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974B1 - 모기 유인퇴치기 - Google Patents

모기 유인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974B1
KR101325974B1 KR1020110064303A KR20110064303A KR101325974B1 KR 101325974 B1 KR101325974 B1 KR 101325974B1 KR 1020110064303 A KR1020110064303 A KR 1020110064303A KR 20110064303 A KR20110064303 A KR 20110064303A KR 101325974 B1 KR101325974 B1 KR 101325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mosquito
pipe
mosquitoes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177A (ko
Inventor
김미순
이강선
Original Assignee
김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순 filed Critical 김미순
Priority to KR102011006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9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자동 모기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충인 모기를 이산화탄소로 유인하여 수집한 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모기 유인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전기분해액이 저장되고, 상기 전기분해액에 일단이 잠겨 공급된 전원을 통해 전기분해액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극단자와,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이송하기 위한 배기관을 포함한 전기분해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가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결합되며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나팔 형태로 이루어진 수집구와, 일단이 상기 수집구와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력을 형성하는 송풍기가 구비된 통풍관과, 상기 통풍관의 타단과 결합되며, 내부에 모기를 수집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그물망 형태의 투기망이 구비된 모기수집통과, 상기 모기수집통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한 모기수집부와, 상기 전기분해조와 상기 통풍관의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기 유인퇴치기{mosquito control device by decoy}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자동 모기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충인 모기를 이산화탄소로 유인하여 수집한 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모기 유인퇴치기에 관한 것이다.
모기는 숙주 동물의 체취, 숙주 동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 및 이산화탄소 등에 반응하여 숙주로 접근한 후 숙주의 피부를 통해 피를 흡혈하고 피를 흡혈하는 과정에서 각종 세균을 전염시키는 해충이다.
이러한 모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모기를 유인한 후 고압의 전기를 모기에게 흘려보내 감전사시키는 방법, 제 3 석유 종류 및 살충제를 사용한 스프레이식 모기약을 사용하는 방법, 백화(白花) 계통의 제충국(除蟲菊) 분말을 이용한 모기향 및 전자모기향을 사용하는 방법, 젖산을 히터로 가열하여 송풍기로 날려 모기를 유인한 후 고압의 전기를 흘려보내 감전사시키는 방법, 숙주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유인한 후 제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의 방법 중 이산화탄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방법을 살펴보면, 모기는 대기 중에 포함된 0.03 ~ 0.04%의 농도보다 더 낮은 0.01%의 이산화탄소를 15~20M 떨어진 거리에서 감지하고 반응을 보이는 예민한 감각 기관을 촉수에 가지고 있는데, 사람, 동물 등의 숙주가 내뱉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서 4 ~ 5%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모기가 이를 감지하여 숙주에 달라붙게 되는 모기의 특성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유인한 후 제거하는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356344호(이하 '종래기술' 이라 함)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유인액자판의 내부에 발열체를 내장하여 사람 또는 가축 등의 체온과 유사하게 하고, 발열체의 열을 확산시켜 모기의 시각을 자극하고, 유인액자판의 하부에서 발산호스로 이산화탄소를 분출하도록 하여 모기를 유인하여 유인액자판의 전후면에 설치된 포집망에 의해 감전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포집망에 의해 감전된 모기가 외부로 낙하하기 때문에 사용 중 유인액자판의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액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형성할 수 있는 형태가 제한적이고 이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환경도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이산화탄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켜 모기를 유인한 후 유인된 모기를 수집통에 수집하여 제거하는 모기 유인퇴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를 발생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야간에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발광부가 더 구비된 모기 유인퇴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전기분해액이 저장되고, 상기 전기분해액에 일단이 잠겨 공급된 전원을 통해 전기분해액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극단자와,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이송하기 위한 배기관을 포함한 전기분해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가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결합되며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나팔 형태로 이루어진 수집구와, 일단이 상기 수집구와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력을 형성하는 송풍기가 구비된 통풍관과, 상기 통풍관의 타단과 결합되며, 내부에 모기를 수집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그물망 형태의 투기망이 구비된 모기수집통과, 상기 모기수집통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한 모기수집부와, 상기 전기분해조와 상기 통풍관의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극단자는, 혼합 플래티넘이 도금된 티타늄 망 또는 다공성 티타늄 판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풍관은,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양측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된 'n'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에는, 이송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기체조절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배출관에는, 외부로 빛을 점등하는 발광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대기 중에 분포된 이산화탄소 보다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유인하고, 유인된 모기를 모기수집통으로 수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모기수집통 외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바닥이나 지면에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벽에도 고정할 수 있어 사용 환경의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극단자에 플래티넘 도금층이 더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산화탄소의 생성 효율이 높아진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유인퇴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수집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수집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수집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유인퇴치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기 유인퇴치기(1)는, 전기분해조(10)와, 모기수집부(20)와,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분해조(10)는, 전기분해액(W)이 저장된 저장조(11)와, 상기 저장조(11)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12)와, 일단이 상기 전기분해액(W)에 담겨지고 타단은 상기 덮개(12)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극단자(13)와, 상기 전기분해액(W)을 저장조(11)에 보충하기 위한 첨수구(14)와, 상기 극단자(13)에 의해 형성된 이산화탄소를 모기수집부(20)로 이송하는 배기관(15)과, 상기 배기관(15)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기관(15)을 통해 이송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기체조절밸브(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분해액(W)은, 상기 극단자(13)를 통해 전기분해되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례로 포화 옥살산(oxalic acid)으로 이루어진 용액일 수 있는데, 상기 포화 옥살산은 상온에서는 백색의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189.5°C에서 분해되며 녹게 되고, 옥살산 이수화물(H2C2O4·2 H2O)은 101.5°C에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산화되기 쉬워서 정량할 때는 묽은 황산 용액에서 과망가니즈산 칼륨으로 산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진한 황산과 함께 가열되면 같은 부피의 일산화 탄소와 이산화 탄소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극단자(13)는, 혼합 플래티넘(platinum, 백금)이 도금된 티타늄(titanium) 망 또는 다공성 티타늄 판넬로 형성된 것으로, 이때 상기 혼합 플래티넘은 황금 함유량 60~75%이며 나머지 25~40%는 은, 니켈, 동 등의 불활발성 금속을 혼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혼합 플래티넘을 티타늄 망 또는 다공성 티타늄 판넬의 외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여 극단자(13)를 형성하고, 상기 극단자(13)는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극단자(13)는 도금된 혼합 플래티넘이 전도(傳導) 성능이 향상시켜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을 증가시키고, 티타늄 망 또는 다공성 티타늄 판넬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도 연장되며,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첨수구(14)는, 상기 저장조(11)에 저장된 전기분해액(W)의 수위가 낮아지면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장조(11)의 상부를 폐쇄하는 덮개(12)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분해액(W)을 저장조(11)에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첨수구(14)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141)이 구비되고, 상기 첨수구(14)와 뚜껑(141)은 나사 결합을 통해 일체로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관(15)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관체로서, 일단은 상기 덮개(12)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모기수집부(20)의 입기관(21)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조(11)에서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통풍관(24)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체조절밸브(16)는, 상기 배기관(15)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기관(15)를 통해 모기수집부(20)로 이송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LPG, LNG 등과 같은 기체를 이송할 때 사용되는 기체조절용밸브를 적용한 것으로, 내부구조 및 동작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기분해조(10)에서 생성되어 이송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고, 배출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유인된 모기를 수집하는 모기수집부(20)는, 상기 배기관(15)과 연통된 입기관(21)과, 상기 입기관(21)을 통해 이송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2)과, 상기 배출관(22)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나팔 형태를 이루는 수집구(23)와, 상기 수집구(23)와 연통되고 일측 끝단에 흡입력을 형성하는 송풍기(241)가 구비된 통풍관(24)과, 상기 통풍관(24)을 통해 유입된 모기가 저장되는 모기수집통(25)과, 상기 모기수집통(25)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대(26) 및 상기 배출관(22)의 끝단에 구비된 발광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기관(21)은, 내부가 빈 원통형의 관체로서, 일단은 상기 배기관(15)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관(22)과 연통되어 배기관(15)을 통해 이송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배출관(22)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배출관(22)은, 상기 입기관(21)을 통해 이송된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배출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입기관(21)과 결합되는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221)이 관통 형성되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 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상기 배출공(221)이 방사상 형태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구(23)는, 상기 배출관(22)의 일측에 구비되어 배출관(22)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유인된 모기를 수집하는 것으로, 모기가 수집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나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집구(23)는 수집되는 모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통풍관(24)에 구비된 송풍기(241)에서 형성된 흡입력에 의해 외부에서 내부로 수집되는 모기의 수집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직경을 좁아지게 형성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를 상승시켜 수집구(23)의 하부에 비행중인 모기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수집구(23)의 내측에는 상기 배출관(22)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집구(23) 내측에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살(231)로 이루어진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풍관(24)은,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양측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된 'n'자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단은 상기 수집구(23)와 연통되며, 타측단은 후술하는 모기수집통(25)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흡입력을 형성하는 송풍기(241)가 구비된다.
상기 통풍관(24)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241)에서 형성된 흡입력이 상기 수집구(23)의 하부에 유인된 모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때 배출관(22)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모기와 동시에 흡입될 때 중앙과 양측단이 만나는 절곡부위에서 내측벽에 부딪히면서 공기의 와류(渦流)현상이 일어나게 되면서 이산화탄소의 일부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이때 상기 송풍기(241)는 분당 40~50회 정도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일부만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도 3의 하부에 표현된 송풍기흡입력, 이산화탄소 지시화살표 참조)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일부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송풍기(241)의 흡입에 의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춰지는 것을 일부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후술하는 모기수집통(25)의 상부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져 모기수집통(25)의 내측에서 다시 외부로 이동하는 이산화탄소와 합쳐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통풍관(24)의 외면에는 결합고리(242)가 더 구비되어 모기수집부(20)를 지면이나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상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거나 벽 등에 고정할 때 상기 결합고리(242)에 못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하거나 제어부(30)가 구비된 케이스(31)에 결합된 피크로드(311)와 와이어(243)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기수집통(25)은, 상기 통풍관(24)이 일단이 결합되고, 내부에 모기를 수집할 수 있는 저장공간(251)이 형성된 함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공간(251)의 상부에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투기망(252)이 형성되어 모기와 이산화탄소가 동시에 흡입된 후 모기는 저장공간(251) 내부에 머물고 이산화탄소는 투기망(252)의 틈새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저장공간(251)의 내부에는 흡입된 모기를 죽일 수 있는 제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거부는 전기가 흐르는 격자망(253) 또는 살충제 성분이 포함된 물이 소량 저장된 수용구(2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26)는, 상기 모기수집통(25)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기수집통(25)의 저장공간(251)에 수집된 모기를 제거하기 용이하고, 나아가 상기 모기수집통(25)을 바닥이나 지면에 설치할 때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7)는, 상기 배출관(22)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대기 중에 빛과 열을 발산하여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기분해조(10)와 통풍관(24)의 송풍기(241)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전기분해조(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전압계(32)와 전류계(33)가 구비되고, 전기분해조(10)의 극단자(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34)와, 상기 극단자(13)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전압스위치(35)와, 상기 통풍관(24)의 송풍기(241)를 제어하는 송풍기제어스위치(36) 및 전원을 제어하는 on/off 스위치(3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31)에는 상기 통풍관(24)의 외벽에 구비된 결합고리(242)와 와이어(243)를 통해 결합되는 피크로드(311)가 구비되며, 상기 피크로드(311)는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어부(30)는, 전기분해조(10)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게 되고 전기분해조(10)의 동작 상태를 전압계(32)와 전류계(33)를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전압스위치(35)를 통하여 극단자(13)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30)의 동작상태는 일반적인 전기제어부의 동작상태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내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원발명에서 제어부(30)가 구비된 케이스(31)에는 피크로드(311)가 구비되어 상기 통풍관(24)을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원발명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사용자가 전기분해조(10)를 동작시키게 되면, 전기분해조(10)에서 이산화탄소가 형성되고, 형성된 이산화탄소는 배기관(15)을 통해 이송된 뒤 입기관(21)을 거쳐 배출관(22)으로 이송된다.
상기 배출관(22)에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221)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되며,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배출관(22)의 주위의 대기 중에 퍼지면서 모기를 유인하게 되며, 이때 상기 배출관(22)의 하단부에 구비된 발광부(27)가 상기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모기를 유인하게 된다.
유인된 모기는 통풍관(24)에 구비된 송풍기(241)의 흡입력을 통해 통풍관(24)으로 빨려들어가게 되며, 이때 통풍관(24)의 일측 끝단에 결합된 수집구(23)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나팔형태로 이루어져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하여 흡입력이 향상되어 모기의 수집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통풍관(24)을 통해 수집된 모기는 모기수집통(25)에 수집되며, 이때 상기 모기수집통(25)에는 그물망 형태의 투기망(252)이 구비되어 수집된 모기는 저장공간(251)에 머물고, 이산화탄소는 투기망(252)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모기수집통(25)에는 전기가 흐르는 격자망(253) 또는 살충제 성분이 포함된 물을 소량 저장한 수용구(254)가 구비되어 수집된 모기를 죽일 수 있으며, 이후 모기수집통(25)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받침대(26)를 분리하여 수집된 모기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도 4 는 본원발명에 따른 모기수집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배출관(22)을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배출관(22)의 하부에 송풍기(241)가 구비된 통풍관(24)이 고정되고, 상기 통풍관(24)의 하부에 모기수집통(25)과 받침대(26)를 배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통풍관(24)은 단면이 일자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배출관(22)을 통해 배출된 이산화탄소와 이로 인해 유인된 모기를 동시에 흡입하게 되며, 흡입된 모기는 통풍관(24)의 하부에 배치된 모기수집통(25)에 수집되는 것이다.
도 4 의 실시예에서 통풍관(24)의 형상이 단면이 일자형태로 이루어져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나, 통풍관(24)은 배출관(22)의 하부에 직접 결합되어 배출관(22)에 의해 유인된 모기를 직접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배출관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지속적으로 흡입하고 모기수집통(25)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하면서 배출관의 외측에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원발명은, 대기 중에 분포된 이산화탄소 보다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모기를 유인하고, 유인된 모기를 모기수집통으로 수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모기수집통 외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바닥이나 지면에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벽에도 고정할 수 있어 사용 환경의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으며, 극단자에 플래티넘 도금층이 더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산화탄소의 생성 효율이 높아진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자동 모기 포획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모기 유인퇴치기 W : 전기분해액
10 : 전기분해조 11 : 저장조 12 : 덮개
13 : 극단자 14 : 첨수구 15 : 배기관
16 : 기체조절밸브
20 : 모기수집부 21 : 입기관 22 : 배출관
23 : 수집구 24 : 통풍관 25 : 모기수집통
26 : 받침대 27 : 발광부
241 : 송풍기 251 : 저장공간 252 : 투기망
30 : 제어부 31 : 케이스 32 : 전압계
33 : 전류계 34 : 전원스위치 35 : 전압스위치
36 : 송풍기제어스위치 37 : on/off 스위치

Claims (5)

  1. 내부에 전기분해액이 저장되고, 상기 전기분해액에 일단이 잠겨 공급된 전원을 통해 전기분해액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며 혼합 플래티넘이 도금된 티타늄 망 또는 다공성 티타늄 판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극단자와,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이송하기 위한 배기관을 포함한 전기분해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결합되며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나팔 형태로 이루어진 수집구와,
    일단이 상기 수집구와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력을 형성하는 송풍기가 구비되고,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양측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된 'n'자 형태로 이루어진 통풍관과,
    상기 통풍관의 타단과 결합되며, 내부에 모기를 수집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그물망 형태의 투기망과, 전기가 흐르는 격자망이 구비된 모기수집통과,
    상기 모기수집통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한 모기수집부와;
    상기 전기분해조와 상기 통풍관의 송풍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기 유인퇴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64303A 2011-06-30 2011-06-30 모기 유인퇴치기 KR101325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03A KR101325974B1 (ko) 2011-06-30 2011-06-30 모기 유인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303A KR101325974B1 (ko) 2011-06-30 2011-06-30 모기 유인퇴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77A KR20130003177A (ko) 2013-01-09
KR101325974B1 true KR101325974B1 (ko) 2013-11-07

Family

ID=4783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303A KR101325974B1 (ko) 2011-06-30 2011-06-30 모기 유인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1040A (zh) * 2016-06-08 2016-08-10 宁波大央工贸有限公司 蚊虫诱杀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955B1 (ko) * 2015-02-26 2017-03-29 김영진 모기포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466A (ko) * 2000-09-15 2002-03-21 이경원, 김윤환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KR200370016Y1 (ko) * 2004-09-17 2004-12-16 이재섭 해충 포집 장치
KR200426538Y1 (ko) * 2006-06-26 2006-09-19 이홍익 모기 포획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466A (ko) * 2000-09-15 2002-03-21 이경원, 김윤환 공기 정화 기능의 모기 퇴치기
KR200370016Y1 (ko) * 2004-09-17 2004-12-16 이재섭 해충 포집 장치
KR200426538Y1 (ko) * 2006-06-26 2006-09-19 이홍익 모기 포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1040A (zh) * 2016-06-08 2016-08-10 宁波大央工贸有限公司 蚊虫诱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77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60906T3 (es) Aparato y método para atrapar plagas de insectos voladores
US8402691B2 (en) Insect trap
US20090277076A1 (en) Device For Elimination Of Mosquitoes And Flying Pests
KR101349733B1 (ko) 해충 포획장치
CN206963753U (zh) 一种捕虫或杀虫装置
KR20130053672A (ko) 해충퇴치기
KR101325974B1 (ko) 모기 유인퇴치기
CN103478104A (zh) 无危害灭蚊器
JPWO2012086253A1 (ja) 蚊誘引機
CN211458614U (zh) 一种农田诱虫装置
CN212306572U (zh) 一种畜牧养殖蚊虫捕杀装置
CN211581294U (zh) 一种养殖圈用的灭虫装置
CN203735313U (zh) 一种气流式灭蚊器
CN205337312U (zh) 一种诱蚊灭蚊器
CN104521925A (zh) 一种捕蚊器
CN201957637U (zh) 一种灭蚊灯
CN103766310A (zh) 一种气流式灭蚊器
WO2015123874A1 (zh) 一种气流式灭蚊器
CN208739948U (zh) 一种环保杀虫灯
CN206923546U (zh) 多方式诱导捕蚊器
CN207269688U (zh) 一种具有净化功能的灭蚊灯
CN103025154A (zh) 接触式捕虫器
CN203735318U (zh) 一种气流式灭蚊器
JP2009028025A (ja) 昼夜兼用の飛翔性害虫・電撃殺虫器
KR200426538Y1 (ko) 모기 포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