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551B1 -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551B1
KR101324551B1 KR1020110064915A KR20110064915A KR101324551B1 KR 101324551 B1 KR101324551 B1 KR 101324551B1 KR 1020110064915 A KR1020110064915 A KR 1020110064915A KR 20110064915 A KR20110064915 A KR 20110064915A KR 101324551 B1 KR101324551 B1 KR 10132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late
conveyor
hot air
transfer mechanism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509A (ko
Inventor
이재하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 F26B15/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the whole or part of a circle in a vertic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F26B15/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 being carried by trays or holders supported by endless belt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분 건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세척공정 후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묻어있던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수분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9)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질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LUTCH PLATE}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클러치 구성품으로서 사용되는 클러치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공정에서 사용되는 건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는 주행 중 스로틀의 개도와 차속이 변화되는 상태에 따라 변속비를 설정된 변속패턴에 의거 추종할 수 있도록 전환시켜 주는 장치로서, 주행 중 변속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 운전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발진과 가속 및 감속을 원활하게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 자동 변속기의 구성품 중에는 다수개의 기어류를 매개로 소정의 기어열을 형성하는 유성기어장치가 있는 바, 상기 유성기어장치에는 변속시 다수의 변속단의 형성을 위해 해당 기어열과 변속기의 입력축 내지 변속기의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여 동력의 전달 및 작동의 제한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다수의 마찰요소가 있다.
상기 마찰요소는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구분되는데, 그 중 상기 클러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입력축(1)과 슬립이음방식으로 결합되어서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클러치 리테이너(2)와,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와의 사이에 작동유압실(3)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클러치 피스톤(4)과, 상기 클러치 피스톤(4)과의 사이에 밸런스유압실(5)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피스톤 리테이너(6)와, 상기 클러치 피스톤(4)의 동작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클러치 피스톤(4)과 상기 피스톤 리테이너(6)에 지지되어 설치된 접시 리턴스프링(7)과,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의 회전 동력을 클러치 허브(8)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와 상기 클러치 허브(8)사이에서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와 상기 클러치 허브(8)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클러치 플레이트(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리테이너(2)에는 상기 작동유압실(3)측으로 작동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작동유압 공급홀(2a) 및 상기 밸런스유압실(5)측으로 밸런스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밸런스압 공급홀(2b)이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는 다수개의 돌기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외접형 플레이트 및 돌기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내접형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바, 상기 외접형 플레이트와 내접형 플레이트는 클러치 리테이너(2)와 클러치 허브(8) 사이의 공간에 한 개씩 교대로 포개어진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는 작동유압 공급홀(2a)을 통해 작동유압실(3)로 유압이 공급되어 클러치 피스톤(4)이 리턴스프링(7)의 힘을 이기고 피스톤 리테이너(6)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 피스톤(4)이 클러치 플레이트(9)를 가압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들끼리 서로 마찰 결합을 하게 됨으로써, 변속기 입력축(1)의 동력(회전동력)은 클러치 리테이너(2)와 클러치 플레이트(8)를 통해 클러치 허브(8)로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밸런스압 공급홀(2b)을 통해 밸런스유압실(3)로 유압이 공급되고 작동유압실(3)로부터 유압이 배출되면, 클러치 피스톤(4)은 리턴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동시에 클러치 플레이트(9)들끼리는 서로 떨어져서 비 접촉상태가 되는 바, 이때부터는 변속기 입력축(1)이 회전을 하더라도 이때의 회전력은 클러치 허브(8)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자동 변속기용 클러치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클러치 플레이트(9)는 도 2에 도시된 기본적인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즉, 롤타입으로 권취된 형태의 스틸 소재(11)가 다수개의 롤러기구(12)들을 통과하면서 평판타입으로 가공되는 소재가공단계와, 프레스(13; 파인블랭킹 프레스) 장치를 이용해서 형상을 갖춘 클러치 플레이트(9)를 제작하는 형상제작단계와, 형상제작단계시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발생한 버를 제거하는 표면가공단계와,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세척 후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생산된 제품의 불량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단계를 거쳐서 제작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단계는 생산된 제품(클러치 플레이트)의 녹 방지를 위해 실시하는 단계로서, 종래에는 도 3과 같이 세척공정을 통과한 클러치 플레이트(9)가 컨베이어(14)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풍을 방사하는 건조장치(15)를 통과할 때에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건조장치(10)는 클러치 플레이트(9)의 양쪽면을 모두 건조시키기가 힘든 구조인 바, 즉 컨베이어(14)상에 얹혀져서 이동하는 클러치 플레이트(9)에서 고온의 열풍을 방사하는 열풍기(15a)와 대면하는 윗면은 충분히 건조되지만, 컨베이어(14)와 접촉한 클러치 플레이트(9)의 아래면은 고온의 열풍을 충분히 받지 못함에 따라 수분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건조되지 않은 수분에 의해 클러치 플레이트(9)에 녹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공정 후 클러치 플레이트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의 완전 제거가 가능한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의 녹 발생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는, 세척공정과 검사공정 사이에 위치한 컨베이어 라인에 설치되어서 세척이 완료된 클러치 플레이트를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킨 후 재차 하강시켜서 상기 컨베이어상에 안착시키는 이송기구와; 상기 이송기구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클러치 플레이트에 고온의 열풍을 분사해서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에 묻어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열풍기구와; 상기 이송기구와 상기 열풍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베이어는 공급측 컨베이어와 배출측 컨베이어로 분리되고;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측 컨베이어 사이에 상기 이송기구의 하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기구는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측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대해 수직한 상방향의 위치에 설치되는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에 감겨지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인과; 상기 동력전달체인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포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크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부포크및 하부포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포크와 상기 하부포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해 1.3 배 내지 1.7배의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풍기구는 공기를 고온으로 데우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서 데워진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배출된 열풍을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배관과; 상기 공기배관에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기구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에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풍기구는 상기 이송기구를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히터와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공기배관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관은 상기 이송기구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와 마주 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후단측에 각각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공기배관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는, 수분 건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세척공정 후 클러치 플레이트의 표면에 묻어있던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수분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질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 변속기용 클러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클러치 플레이트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클러치 플레이트의 제작공정 중 종래의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중 이송기구만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 변속기 클러치용 클러치 플레이트(9)는 도 2를 참조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소재가공단계와 형상제작단계와 표면가공단계와 세척단계와 건조단계와 검사단계로 된 기본적인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단계는 세척단계 후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수분이 충분히 건조되지 못하면 클러치 플레이트(9)는 수분에 의해 녹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인 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공정과 검사공정 사이에 위치한 컨베이어(50) 라인에 설치되어서 세척이 완료된 클러치 플레이트(9)를 상기 컨베이어(5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킨 후 재차 하강시켜서 상기 컨베이어(50)상에 안착시키는 이송기구(60)와, 상기 이송기구(60)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클러치 플레이트(9)에 고온의 열풍을 분사해서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에 묻어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열풍기구(70)와, 상기 이송기구(60)와 상기 열풍기구(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50)는 세척공정을 통과한 클러치 플레이트(9)를 상기 이송기구(60)쪽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측 컨베이어(51)와, 상기 이송기구(60)에서 빠져나온 클러치 플레이트(9)를 상기 검사단계로 이동시키는 배출측 컨베이어(52)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기구(60)의 하단은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51)와 상기 배출측 컨베이어(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 이송기구(60)는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51)와 상기 배출측 컨베이어(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롤러(61)와, 상기 구동롤러(61)에 대해 수직한 상방향의 위치에 설치되는 종동롤러(62)와, 상기 구동롤러(61)와 상기 종동롤러(62)에 감겨지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구동롤러(61)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롤러(6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인(63)과, 상기 동력전달체인(63)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포크부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50)와 상기 구동롤러(61)는 상기 컨트롤러(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포크부재(64)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부포크(64a)및 하부포크(64b)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포크(64a)와 상기 하부포크(64b)의 이격 간격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의 두께에 대해 1.3 배 내지 1.7배의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급측 컨베이어(51)를 통해서 이송기구(60)쪽으로 이동되어 온 클러치 플레이트(9)는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어야 하는 바, 이때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틈새가 클러치 플레이트(9)의 두께와 비슷한 치수로 구성되면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틈새로 클러치 플레이트(9)가 원활히 삽입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틈새가 클러치 플레이트(9)의 두께보다 매우 큰 치수로 구성되면,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에 끼워진 클러치 플레이트(9)가 포크부재(64)와 함께 상승 및 하강 이동하는 과정 중에서 포크부재(64)로부터 빠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틈새로 클러치 플레이트(9)가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크부재(64)로부터 빠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이격 간격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의 두께에 대해 1.3 배 내지 1.7배의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서 상기 열풍기구(70)는 공기를 고온으로 데우는 히터(71)와, 상기 히터(71)에서 데워진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송풍기(72)와, 상기 송풍기(72)에 배출된 열풍을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배관(73)과, 상기 공기배관(73)에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기구(60)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에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74)과, 상기 이송기구(60)를 감싸는 케이스(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히터(71)와 상기 송풍기(72) 및 상기 공기배관(73)은 상기 케이스(75)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히터(71)와 송풍기(72) 및 노즐(74)은 상기 컨트롤러(8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공기배관(73)은 상기 이송기구(60)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와 마주 대하도록 상기 케이스(75)의 내부공간 전,후단측에 각각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74)은 상기 공기배관(73)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스(파인블랭킹 프레스) 장치를 이용해서 형상을 갖춘 클러치 플레이트(9)를 제작하고 나면,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는 버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버는 표면가공단계를 거치면서 제거된다.
버 제거시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는 이물질이 묻어있게 되며, 상기 이물질은 세척단계를 거치면서 제거되고, 세척 후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는 수분이 묻어있게 된다.
세척공정을 통과한 클러치 플레이트(9)는 공급측 컨베이어(51)를 따라서 이송기구(60)쪽으로 이동되어 온 후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고, 도 4 및 도 5의 도시 상태에서 구동롤러(61)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및 클러치 플레이트(9)는 종동롤러(62)를 향해 상승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롤러(62)를 통과한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및 클러치 플레이트(9)는 다시 하강 이동하여 배출측 컨베이어(52)상에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가 얹혀지게 되는 바, 상기 배출측 컨베이어(52)상에 얹혀진 클러치 플레이트(9)는 배출측 컨베이어(52)의 구동력에 의해 포크부재(64)로부터 빠져서 다음 공정인 검사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어서 포크부재(64)와 함께 상승 및 하강 이동하는 클러치 플레이트(9)는 상승 및 이동하는 과정 중 노즐(74)로부터 분사된 고온 열풍에 의해 양쪽 표면에 묻어있던 수분은 완전히 건조된다.
즉, 클러치 플레이트(9)가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노즐(74)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열풍에 의해 윗면이 건조되고, 반대로 하강하는 과정에서는 아래면이 건조되므로, 클러치 플레이트(9)의 양쪽 표면에 묻어있던 수분은 완전히 건조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9)의 표면에 묻어있던 수분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에 의해 완전히 건조가 됨에 따라, 수분에 의한 클러치 플레이트(9)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클러치 플레이트(9)가 이송기구(60)를 통해 승하강하는 과정 중에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수분 건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바, 이로 인해 클러치 플레이트(9)에 묻어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일자 형태의 컨베이어상에서 수분을 건조하던 종래 건조장치의 수분 건조시간보다, 이송기구(60)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수분 건조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분 건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 결과 클러치 플레이트(9)에 묻어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분 건조시간이 길어지면 반대로 건조장치를 통과하는 클러치 플레이트(9)의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상황이 우려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이송기구(60)를 제일 처음에 통과하는 클러치 플레이트(9)의 사이클 타임만 길어지게 되고, 그 이후부터는 클러치 플레이트(9)가 계속해서 상승 및 하강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건조장치를 통과하는 전체 클러치 플레이트(9)의 사이클 타임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건조장치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건조장치를 통과하는 클러치 플레이트(9)의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생산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오히려 클러치 플레이트(9)의 건조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품의 질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9 - 클러치 플레이트 50 - 컨베이어
51 - 공급측 컨베이어 52 - 출구측 컨베이어
60 - 이송기구 61 - 구동롤러
62 - 종동롤러 63 - 동력전달체인
64 - 포크부재 70 - 열풍기구
71 - 히터 72 - 송풍기
73 - 공기배관 74 - 노즐
75 - 케이스 80 - 컨트롤러

Claims (9)

  1. 세척공정과 검사공정 사이에 위치한 컨베이어(50) 라인에 설치되어서 세척이 완료된 클러치 플레이트(9)를 상기 컨베이어(5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상승 이동시킨 후 재차 하강시켜서 상기 컨베이어(50)상에 안착시키는 이송기구(60);
    상기 이송기구(60)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클러치 플레이트(9)에 고온의 열풍을 분사해서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에 묻어있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열풍기구(70); 및
    상기 이송기구(60)와 상기 열풍기구(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기구(60)는 공급측 컨베이어(51)와 배출측 컨베이어(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롤러(61);
    상기 구동롤러(61)에 대해 수직한 상방향의 위치에 설치되는 종동롤러(62);
    상기 구동롤러(61)와 상기 종동롤러(62)에 감겨지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구동롤러(61)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롤러(6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인(63); 및
    상기 동력전달체인(63)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포크부재(64)를 포함하는데;
    상기 포크부재(64)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포크(64a)와 하부포크(64b) 사이에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50)는 공급측 컨베이어(51)와 배출측 컨베이어(52)로 분리되고;
    상기 공급측 컨베이어(51)와 상기 배출측 컨베이어(52) 사이에 상기 이송기구(60)의 하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포크(64a)와 상기 하부포크(64b) 사이의 간격은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의 두께에 대해 1.3 배 내지 1.7배의 치수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구(70)는
    공기를 고온으로 데우는 히터(71)와;
    상기 히터(71)에서 데워진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송풍기(72)와;
    상기 송풍기(72)에 배출된 열풍을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배관(73)과;
    상기 공기배관(73)에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기구(60)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에 고온의 열풍을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7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구(70)는 상기 이송기구(60)를 감싸는 케이스(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75)에 상기 히터(71)와 상기 송풍기(72) 및 상기 공기배관(73)이 고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관(73)은
    상기 이송기구(60)와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상기 클러치 플레이트(9)와 마주 대하도록 상기 케이스(75)의 전,후단측에 각각 수직하게 고정 설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노즐(74)은
    상기 공기배관(73)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KR1020110064915A 2011-06-30 2011-06-30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KR10132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15A KR101324551B1 (ko) 2011-06-30 2011-06-30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15A KR101324551B1 (ko) 2011-06-30 2011-06-30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09A KR20130003509A (ko) 2013-01-09
KR101324551B1 true KR101324551B1 (ko) 2013-11-01

Family

ID=4783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15A KR101324551B1 (ko) 2011-06-30 2011-06-30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6896A (zh) * 2018-04-01 2018-07-17 山西汤荣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吹干平衡配重块与大外圆之间缝隙内残留水汽的装置
CN114294929B (zh) * 2022-01-14 2023-03-10 深圳市信亿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升降机构的快速均匀烘烤的工业用烤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684U (ja) * 1993-01-08 1994-08-05 株式会社中央製作所 乾燥機
KR100503112B1 (ko) * 2003-03-03 2005-07-22 지용식 엘리베이터식 건조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684U (ja) * 1993-01-08 1994-08-05 株式会社中央製作所 乾燥機
KR100503112B1 (ko) * 2003-03-03 2005-07-22 지용식 엘리베이터식 건조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09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551B1 (ko) 클러치 플레이트 제작용 건조장치
JP2009006711A5 (ko)
CN201099030Y (zh) 全自动多套色裁片印花机
CN202853295U (zh) 一种多层连续型单板干燥机
KR101296581B1 (ko) 블랭킹 라인
CN208428421U (zh) 人造板板坯喷蒸设备
CN110549623A (zh) 一种用于流水线生产用3d打印机的载物平台装置
CN103350881A (zh) 螺栓压型自动排序装置
CN101781871B (zh) 全自动纸浆模塑对滚式成型机
CN104493063A (zh) 一种红打加工成型系统的输送加热装置
CN203319247U (zh) 一种下料工作平台
CN104648975B (zh) 一种自动分料装盒机
KR100771199B1 (ko) 원통형 작업물 표면 인쇄장치
KR101139433B1 (ko) 팬링 제조 장치
KR19980077509A (ko) 베니어단판의 건조장치
CN110500874B (zh) 一种用于包装泡沫自动智能化批量加工的烘干系统
CN105977188A (zh) 一种二极管油墨标记烘烤清洗装置
CN206207982U (zh) 一种烘干机上料摊平装置
CN208007930U (zh) 一种便于家具板材输送和晾干的装置
US6851941B2 (en) Apparatus for curing fibrous insulation
CN201688688U (zh) 一种消除结圈的卧式转动加热炉
CN112250291A (zh) 一种玻璃瓶生产加工用退火冷却装置
CN204550821U (zh) 一种卷曲纤维丝输送往复铺丝机
CN218142356U (zh) 一种蒸压粉煤灰砖砖面清理装置
CN210140176U (zh) 一种自动包子机输送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