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977B1 -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 Google Patents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977B1
KR101324977B1 KR1020120067305A KR20120067305A KR101324977B1 KR 101324977 B1 KR101324977 B1 KR 101324977B1 KR 1020120067305 A KR1020120067305 A KR 1020120067305A KR 20120067305 A KR20120067305 A KR 20120067305A KR 101324977 B1 KR101324977 B1 KR 10132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expansion
support frame
expansion tube
wind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우석
김기환
박종일
송세환
정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9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F03D80/5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is disclosed.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upport frames arranged on both sides of a blade; first expansion tubes which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s and form a frame with the support frames through the expansion; second expansion tubes which are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s and grip the blade through the expansion; a lift device which lifts up the support frames using cables; and an air supply device which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s and controls the expa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s.

Description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0001]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FOR WIND TURBINE [0002]

본 발명은 블레이드에 접근하여 청소, 검사 등의 블레이드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that allows blade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inspection, etc. to be performed by accessing the blade.

풍력터빈은 바람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해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다. 다양한 형식이 있지만, 최근 발전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은 회전축이 바람의 방향과 수평으로 놓이는 프로펠러형 풍력터빈이다. Wind turbines are devices that produce electricity by convert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wind into mechanical energy. There are various types, but the most commonly used type for recent generation is a propeller-type wind turbine in which the axis of rotation lie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wind.

프로펠러형 풍력터빈은 육상이나 해상에 설치된 타워(tower)와, 타워의 상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발전기를 내장한 나셀(nacelle)과, 발전기의 구동을 위해 나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블레이드(blade)를 갖춘 로터(rotor)를 포함한다.The propeller-type wind turbine includes a tower installed on the land or sea, a nacelle installed to rotate on the top of the tower and having a built-in generator, a plurality of blades installed to rotate in the nacelle for driving the generator, And a rotor (not shown).

이러한 풍력터빈은 사용 중 블레이드 표면에 먼지나 벌레 등이 부착되어 오염될 수 있고, 블레이드에 흠집이나 크랙이 생길 수 있다. 동절기에는 블레이드 리딩엣지(Leading edge)에 결빙이 생길 수도 있다. 블레이드 표면의 이물질이나 얼음은 풍력터빈의 효율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블레이드의 결함은 방치할 경우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풍력터빈은 블레이드의 청소, 검사, 보수, 디아이싱(deicing)과 같은 주기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Such a wind turbine may be contaminated with dirt or insects on the surface of the blade during use, and may cause scratches or cracks on the blade. During the winter season, there may be freezing on the leading edge of the blade. Foreign matter or ice on the surface of the blade may cause deterior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wind turbine, and defects of the blade may cause breakage if left untreated. Therefore, wind turbines require periodic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inspection, maintenance, and deicing of blades.

하지만 풍력터빈은 타워의 높이가 대략 100미터에 이르고, 블레이드의 길이도 40 ~ 70미터 또는 그 이상에 이르는 거대 구조물이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블레이드는 고공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접근하기도 어렵고 작업환경도 매우 열악하다. 이런 관계로, 최근에는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블레이드의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장비들이 제안되고 있다. However, wind turbines are difficult to maintain because they are huge structures with towers up to 100 meters high and blades 40 to 70 meters or more in length. Particularly, since the blade is located in a high pos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approach and the working environment is also very poor. In this connection, recently, dedicated devices have been proposed to enable maintenance of blades in a more secure environment.

미국 공개특허 US2009/0173573호(2009. 07. 09. 공개)와 미국 공개특허 US2011/0024233호(2011. 02. 03. 공개)는 각각 케이블을 이용해 타워를 따라 승강할 수 있고,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블레이드에 접근할 수 있는 유지관리장비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들은 크기가 커서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 2009/0173573 (published on 07/09/2009) and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US2011 / 0024233 (published on March 02, 2011) can be used to ascend and descend along towers using cables, And a maintenance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blade in a state where the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blade. However, these devices are difficult to operate due to their large size.

특허문헌1: 미국 공개특허 US2009/0173573호(2009. 07. 09. 공개)Patent Document 1: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9/0173573 (published on 07. 09, 2009) 특허문헌2: 미국 공개특허 US2011/0024233호(2011. 02. 03. 공개)Patent Document 2: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11 / 0024233 (published Feb. 03, 2011)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할 때 펴고 사용하지 않을 때 크기를 최소화하여 접을 수 있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that can be folded to minimize its size when in use and when not in use.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팽창하는 튜브가 블레이드를 파지(把持)함으로써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동안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that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while performing maintenance by the expansion tube gripping the blade (把持).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블레이드의 크기나 단면적이 변하는 경우에도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고, 파지에 따른 블레이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capable of stably grasping the blade even when the size or sectional area of the blade changes,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blade due to grasp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며 팽창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과 함께 골격을 이루는 제1팽창튜브;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팽창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를 파지할 수 있는 제2팽창튜브;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팽창튜브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fram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A first expansion tu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forming a skeleto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by expansion; A second expansion tu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capable of gripping the blade by expansion; An eleva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support frame using a cable; And it may be provided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including an air supply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by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

상기 지지프레임은 블레이드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팽창튜브는 블레이드의 리딩엣지와 트레일링엣지 외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고 팽창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제2팽창튜브는 상기 지지프레임 내면 쪽에 각각 설치되고 팽창에 의해 블레이드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ade in a state that is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blade, respectively, and the first expansion tube is a support frame on both sides in the stat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ading edge and trailing edge of the blade The connection and the length is extended by the expansion, the second expansion tube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can press the side of the blade by expansion.

상기 제2팽창튜브는 상기 플랫폼의 승강에 따른 상기 블레이드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팽창이 조절될 수 있다.The second expansion tube may be expand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latform.

상기 제2팽창튜브는 단계적인 팽창을 위해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second expansion tube may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rein for stepwise expansion.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제1팽창튜브 및 상기 제2팽창튜브의 각 공간과 별도로 연결된 복수의 유로와, 상기 복수의 유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와, 상기 복수의 유로에 각각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suppl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low paths separately connected to the spaces of the first expansion tube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an air pump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nd a plurality of flow path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low path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valv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상기 승강장치는 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상기 지지프레임은 블레이드의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유지관리장치의 장착 및 이동 안내를 위한 이송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transport rail unit for guiding and moving the maintenance device for maintaining the blade.

상기 지지프레임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체를 장착하기 위한 이송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transport rail unit for mounting a vehicle on which the operator board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며 팽창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과 함께 골격을 이루는 팽창튜브;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팽창튜브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upport fram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An expansion tu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forming a skeleto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by expansion; An eleva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support frame using a cable; And it may be provided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including an air supply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by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expansion tu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은 팽창튜브의 공기를 배출시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과 취급이 용이하다.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size when not in use because it can be folded by discharging the air of the expansion tube. Therefore, transportation and handling are easy.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은 팽창튜브를 팽창시켜 블레이드 외면을 파지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동안 플랫폼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expansion tube to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he platform can maintain a stable posture during maintenance.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은 팽창튜브의 압력을 조절하여 블레이드를 파지하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팽창튜브가 블레이드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크기나 형상에 무관하게 다양한 형태의 블레이드 유지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pressure to grip the blade by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expansion tube, the size of the blade because the expansion tube can be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blade shape It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blade maintenance regardless of its shape.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은 팽창튜브가 블레이드를 파지하는 방식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플랫폼에 의한 충격 등으로부터 블레이드를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blade from the impact caused by the platform because the expansion tube is supported in a way to hold the bla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이 설치된 풍력터빈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의 공기공급장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의 승강장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접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1 shows a wind turbine equipped with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air supply of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folded stat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modification of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은 복수의 케이블(10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풍력터빈의 블레이드(2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또 청소, 검사, 디아이싱 등과 같은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유지관리장치(200)를 탑재하여 블레이드(20)의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1 and 2,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fted and lowered along a blade 20 of a wind turbine while being supported by a plurality of cables 101 have. Also, maintenance of the blade 20 can be performed by mounting the maintenance device 200 that performs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inspection, and de-icing.

블레이드(20)의 유지관리를 수행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20) 중 하나를 대략 타워(10)와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필요시 블레이드(20)의 피치를 조절하여 작업여건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을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101)은 상단부가 블레이드 허브(21) 또는 나셀(30)에 연결될 수 있다. 나셀(30)에 별도의 크레인(미도시)이 마련된 경우라면, 케이블(101)이 크레인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When performing the maintenance of the blade 20,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20 is vertically position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wer 10, as shown in Fig. 1, and the pitch of the blade 20 So that the working condition can be facilitated. The plurality of cables 101 supporting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may have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blade hub 21 or the nacelle 30. If the nacelle 3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rane (not shown), the cable 101 may be supported by a crane.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두 지지프레임(110), 두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며 팽창에 의해 지지프레임(110)과 함께 골격을 이루는 두 제1팽창튜브(120)를 구비한다. 또 지지프레임(110)의 내면 쪽에 각각 설치되며 팽창에 의해 블레이드(20)를 파지할 수 있는 두 제2팽창튜브(130), 지지프레임(110)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40), 제1 및 제2팽창튜브(120,13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이들의 팽창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장치(150)를 포함한다.2 and 3,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connects two support frames 110 and two support frames 110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20 to expand the blades. By the support frame 110 is provided with two first expansion tube 120 forming a skeleton. In addition, each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the elevating device 140 for elevating the support frame 110, which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can hold the blade 20 by expansion, the first and Air supply device 150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second expansion tube (120,130) to control their expansion.

두 지지프레임(110)은 블레이드(20) 양 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블레이드(2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10)은 블레이드(20)의 최대폭보다 긴 길이를 구비하고, 형강재나 섬유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The two support frames 110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blade 20 and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ade 20. The support frame 110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blade 20, it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such as a shaped steel or fiber-reinforced plastic.

두 제1팽창튜브(120)는 길이가 긴 원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양단이 블레이드(20)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110)의 양단에 연결된다. 제1팽창튜브(120)는 천막과 같은 천소재, 고무소재, 변형이 가능한 수지재 등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제1팽창튜브(120)가 천과 같은 소재로 마련될 경우에는 그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면 또는 외면이 밀봉이 가능한 소재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The two first expansion tubes 120 may be provid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110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blade 20.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may be provided by a cloth material, such as a tent, a rubber material, a resin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When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cloth,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may be coated with a sealable material to prevent leakage of air injected into the inside.

또 제1팽창튜브(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 후 대략 그 형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12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리브(121)는 제1팽창튜브(12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거나 제1팽창튜브(120)처럼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제1팽창튜브(120)의 양단은 내면에 보강판(122)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고정볼트(123)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upport rib 121 therein so as to maintain its shape after expansion. The support rib 12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like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Both ends of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0 by fastening the plurality of fixing bolts 123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plate 122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이러한 제1팽창튜브(120)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로부터 그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원통형태로 팽창함으로써 지지프레임(110)과 함께 플랫폼(100)의 골격을 이룬다. 즉 플랫폼(100)은 블레이드 리딩엣지(20a) 쪽과 트레일링엣지(20b) 쪽의 두 제1팽창튜브(120)가 긴 원통형태로 팽창함으로써 사각틀 형태가 된다.The first expansion tube 120 is supplied with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expand in a cylindrical shape to form a skeleton of the platform 100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110. That is, the platform 10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expanding two first expansion tubes 120 at the blade leading edge 20a side and the trailing edge 20b side in a long cylindrical shape.

본 실시 예는 블레이드(20) 양측의 두 지지프레임(110)이 직선바 형태인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지지프레임(11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프레임(110)은 원호형으로 휘어진 형태일 수 있다. 제1팽창튜브(120)도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각기둥의 형태이거나 원호형으로 휘어진 형태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는 두 지지프레임(110)이 블레이드(20)의 양측면 쪽에 배치되고, 두 제1팽창튜브(120)가 블레이드(20)의 리딩엣지(20a)와 트레일링엣지(20b) 쪽에 각각 배치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이들의 위치도 바뀔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wo support frames 110 on both sides of the blade 20 have been shown to have a straight bar shape, but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110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curved in an arc shape.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is also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in the form of a polygonal pillar or curved in an arc shape. In this embodiment, two support frames 11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20, and two first expansion tubes 120 are disposed on the leading edge 20a and trailing edge 20b of the blade 20, respectively. Although the case is presented, their positions may be changed.

두 제2팽창튜브(130)는 블레이드(20)의 측면과 대면하는 양측 지지프레임(110)의 내면 쪽에 각각 설치된다. 제2팽창튜브(130)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50)로부터 그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됨으로써 블레이드(20)의 측면 쪽으로 팽창할 수 있고, 팽창에 의해 블레이드(20) 외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블레이드(20)를 파지(把持)할 수 있다. Two second expansion tubes 1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on both sides facing the side of the blade (20).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may expand toward the side of the blade 20 by supplying compressed air from the air supply device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to the side of the blade 20, and pressurizes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20 by expansion. The blade 20 can be gripped.

또 제2팽창튜브(130)는 내부가 구획막(131)에 의해 복수의 공간(132,133)으로 구획됨으로써 단계적인 팽창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10) 쪽의 제1공간(132)이 먼저 팽창한 후, 블레이드(20)와 인접하는 제2공간(133)이 팽창하는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100)의 승강에 따른 블레이드(20)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팽창이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may implement stepwise expansion as the inside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132 and 133 by the partition membrane 131. That is, the first space 132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expanded first, and then the second space 133 adjacent to the blade 20 may be expanded. Therefore, the expansion may be adjusted stepwis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20 according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latform 100.

공기공급장치(150)는 양측 지지프레임(1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장치(15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팽창튜브(120) 및 제2팽창튜브(130)의 제1 및 제2공간(132,133)과 별도로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공기관(151a,151b,151c)과, 복수의 공기관(151a,151b,151c)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전동식 공기펌프(152)와, 복수의 공기관(151a,151b,151c)에 각각 설치되어 각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153a,153b,15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50)는 개폐밸브들(153a,153b,153c)의 제어를 통해 제1팽창튜브(120) 쪽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제2팽창튜브(130)의 제1 및 제2공간(132,133)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air supply device 150 may be installed on both support frames 110, respectively. 3 and 4, the air supply device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32 and 133 of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separately to form a flow path.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ir pipes 151a, 151b and 151c, an electric air pump 152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plurality of air pipes 151a, 151b and 151c, and a plurality of air pipes 151a, 151b and 151c,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on / off valves 153a, 153b, and 153c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flow path. The air supply device 150 supplies compressed air toward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or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spaces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through the control of the opening / closing valves 153a, 153b and 153c. 132 and 133 may supply compressed air.

공기공급장치(15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팽창튜브(120) 및 제2팽창튜브(130) 각 공간(132,133)의 공기압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감지센서의 감지를 통해 제1 및 제2팽창튜브(120,130)의 공기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공기펌프(152)의 동작을 멈춘 상태에서 각 개폐밸브(153a,153b,153c)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제1 및 제2팽창튜브(120,130)로부터 공기를 역으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팽창튜브(120,130)의 공기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낮으면 공기를 공급하도록 동작하고, 제1 및 제2팽창튜브(120,130)의 공기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으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ir supply device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that sense air pressure in each of the spaces 132 and 133 of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It may include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 (120, 130) by sensing the sensor. In addition, the on / off valves 153a, 153b, and 153c may be selectively opened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152 is stopped, thereby discharging air from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s 120 and 130 to the reverse. And when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 (120,130)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to operate to supply air, if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 (120,130) is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method You can adjust the pressure with.

본 실시 예는 각 지지프레임(110)마다 공기공급장치(150)가 설치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공기공급장치(150)는 어느 한 쪽 지지프레임(110)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공기공급장치(150)로부터 모든 팽창튜브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예는 제2팽창튜브(130)의 단계적인 팽창을 위해 제2팽창튜브(130)의 내부가 복수의 공간(132,133)으로 구획된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제2팽창튜브(130)의 내부는 단일공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블레이드(20)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팽창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the air supply device 150 is installed in each support frame 110, but the air supply device 150 may be installed only in either support frame 110. That is, air may be supplied to all the expansion tubes from one air supply device 150.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the insid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132 and 133 for the stepwise expansion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but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The interior may consist of a single space. Even in this case, the expansion pressure may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20.

승강장치(1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지지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장치(140)는 풍력터빈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길게 늘어 뜨린 케이블(101)을 타고 오르거나 내리는 케이블피더(cable feeder)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elevating device 140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by being installed at the middle portions of both support frames 110. In addition, the elevating device 140 may be configured as a cable feeder (cable feeder) to ride or climb down the cable 101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wind turbine.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치(140)는 그 외면에 케이블(101)이 일부 감기는 구동롤러(141)와, 케이블(101)이 구동롤러(141)와 접하여 마찰을 유지하도록 케이블(101)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롤러(142)와, 구동롤러(141)와 안내롤러들(142)을 수용한 상태로 이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싱(143), 그리고 케이싱(143)의 외측에서 구동롤러(141)를 구동하는 모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양측의 승강장치(140)는 개별적으로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이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 예로써 캐이블피더형 승강장치를 제시하였으나, 승강장치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장치는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식으로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을 승강시키는 전동식 윈치나 호이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 2 and 5, the lifting device 140 is a drive roller 141, the cable 101 is partly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the cable 101 is in contact with the drive roller 141 to maintain friction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42 for guiding the cable 101, a casing 143 for rotatably supporting them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rollers 141 and the guide rollers 142 are accommodated, and the casing 143. It may include a motor 144 for driving the driving roller 141 on the outside. In addition, the lifting device 140 on both sides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dividually so that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can be lifted in a balanced state. Here, the cable feeder type elevating device is provided as an example, but the form of the elevating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The hoist may also consist of an electric winch or hoist that elevates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by winding or unwinding the cabl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지지프레임(110)에는 블레이드(20)의 청소, 결함검사, 디아이싱과 같은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유지관리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관리장치(200)의 장착 및 이동 안내를 위해 양측 지지프레임(110)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이송레일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both support frames 110 may be provided with a maintenance device 200 capable of performing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defect inspection, and deicing of the blades 20. In order to guide the installation and movement of the maintenance device 200, both support frames 110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ort rail 111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유지관리장치(200)는 이송레일부(111)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210), 블레이드(20) 외면의 청소를 위해 본체(210)에 설치된 청소장치(220), 블레이드(20)의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 본체(210)에 설치된 검사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tenance device 200 detects defects of the cleaning device 220 and the blade 2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for clea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blade 20 moving along the transfer rail part 111. It may include an inspection device 23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to inspect.

본체(210)는 이송레일부(111)를 따라 블레이드(2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체(210)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내장된 주행장치의 동작에 의해 이송레일부(1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주행장치는 이송레일부(111)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복수의 롤러와, 이들 롤러 중 일부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이송레일부에 랙기어부를 마련하고, 랙기어부에 치합된 피니언을 본체(210)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가 구동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The main body 210 may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ade 20 along the conveying rail part 111. That is, although the main body 21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main body 210 may move along the transfer rail 111 by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traveling device. The travel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in contact with the conveying rail part 111 for rolling motion, and a driving motor for driving some of these rollers. In addition, a rack gear unit may be provided in the transfer rail unit, and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gear unit may be driven by a drive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청소장치(220)는 본체(210)에 설치된 청소용 로봇팔(221)과, 청소용 로봇팔(221)의 말단부분에 설치되며 구동모터(222)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청소브러시(22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팔(221)은 통상의 로봇팔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링크와 관절부을 포함하고, 각 관절부에 서보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The cleaning device 220 includes a cleaning robot arm 221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and a cleaning brush 223 installed at a distal end of the cleaning robot arm 221 and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222 can do. The robot arm 221 includes a plurality of links and joints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robot arm, and driving means such as a servo motor may be installed at each joint.

또 청소장치(220)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청소브러시(223)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액공급장치는 본체(210)에 내장되는 세정액탱크 및 세정액 압송펌프, 압송펌프로부터 청소브러시(223)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관, 청소브러시(223) 쪽에 설치된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세정액공급장치는 청소장치(220)로부터 지상 또는 해상의 관리선박으로 길게 연장되는 세정액 공급관과, 지상 또는 해상의 관리선박에 마련되어 세정액 공급관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압송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220 may include a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brush 223,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may include a cleaning liquid tank and a cleaning liquid tank pressure pump built in the main body 210,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pressure pump to the cleaning brush 223, and a spray nozzle provided on the cleaning brush 223 side. Alternatively, the cleaning liquid supply device may include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cleaning device 220 to a ground or marine management vessel, and a pressure feeding pump provided on the ground or marine management vessel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검사장치(230)는 본체(210)에 설치된 검사용 로봇팔(231)과, 블레이드(20) 표면의 결함검사를 위해 검사용 로봇팔(231)의 말단부분에 설치되는 카메라(23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32)는 블레이드(20) 표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전송함으로써 블레이드(20) 표면의 결함을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는 블레이드(20)의 검사를 위해 카메라(232)를 채용한 경우를 예시하지만, 검사용 로봇팔(231)의 말단부분에 카메라(232) 대신 초음파검사장치나 방사선투과검사장치를 설치하여 결함을 검사할 수도 있다.The inspection apparatus 230 includes an inspection robot arm 231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and a camera 232 install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inspection robot arm 231 for defect inspection on the surface of the blade 20 can do. The camera 232 can check the surface of the blade 20 for defects by acquiring and transmitting an image of the surface of the blade 20. [ Here, the case where the camera 232 is used for the inspection of the blade 20 is exemplified. However, an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or a radiation penetration inspe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spection robot arm 231 instead of the camera 232 to inspect the defect You may.

그 밖에도 유지관리장치(200)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본체(210)의 주행 및 청소장치(220)와 검사장치(230)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닛, 유지관리장치(200)의 원격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부, 기기의 동작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tenance device 2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traveling and cleaning device 220 and the inspection device 230 of the main body 210,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for oper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mote control of the maintenance device 200, and an opera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directly inpu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도 승강장치(140)와 공기공급장치(150)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유닛, 원격제어를 위한 무선통신부, 기기의 동작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als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40 and the air supply unit 150, the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mote control, the user can inpu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that can be.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과 유지관리장치(200)는 제어부, 배터리유닛, 무선통신부, 조작부를 공유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에는 전원공급이나 동작제어를 위한 케이블이 지상 또는 해상의 관리선박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유닛이나 무선통신부와 같은 구성을 배제할 수 있다.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and the maintenance device 200 may share a control unit, a battery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may be provided with cables for power supply and operation control extending from the ground or marine management vessel. In this case, configurations such as the battery uni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be excluded.

다음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의 동작 및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usage of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100, 이하 '플랫폼'이라 함)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팽창튜브(120)와 제2팽창튜브(130)의 공기를 배출시켜 접음으로써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작업위치로 옮기기 용이하고, 보관 시에도 공간의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When not using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latform'), as shown in Figure 6, by expanding the air by folding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size Can be minimized. Therefore, it is easy to move it to the working position, and occupancy of space can be minimized even in storage.

블레이드(20)의 유지관리를 위해 플랫폼(100)을 풍력터빈에 설치할 때는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제1팽창튜브(12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제1팽창튜브(120)를 팽창시킴으로써 제1팽창튜브(120)가 지지프레임(110)과 함께 플랫폼(1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는 공기공급장치(150)가 제1팽창튜브(120) 쪽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제1팽창튜브(120)의 팽창이 완료된 후에는 제1팽창튜브(120) 쪽 유로를 폐쇄하여 팽창이 유지되도록 한다.When the platform 100 is installed in a wind turbine for maintenance of the blade 20, first, as shown in FIG. 2,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both first expansion tubes 120 to supply the first expansion tubes 120. By expanding,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forms a skeleton of the platform 100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110. In this case, the air supply device 150 supplies compressed air toward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and after the expansion of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is completed, the expansion of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is closed to maintain the expansion. Be sure to

제1팽창튜브(120)를 팽창시킨 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허브(21)나 나셀(30) 쪽에 두 케이블(101)을 연결하여 하부로 내린 상태에서 플랫폼(100)의 승강장치(140)에 케이블(101)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승강장치(140)를 동작시켜 플랫폼(100)을 블레이드(20)의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물론 이때는 양측의 지지프레임(110)에 유지관리장치(200)가 탑재된 상태다.After expanding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as shown in FIG. 1, the platform 100 in the lower state by connecting the two cables 101 to the blade hub 21 or nacelle 30 side down The cable 101 is connected to the device 140. And the lifting device 140 is operated to raise the platform 100 to the position of the blade 20. Of course, at this time, the maintenance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on both sides.

플랫폼(100)이 상승할 때는 하부로 길게 내려진 케이블(101)을 이용해 작업자가 플랫폼(100)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블레이드(20)의 팁부분이 플랫폼(100)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양측의 승강장치(140)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플랫폼(100)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platform 100 rises, an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platform 100 using the cable 101 that is extended downward to allow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20 to enter the inside of the platform 100 have. In addition, the attitude of the platform 100 can be adjusted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140 on both sides.

플랫폼(100)이 상승하여 블레이드(20)의 팁부분에 이르면, 공기공급장치(150)를 동작시켜 양측의 제2팽창튜브(130)를 팽창시킴으로써 제2팽창튜브(130)가 블레이드(20) 외면을 파지하도록 한다. 물론 이때는 제2팽창튜브(130)의 제1공간(132)이 먼저 팽창하고, 이어서 제2공간(133)이 팽창하는 방식으로 팽창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블레이드(20)의 단면적을 고려해 팽창압력도 조절할 수 있다. When the platform 100 is raised to reach the tip portion of the blade 20, the air supply device 150 is operated to exp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on both sides so that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is the blade 20. Be sure to grip the outside. Of course, in this case, the expansion of the first space 132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may be performed first, and then the second space 133 may be expanded in a stepwise manner. In addition, the expansion pressure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20.

제2팽창튜브(130)가 팽창하면,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폼(100)이 블레이드(20) 외측에 흔들림 없이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유지관리장치(200)는 지지프레임(110)의 이송레일부(111)를 따라 이동하면서 블레이드(20) 표면의 청소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작업자가 원격조정장치를 이용해 플랫폼(100)의 무선통신부와 교신하면서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다. 유지관리장치(200)가 청소나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플랫폼(100)은 해당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is expande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latform 100 may be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blade 20 without shaking. In this state, the maintenance apparatus 200 may perform cleaning or inspection of the surface of the blade 20 while moving along the transfer rail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These operations can be controlled remotely while the operator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platform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While the maintenance apparatus 200 performs cleaning or inspection, the platform 100 may remain stationary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블레이드(20) 일부 영역의 청소나 검사를 수행한 후에는 다시 플랫폼(100)이 설정구간 상승하여 작업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100)의 작업위치 변경(승강)에 따라 블레이드(20) 단면적이 변하면, 공기공급장치(150)가 제2팽창튜브(130)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블레이드(20)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20)의 팁부분으로부터 루트부분에 이르는 모든 작업영역에서 플랫폼(100)이 블레이드(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After performing cleaning or inspection of a certain area of the blade 20, the platform 100 may again rise in the setting range and change the working position. And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20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orking position of the platform 100 (elevation), the air supply device 150 to respond to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20 by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Can be. Therefore, the platform 10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blade 20 in all working areas from the tip portion to the root portion of the blade 20. [

본 실시 예의 플랫폼(100)은 제2팽창튜브(130)의 압력을 조절하여 블레이드(20)를 파지하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제1팽창튜브(130)가 블레이드(20)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20)의 크기나 형상에 무관하게 다양한 블레이드(20)의 유지관리를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2팽창튜브(130)의 압력조절동작은 작업자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해 직접 제어하거나, 제어부가 제2팽창튜브(130)의 압력정보를 토대로 공기공급장치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일 수 있다.Platfor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pressure to hold the blade 20 by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the first expansion tube 13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lade 20 Since it may be deformed, it may be used to perform maintenance of various blades 20 regardless of the size or shape of the blades 20. The pressure adjusting operation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may be a method in which an operator directly controls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or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device based on the pressure information of the second expansion tube 130. have.

플랫폼(10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20)의 리딩엣지(20a) 또는 트레일링엣지(20b)는 제1팽창튜브(120)와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양측의 제1팽창튜브(120)는 완충 가능하기 때문에 리딩엣지(20a)와 트레일링엣지(20b)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platform 100, the leading edge 20a or the trailing edge 20b of the blade 20 may collide with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expansion tube 120 at both sides can be buffered, the leading edge 20a and the trailing edge 20b can be protected from impac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7의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300)은 작업자가 직접 탑승한 상태로 블레이드(20)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 지지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된 탑승체(1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은 탑승체(170)의 이동을 위해 하부에 이송레일부(113)를 구비한다. 탑승체(170)는 통상의 곤돌라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탑승체(170)에 탑승한 상태에서 플랫폼(30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블레이드(20)의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7 shows a modification of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maintenance platform 300 of FIG. 7 includes a vehicle 170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both support frames 110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ade 20 in a state where a worker directly rides. And the support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transport rail 113 in the lower portion for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70. The vehicle 170 may be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gondola.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perform maintenance of the blade 20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300 in the state of boarding the vehicle 170.

10: 타워, 20: 블레이드,
30: 나셀, 100: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101: 케이블, 110: 지지프레임,
111: 이송레일부, 120: 제1팽창튜브,
130: 제2팽창튜브, 140: 승강장치,
150: 공기공급장치, 170: 탑승체.
200: 유지관리장치, 220: 청소장치,
230: 검사장치.
10: tower, 20: blade,
30: nacelle, 100: blade maintenance platform,
101: cable, 110: support frame,
111: transfer rail portion, 120: the first expansion tube,
130: second expansion tube, 140: lifting device,
150: air supply device, 170: vehicle.
200: maintenance device, 220: cleaning device,
230: Inspection device.

Claims (9)

블레이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며 팽창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과 함께 골격을 이루는 제1팽창튜브;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팽창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를 파지할 수 있는 제2팽창튜브;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제1 및 제2팽창튜브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Support fram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A first expansion tu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forming a skeleto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by expansion;
A second expansion tu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capable of gripping the blade by expansion;
An eleva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support frame using a cable; And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n air supply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by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first and second expansion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블레이드의 양 측면 외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팽창튜브는 블레이드의 리딩엣지와 트레일링엣지 외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고 팽창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며,
상기 제2팽창튜브는 상기 지지프레임 내면 쪽에 각각 설치되고 팽창에 의해 블레이드의 측면을 가압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frame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ade in a state where they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respectively,
The first expansion tub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on both sides in the stat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ading edge and trailing edge of the blade and is elongated by expansion,
The second expansion tube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blade by expan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팽창튜브는 상기 플랫폼의 승강에 따른 상기 블레이드의 단면적 변화에 대응하여 팽창이 조절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expansion tube is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whose expansion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ade according to the lifting of the platfor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팽창튜브는 단계적인 팽창을 위해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expansion tube is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the interior of which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for stepwise expan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제1팽창튜브 및 상기 제2팽창튜브의 각 공간과 별도로 연결된 복수의 유로와, 상기 복수의 유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와, 상기 복수의 유로에 각각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suppl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low paths separately connected to the spaces of the first expansion tube and the second expansion tube, an air pump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nd a plurality of flow path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low paths.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valv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블레이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device is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which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블레이드의 유지관리를 수행하는 유지관리장치의 장착 및 이동 안내를 위한 이송레일부를 포함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upport frame is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transport rail for mounting and movement guide of the maintenance device to perform the maintenance of the blade.
제1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체를 장착하기 위한 이송레일부를 포함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upport frame is a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transport rail for mounting a vehicle on which the operator boards.
블레이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며 팽창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과 함께 골격을 이루는 팽창튜브;
케이블을 이용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및
상기 팽창튜브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팽창을 제어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풍력터빈용 블레이드 유지관리 플랫폼.
Support fram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An expansion tu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and forming a skeleton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by expansion;
An eleva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support frame using a cable; And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n air supply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by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expansion tube.
KR1020120067305A 2012-06-22 2012-06-22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KR101324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305A KR101324977B1 (en) 2012-06-22 2012-06-22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305A KR101324977B1 (en) 2012-06-22 2012-06-22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977B1 true KR101324977B1 (en) 2013-11-05

Family

ID=4985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305A KR101324977B1 (en) 2012-06-22 2012-06-22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9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7213A (en) * 2021-11-17 2021-12-28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Wind generating set blade load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11333132B2 (en) * 2020-04-17 2022-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ighting protection system insp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3573A1 (en) 2006-01-27 2009-07-09 Pp Energy Aps Device for enabling access to a structure above ground level
US20100150684A1 (en) 2007-04-30 2010-06-17 Vestas Wind Systems, A/S mou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3573A1 (en) 2006-01-27 2009-07-09 Pp Energy Aps Device for enabling access to a structure above ground level
US20100150684A1 (en) 2007-04-30 2010-06-17 Vestas Wind Systems, A/S mount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3132B2 (en) * 2020-04-17 2022-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lighting protection system inspection
CN113847213A (en) * 2021-11-17 2021-12-28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Wind generating set blade load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N113847213B (en) * 2021-11-17 2024-01-2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Wind generating set blade load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679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KR101422497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KR101422498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KR101324979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KR101390851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EP2315938B1 (en) Device for enabling access to a wind turbine
US88876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a rotor blade on a windmill
KR101225691B1 (en) Maintenance robot for wind power generator
DK2507514T3 (en) Wind energy system with hoisting device
CN106089602A (en) A kind of blower fan tower barrel clean and maintenance platform
KR101346180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KR101324977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KR10135822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79723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KR101412484B1 (en) Vessel for moving wind turbine maintenance apparatus
KR101358125B1 (en) Maintenance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47371B1 (en) Maintenance apparatus for blade of wind turbine and wind turbine having the same
KR101317384B1 (en) The hoisting and installing method and apparatus of wind turbines by using the self tower
KR20110017036A (en) Transmission tower that ascent and descent device and horizontal shifter is equiped
NL2032171B1 (en) A support structure, a wind turbine blade, a wind turbine and a method
KR101412479B1 (en) Vessel for moving wind turbine maintenance apparatus
KR101372288B1 (en) Wind turbine carriage, and wind turbine maintenance system having the same
KR101347370B1 (en) Maintenance apparatus for blade of wind turbine
NO347463B1 (en) An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removing particles from a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KR20220005845A (en) Apparatus for clean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