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680B1 -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680B1
KR101325680B1 KR1020110089092A KR20110089092A KR101325680B1 KR 101325680 B1 KR101325680 B1 KR 101325680B1 KR 1020110089092 A KR1020110089092 A KR 1020110089092A KR 20110089092 A KR20110089092 A KR 20110089092A KR 101325680 B1 KR101325680 B1 KR 10132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ronidazole
hydrogel
hydrogel containing
biocompatible polymer
vinylimid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657A (ko
Inventor
노영창
권희정
임윤묵
박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68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3Bur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궤양,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은 궤양,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효과가 있는 메트로니다졸을 방사선 조사량을 조절하여 수화겔 내부에 고농도로 봉입할 수 있고, 방사선 조사량, 구성성분 및/또는 약물농도를 달리하여 약물방출량 및 약물방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방출량이 일정하게 지속되며, 낮은 메트로니다졸 농도를 사용하여 제조한 수화겔에서도 충분히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궤양 치료용 드레싱, 상처 치료용 드레싱, 화상 치료용 드레싱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Hydrogels having metronidazo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처 치유 과정은 급성기, 수복기 및 반흔화 단계로 구분된다.
급성기는 삼출기라고도 하며, 조직이 파괴되든지 이물질이 혼입된 손상된 부위에서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로서, 이때 염증반응 및 혈액응고 반응이 수반된다.
수복기는 증식기라고도 하며, 혈관이 새로 생기고 손상된 부위가 늘어나 손상 부위의 회복이 일어나는 단계로서, 이 시기에서는 활발한 세포증식 또는 결합조직의 일종인 육아조직내의 세포간 물질인 콜라젠이나 프로테오글라이칸의 활발한 합성이 이루어져 표피 세포가 가동성을 획득하고, 분열증식하여 표피조직을 재생한다.
반흔화 단계는 활발한 세포의 증식은 느려지고, 콜라젠 섬유가 가교되면서 손상 부위의 물리적 강도가 증대되는 단계로서, 최종적으로, 혈관계도 퇴축하고 주위의 정상 조직과는 다른 조직이 손상 부위에 자리잡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처가 치유되게 된다.
한편, 상처 치유시 중요한 혈액공급이 부족할 경우 궤양(ulcer)이 나타난다. 궤양은 염증이나 괴사로 인해 그 상피가 탈락하여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손되거나 함몰된 것을 의미하며, 조직의 염증이 진행되면 중성백혈구와 대식세포에서 나오는 리소좀 효소로 인해 조직이 파괴되나, 조직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동맥이나 정맥에 문제가 있어서 갑자기 또는 서서히 혈액공급이 안 될 때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원인은 궤양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염증이 진행되고 농양이 형성되면 정상 조직의 일부가 파괴되고 이것이 더욱 진행되면 궤양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발생과정으로 인해, 궤양은 피부를 비롯하여 소화기, 호흡기, 심혈관, 비뇨생식기 등에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조직의 산소 및 영양분의 결핍으로 인한 궤양은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인 주로 발이나 다리에 생기는 당뇨병성 궤양이 대표적이다.
특히, 상처 또는 궤양 치료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처에 존재하는 수많은 상재균에 의한 것이다. 대표적인 상재균으로 포도상구균인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구균인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프로피오니박테리움(Puropionibacterium), 피이티로스포룸(Pityrosporum), 대장균(E.coli)등이 있으며 특히, 스타필로코커스, 대장균, 코리네박테리움 등이 궤양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처의 치료는 수분환경을 유지하는 경우가 건조한 상태보다 치료속도가 훨씬 빠른 것은 이미 공지의 사실인바[Rake B.A, Appl. Nurs. Res. 1998, 11, 174-182], 상처 치료를 위한 최적의 수화겔(hydrogels)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수화겔은 습윤 상태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화상치료 또는 피부 재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로서 상기 수화겔이 대개 6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여야만 상기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심한 화상 치료의 경우, 최종적으로는 자가이식이나 환자의 섬유아세포의 생체 내(in vitro) 배양한 조직을 이식하게 되는데, 상기의 시술을 시행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술 전에 환부의 감염을 막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때, 수화겔이 혈액, 체액 및 생체조직과 친화성이 있어 상처용 드레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수화겔은 콘택트 렌즈 및 연골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이용될 수 있는 수화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화겔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의 선택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고분자는 3차원의 망상구조를 가져야 하며, 카르복실기(COOH), 아미드기(CONH2), 아미도기(CONH), 술포기(SO3H) 등의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여 물을 흡수하면서도 물에 용해되지 않아야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화겔에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는 구조의 특성상 모세관 및 삼투압 현상에 의해 물을 흡수하여 수분을 함유하게 되고, 정전기적, 친유성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대개는 고분자쇄 사이에 공유결합 구조 때문에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징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화겔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합성고분자, 천연고분자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제조되며, 상기 합성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친수성의 합성고분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천연고분자는 젤라틴, 아가(agar), 알긴산염(alginate), 콜라겐, 키토산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화겔의 제조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방법 및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중 화학 가교제 또는 개시제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화학적 방법보다는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화학 가교제나 개시제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이들 물질의 잔류로 인한 독성문제를 해결하고, 가교와 동시에 멸균을 겸할 수 있는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은 가교 과정에서 열을 가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냉각상태에서도 가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조성물을 변화시킬 필요없이 방사선 조사량의 조절만으로도 물리적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통상, 상처 또는 궤양 치료용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화겔이 구비하여야 할 요건으로는 체액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고, 박테리아로부터 감염을 막을 수 있어야 하며, 상처 또는 피부에 탈부착이 용이하여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성과 산소 투과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약물 제어가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저장성과 멸균력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수화겔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미국 등록특허 제5,389,376에 방사선 가교법을 이용한 상처치료용 드레싱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폴리비닐피롤리돈에 아가,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혼합하고 이것을 방사선으로 조사하여 가교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명은 방사선의 가교법의 특징, 즉 가교와 멸균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아가의 혼합시 수화겔의 강도가 낮고, 혼용성이 좋지 않아서 강도가 약해 찢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제5,480,717호에서는 점착제가 부착된 고분자 필름에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액을 캐스팅하고 방사선으로 조사하여 제조된 수화겔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의 수화겔은 강도는 약한 반면, 점착성이 너무 강하여 상처로부터 수화겔을 제조할 때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86864호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 합성 고분자를 키토산, 키토산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또는 알긴산나트륨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혼합하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단계 1); 상기 단계 1의 수용액을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단계 2); 상기 단계 2의 시트를 포장하는 단계 (단계 3); 및 상기 단계 3의 포장된 시트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단계 4)로 이루어지는 상처 치료용 수화겔 드레싱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60458호에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및 키토산,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수용액 또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글리세린의 혼합물 수용액을 막 상에 도포하고 동결 및 해동을 수행하여 예비 수화겔을 성형하는 단계; 막 상에 성형된 예비 수화겔을 포장재료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포장된 예비 수화겔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조하는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85646호에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다가알코올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화겔 드레싱, 트레이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드레싱 또는 피부미용 팩제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12시간 이상 공기 중에 노출되면 수분이 증발되어 상처치료의 기능을 할 수 없으므로 사용가능 시간이 짧은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9-267453호 공보에서는 폴리비닐알콜을 기본 소재로 하고 여기에 다른 적층제를 첨가하여 물성을 개선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단순히 방사선 조사로 제품을 제조하기 때문에 물성 개선에 한계가 있어, 방사선 조사를 하지 않고는 포장재에 형태를 유지시키면서 넣을 수 없기 때문에 2회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해야 하며, 환부에 장기 사용시에는 항균제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수화겔은 상처 또는 궤양 부위에 발생하는 상재균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균효과 및 악취를 예방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은 치주염, 질염 등에 항생제로써 사용되는데, 크게 경구용과 피부적용제로 사용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상기 상재균의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메트로니다졸의 하루 투약 허용치는 2-4 g이며, 평균 7-10 일정도 투약해야 치료 효과가 나타나며, 물에서의 용해도가 매우 낮아(Max. 1 g/100 ml in water), 현재 시판되고 있는 피부 적용을 위한 연고젤 형태의 메트로니다졸 약품의 최대 약물 봉입 농도는 0.75%로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궤양, 상처 또는 화상 부위에 발생하는 상재균의 생성을 억제하여 악취를 예방함과 동시에 항균효과를 가지는 수화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방사선 가교기술을 이용하여 메트로니다졸을 고농도로 함유한 수화겔이 궤양, 상처 또는 화상 부위에서 특이적으로 상재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악취를 예방하고 항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하는 수화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화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화겔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드레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화겔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드레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화겔을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드레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트로니다졸, 생체적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겔 형태이며, 상기 겔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형성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메트로니다졸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을 형틀에 부어 겔 상태의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시트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 수화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수화겔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드레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화겔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드레싱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수화겔을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드레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은 궤양,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효과가 있는 메트로니다졸을 방사선 조사량을 조절하여 수화겔 내부에 고농도로 봉입할 수 있고, 방사선 조사량, 구성성분 및/또는 약물농도를 달리하여 약물방출량 및 약물방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방출량이 일정하게 지속되며, 낮은 메트로니다졸 농도를 사용하여 제조한 수화겔에서도 충분히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궤양 치료용 드레싱, 상처 치료용 드레싱, 화상 치료용 드레싱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하는 수화겔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겔의 약물(메트로니다졸)봉입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겔의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생육저지환의 지름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약물(메트로니다졸)농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수화겔에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사선 조사선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수화겔에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트로니다졸, 생체적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겔 형태이며, 상기 겔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형성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3차원의 망상구조를 형성하여야 하고, 친수성 관능기를 포함하여 물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수화겔을 이루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비닐이미다졸, 폴리 N-비닐이미다졸 등의 합성 고분자, 카라기난,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아가, 알긴산염, 폴리에틸렌글리콜, 키토산 등의 천연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카라기난 및 1-비닐이미다졸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강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10-4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혼합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1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약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겔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은 다가알콜류로서 겔의 점착특성 향상 및 피부 보습효과 증진의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을 대체하여 다른 종류의 다가알콜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글리세린은 1-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6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글리세린이 1 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에는 수화겔의 함수율이 낮아져 피부 점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글리세린이 고분자간의 가교결합을 방해하여 수화겔의 겔화율 저하로 인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에 있어서, 상기 메트로니다졸은 향균효과 증진의 역할을 한다.
이때, 적절한 항균효과를 나타낸다는 관점에서 메트로니다졸을 0.01-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혼합되는 메트로니다졸의 중량비가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체 허용한도를 초과하는 문제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필름 형태의 수분 방출 방지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 방출 방지층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비닐알코올(EVOH),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폴리우레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VA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의 공중합체 수지로써, 투명성, 유연성, 저온취성 등이 우수하여 신발용 소재, 농업용 필름, 라미네이팅 필름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PVC 대체 소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비닐아세테이트는 친수성을 갖고 있어, 수화겔과 접착성이 우수하며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EVA의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증가할수록 친수성이 증가되는데, 특히 3-35 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가 함유된 EVA가 적합하다.
상기 EVOH는 에틸렌과 비닐알코올의 공중합 열가소성 수지이다. EVOH는 산소, 탄산가스 등과 같은 무기 가스 및 식품의 방향성분 등과 같은 유기가스의 통과를 차단할 수 있어 식품포장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표면광택성이 뛰어나다. 나아가, 비닐알코올은 친수성을 갖고 있어, 수화겔과 접착성이 우수하며 수분 조절 능력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중합체로 가장 먼저 상업화된 폴리올레핀계 물질로서 밀도에 따라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중밀도 폴리에틸렌(MDL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은 수분 차단성이 좋으며 내화학성 및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고 기체투과성이 큰 특징이 있다. 특히, VLDPE의 경우 내한성이 커서 냉동식품 포장과 열접착성이 좋아 다른 포장재와 라미네이팅 할 때 열접착성 포장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극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내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산소 투과도는 매우 높으며 투습도는 낮아서 수화겔의 수분 증발을 막기에 적합한 재료이다.
또한, 상기 수분 방출 방지층은 10-500 ㎛ 두께의 필름을 사용하거나, 이보다 더 두꺼운 경우에는 칼로 미세하게 컷을 주거나 미세기공을 형성시켜 공기투과도를 높여 사용하는 것이 상처 또는 궤양 치료의 목적에 부합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화겔은 방사선 가교기술을 통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3차원적 구조로 가교시키고, 메트로니다졸 구조내의 니트로 그룹의 프리라디칼 생성으로 인한 수화겔과의 결합으로, 방사선 조사선량을 조절하여 수화겔 내부에 상기 약물을 높은 약물봉입율로 봉입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방사선 조사량, 수화겔 구성성분 및/또는 약물농도를 달리하여, 국소적 적용부위에 따라 약물방출량 및 방출시간의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약물방출량이 일정하게 지속되므로, 궤양내 유해 미생물에 의한 냄새 정도에 따라 드레싱 교체시간 및 투여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에 나타낸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생체적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메트로니다졸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을 형틀에 부어 겔 상태의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시트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단계 3).
이하, 본 발명의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제조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정제수에 생체적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메트로니다졸을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강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10-4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종류, 이의 바람직한 예 및 함량 한정의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결합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글리세린을 1-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6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의 함량 한정의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적절한 항균효과를 나타낸다는 관점에서 메트로니다졸을 0.01-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로니다졸의 함량 한정의 이유 역시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혼합용액을 형틀에 부어 겔상태의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용액을 형틀 안에 붓고 상온에 방치하여 혼합용액의 온도가 40 ℃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물리적 겔화가 진행되어 형틀 안에서 시트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형틀은 용도에 따라 일반적인 모양 또는 다양한 크기, 두께 및 모양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시트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감마선, 자외선, 전자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고분자를 가교시킴으로써 원하는 물성의 수화겔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수화겔을 멸균시키게 된다. 또한, 항균 효과가 있는 메트로니다졸을 방사선 조사량을 조절하여 수화겔 내부에 높은 약물봉입율로 봉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사선의 조사선량은 10-100 kGy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조사선량이 10 kGy 미만인 경우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한 생체적합성 고분자 간의 효과적인 가교 형성을 기대할 수 없고 약물봉입율이 낮은 문제가 있고, 100 kGy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분자의 가교도가 증가하여 탄성도와 점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2에서 혼합용액을 형틀에 붓기 전에 수분 방출 방지층을 형틀에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 방출 방지층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비닐알코올(EVOH),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폴리우레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분 방출 방지층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제조된 수화겔을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포장에는 통상의 포장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고분자 필름이나 알루미늄 박, 또는 알루미늄과 고분자 필름의 라미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이용한 궤양, 상처 및 화상 치료용 드레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은 궤양, 상처 또는 화상 치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효과가 있는 메트로니다졸을 방사선 조사량을 조절하여 수화겔 내부에 고농도로 봉입할 수 있고, 방사선 조사량, 구성성분 및/또는 약물농도를 달리하여 약물방출량 및 약물방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방출량이 일정하게 지속되며, 낮은 메트로니다졸 농도를 사용하여 제조한 수화겔에서도 충분히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궤양 치료용 드레싱, 상처 치료용 드레싱, 화상 치료용 드레싱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의 제조 1
폴리비닐피롤리돈은 BASF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카라기난은 MSC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1-비닐이미다졸은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폴리비닐알콜(Mw 8.5×104-1.24×105)은 동양제철화학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메트로니다졸은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모든 시약들은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생체적합성고분자로 폴리비닐피롤리돈 5 g, 폴리비닐알콜 3 g, 카라기난 2 g 및 1-비닐이미다졸 10 g을 메트로니다졸 0.1 g 및 글리세린 4 g과 함께 정제수 75.9 ml에 넣고,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교반하여 혼합시켰다. 이후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60 ℃ 항온수조(water bath)에 약 12시간 정도 담가놓았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을 칼집을 낸 EVA 필름을 삽입한 형틀에 붓고 밀봉한 후, 감마선을 10 kGy/hr 선량율로 총조사량이 각각 15(실시예 1a), 25(실시예 1b), 35(실시예 1c), 50(실시예 1d) 및 70(실시예 1e) kGy가 되도록 조사하여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1a-1e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의 제조 2
메트로니다졸을 0.5 g으로 증량한 것과 정제수를 75.5 m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2a-2e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의 제조 3
메트로니다졸을 1.0 g으로 증량한 것과 정제수를 75.0 m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3a-3e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의 제조 4
메트로니다졸을 1.5 g으로 증량한 것과 정제수를 74.5 m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4a-4e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의 제조 5
메트로니다졸을 3.0 g으로 증량한 것과 정제수를 73.0 m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5a-5e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의 제조 6
메트로니다졸을 5.0 g으로 증량한 것과 정제수를 71.0 ml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6a-6e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하지 않은 수화겔의 제조
메트로니다졸을 첨가하지 않은 것과 정제수를 76 ml 사용한 것과 총조사량이 25 kGy가 되도록 조사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하지 않은 수화겔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화겔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폴리비닐피롤리돈(g) 폴리비닐알콜(g) 카라기난
(g)
글리세린
(g)
1-비닐이미다졸(g) 메트로니다졸(g) 정제수(ml)
실시예 1 5 3 2 4 10 0.1 75.9
실시예 2 5 3 2 4 10 0.5 75.5
실시예 3 5 3 2 4 10 1.0 75.0
실시예 4 5 3 2 4 10 1.5 74.5
실시예 5 5 3 2 4 10 3.0 73.0
실시예 6 5 3 2 4 10 5.0 71.0
비교예 1 5 3 2 4 10 0 76.0
<실험예 1> 방사선 조사량에 따른 약물(메트로니다졸)봉입율 평가
실시예 1-3 및 실시예 5-6에서 제조한 수화겔의 방사선 조사량에 따른 약물(메트로니다졸)봉입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a-1e, 실시예 2a-2e, 실시예 3a-3e, 실시예 5a-5e 및 실시예 6a-6e에서 제조한 수화겔 각각을 2 mg씩 증류수(50 ml)에 넣고 교반과 동시에 초음파로 분해시켰다. 다음으로, 원심분리하여 생성된 상층액에서 약물(메트로니다졸)농도를 UV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화겔에 봉입된 약물(메트로니다졸)봉입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68851857-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Wa는 수화겔에서 분리된 약물의 중량이고,
Wb는 수화겔 제조시 사용한 약물의 중량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겔의 약물(메트로니다졸)봉입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약물봉입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메트로니다졸 0.1 중량%)에서 제조한 수화겔의 약물(메트로니다졸)봉입율은 최대 70% 이상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은 방사선 조사량에 따라 메트로니다졸 봉입율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트로니다졸 봉입율이 매우 높아 제조과정에서 메트로니다졸의 손실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궤양 치료용 드레싱, 상처 치료용 드레싱, 화상 치료용 드레싱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2>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의 항균활성 평가
실험군으로 실시예 1(1b)에서 제조한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과 대조군으로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하지 않은 수화겔의 항균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페이퍼 디스크법(paper disc method)으로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1b)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수화겔을 10% 농도로 에탄올 용매에 녹여 제조한 시료를 8 mm 페이퍼 디스크에 30 ㎕씩 점적하였다. 다음으로, 전배양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타필로코커스 파이오젠스(Staphylococcus pyogenes) 및 대장균(E.coli)을 접종시킨 액상 배지(Nutrient Agar) 위에 상기에서 준비한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형성된 시료별 균체의 생육저지환(growth 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화겔의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생육저지환의 지름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하지 않은 수화겔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에서 메트로니다졸의 농도가 가장 적은 실시예 1(메트로니다졸 0.1 중량%)에서 제조한 수화겔의 경우에도 충분히 우수한 항균활성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메트로니다졸 함유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은 궤양 부위에 발생하는 냄새 유발 미생물의 번식을 저해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불쾌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궤양 치료용 드레싱, 상처 치료용 드레싱, 화상 치료용 드레싱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약물농도에 따른 약물방출량 평가
약물(메트로니다졸)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수화겔에서 약물(메트로니다졸)방출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약물투과 시험용 확산장치(PermeGear V6A Stirrer, (주)다일과학교역)의 수용상을 pH 7.4의 인산 완충액으로 채워 32±0.5 ℃로 유지시키고, 실시예 2-4에서 제조한 수화겔을 공여셀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적용한 다음, 10, 20, 30분, 1, 2, 3, 4, 5 및 6 시간마다 각각 1 ml씩 취하여 자외선분광광도계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약물방출량을 측정하였다. 도 4에 실시예 2c, 3c 및 4c에서 제조한 수화겔에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도 5에 실시예 3a-3e에서 제조한 수화겔에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약물농도를 달리하여 제조된 수화겔에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사선 조사선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수화겔에서 방출된 약물의 흡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시간 이내까지 약물방출량이 선형으로 급증하고, 1시간 이후부터는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약물농도를 달리하고 35 kGy의 동일한 조사선량으로 제조한 실시예 2c, 3c 및 4c의 수화겔의 경우 약물방출량은 서로 상이하지만, 1시간 이후부터는 거의 일정하게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트로니다졸 함유 수화겔은 약물(메트로니다졸)농도 및 방사선 조사선량을 조절하여 약물방출량 및 약물방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물방출량이 일정하게 지속되므로, 궤양 치료용 드레싱, 상처 치료용 드레싱, 화상 치료용 드레싱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메트로니다졸, 생체적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겔 형태이며, 상기 겔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형성되되,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비닐이미다졸, 폴리 N-비닐이미다졸, 카라기난, 젤라틴, 아가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1-비닐이미다졸 및 카라기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10-40 중량%;
    글리세린 1-10 중량%;
    메트로니다졸 0.1-5.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은 수분 방출 방지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방출 방지층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비닐알코올(EVOH),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
  6.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비닐이미다졸, 폴리 N-비닐이미다졸, 카라기난, 젤라틴, 아가,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체적합성 고분자, 글리세린 및 메트로니다졸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을 형틀에 부어 겔 상태의 시트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시트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1-비닐이미다졸 및 카라기난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은,
    생체적합성 고분자 10-40 중량%;
    글리세린 1-10 중량%;
    메트로니다졸 0.1-5.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방사선은 감마선, 자외선 및 전자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의 조사선량은 10-100 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혼합용액을 형틀에 붓기 전에 수분 방출 방지층을 형틀에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수분 증발 방지층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비닐알코올(EVOH),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및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의 제조방법.
  13. 제1항의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포함하는 궤양 치료용 드레싱.
  14. 제1항의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드레싱.
  15. 제1항의 메트로니다졸을 포함하는 수화겔을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드레싱.
KR1020110089092A 2011-09-02 2011-09-02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92A KR101325680B1 (ko) 2011-09-02 2011-09-02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92A KR101325680B1 (ko) 2011-09-02 2011-09-02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57A KR20130025657A (ko) 2013-03-12
KR101325680B1 true KR101325680B1 (ko) 2013-11-05

Family

ID=4817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092A KR101325680B1 (ko) 2011-09-02 2011-09-02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8093A (zh) * 2016-07-20 2016-12-07 江苏达胜伦比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辐照交联丝素蛋白水凝胶医用冷敷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130A (ko) * 2002-12-12 2004-06-18 한국원자력연구소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130A (ko) * 2002-12-12 2004-06-18 한국원자력연구소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57A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ed et al. In-vitro and in-vivo study of superabsorbent PVA/Starch/g-C3N4/Ag@ TiO2 NPs hydrogel membranes for wound dressing
Singh et al. Design of antibiotic containing hydrogel wound dressings: biomedical properties and histological study of wound healing
KR101506621B1 (ko) 인시츄 형성된 하이드로겔 상처 드레싱 및 생체물질 그리고 그들의 사용
KR101242574B1 (ko) 은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상처치료용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8348B1 (ko)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RU2422133C1 (ru) Гидрофильный гель,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раневое покрытие и перевязоч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его основе
JP2007519459A (ja) 水和性ヒドロゲル及び酵素を含む傷のドレッシング
JP2008504912A (ja) 非接着性ヒドロゲル
CN105327385A (zh) 功能性水凝胶医用敷料的制造方法
CN105327386A (zh) 功能性水凝胶医用敷料
EP3145556A1 (en) Apertured hydrogel compositions and wound dressings
WO201816762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timicrobial hydrogel
Rungrod et al. Synthesis of poly (ε-caprolactone) diacrylate for micelle-cross-linked sodium amps hydrogel for use as controlled drug delivery wound dressing
KR101303284B1 (ko) 히알루론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9146B1 (ko) 베타글루칸을 함유한 상처치료용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Tang et al. Multifunctional hydrogels for wound dressings using xanthan gum and polyacrylamide
KR100742266B1 (ko) 수분 방지 효과가 우수한 상처 치료용 수화겔 및 이의제조방법
Tvl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iprofloxacin loaded chitosan-gelatin composite films for wound healing activity
KR101540318B1 (ko) 수면마취용 구강점막 부착형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5680B1 (ko) 메트로니다졸을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CZ302380B6 (cs) Suchá substance hydrogelu pro krytí ran a zpusob její prípravy
KR101265257B1 (ko) 효소를 함유한 상처 또는 궤양 치료용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59494B1 (ko)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CN106937941B (zh) 一种医用皮肤伤口消炎凝胶及其制备方法
WO2010067378A2 (en) Hydroge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