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583B1 -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 Google Patents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583B1
KR101324583B1 KR1020110127726A KR20110127726A KR101324583B1 KR 101324583 B1 KR101324583 B1 KR 101324583B1 KR 1020110127726 A KR1020110127726 A KR 1020110127726A KR 20110127726 A KR20110127726 A KR 20110127726A KR 101324583 B1 KR101324583 B1 KR 10132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ropeller
rotated
wir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424A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04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orientation in relation to wind direction
    • F03D7/0208Orientating out of wind
    • F03D7/0212Orientating out of wind the rotating axis remaining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Win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1Wind dir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의 풍압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 상기 기둥의 상단에 그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람의 압력으로 회전되는 프로펠러, 상기 몸체의 상기 프로팰러가 구비된 측의 대향된 측이며, 기둥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 주변부에 부는 바람을 받아 그 풍압으로서 상기 프로펠러가 항상 바람을 마주볼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모멘트를 작용시키는 수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Wind Power Generator Rotating by Wind}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바람의 풍압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의 고갈과 그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문제가 대두되면서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재생에너지란 태양광이나 조력 및 풍력 등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생산된 에너지를 지칭하는 말로써 그 중 풍력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를 풍력발전기라 칭한다.
풍력 발전기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발전기를 결합시켜 바람에 의해 발전기가 회전되어 전기가 발전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풍력 발전기(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풍력 발전기(10)는 기둥(16) 및 몸체(12)와 프로펠러(1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로펠러(14)는 상기 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프로펠러(14)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기(18)가 상기 몸체(12) 내부에 구비된다.
한편, 발전의 효율을 위하여 상기 프로펠러(14)는 수~십수미터의 비교적 큰 크기로 제작되는데, 상기 프로펠러(14)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2)는 소정 높이의 기둥(16) 끝단에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풍력 발전기(10)는 상기 프로펠러(14)가 항상 바람을 정면으로 맞아야 그 발전효율이 최대가 되며, 바람의 방향은 시시각각 바뀌므로, 상기 몸체(12) 또한 상기 기둥(16)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바람방향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몸체(12)의 일측에 풍향계(22)가 구비되며, 상기 풍향계(22)에서 측정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12)를 회전시키도록 모터(24) 및 기어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몸체(12)의 방향을 돌리는 방법은 풍향계(22) 및 모터(24)등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여 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고장 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92566 한국공개특허 10-2009-0008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서 방향이 회전될 수 있는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 상기 기둥의 상단에 그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람의 압력으로 회전되는 프로펠러, 상기 몸체의 상기 프로팰러가 구비된 측의 대향된 측이며, 기둥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 주변부에 부는 바람을 받아 그 풍압으로서 상기 프로펠러가 항상 바람을 마주볼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모멘트를 작용시키는 수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가 제공된다.
상기 수풍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기둥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결합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어 바람의 풍압을 받는 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풍부는,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상기 연이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범위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에 따르면 별도의 복잡한 모터나 기어 등의 구성요소 없이도 풍력발전기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고장이 없어 신뢰성이 향상되며, 별도의 전기를 소모하지 않아도 바람에너지를 활용하여 풍력발전기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 발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 발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로서 프로펠러가 바라보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평면도로서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프로펠러가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풍력발전기'라 칭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6)과 몸체(112), 프로펠러(114) 및 수풍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114)는 상기 몸체(112)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프로펠러(11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발전기(118)가 상기 몸체(112)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발전의 효율을 위하여 상기 프로펠러(116)는 수~십수미터의 비교적 큰 크기로 제작되는데, 상기 프로펠러(116)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12)는 소정 높이의 기둥(116) 끝단에 장착된다.
또한, 이러한 풍력 발전기(100)는 상기 프로펠러(114)가 항상 바람을 정면으로 맞아야 그 발전효율이 최대가 되며, 바람의 방향은 시시각각 바뀌므로, 상기 몸체(112) 또한 그 중심부가 상기 기둥(116)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풍부(200)는 상기 몸체(112)의 프로펠러(116)가 구비된 일단부의 반대편 타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수풍부(200)는 상기 몸체(112) 및 프로펠러(114) 주변에 부는 바람을 받아 그 풍압으로서 상기 프로펠러(114)가 항상 바람을 마주볼 수 있도록 몸체(112)에 모멘트를 작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10)와 연(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210)는 일단은 상기 몸체(112)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220)이 결합되어 상기 연(220)을 고정하면서 연(220)에 작용되는 바람의 힘을 상기 몸체(112)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연(220)은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에 고정되며, 바람에 날리면서 바람에 의한 풍압을 최대한 받도록 낙하산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와이어(210)가 몸체(112)에 고정되는 지점은 상기 몸체(112)가 기둥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점과 이격된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210)가 몸체(112)에 고정되는 지점은 상기 프로펠러(114)의 회전축의 가상의 연장선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펠러(114)가 향하는 방향과 바람이 부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경우, 상기 연(220)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상기 와이어(210)를 통해 장력(T)을 상기 몸체(112)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와이어(210)가 몸체(112)에 고정된 지점(a)이 상기 프로펠러(114)의 회전축의 가상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상기 몸체(112)가 기둥(1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점과 이격된 지점이므로, 회전중심점(C)와 장력이 작용되는 지점(a)간에 거리(d)가 발생하며, 그에 따라 상기 회전중심점(C)에 모멘트(M)가 작용되어 상기 몸체(112)가 회전된다.
도 4처럼 상기 몸체(112)가 회전되면서 상기 프로펠러(114)가 바람이 부는 방향을 향하게 되면 상기 몸체(112)의 회전중심점(C)와 장력이 작용되는 지점(a)간에 거리(d)가 없어지므로, 모멘트(M)가 발생하지 않아 회전이 중지되므로 자연스럽게 프로펠러(114)가 바람을 마주보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수풍부(200)는 윈치(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윈치(230)는 상기 몸체(112)에 구비되며,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2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210)는 몸체(112)에 구비된 윈치(230)에 감겨지며, 상기 윈치(23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으로서 그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윈치(230)는 상기 연(220)의 위치가 상기 프로펠러(114)의 회전범위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와이어(210)를 감거나 풀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220)이 상기 프로펠러(114)의 회전범위 외측에 위치될 경우, 상기 프로펠러(114)에 부는 바람과는 다른 방향의 바람을 맞을 수 있어 상기 몸체(112)를 프로펠러(114)에 부는 바람과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윈치(230)가 상기 와이어(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연(220)이 상기 프로펠러(116)의 회전범위의 높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연(220)이 항상 상기 프로펠러에 부는 바람과 같은 방향의 바람을 맞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풍력 발전기 112: 몸체
114: 프로펠러 116: 기둥
118: 발전기 200: 수풍부
210: 와이어 220: 연
230: 윈치 c: 회전중심
a: 와이어 고정지점
d: 회전중심과 와이어 고정지점간의 수직거리

Claims (4)

  1.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상측으로 연장된 기둥의 상단에 그 중심부가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람의 압력으로 회전되는 프로펠러;
    상기 몸체의 상기 프로팰러가 구비된 측의 대향된 측이며, 기둥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 주변부에 부는 바람을 받아 그 풍압으로서 상기 프로펠러가 항상 바람을 마주볼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모멘트를 작용시키는 수풍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풍부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기둥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결합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결합되어 바람의 풍압을 받는 연;
    을 포함하는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풍부는,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러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상기 연이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범위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제어하는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KR1020110127726A 2011-12-01 2011-12-01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KR10132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26A KR101324583B1 (ko) 2011-12-01 2011-12-01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26A KR101324583B1 (ko) 2011-12-01 2011-12-01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424A KR20130061424A (ko) 2013-06-11
KR101324583B1 true KR101324583B1 (ko) 2013-11-01

Family

ID=4885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726A KR101324583B1 (ko) 2011-12-01 2011-12-01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3794B (zh) * 2021-07-15 2022-11-04 信阳师范学院 一种适用于中低风速地区的水平轴风力机自动对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492A (ja) * 1992-04-08 1993-11-02 Kawasaki Heavy Ind Ltd 風力発電船
JP2003042053A (ja) 2001-08-01 2003-02-13 Chiyuu Hayashi 風力発電用風車
KR20070032941A (ko) * 2004-04-19 2007-03-23 스카이세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풍력선의 자유비행 카이트식 수풍 부재를 위한 배치 장치
KR20110088987A (ko) * 2010-01-29 2011-08-04 유지산 지주부설식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492A (ja) * 1992-04-08 1993-11-02 Kawasaki Heavy Ind Ltd 風力発電船
JP2003042053A (ja) 2001-08-01 2003-02-13 Chiyuu Hayashi 風力発電用風車
KR20070032941A (ko) * 2004-04-19 2007-03-23 스카이세일즈 게엠베하 앤 컴퍼니 케이지 풍력선의 자유비행 카이트식 수풍 부재를 위한 배치 장치
KR20110088987A (ko) * 2010-01-29 2011-08-04 유지산 지주부설식 풍력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424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901B2 (e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ES2701735T3 (es) Conjunto aerogenerador-plataforma flotante y método para la orientación de dicho conjunto
US8946923B2 (en) Wind-tracking twin-turbine system
WO2008084827A1 (ja) 風力発電用の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US9013055B1 (en) Kite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KR101723175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JP2010180876A5 (ko)
US10060413B2 (en) Wind turbine with automatic tilting frame for unloading damaging winds encountered by wind turbines
KR101324583B1 (ko) 바람에 의해 방향이 회전되는 풍력발전기
KR101010428B1 (ko) 풍력발전 시스템
KR101315548B1 (ko) 자기 기동성과 토오크 증대 특성을 갖는 다리우스형 발전기
TW201303150A (zh) 風車轉速自動安全控制裝置
KR100956269B1 (ko) 연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KR100986155B1 (ko) 고효율 수직형 풍력 발전기
KR100995880B1 (ko) 토오크웨이트밸런스장치가 구비된 양력발전기
US9206573B2 (en) Water flow regulating device and ocean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CN208268001U (zh) 一种风力发电用的风车助力装置
CN203670104U (zh) 离心倾斜限速风力发电机
KR101006171B1 (ko) 풍력 발전장치
KR101476233B1 (ko) 유체에서 동력을 얻는 날개의 구조
KR100947173B1 (ko) 양력발전기
JP4533991B1 (ja) 小型プロペラ風車
CA2987336C (en) Rotary converter of wind energy with a vertical axis of rotation
KR101584331B1 (ko) 연을 이용한 발전 장치
JP5284329B2 (ja) 抗力翼片及び直立式揚力翼片の複合式回転機構による垂直軸型風力運動エネルギー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