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858B1 -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858B1
KR101324858B1 KR1020130058401A KR20130058401A KR101324858B1 KR 101324858 B1 KR101324858 B1 KR 101324858B1 KR 1020130058401 A KR1020130058401 A KR 1020130058401A KR 20130058401 A KR20130058401 A KR 20130058401A KR 101324858 B1 KR101324858 B1 KR 101324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ghting
light emitting
landscape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열
Original Assignee
이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열 filed Critical 이진열
Priority to KR102013005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몸체의 내부에 발광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가 훼손될 시 훼손된 상기 발광부를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LUMINAIRES FOR LIGHTING AND SCENERY}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발광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가 훼손될 시 훼손된 상기 발광부를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쾌적한 주거 환경은 물론 도시 미관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강을 횡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리를 포함하여 도심을 흐르는 강가 난간 등에 보다 분위기있는 야경을 연출하기 위해 각종 조경등을 설치하여 조명함으로써, 더욱 신비스럽고 미려한 분위기의 야경을 연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light-emitting diode)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칭하는 것으로, LED는 GaP, 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의 PN접합에 전류가 흐를 때 빛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서, 발광다이오드 제조시 반도체 화합물의 성분비를 조절함으로서 일정한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LED)는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합구조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gap)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광전자 소자이며, 반응시간이 일반 전구에 비하여 빠르고, 소비전력이 백열등의 20% 수준으로 낮아 고효율의 조명수단으로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력 소모는 비교적 적은 반면 밝기가 매우 밝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조경등이 형광등 혹은 백열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효율이 높은 LED 바로 대체가 시급할 뿐만아니라, 기존의 조경등은 일정한 조도로 계속 켜져만 있어 단조로워 조명에 의한 분위기 연출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색깔을 달리하는 각각의 LED군들이 시간에 따라 조명 패턴과 On/Off 시간을 달리하면서 조명함으로서 조경등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바뀔수 있는 조명용 및 경관용 LED 바 등기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반투명의 커버 내부에 RED, GREEN, BLUE, YELLOW 등 다양한 색상의 LED가 다수개의 그룹으로 부착된 LED 모듈이 봉입되고, 에폭시 수지로 충진된 LED바를 제어하여 난간 및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비추게 하는 LED 바 등기구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885159호(조명용 및 경관용 LED 바 등기구)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885159호(조명용 및 경관용 LED 바 등기구)는 반투명의 커버 내부에 LED모듈이 봉입된 상태에서 반투명의 상기 커버의 내부에 에폭시 수지가 충진되는 방식으로서, 상기 LED모듈이 훼손된 경우, 상기 커버의 내부에 충진된 에폭시 수지로 인해 훼손된 상기 LED모듈을 상기 커버의 외부로 분리하여 교체보수하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8851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발광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가 훼손될 시 훼손된 상기 발광부를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상기 발광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측과 상기 몸체의 후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바닥판의 일측에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상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바닥판 일측에 상기 홈과 연통되는 전선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몸체의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상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측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바닥판 일측에 상기 홈과 연통되는 전선인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바닥판에 상기 발광부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끼움결합부는 상기 발광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의 하부 일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일측끼움결합편과, 상기 판부재의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의 하부 타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타측끼움결합편으로 구성되는 끼움결합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끼움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바닥판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의 하부 일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일측끼움결합편과, 상기 몸체의 바닥판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의 하부 타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타측끼움결합편으로 구성되는 끼움결합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광부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판 및 타측판과; 상기 일측판과 상기 타측판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구비되는 LED모듈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전후이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상기 몸체의 전측에서 상기 몸체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되는 일측가이드홈 및 타측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 외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상측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홈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측가이드홈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가이드홈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연결편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편의 하측외부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전후이동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전후이동편의 하부면에 패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발광부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가 훼손될 시 훼손된 상기 발광부를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가이드홈에서 전후이동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발광부가 끼움결합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다른예의 발광부가 끼움결합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예의 발광부가 끼움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의 시공예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가이드돌기의 외주면에 패드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0은 전후이동편의 하부면에 패드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가이드홈(80)에서 전후이동부재(7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와 발광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수용몸체(110)와 커버(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110)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부(20)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110)는 일측판(111), 타측판(112) 및 바닥판(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상태인 상기 일측판(111)과 수직상태인 상기 타측판(112)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3)은 일측바닥판(113a), 타측바닥판(113b) 및 지지판(113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바닥판(113a)은 상기 일측판(111)의 내주면 중간부에서 상기 타측판(112)의 내주면 중간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바닥판(113b)은 상기 타측판(112)의 하측에서 상기 일측판(111)의 하측 내주면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3c)은 상기 타측바닥판(113b)의 일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111)의 상부와 상기 타측판(112)의 상부에는 상기 일측판(111)의 상부 내주면에서 상기 일측판(111)의 상부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1고정공(111a)과, 상기 타측판(112)의 상부 내주면에서 상기 타측판(112)의 상부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2고정공(112a)이 각각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111)의 하부와 상기 타측판(112)의 하부에는 상기 일측판(111)의 하부 외주면에서 상기 일측판(111)의 하부 내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3고정공(111b)과, 상기 타측판(112)의 하부 외주면에서 상기 타측판(112)의 하부 내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4고정공(112b)이 각각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3c)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판(113c)의 외주면에서 상기 지지판(113c)의 내주면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5고정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13c)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판(113c)의 외주면에서 상기 지지판(113c)의 내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6고정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120) 또한 상기 수용몸체(11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커버(120)의 하부 타측은 상기 수용몸체(110)의 일측판(111)의 상부와 상기 수용몸체(110)의 타측판(112)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커버(120)의 하부타측에는 상기 커버(120)의 하부 일측 외부방향 및 상기 커버(120)의 하부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수평연장되는 걸림고정턱(121)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공(111a)의 상부방향 및 상기 제 2고정공(112a)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판(111)의 상부면과 상기 타측판(112)의 상부면에는 절곡판(100)이 각각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판(100)은 수직판(101)과 수평판(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101)은 상기 제 1고정공(111a)의 상부방향 및 상기 제 2고정공(112a)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판(111)의 상부면과 상기 타측판(112)의 상부면에서 각각 상기 일측판(111)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판(112)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102)은 상기 수직판(101)의 상측에서 상기 걸림고정턱(121)의 상부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102)의 하측에 상기 걸림고정턱(121)의 상측이 접한 상태로 상기 걸림고정턱(121)이 상기 절곡판(100)의 수평판(102)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측과 상기 몸체(10)의 후측에는 상기 몸체(10)의 전측 단면 형상 및 상기 몸체(10)의 후측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전측과 상기 몸체(10)의 후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공(111a), 상기 제 2고정공(112a), 제 3고정공(111b), 제 4고정공(112b), 제 5고정공(114) 및 제 6고정공(115)과 마주보는 상기 캡부재(30)의 표면부위에 각각 관통구(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30)는 상기 관통구(301)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 1고정공(111a), 상기 제 2고정공(112a), 제 3고정공(111b), 제 4고정공(112b), 제 5고정공(114) 및 제 6고정공(115)내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피스 등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전측과 상기 몸체(10)의 후측에 결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로서 상기 피스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관통구(301)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 1고정공(111a), 상기 제 2고정공(112a), 제 3고정공(111b), 제 4고정공(112b), 제 5고정공(114) 및 제 6고정공(115)내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종류의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일예의 발광부(20)가 끼움결합부(60)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의 일측바닥판(113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113c)과 상기 일측판(111)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10)의 상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측이 개방된 홈(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의 일측바닥판(113a)의 중간부 전측과 상기 일측바닥판(113a)의 중간부 후측에는 상기 홈(40)과 연통되는 전선인출구(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0)의 후술할 인쇄회로기판(241)과 연결되는 전선(7)은 상기 전선인출구(50)를 통과하여 상기 홈(40)내에 수용되어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에는 상기 발광부(20)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결합부(60)는 판부재(610)와 끼움결합편(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610)의 일측은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의 일측바닥판(113a)의 타측과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의 지지판(113c)의 상부는 상기 판부재(610)의 하부면 중심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610)는 상기 발광부(20)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끼움결합편(620)은 일측끼움결합편(621)과 타측끼움결합편(6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끼움결합편(621)은 상기 판부재(610)의 일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끼움결합편(621)의 상측은 상기 발광부(20)의 하부 일측 상부방향으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끼움결합편(622)은 상기 판부재(610)의 타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끼움결합편(622)의 상측은 상기 발광부(20)의 하부 타측 상부방향으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수용몸체(11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0)는 일예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판(210), 일측판(220), 타측판(230) 및 LED모듈부재(2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210)의 일측 상부방향에 상기 일측끼움결합편(621)의 상측이 위치하고, 상기 하부판(210)의 타측 상부방향에 상기 타측끼움결합편(622)의 상측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판(210)은 상기 일측끼움결합편(621)과 상기 타측끼움결합편(622) 사이로 작업자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슬라이딩운동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220) 및 상기 타측판(230)은 상기 하부판(21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하부판(210)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LED모듈부재(240)는 인쇄회로기판(241)과 LED(2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1)은 상기 일측판(220)과 상기 타측판(230)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부판(2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41)은 상기 하부판(210)의 상측에 실리콘 접착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LED(24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41)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예의 발광부(20)가 끼움결합부(60)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예의 발광부(20)가 끼움결합부(60)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발광부(20)는 일예와 동일하게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210), 상기 일측판(220), 상기 타측판(230) 및 상기 LED모듈부재(240)로 구성되되, 다른예의 상기 일측판(220)과 상기 타측판(230) 사이의 좌우간격(도 5의 D1)은 일예의 상기 일측판(220)과 상기 타측판(230) 사이의 좌우간격(도 4의 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일측판(220)과 상기 타측판(23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LED모듈부재(240)의 인쇄회로기판(241)의 좌우폭은 일예의 상기 일측판(220)과 상기 타측판(23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LED모듈부재(240)의 인쇄회로기판(241)의 좌우폭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일측판(111) 하측과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타측판(112) 하측에는 각각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전후이동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일측판(111) 하측과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타측판(112) 하측에는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전측에서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되는 가이드홈(8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80)은 일측가이드홈(810)과 타측가이드홈(8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홈(810)과 상기 타측가이드홈(820)은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일측판(111) 하측과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타측판(112) 하측에 각각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전측에서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홈(810)과 상기 타측가이드홈(820)은 'T'형상 등으로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70)는 연결편(710), 가이드돌기(720) 및 전후이동편(7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710)은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일측판(111) 하측 외부 및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타측판(112) 하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일측판(111) 하측 외부와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타측판(112) 하측 외부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720)는 상기 연결편(710)의 상측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홈(810)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820) 방향으로 각각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720)는 상기 일측가이드홈(810)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8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가이드홈(810)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820)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편(730)은 상기 연결편(710)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편(710)의 하측외부방향으로 각각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편(730)의 중심부에는 관통구(7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의 시공예를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전후이동편(730)은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등의 구조물(도 9의 8)의 벽면에 고정부재(도 9의 9)에 의해 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9)는 상기 전후이동편(730)의 관통구(731)를 관통한 상태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8)의 벽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피스,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편(730)은 건축물 등의 구조물(8)의 구조에 따라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가령, 일예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등의 구조물(8)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부구조물(81) 및 하부구조물(82)로 이루어질 경우,
2개의 상기 전후이동편(730)은 각각 상기 상부구조물(81)의 벽면 및 상기 하부구조물(82) 벽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9)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른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상하폭(D3)이 구조물(8)의 상하폭(D4)보다 큰 경우에도 2개의 상기 전후이동편(730)은 각각 상기 구조물(8)의 벽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9)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로서, 건축물 등의 구조물(8)의 벽면에 본 발명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를 보다 용이하게 부착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가 반드시 건축물 등의 구조물(8)의 벽면에 부착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리위 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물(8)의 아래 및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구조물(8)에 부착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가이드돌기(720)의 외주면에 패드부재(9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이동부재(70)가 상기 가이드홈(80)을 따라 전후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7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8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패드부재(90)가 일체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전후이동편(730)의 하부면에 패드부재(9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부재(70)의 전후이동편(730)의 하부면과 마주보는 상기 구조물(8)의 표면과 상기 전후이동편(730)의 하부면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편(730)의 하부면에도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패드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는 일실시예인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바닥판(113)은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110)의 일측판(111)은 상기 바닥판(113)의 일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상부일측판(111c)와; 상기 바닥판(113)의 일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하부일측판(111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110)의 타측판(112)은 상기 바닥판(113)의 타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상부타측판(112c)과; 상기 바닥판(113)의 타측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하부타측판(11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일측판(111c)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타측판(112c)의 상부면에 상기 절곡판(100)이 각각 좌우대칭형성되되,
상기 절곡판(100)의 수직판(101)은 상기 상부일측판(111c)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타측판(112c)의 상부면에서 각각 상기 상부일측판(111c)의 상부방향 및 상기 상부타측판(112c)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판(100)의 수평판(102)은 상기 수직판(101)의 상측에서 상기 수직판(101)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일측판(111d)의 상부와 상기 하부타측판(112d)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일측판(111d)의 상부 내주면에서 상기 하부일측판(111d)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1고정공(111a)과; 상기 하부타측판(112d)의 상부 내주면에서 상기 하부타측판(112d)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 형상의 제 2고정공(112a);이 각각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일측판(111d)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일측판(111d)의 외주면에서 상기 하부일측판(111d)의 내주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C'형상의 제 3고정공(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일측판(111d)의 하측과 상기 하부타측판(112d)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홈(80)의 일측가이드홈(810)과 상기 가이드홈(80)의 타측가이드홈(820)이 각각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커버(12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커버(120)의 하부 타측에 일체형성되는 상기 걸림고정턱(12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절곡판(100)의 수직판(101) 외주면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턱(121)은 상기 절곡판(100)의 수평판(10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절곡판(100)의 수직판(101)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바닥판(113)의 하부에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10)의 상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측이 개방된 상기 홈(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바닥판(113)의 일측에는 상기 홈(40)과 연통되는 상기 전선인출구(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결합부(6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바닥판(113)의 일측에 수직형성되는 상기 일측끼움결합편(621)과; 상기 몸체(10)의 수용몸체(110)의 바닥판(113)의 타측에 수직형성되는 상기 타측끼움결합편(6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끼움결합편(621)과 상기 상부일측판(111c)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바닥판(113)의 일측에 상기 전선인출구(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상기 발광부(20)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20)가 훼손될 시 훼손된 상기 발광부(20)를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몸체, 20; 발광부.

Claims (12)

  1.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발광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의 일측에 상기 몸체(10)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10)의 상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측이 개방된 홈(4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 일측에 상기 홈(40)과 연통되는 전선인출구(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2.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발광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의 하부에 상기 몸체(10)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10)의 상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측이 개방된 홈(4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 일측에 상기 홈(40)과 연통되는 전선인출구(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상기 발광부(20)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수용몸체(110)와;
    상기 수용몸체(110)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전측과 상기 몸체(10)의 후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에 상기 발광부(20)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부(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60)는 상기 발광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부재(610)과;
    상기 판부재(610)의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20)의 하부 일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일측끼움결합편(621)과, 상기 판부재(610)의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20)의 하부 타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타측끼움결합편(622)으로 구성되는 끼움결합편(6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결합부(60)는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20)의 하부 일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일측끼움결합편(621)과, 상기 몸체(10)의 바닥판(113)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발광부(20)의 하부 타측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타측끼움결합편(622)으로 구성되는 끼움결합편(6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0)는 하부판(210)과;
    상기 하부판(21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하부판(210)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판(220) 및 타측판(230)과;
    상기 일측판(220)과 상기 타측판(230)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부판(210)의 상측에 구비되는 LED모듈부재(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각각 전후이동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각각 상기 몸체(10)의 전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되는 일측가이드홈(810) 및 타측가이드홈(820)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7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 및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편(710)과;
    상기 연결편(710)의 상측에서 상기 일측가이드홈(810)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820) 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일측가이드홈(810)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8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가이드홈(810) 및 상기 타측가이드홈(820)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720)와;
    상기 연결편(710)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편(710)의 하측외부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전후이동편(7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720)의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홈(8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드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편(730)의 하부면에 패드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12. 삭제
KR1020130058401A 2013-05-23 2013-05-23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KR101324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01A KR101324858B1 (ko) 2013-05-23 2013-05-23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01A KR101324858B1 (ko) 2013-05-23 2013-05-23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858B1 true KR101324858B1 (ko) 2013-11-01

Family

ID=4985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01A KR101324858B1 (ko) 2013-05-23 2013-05-23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338B1 (ko) * 2016-06-22 2018-02-06 (주) 알리다 경관 조명등용 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1115A1 (en) 2001-07-25 2003-01-30 Sloan Thomas C. Perimeter lighting apparatus
KR20090126950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루미시스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34796B1 (ko) * 2010-05-10 2011-05-17 (주)대명테크 형광등 대체용 엘이디 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1115A1 (en) 2001-07-25 2003-01-30 Sloan Thomas C. Perimeter lighting apparatus
KR20090126950A (ko) * 2008-06-05 2009-12-09 주식회사 루미시스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34796B1 (ko) * 2010-05-10 2011-05-17 (주)대명테크 형광등 대체용 엘이디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338B1 (ko) * 2016-06-22 2018-02-06 (주) 알리다 경관 조명등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887B1 (ko) 고효율 확산형 led 가로등
JP4866871B2 (ja) 屋内用手摺りの補助照明器具
ATE534148T1 (de) Leuchtdioden-anordnung mit farbkonversions- material
KR100961726B1 (ko) 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US9175840B2 (en) LED wall light fixture
KR200422340Y1 (ko) 외부장식용 엘이디 조명
KR101128771B1 (ko) 고정형 led등기구
CN201873428U (zh) 自动扶梯及自动人行道的双排型裙板照明防夹装置
KR101289462B1 (ko) Led 전구
KR101324858B1 (ko) 조명 및 경관용 등기구
KR101370116B1 (ko) 천장 조명 시스템
KR200439900Y1 (ko) 야외 계단 및 난간 내부에 결합되는 조명등 고정장치
KR101420734B1 (ko) 엘이디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램프
KR100552927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0971146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1341084B1 (ko) 발광다이오드 천장매입등
KR20110001240U (ko) 구조물에 부착되는 밀착면이 경사각을 형성한 엘이디 발광모듈
KR20090002454U (ko) 면발광 조명 램프
KR101024430B1 (ko) 방열 엘이디 조명패널
KR20110008249U (ko) 컬러 조명장치
KR102534662B1 (ko) 엘이디 조명등기구 천장 결합장치
KR200478423Y1 (ko) 투광커버용 led 발광판의 구조
KR20041889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도자타일 조명시스템
KR200425468Y1 (ko) 컬러 엘이디램프
KR200484254Y1 (ko) 초롱가로등 엘이디램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