공급 스크류(51)에 의해 상기 얼음 저장부(50)는 상부 공간(52) 및 하부 공간(5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얼음은 상기 상부 공간(52)을 통해 상기 얼음 저장부(50)로 제공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50) 내부의 얼음이 녹은 냉수는 상기 하부 공간(53)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부 공간(53)과 상기 보조 저장부(60) 사이의 경계면(62)에 형성된 개구부(63)에 의해 상기 하부 공간(53)의 냉수는 상기 보조 저장부(60)로 흘러들어 간다. 상기 개구부(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면(62)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하부 공간(53)에 냉수가 어느 한 곳에 모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5, the ice storage unit 50 includes an ice supply screw 51, and the ice storage unit 50 is formed by the ice supply screw 51 to the upper space 52 and the lower space ( 53). In general, ice is provided to the ice storage unit 50 through the upper space 52, and cold water in which the ice inside the ice storage unit 50 is melted may be stored in the lower space 53. However, the cold water of the lower space 53 flows into the auxiliary storage part 60 by the opening 63 formed at the interface 62 between the lower space 53 and the auxiliary storage part 60. .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openings 6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undary surface 62 so that cold water does not collect in the lower space 53.

한편, 상기 얼음 공급 스크류(51)는 상기 얼음 배출구(70)를 통해 얼음을 배출하는 경우,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얼음 저장부(50)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개폐부(71) 방향으로 밀어낸다. Meanwhile, when the ice supply screw 51 discharges the ice through the ice outlet 70, the ice supply screw 5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pushes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50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71.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저장부가 내부에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냉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이르는 경우 배출하므로, 배출관이 자주 오픈되어 발생하는 열손실 및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냉수를 얼음 저장부에 인접하도록 저장하여 얼음 저장부의 냉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discharg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ld water reaches a certain level by including a water level sensor there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t loss and power loss caused by the frequent opening of the discharge pipe, cold water to the ice storage unit Stored adjacent to improve the freezing effect of the ice reservoir.

또한,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냉수가 얼음 생성부로 전달되어 얼음의 생성에 재사용되므로, 낮은 온도의 냉수를 이용하여 얼음 생성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으며, 낭비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l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is transferred to the ice generating unit and reused in the generation of 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used in the ice generation by using cold water at a low temperature, and to save wasted water.

또한, 상기 얼음 생성부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의 냉수 공급과 동시에 동작되어 얼음을 생성하므로 낮은 온도의 냉수를 얼음 생성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여 에너지 효율 및 시스템의 기민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ce generator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cold water supply from the discharge pipe to generate ice, it is possible to directly use cold water at low temperature to generate ice,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agility of the system.

또한, 냉정수 배출부와 얼음 배출부가 인접하도록 배치되므로, 냉정수 및 얼음을 한번에 공급받아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ld water discharge unit and the ice discharge unit are disposed to be adjacent,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by receiving cold water and ice at once.

본 발명에 따른 얼음 공급장치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얼음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ic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for ice water purifiers used for home and business.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You will understand.

1: 얼음 정수기 10: 본체
20: 얼음 생성부 30: 얼음 가이드부
40: 냉정수통 50: 얼음 저장부
60: 보조 저장부 70: 얼음 배출부
80: 냉정수 배출부
1: ice water purifier 10: body
20: ice generator 30: ice guide
40: cold water container 50: ice storage unit
60: auxiliary storage 70: ice discharge
80: cold water discharge part

Claims (8)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상기 얼음생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생성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하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얼음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는 얼음 배출부;
상기 얼음 저장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상기 얼음 저장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반원통형 경계면을 가지며, 상기 경계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복수개의 개구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를 통해서 유입된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이 녹은 냉수를 저장하며, 상기 얼음 저장부로 상기 냉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계센서를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수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에 외부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상기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저장부;
상기 얼음 저장부와 인접하되 상기 얼음 저장부 및 상기 보조 저장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냉수 또는 정수가 저장되는 냉정수통; 및
상기 냉정수통에 연결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을 상기 냉정수 배출부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상기 얼음 배출부의 가이드부에 접촉하는 냉정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An ice producing part for generating ice;
An ice storage unit disposed below the ice producing unit and storing and receiving the ice generated by the ice generating unit, wherein the ice storage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An ice discharge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ice storage part and discharging the ice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user's needs;
It has a semi-cylindrical boundary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ce storage portion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storage portion,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interface, the ice storage portion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Cold water is melted ice is stored, including at least two water level sensor having a limit sensor for preventing the cold water flow back to the ice storage unit through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based on the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An auxiliary storage unit for discharging the cold water to the outside;
A cold water container adjacent to the ice storage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ice storage part and the auxiliary storage part, in which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is stored; And
And a cold water discharge part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ontainer and contacting a guide part of the ice discharge part that guides the ice discharged from the ice storage part toward the cold water discharg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얼음 생성부가 얼음 생성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저장부의 냉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임을 확인하여, 일정 수위 이상에서만 상기 배출관을 개방시키기 위한 저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level sensor is an ice water purifier comprising a low water level sensor for opening the discharge pipe only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by confirming that the water level of the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above a certain level when the ice generating unit performs the ice generation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냉수의 수위가 만수위이면, 상기 보조 저장부의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배출관을 개방시키고 상기 얼음 생성부를 동작시키기 만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water purifier of claim 2, wherein the water level sensor comprises a full water level sensor that opens the discharge pipe and operates the ice generator to discharge cold water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when the cold water level is a full water lev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부와 상기 얼음 생성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저장부에서 배출된 냉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water purifier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emporary storage unit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storage unit and the ice generator to temporarily store cold water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가 동작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냉수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The ice water purifier of claim 4, wherein when the ice generator is operated to generate ice,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s transferred to the ice gener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78589A 2011-08-08 2011-08-08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KR101326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589A KR101326702B1 (en) 2011-08-08 2011-08-08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589A KR101326702B1 (en) 2011-08-08 2011-08-08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71A KR20130016571A (en) 2013-02-18
KR101326702B1 true KR101326702B1 (en) 2013-11-20

Family

ID=4789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589A KR101326702B1 (en) 2011-08-08 2011-08-08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7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72B1 (en) * 2013-04-10 2020-10-07 코웨이 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KR102170139B1 (en) * 2013-04-12 2020-10-26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743Y1 (en) * 2006-06-30 2006-09-2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Structure for water outlet of hot/cool water purifier
KR20100084832A (en) * 2009-01-19 2010-07-2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rifier having ice making function and being able to recycle drain water
KR20110060323A (en)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ice storage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reof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743Y1 (en) * 2006-06-30 2006-09-2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Structure for water outlet of hot/cool water purifier
KR20100084832A (en) * 2009-01-19 2010-07-2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rifier having ice making function and being able to recycle drain water
KR20110060323A (en)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ice storage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reof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71A (en)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422B2 (en) Instant hot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7207189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JP4803602B2 (en) Hydrogen filling device
CN101810438A (en) Water dispenser and method of purifying water
KR20030092871A (en) Refrigerator
CN102958578A (en) Water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KR101326702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 maker
CN104781617A (en) Storage boiler
CN103974908B (en) Electrolyzer and possess the Teat pump boiler of this electrolyzer
CN104968906A (en) Device for providing a liquid additive
CN201593859U (en) Full-automatic pure water quick heating water boiler
CN203440098U (en) Silica powder conveying equipment and trichlorosilane synthesizing system with same
KR101542432B1 (en) Precooling system for hydrogen fuel supply
JP4972507B2 (en) Automatic ice machine
CN103900243A (en) Water boiler with two heating systems
CN202442100U (en) Liquid ammonia steel bottle with heat exchange device
CN201942517U (en) Carbon deoxidation tower
CN202470374U (en) Instant-heating water boiler
CN201085488Y (en) Drinking machine without hot liner
KR20130013517A (en) Ice container with improved drainage function
CN104067066A (en) Boiler attachment type hot water tank
KR101411868B1 (en) Device for storage of gas
CN202858842U (en) Balance water supplying temperature adjusting system and fast heating water dispenser
CN101086386A (en) Instant heating type energy-saving drinking machine heating device
KR101327448B1 (en) Ice-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