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16B1 - 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 Google Patents

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16B1
KR101325716B1 KR1020130080052A KR20130080052A KR101325716B1 KR 101325716 B1 KR101325716 B1 KR 101325716B1 KR 1020130080052 A KR1020130080052 A KR 1020130080052A KR 20130080052 A KR20130080052 A KR 20130080052A KR 101325716 B1 KR101325716 B1 KR 10132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column pipe
elevating
pump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0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상석
Original Assignee
제이엠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아이 (주) filed Critical 제이엠아이 (주)
Priority to KR102013008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F05D2260/607Preventing clogging or obstruction of flow paths by dirt, dust, or foreign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ged pump with an automatic foreign material removal function. A base plate (110) hung on the ceiling of a water storage unit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a column pipe (100). A pump (104) is installed in an internal flow passage (102) of the column pipe (100). A strainer (140)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pipe (100).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44)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rainer (140). The diameters of the through-holes (144) become smaller from an inlet to the inner side. The strainer (140) is vertically elevated along the column pipe (100) by an elevating device.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n elevating motor (114)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a bobbin (118) rotated by the elevating motor (114), and an elevating member which is wound and unwound around/from the bobbin (118). An elevation guide unit (148) and an elevation roller unit (154) are formed on the strainer (140) and gu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so that the strainer (140) is accurately and relatively moved in respect to the column pi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erials can be removed more efficiently so that the durability of a pump (104)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럼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로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트레이너를 구비한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sible pump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water pump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removing a foreign substance having a strain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ucked into the pump installed inside the column pipe.

수중펌프는 컬럼파이프의 내부에 펌프가 설치되어 물을 양수시켜 원하는 위치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중 펌프가 저수구조물에 설치된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Submersible pump is a pump is installed inside the column pipe to pump water and deliver it to the desired position. A state in which such a submersible pump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structure is shown in FIG. 1.

도 1에 따르면,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진 저수구조물(10)의 내부에는 저수부(12)가 형성된다. 수중 펌프는 상기 저수부(12)에 있는 물을 원하는 위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부(12)의 내부로 연장되게 컬럼파이프(14)가 설치된다. 상기 컬럼파이프(14)는 중력방향으로 연장되게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상기 저수구조물(10)에 설치된다. 상기 컬럼파이프(14)는 상단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6)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구조물(10)의 저수부(12) 천정에 걸어진다. 상기 컬럼파이프(14)가 상기 저수구조물(10)의 저수부(12) 외부로 노출되게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6)가 상기 저수부(12) 천정의 개방부분을 차폐하면서 개방부분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있게 된다.According to FIG. 1, the reservoir 12 is formed inside the reservoir 10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The submersible pump serves to deliver the water in the reservoir 12 to the desired location. The column pipe 14 is installed to extend into the reservoir 12. The column pipe 14 is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structure 10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extend in the gravity direction. The column pipe 14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16 at an upper end thereof to hang on the ceiling of the reservoir 12 of the reservoir structure 10. The base plate 16 shields the opening of the ceiling of the reservoir 12 so that the column pipe 14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12 of the reservoir 10. I'm walking.

상기 컬럼파이프(14)의 일측 외면에는 배출구(18)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8)는 상기 컬럼파이프(14)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8)에는 연결파이프(20)가 연결되어 컬럼파이프(14)를 통해 양수된 물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연결파이프(20)에는 물을 원하는 위치로 보내기 위한 또 다른 연결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다.An outlet 18 is formed at on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4. The outlet 18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ipe 14. A connection pipe 20 is connected to the outlet 18 to transfer the pumped water through the column pipe 14. The connection pipe 2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connection pipe for sending water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컬럼파이프(14)의 내부에는 펌핑부(22)가 설치되는데, 상기 펌핑부(22)에는 임펠러(24)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12)의 물을 흡입하게 된다.A pumping part 22 is installed inside the column pipe 14, and an impeller 24 is provided in the pumping part 22 to suck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part 12.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예를 들어 상기 저수부(12)가 빗물을 임시로 저수하는 곳이라면, 장마철이나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에 많은 이물질들이 함께 저수부(12)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은 상기 컬럼파이프(14) 내부로 들어가서 펌핑부(22)의 임펠러(24)로 흡입된다.For example, if the reservoir portion 12 temporarily stores rainwater, many foreign matters are delivered to the reservoir portion 12 together in the rainy season or when heavy rain falls. Such foreign matter enters into the column pipe 14 and is sucked into the impeller 24 of the pumping part 22.

하지만,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의 경우에는 상기 임펠러(24)를 손상시킬 수 있다. 즉, 임펠러(24)에 각목이나 철근 등이 흡입되면 상기 임펠러(24)가 구속되어 펌핑부(22)에 있는 모터가 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 may damage the impeller 24. That is, when the wood or reinforcing bar is sucked into the impeller 24, the impeller 24 is constrained, causing a problem such that the motor in the pumping unit 22 is burned out.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100514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01-01005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995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6995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컬럼파이프의 하부에 스트레이너를 두어 컬럼파이프 내부의 펌프로 일정 이상 크기의 이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a strainer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pipe is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o prevent the transfer of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the pump inside the column pipe.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컬럼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된 스트레이너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스트레이너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잘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lift and lower the strainer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pipe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to better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trai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컬럼파이프의 하부에 설치된 스트레이너가 컬럼파이프에 대해 정지되어 있거나 이동될 때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relative position to be set correctly when the strain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lumn pipe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stopped or moved with respect to the column pip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하로 관통하여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에 펌프가 설치되며 상단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컬럼파이프와, 상기 컬럼파이프의 하부에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둘러싸고 외면으로 개방되게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컬럼파이프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소정 거리 연장되어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상기 컬럼파이프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up and down, an internal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 pump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flow path and the column pipe formed with an outlet on one side of the upper column, and the colum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ip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and open to the outer surface. The strainer extends downwardly from the column pipe to extend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if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strainer along the column pipe. Include.

상기 컬럼파이프의 상단에는 상기 컬럼파이프를 저수구조물의 저수부 천정에 걸어져 설치되게 하고 승강기구의 일부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된다.An upper end of the column pipe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which is mounted on the ceiling of the reservoir of the reservoir structure and installed with some components of the lifting mechanism.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감겨지고 풀어지며 상기 스트레이너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다수개가 상기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스트레이너에 상기 승강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는 승강안내롤러유닛과,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더 구비되는 승강롤러유닛을 포함한다.The elevating mechanism includes a drive source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 bobbin rotated by the drive source, a bobbin wound and unwound on the bobbi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rainer, and a plurality of lif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A member, an elevating guide roller unit which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vating member on the strainer and is guided and mov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and is provided between the elevating guide roller unit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elevating guide roller unit. It includes a lifting roller unit further provided at intervals.

상기 스트레이너의 골격을 원통형의 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몸체를 관통해서는 다수개의 통공이 몸체의 외면과 내부를 연통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은 입구에서 내부로 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된다.A cylindrical body forms the skeleton of the strainer, and through the bod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body, the through-hole from the inlet to the inside is to be smaller in diameter.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면을 둘러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걸이구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구와 대응되는 상기 컬럼파이프의 하단부 외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구가 구비된다.A hook hole i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and a hook hol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corresponding to the hook hole.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 내면에는 상기 걸이구의 사이에 상기 컬럼파이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위치되는 스페이서리브가 더 구비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acer rib which is located in the gap formed between the column pipe between the hook hole.

상기 스트레이너의 몸체 하단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형상유지바아가 구비되는데, 상기 형상유지바아의 양단은 상기 몸체의 내면에 연결된다.
A plurality of shape maintaining bars are provid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strainer, and both ends of the shape maintaining bars are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submersible pump with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이너가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물이 컬럼파이프로 흡입되는 컬럼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펌프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in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where water is sucked into the column pip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transfer of foreign matter to the pump.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이너가 컬럼파이프에 대해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트레이너에 부착된 이물질을 스트레이너가 승강되면서 컬럼파이프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제거할 수 있어 펌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ainer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column pip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trainer can be remov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column pipe while the strainer is elevat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ump. There is also an effec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이너를 둘러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는 다수개의 롤러를 두었으므로 컬럼파이프에 대한 스트레이너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어 컬럼파이프와 스트레이너 사이의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rollers are disposed around the strainer and mov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strainer with respect to the column pipe can be accurately set,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column pipe and the strainer. There is also.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트레이너의 하부에 형상유지바아가 설치되어 스트레이너의 내경을 일정 값으로 유지하므로 스트레이너가 펌프의 흡입력 등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hape retaining bar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rainer to maintai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ainer at a constant value, there is also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trainer from being deform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중 펌프가 저수구조물에 설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컬럼파이프의 상단에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와 그에 설치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컬럼파이프의 하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트레이너를 보인 분해사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water pu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struct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ubmersible pump with an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nd the top of the column pi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configuration of the column pip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i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ubmersible pump having an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중 펌프의 외관을 컬럼파이프(100)가 형성한다. 상기 컬럼파이프(100)는 중력방향으로 즉, 수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물론, 상기 컬럼파이프(100)는 상단부가 저수구조물에 걸어져 설치되어 하단부는 저수부의 바닥을 향하고 저수부의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As shown in FIG. 2 to FIG. 7, the column pipe 100 form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ubmersible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pipe 100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Of course, the column pipe 100 is provided with the upper end is hooked to the reservoir structure, the lower end is positioned toward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reservoir.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내부를 관통해서는 내부유로(102)가 있다. 상기 내부유로(102)는 저수부에 있는 물이 흡입되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유로(102)는 그 유동단면이 원형으로 되는 것이 좋다.The inner passage 102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umn pipe 100. The internal passage 102 is a portion through which water in the reservoir is sucked through.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flow passage 102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내부유로(102)에는 펌프(104)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104)에는 임펠러(106)가 구비되어 물을 흡입하여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펌프(104)는 상기 임펠러(106)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입구쪽에 있도록 설치된다.A pump 104 is installed in the inner flow passage 102 of the column pipe 100. The pump 104 is provided with an impeller 106 to suck the water to be pressurized. The pump 104 is installed so that the impeller 106 is at the inlet side of the column pipe 100.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내부유로(102)를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배출구(108)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08)에는 도시되지 않은 연결파이프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된 물이 상기 연결파이프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배출구(108)의 개방 방향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다.An outlet 108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to communicate the inner passage 102 with the outside. A connection pip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outlet 108 so tha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08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rough the connection pipe.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outlet 108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ipe 100.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상단부에는 저수구조물의 저수부 천정에 걸어지는 베이스플레이트(110)가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보다 돌출되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대략 사각형 판으로 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12)가 있다. 상기 보강리브(11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직교하게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강도를 보강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리브(112)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만들어진다.The upp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has a base plate 110 that hangs on the ceiling of the reservoir structure. The base plate 110 is siz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In this embodiment, the base plate 110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There ar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12 on the base plate 110. The reinforcing rib 112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plate 110.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rib 112 is made to exten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lumn pipe 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는 승강모터(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모터(114)가 반드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상기 승강모터(114)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됨에 의해 컬럼파이프 펌프장치의 이동이 용이해지고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The lifting motor 114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The lifting motor 114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However, since the elevating motor 114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lumn pipe pump device is easily mov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is minimized.

상기 승강모터(114)의 출력축(도시되지 않음)에는 감속기(116)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116)에서 나온 출력축에는 2개의 보빈(118)이 설치된다. 상기 보빈(118)은 상기 승강모터(11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보빈(118)에는 아래에 설명될 승강부재(120)가 감아진다.An output shaft (not shown) of the elevating motor 114 is provided with a reducer 116, and two bobbins 118 are installed at an output shaft from the reducer 116. The bobbin 118 i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lifting motor (114). The lifting member 120 to be described below is wound around the bobbin 118.

상기 보빈(118)에 감아지는 승강부재(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레이너(14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강선과 같은 와이어가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승강부재(120)로는 로프, 체인 등 여러가지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The lifting member 120 wound on the bobbin 118 serves to elevate the strainer 140 to be described below. In this embodiment, a wire such as steel wire is used. However, the lifting member 120 may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rope, a chain.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는 상기 승강부재(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안내롤러유닛(122,124)이 각각 2개씩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안내롤러유닛(122,124)은 상기 승강부재(120)가 진행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제1안내롤러유닛(122)은 상기 보빈(118)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보빈(118)으로 승강부재(120)가 이동하거나 보빈(118)에서 승강부재(120) 풀려나오는 것을 안내한다.On the base plate 110, two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 units 122 and 12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member 120 ar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 units 122 and 124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ing member 120. The first guide roller unit 12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bobbin 118 to guide the lifting member 120 to move to the bobbin 118 or to release the lifting member 120 from the bobbin 118.

상기 제2안내롤러유닛(124)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양측면으로 또는 양측면에서부터 상기 제1안내롤러유닛(122)으로 승강부재(120)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제2안내롤러유닛(124)은 상기 컬럼파이프(100)를 기준으로 180도 떨어진 위치에 각각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안내롤러유닛(122,124)은 각각 한쌍의 지지리브(125)에 롤러(126)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126) 자체 또는 롤러(126)의 회전중심축이 상기 지지리브(125)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second guide roller unit 124 guides the lifting member 120 to move to both sides of the column pipe 100 or from both sides to the first guide roller unit 122. Accordingly, the second guide roller units 124 are respectively positioned 180 degrees apart from the column pipe 100. The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 units 122 and 124 are respectively rotatably supported by a roller 126 on a pair of support ribs 125. Both ends of the roller 126 itself or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ller 126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ribs 125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상단을 덮도록 헤드커버(128)가 있다. 상기 헤드커버(128)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로(102)의 상부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헤드커버(128)에는 전선(130)이 관통한다. 상기 전선(130)은 상기 펌프(104)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32는 개폐걸이부이고, 134는 에어벤트이다.There is a head cover 128 to cover the top of the column pipe (100). The head cover 128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lumn pipe 100 to shield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nal flow path 102. The wire 130 penetrates through the head cover 128. The wire 130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pump 104. Reference numeral 132 denotes an opening and closing hook portion, and 134 denotes an air vent.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에는 컬럼파이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안내레일(136)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일(136)은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안내롤러유닛(148)의 롤러(15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레일(136)은 길게 연장된 한쌍의 리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레일(136)의 리브 사이를 아래에서 설명될 롤러(152)가 안내되어 이동한다. 상기 안내레일(136)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중 정반대쪽으로 돌출되게 양측에 구비된다.An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ipe 100 and includes a guide rail 136. The guide rail 136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152 of the lifting guide roller unit 148 to be described below. The guide rail 136 is constituted by a pair of long extending ribs. The roller 152 to be described below is guided and moved between the ribs of the guide rail 136. The guide rails 136 are provided at both sides to protrude to opposite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 하단에는 걸림구(138)가 있다. 상기 걸림구(138)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구(138)에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상단부를 향하는 면에 걸림홈(13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3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레이너(140)의 걸이구(160)가 걸어져 스트레이너(140)가 컬럼파이프(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홈(139)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을 향해 볼 때 역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다.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has a latch 138. The latch 13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A locking groove 139 is formed at a surface of the locking hole 138 facing the upp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The hook groove 139 of the strainer 140 to be described below is hooked to the locking groove 139 to prevent the strainer 140 from falling out of the column pipe 100. The locking groove 139 is formed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단에는 스트레이너(140)가 설치된다.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골격을 몸통(142)이 형성하는데, 상기 몸통(142)은 원통형상이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 있다. A strainer 14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The body 142 forms a skeleton of the strainer 140, the body 142 is cylindrical and the top and bottom are open.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내경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경보다는 크다. 이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에 있는 안내레일(136)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도 컬럼파이프(100)에 대해 스크레이너(140)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strainer 14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umn pipe 100. This is to prevent the interference with the guide rail 136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to allow the scraper 140 to be smoothly lifted and raised with respect to the column pipe 100.

상기 몸통(142)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다수개의 통공(144)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44)은 몸통(14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공(144)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몸통(142)의 거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통공(144)을 통해서는 물이 통과한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4 are formed to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42. The through hole 144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142. The through holes 144 are formed over the whole of the body 142 with a plurality of regular intervals. Wat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상기 통공(144)은 상기 몸통(142)의 외면에서의 내경이 내면에서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물이 몸통(142)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된다고 볼 때, 유동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도록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물이 스트레이너(140)의 외부에서 내부로 보다 잘 흡입되도록 하면서도 이물질이 통공(144)을 통해서 스트레이너(14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through hole 144 is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42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n the inner surface. In other words, when the water flows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42 to the inside,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narrowed. Such a configuration serve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trainer 140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while allowing water to be better sucked from the outside to the interior of the strainer 140.

상기 몸통(142)의 하단부에는 형상유지바아(146)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형상유지바아(146)가 3개가 그 중간부에서 서로 교차되게 상기 몸통(142)의 내면에 설치된다. 상기 형상유지바아(146)의 각각의 단부는 상기 몸통(142)의 내면에 고정되어 몸통(142)의 형상이 펌프(104)의 흡입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end of the body 142 has a shape maintaining bar (146).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maintaining bar 146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42 so that the three cross each other in the middle portion. Each end of the shape maintaining bar 146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42 serves to prevent the shape of the body 142 is deform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104).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상단 양측에는 승강안내롤러유닛(148)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48)은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된 지지체(150)의 내부에 롤러(15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롤러(152)는 상기 지지체(1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롤러(152)는 그 외면이 상기 지지체(150)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을 따라 안내된다. 특히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48)의 롤러(152)는 상기 안내레일(136)을 따라 안내된다.Lifting guide roller unit 148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trainer 140. The elevating guide roller unit 148 is configured by the roller 152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150 having a flat hexahedral shape. The roller 152 is to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150.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152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50 is gu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In particular, the roller 152 of the lifting guide roller unit 148 is guided along the guide rail 136.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48)에는 각각 2개씩의 롤러(152)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설치된다. 이는 상기 안내레일(136)과 보다 긴 구간에서 동시에 상기 롤러(152)가 안내되도록 하여 스트레이너(140)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일어나도록 한다.Two rollers 152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ifting guide roller unit 14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ipe 100. This allows the roller 152 to be guided simultaneously in a longer section with the guide rail 136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trainer 140 occurs more stably.

다음으로,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승강롤러유닛(154)이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48)의 사이에 2개의 승강롤러유닛(15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54)도 지지체(156)의 내부에 롤러(158)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롤러(158)는 그 회전중심축의 양단이 상기 지지체(15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롤러(158)의 일측은 상기 지지체(156)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된다.Next, a plurality of lifting roller units 154 are provid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strainer 140. In this embodiment, two lifting roller units 154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lifting guide roller units 148. The lifting guide roller unit 154 is also configured to have a roller 158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156. The roller 158 is rotatably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roller 158 by the support 156. One side of the roller 158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156 and mov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상단 내면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걸이구(160)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구(160)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단부 외면에 있는 걸림구(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구(160)가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48)이나 승강롤러유닛(154)의 지지체(150,156)에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160)의 형상은 상기 걸림홈(139)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즉, 횡단면이 역사다리꼴로 된다.A plurality of hook holes 160 are provided alo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140. The hook 160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13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In this embodiment, the hook tool 160 is integrated with the support guides 150 and 156 of the lifting guide roller unit 148 or the lifting roller unit 154. The hanging tool 16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locking groove 139. In other words, the cross section becomes trapezoidal.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몸통(142)의 내면 상단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162)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162)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과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몸통(142) 내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스트레이너(14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162)는 상기 걸이구(160)의 사이에 위치된다.A plurality of spacer ribs 162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42 of the strainer 140 is installed. The spacer rib 162 serve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trainer 140 through a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42 of the strainer 140. The spacer rib 162 is positioned between the hook holes 16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use of a submersible pump having an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수중 펌프는 저수구조물의 저수부에 설치되어 저수부로 전달되어 온 물을 원하는 위치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저수구조물의 저수부 천장에 상기 컬럼파이프(100)가 설치되어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부를 통해 저수부의 물이 상기 펌프(104)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다.The submersible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of the reservoir structure serves to send the water delivered to the reservoir to the desired position. The column pipe 1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reservoir structure so that water of the reservoir portion is sucked by the pump 104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pipe 100.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내부로 흡입된 물은 펌프(104)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상기 내부유로(102)를 지나서 상기 배출구(108)를 통해 연결파이프로 전달되어 원하는 위치로 보내진다.The water sucked into the column pipe 100 is pressu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ump 104, passed through the internal flow path 102, through the outlet 108,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스트레이너(140)는 저수부에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상기 펌프(104)로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이너(140)에 있는 통공(14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이물질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다.The strainer 14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pipe 100 serv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 the reservoir from being sucked into the pump 104. Therefore, foreign matt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44 in the strainer 140 cannot enter the inside of the column pipe 100.

한편, 집중호우나 장마 등 많은 이물질이 저수부로 전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존재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펌프(104)로는 흡입되지 않게 되어 펌프(104)를 사용한 양수작업이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a case where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such as a heavy rain or rainy season is delivered to the reservoir, in this case, the foreign matter is not sucked into the pump 104 by the presence of the strainer 140 is used to use the pump 104 Pumping work can be done continuously and smoothly.

하지만, 계속적은 양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외면에 많은 이물질이 부착된다. 특히, 펌프(104)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통공(144) 및 그 주변에는 이물질들이 흡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흡착되어 있는 이물질들은 상기 스트레이너(140)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줄이게 되고, 이는 펌프(104)에 큰 부하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을 분리해내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However, when a continuous pumping operation is made, many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iner 140. In particular, the foreign matter is adsorbed in the through hole 144 and the periphery of the strainer 14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104. The foreign matter adsorbed as described above reduces the amou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strainer 140, which acts as a large load on the pump 104.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이 작업의 하나로, 상기 펌프(104)를 역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있다. 즉, 펌프(104)가 내부유로(102)로 물을 흡입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부로 물을 배출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통공(144)을 통해 물을 배출하여 스트레이너(140)의 통공(144) 및 그 주변에 있는 이물질을 물의 배출압력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통공(144)이 막힌 것을 해소하여 통공(144)을 통한 물의 흡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공(144)은 상기 몸체(142)의 외면에서 그 직경이 더 크고 내면쪽에서 직경이 작으므로 펌프(104)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물을 상기 통공(144)을 통해 몸통(142)의 외부로 배출할 때, 보다 효과적이다.One of these operations is to drive the pump 104 in reverse. That is, the pump 104 does not suck water into the internal flow path 102 but, on the contrary, discharges water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pipe 100. That is, the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of the strainer 14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through hole 144 and the surroundings of the strainer 140 by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water. Through such a process, the through-hole 144 of the strainer 140 is eliminated so that the intake of water through the through-hole 144 is smooth. Here, the through hole 144 has a larger diameter 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42 and a smaller diameter at the inn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pump 104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drive water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to the outside of the body 142. It is more effective when it is discharged.

한편, 상기 스트레이너(14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스트레이너(1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컬럼파이프(100)를 따라 상기 스트레이너(140)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의해 이물질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nother method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trainer 140 is to move the strainer 140 up and down. That is, foreign matter is dropped by moving the strainer 140 up and down along the column pipe 100.

그리고, 나뭇가지와 같이 긴 이물질이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통공(144)을 통해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내부로 소정 길이 들어간 상태로 끼여 있는 것이 있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상기 스트레이너(140)를 상기 컬럼파이프(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시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ng foreign matter such as a twig may b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strainer 140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of the strainer 140. This may be removed by moving the strainer 140 up and down along the column pipe 100.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통공(144)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만큼 스트레이너(140)의 내부로 들어와 있는 이물질은 상기 스트레이너(140)가 상기 컬럼파이프(100)에 대해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단에 의해서 잘라지게 된다. 즉,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단과 스트레이너(140)의 상대 이동에 의해 이물질이 잘라진다. 따라서, 스트레이너(140)의 내부로 들어온 이물질은 잘라져 작은 크기로 되어 펌프(104)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통공(144)에 끼어 있고 스트레이너(1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이물질은 스트레이너(140)가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통공(144)에서 빠져 제거되는 것이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oreign matter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into the strainer 140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lowered by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while the strainer 140 moves up and down the column pipe 100. It will be cut. That is, foreign matter is cut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and the strainer 140.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trainer 140 is cut to a small size to pass through the pump 104,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through hole 144 and protrudes out of the strainer 140 is the strainer 140 Is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144 in the process of moving up and down.

참고로, 상기 스트레이너(14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동작과 상기 펌프(104)를 반대로 구동시키는 동작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스트레이너(140)로 부터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스트레이너(140)를 승강시키는 동작은 통공(144)에 끼여 펌프(104)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서는 제거할 수 없는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For reference, when the operation of elevating the strainer 140 up and down and the operation of driving the pump 104 in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performed, foreign matter may be removed from the strainer 140 more efficiently. Of course, the operation of elevating the strainer 140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from the foreign matter that can not be removed by the reverse driving of the pump 104 is caught in the through hole 144.

여기서, 상기 스트레이너(140)가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설명한다. 평상시, 즉 상기 모터(104)가 구동되면서 물을 양수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걸이구(160)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걸림구(138)에 형성된 걸림홈(139)에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이너(140)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하단부에 걸어져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120) 역시 상기 스트레이너(140)가 더 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Here,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trainer 140 is moved up and down. In general, that is, in the process of pumping water while the motor 104 is driven, the hook hole 160 of the strainer 140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139 formed in the locking hole 138 of the column pipe 100. It is. Therefore, the strainer 140 is hanging on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100. Of course, the elevating member 120 also prevents the strainer 140 from lowering further.

상기 승강모터(114)가 일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부재(120)를 상기 보빈(118)에 감아지도록 하면 상기 스트레이너(140)가 상기 컬럼파이프(100)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48)과 승강롤러유닛(154)의 각각의 롤러(152,158)가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을 따라 굴러가게 된다. 특히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148)의 롤러(152)는 상기 안내레일(136)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상승은 상기 승강모터(114)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상기 보빈(118)에 승강부재(120)가 감겨지는 정도를 규제함에 의해 그 정도를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elevating motor 114 is driven in one direction to wind the elevating member 120 on the bobbin 118, the strainer 140 is raised along the column pipe 100. At this time, each of the rollers 152 and 158 of the elevating guide roller unit 148 and the elevating roller unit 154 roll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In particular, the roller 152 of the elevating guide roller unit 148 is moved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guide rail 136. The rise of the strainer 140 may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ifting motor 114 or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the lifting member 120 wound around the bobbin 118.

상기 승강모터(114)가 타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승강부재(120)가 상기 보빈(118)에서 풀려나오게 되고, 상기 보빈(118)에서 승강부재(120)가 풀려나옴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너(140)는 상기 컬럼파이프(100)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When the elevating motor 114 is driven in the other direction, the elevating member 120 is released from the bobbin 118, the elevating member 120 is released from the bobbin 118 by the strainer 140 ) Is lowered along the column pipe 100.

상기 스트레이너(140)의 승강은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을 만큼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물질이 어느 정도 제거되었는지는 펌프(104)의 내부에 설치한 전류센서, 토출압측정센서로 감지할 수 있다.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trainer 140 should be performed to sufficient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nd how much the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may be detected by a current sensor and a discharge pressure measuring sensor installed inside the pump 104.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승강모터(114)를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20)를 보빈(118)에 감거나 풀도록 되어 있으나,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보빈(118)을 회전시켜 승강부재(120)를 감거나 풀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레이너(140)를 승강시키는 구성인 승강기구는 다양한 구동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20)도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강선, 로프, 체인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levating motor 114 is used to wind or unwrap the elevating member 120 on the bobbin 118, but the man is manually operated to rotate the bobbin 118 to elevate. The member 120 may be wound or unwound. Therefore, the lifting mechanism, which is a structur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trainer 140, may use various driving sources. In addition, the lifting member 120 may also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steel wire, rope, chain as described above.

상기 승강기구의 승강부재(12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줄이 사용되지만, 2개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재(120)는 상기 컬럼파이프(100)의 외면을 둘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가 있으면 된다.
The elevating member 120 of the elevating mechanism is used two line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wo or more may be used. The lifting member 120 may have a plurality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100.

100: 컬럼파이프 102: 내부유로
104: 펌프 106: 임펠러
108: 배출구 110: 베이스플레이트
112: 보호리브 114: 승강모터
116: 감속기 118: 보빈
120: 승강부재 122: 제1안내롤러유닛
124: 제2안내롤러유닛 125: 지지리브
126: 롤러 128: 헤드커버
130: 전선 132: 커버개폐걸이부
134: 에어벤트 136: 안내레일
138: 걸림구 139: 걸림홈
140: 스트레이너 142: 몸체
144: 통공 146: 형상유지바아
148: 승강안내롤러유닛 150: 지지체
152: 롤러 154: 승강롤러유닛
156: 지지체 158: 롤러
160: 걸이구 162: 스페이서리브
100: column pipe 102: internal flow path
104: pump 106: impeller
108: outlet 110: base plate
112: protective rib 114: lifting motor
116: reducer 118: bobbin
120: lifting member 122: first guide roller unit
124: second guide roller unit 125: support rib
126: roller 128: head cover
130: wire 132: cover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34: air vent 136: guide rail
138: locking groove 139: locking groove
140: strainer 142: body
144: through hole 146: shape maintenance bar
148: lifting guide roller unit 150: support
152: roller 154: lifting roller unit
156: support 158: roller
160: hanger 162: spacer rib

Claims (7)

상하로 관통하여 내부에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에 펌프가 설치되며 상단 일측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컬럼파이프와,
상기 컬럼파이프의 하부에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둘러싸고 외면으로 개방되게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컬럼파이프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소정 거리 연장되어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를 상기 컬럼파이프를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A column pipe penetrating up and down and having an internal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a pump installed at the internal flow path and having an out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there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pip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and open to the outer surface, the strainer being extended from the column pipe to a lower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ubmersible pump having an automatic debris removal function including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the strainer along the column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파이프의 상단에는 상기 컬럼파이프를 저수구조물의 저수부 천정에 걸어져 설치되게 하고 승강기구의 일부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The submersible pu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plate of the column pipe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on which the column pipe is hung on the ceiling of the water storage structure, and a base plate on which a part of the lifting mechanism is installed is provid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감겨지고 풀어지며 상기 스트레이너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다수개가 상기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스트레이너에 상기 승강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컬럼파이프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하는 승강안내롤러유닛과,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안내롤러유닛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더 구비되는 승강롤러유닛을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ing mechanism is a drive source installed on the base plate, the bobbin rotated by the drive source, the bobbin is wound and unwinde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rainer and a plurality of th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An elevating member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n elevating guide roller uni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vating member on the strainer, and being guided and moving along an outer surface of the column pipe, and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strainer and the elevating guide roller; Submersible pump with automatic foreign matter removal function including a lifting roller unit furth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nit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골격을 원통형의 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몸체를 관통해서는 다수개의 통공이 몸체의 외면과 내부를 연통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은 입구에서 내부로 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되는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keleton of the strainer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body, the through-hole Submersible pump with automatic removal of debris that causes the diameter to decrease as it moves from inside to in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면을 둘러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걸이구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구와 대응되는 상기 컬럼파이프의 하단부 외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구가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According to claim 4, The hook hol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the foreign material automatic removal func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ipe corresponding to the hook hole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Equipped submersible pum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단 내면에는 상기 걸이구의 사이에 상기 컬럼파이프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위치되는 스페이서리브가 더 구비되는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6. The submersible pump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spacer ribs disposed on a gap formed between the hook holes and the column pipes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trai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몸체 하단부 내측에는 다수개의 형상유지바아가 구비되는데, 상기 형상유지바아의 양단은 상기 몸체의 내면에 연결되는 이물질 자동제거 기능을 갖춘 수중 펌프.
The water pump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shape retaining bars are provid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strainer, and both ends of the shape retaining bars are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KR1020130080052A 2013-07-09 2013-07-09 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KR101325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052A KR101325716B1 (en) 2013-07-09 2013-07-09 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052A KR101325716B1 (en) 2013-07-09 2013-07-09 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716B1 true KR101325716B1 (en) 2013-11-08

Family

ID=4985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052A KR101325716B1 (en) 2013-07-09 2013-07-09 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1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22B1 (en) * 2016-03-30 2016-08-10 동원펌프주식회사 a strainers for water pumps with Stand Function
KR101874315B1 (en) * 2016-09-01 2018-07-04 (주)영진글로지텍 Underwater data collection device
KR20200108579A (en) * 2019-03-11 2020-09-21 효성아쿠아텍(주) Submergible Motor Pump that Allows for Adjustment of Clearance
KR102270861B1 (en) * 2020-09-03 2021-06-30 주식회사 동성피엔피 Underwater pump with anti-vortex panel
KR102517201B1 (en) 2022-10-21 2023-04-03 신우정공 주식회사 Prefab tray for installing wi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00A (en) * 1994-02-22 1995-09-05 Ishigaki Mech Ind Co Strainer device provided at suction opening of intake pump
JP2001214879A (en) 2000-01-31 2001-08-10 Torao Inoue Bottom sampling strainer for submergible pump having excavating function
KR101019856B1 (en) 2010-10-13 2011-03-04 소진호 Rotational strainer of vertical sump pump and vertical sump pump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00A (en) * 1994-02-22 1995-09-05 Ishigaki Mech Ind Co Strainer device provided at suction opening of intake pump
JP2001214879A (en) 2000-01-31 2001-08-10 Torao Inoue Bottom sampling strainer for submergible pump having excavating function
KR101019856B1 (en) 2010-10-13 2011-03-04 소진호 Rotational strainer of vertical sump pump and vertical sump pump hav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22B1 (en) * 2016-03-30 2016-08-10 동원펌프주식회사 a strainers for water pumps with Stand Function
KR101874315B1 (en) * 2016-09-01 2018-07-04 (주)영진글로지텍 Underwater data collection device
KR20200108579A (en) * 2019-03-11 2020-09-21 효성아쿠아텍(주) Submergible Motor Pump that Allows for Adjustment of Clearance
KR102247693B1 (en) * 2019-03-11 2021-05-03 효성아쿠아텍(주) Submergible Motor Pump that Allows for Adjustment of Clearance
KR102270861B1 (en) * 2020-09-03 2021-06-30 주식회사 동성피엔피 Underwater pump with anti-vortex panel
KR102517201B1 (en) 2022-10-21 2023-04-03 신우정공 주식회사 Prefab tray for installing wi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716B1 (en) Underwater pump having foreign body removal function
US20090218106A1 (en) Submersible pump puller and method of use
KR101447737B1 (en) House of Commons of the keys for the roof crane
JP2008174919A (en) Tower for escaping from flood disaster
JP4412548B2 (en) Manhole pump station
KR100739290B1 (en) Freight car lifter for construction works
CN102777048A (en) Vertical transportation device
JP6628310B2 (en) Derrick for steel tower assembly and dismantling
KR101470517B1 (en) Gondola for tower working
KR20060136096A (en) Freight car lifter for construction works
KR101331130B1 (en) Drying machine for fire hose
CN210947112U (en) Prefabricated pump station bottom pull rod goes up and down from cleaning device
KR20190001237U (en) Rope hoisting apparatus
KR20150020374A (en) Lifting apparatus for stiking abalone
KR20180012881A (en) Structure of veranda installed with room for outside unit of air-conditioner within house
CN111332830A (en) Cement warehouse cleaning device and method
KR200459629Y1 (en) Rope pulling apparatus for aquatic products
JP3534301B2 (en) Protection device for cables etc. in submersible pumps
JP2011069192A (en) Floating body device
KR102524889B1 (en) A lift
JP2015017534A (en) Transportable drainage pump
CN219033467U (en) Mud blowdown reconstruction device for original water station
KR102302216B1 (en) Remote controllable pump station assembled manhole
KR101568910B1 (en) An apparatus for pulling up the scaffolding using electric motor
KR102219651B1 (en) exhaust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