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316B1 -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316B1
KR101324316B1 KR1020110140031A KR20110140031A KR101324316B1 KR 101324316 B1 KR101324316 B1 KR 101324316B1 KR 1020110140031 A KR1020110140031 A KR 1020110140031A KR 20110140031 A KR20110140031 A KR 20110140031A KR 101324316 B1 KR101324316 B1 KR 10132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rudder blade
jumping
jumping stopp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553A (ko
Inventor
박주신
전민성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3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점핑스토퍼가 장착된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케그; 상기 스케그를 관통하여 상기 스케그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선체에 현수(hanging)되어 설치되고, 종축회전하도록 제공되는 러더스톡; 상면이 상기 스케그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러더스톡의 하부에 결합되는 러더블레이드; 및 상기 스케그와 상기 러더블레이드 사이에서 상기 러더블레이드가 상승하여 상기 스케그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핑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RUDDER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핑스토퍼가 장착된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를 추진시키는 프로펠러와 조향을 위한 러더를 가진다. 선박의 조향은 러더의 러더블레이드가 받음각을 가지고 프로펠러 후류로부터 양력을 얻어 선미를 회두시킴으로써 선체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러더블레이드는 선미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케그 아래에 배치되며, 대개 스티어링덱(steering deck)에 걸쳐져 그 자중에 의해 현수(hanging)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비록 러더블레이드의 중량이 무겁더라도 러더블레이드에 프로펠러에 의한 해수의 후류나 그 외의 요인에 의한 해수의 요동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러더블레이드가 튀어올라(jumping) 스케그와 충돌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164776호는 이러한 스케그와 러더블레이드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점핑스토퍼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점핑스토퍼는 주로 용접에 의존하여 설치되어 그 작업이 복잡할 뿐 아니라 러더블레이드가 받음각을 가지는 경우에 러더블레이드와 스케그의 충돌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164776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러더블레이드에 점핑스토퍼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러더 및 이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러더블레이드의 점핑스토퍼가 스케그 등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러더 및 이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케그; 상기 스케그를 관통하여 상기 스케그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선체에 현수(hanging)되어 설치되고, 종축회전하도록 제공되는 러더스톡; 상면이 상기 스케그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러더스톡의 하부에 결합되는 러더블레이드; 및 상기 스케그와 상기 러더블레이드 사이에서 상기 러더블레이드가 상승하여 상기 스케그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핑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점핑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하부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스케그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점핑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와 상기 러더블레이드가 정합된 경우, 그 길이방향이 상부에서 볼 때 상기 제2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2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은, 상기 스케그의 장축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점핑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와 상기 러더블레이드가 정합된 경우, 그 길이방향이 상부에서 볼 때 상기 제2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점핑스토퍼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러더블레이드에 삽입된 상기 러더스톡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점핑스토퍼 각각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러더스톡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에 수직한 단축에 가까워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에 결합되는 상기 제1점핑스토퍼의 하부는, 아래가 위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점핑스토퍼의 상부는, 상면이 평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러더블레이드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러더는, 프로펠러의 후류방향에 위치하여 종축회전하도록 제공되고,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러더블레이드; 및 하부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점핑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부에서 볼 때 그 길이방향이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에 수직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부에서 볼 때 그 길이방향이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축에 수직한 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최대회전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러더블레이드의 홈에 점핑스토퍼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러더블레이드에 점핑스토퍼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케그와 러더블레이드에 각각 설치되는 점핑스토퍼가 나란하지 않고 서로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제공되므로 러더가 회전하더라도 엇갈리지 않아 점핑스토퍼가 스케그의 하면이나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러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점핑스토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부점핑스토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점핑스토퍼가 러더블레이드의 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하부점핑스토퍼의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스케그와 도 5의 러더블레이드에서 점핑스토퍼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하부점핑스토퍼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4의 스케그와 도 10의 러더블레이드에서 점핑스토퍼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장되어 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미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00)은 선체(110), 프로펠러(140), 러더(rudder, 200), 틸러(tiller, 130), 스케그(skeg, 120) 및 점핑스토퍼(jumping stopper, 30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선박(100)의 골격을 이룬다. 선박(100)의 선체(110) 내부에는 운송대상물이 저장되는 화물창(cargo tank,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0)이 액화천연가스운반선(LNGC: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인 경우에는 화물창(미도시)에는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펠러(140)는 선박(100)을 추진하고, 러더(200)는 선박(100)을 조향한다. 프로펠러(140)는 엔진(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선박(100)을 추진한다. 러더(200)는 프로펠러(1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해수의 후류로부터 양력을 받아 선박(100)을 조향한다. 틸러(130)는 스티어링기어(steering gear)로써, 러더(200)를 종축회전시킨다. 러더(200)가 종축회전하면, 후류에 대한 받음각이 조절되어 후류로부터 받는 양력이 변화한다. 스케그(120)는 선체(1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스케그(120)의 하면에는 러더블레이드(240)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러더(2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러더(200)는 스페이드러더(spade rudder), 세미스페이드러더(semi spade rudder), 혼형러더(horn type rudder) 및 그 외의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러더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러더(200)에 관하여 스페이드러더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러더(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러더(200)는 러더스톡(rudder stock, 220), 러더블레이드(rudder blade, 240), 러더트렁크 (rudder trunk, 230) 및 러더캐리어(rudder carrier, 210)를 포함한다.
러더스톡(220)은 원통 형상의 바로 제공된다. 러더스톡(220)은 그 상부가 틸러(130)에 연결되고,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선체(110)와 스케그(120)를 관통한다. 러더스톡(220)은 그 하부가 스케그(120)의 아래로 돌출되고, 스케그(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러더블레이드(24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러더스톡(220)은 틸러(130)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러더블레이드(240)로 전달하여 러더블레이드(240)를 종축회전시킬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는 스케그(12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러더블레이드(240)는 상부에서 볼 때 그 단면이 유선형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다. 또한, 러더블레이드(240)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중앙부까지 제1홀(121)이 형성된다. 러더스톡(220)은 스케그(120)를 관통하여 그 하부가 제1홀(12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러더블레이드(240)와 러더스톡(220)이 결합된다.
러더블레이드(240)는 선체(110)를 조향할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는 프로펠러(140)의 후류방향에 배치된다. 러더블레이드(240)는 러더스톡(220)에 의해 종축회전하여 후류에 대하여 받음각을 가질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드가 후류에 대해 소정의 받음각을 가지면 그에 따라 양력이 발생한다. 양력은 러더블레이드(240)로부터 러더스톡(220)을 거쳐 선체(110)에 전달되어 선체(110)의 선미를 회두시킨다. 이에 따라 러더블레이드(240)는 선체(110)를 조향할 수 있다.
러더트렁크(230)는 러더스톡(220)을 보호한다. 러더스톡(220)은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 사이에서 연결하는 부위가 해수에 노출될 수 있다. 러더트렁크(230)는 중공원통 형태로 제공되고, 그 중공에 러더스톡(220)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러더트렁크(230)는 러더스톡(220)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감싸 러더스톡(220)이 해수에 노출되어 부식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차단한다.
러더캐리어(210)는 러더스톡(220)을 지지한다. 러더캐리어(210)는 선체(110)의 스티어링덱에 설치되며, 중공링(hollow ring) 형상으로 제공된다. 러더스톡(220)은 러더캐리어(210)의 중공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러더캐리어(210)는 러더스톡(220)을 지지한다. 이때 러더스톡(220)은 러더캐리어(210)에 현수(hanging)된 상태로 지지된다. 즉, 러더스톡(220)은 자체의 하중에 의한 중력에 의해 러더캐리어(210)를 통해 선체(110)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된다.
여기서, 러더블레이드(240)는 현수된 러더스톡(220)에 결합되므로, 러더블레이드(240) 역시 현수된 상태로 선체(11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러더블레이드(240)는 연직방향에 대하여 하방으로는 고정된 상태를 가지지만, 상방으로는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정박 또는 운항 중에 러더블레이드(240)에는 프로펠러(140)의 후류나 해수의 요동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연직상방의 힘이 가해질 수 있으며, 러더블레이드(240)는 현수된 상태이므로, 위쪽으로 튀어올라(jumping) 상승할 수 있다.
러더스톡(220)이 선체(110)에 현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그 하부에 결합된 러더블레이드(240) 역시 현수된 상태로 선체(110)와 연결된다. 러더스톡(220)과 러더블레이드(240)는 밀도가 큰 금속재질로 제공되므로 자중에 의해 연직하방으로 힘을 받아 일반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박 또는 운항 중에 러더블레이드(240)에 프로펠러(140)의 후류나 해수의 요동에 의해 연직상방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러더블레이드(240)가 연직상방으로 튀어올라(jumping) 상승할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가 튀어오르는 경우에는 그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스케그(120)의 하면에 충돌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그(120)의 하면과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는,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점핑스토퍼(300)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점핑스토퍼(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점핑스토퍼(300)는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 사이에 개제되어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점핑스토퍼(300)는 스케그(1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점핑스토퍼(310) 및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점핑스토퍼(320)를 포함한다. 러더블레이드(240)의 상승하면,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서로 접촉하여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상부점핑스토퍼(31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케그(120)는 상부에서 볼 때 그 단면이 프로펠러(140)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유선형으로 제공된다. 또한, 스케그(120)의 장축 상에는 러더스톡(220)이 관통하는 제2홀(241)이 형성된다.
상부점핑스토퍼(310)는 스케그(120)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부점핑스토퍼(310)는 스케그(1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스케그(120)의 하면이 러더블레이드(240)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점핑스토퍼(310)는 그 길이방향이 스케그(120)의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점핑스토퍼(310)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부점핑스토퍼(310)는 제2홀(241)를 사이에 두고, 스케그(120)의 장축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부점핑스토퍼(310)의 개수나 배치는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3의 하부점핑스토퍼(32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은 스케그(120)의 하면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는 받음각이 0인 경우, 상부에서 볼 때 그 단면이 프로펠러(140)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유선형으로 제공된다. 또한, 러더블레이드(240)의 장축 상에는 러더스톡(220)이 삽입되는 제1홀(121)이 형성된다. 제1홀(121)과 제2홀(241)는 상부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러더스톡(220)이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는 홈(24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홈(242)은 그 하부영역이 상부영역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하부점핑스토퍼(320)는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설치된다.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삽입부(321) 및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321)는 하부점핑스토퍼(320)의 하부를 이룬다. 삽입부(321)는 러더블레이드(240)의 홈(2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삽입부(321)는 그 하부영역이 상부영역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322)는 하부점핑스토퍼(320)의 상부를 이룬다. 돌출부(322)는 그 상면이 평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2)는 그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경사지게 제공되어 점차 그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322)의 평평한 상면은 상부점핑스토퍼(310)와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진 부분은 해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선박(100)이 주행하는 경우에 속도 저하나 해수에 의한 돌출부(322)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하부점핑스토퍼(320)가 러더블레이드(240)의 홈(24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그 삽입부(321)가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형성된 홈(24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홈(242)에 끼워질 수 있다. 하부점핑스토퍼(320)가 홈(242)에 삽입되면 그 양단을 웰딩(wielding)하여 하부점핑스토퍼(320)를 러더블레이드(2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삽입부(321)가 홈(242)에 삽입되면, 돌출부(322)는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러더블레이드(240)의 하면이 스케그(120)와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하부점핑스토퍼(320)의 삽입부(321)가 러더블레이드(240)의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진 후 양단을 웰딩하는 방식을 이용하면, 하부점핑스토퍼(320) 를 러더블레이드(240)에 결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예를 들어,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점핑스토퍼(300)를 단순히 용접하는 경우에는, 용접 전에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핏업검사(fit up test)가 필요하므로 러더블레이드(240)를 선체(110)에 장착하여 치수를 확인한 후 분리하여 점핑스토퍼(300)를 용접하고, 이후 다시 장착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처럼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형성된 홈(24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하부점핑스토퍼(320)를 삽입한 뒤 웰딩하게 되면, 러더블레이드(240)가 선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직접 하부점핑스토퍼(320)를 장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그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점핑스토퍼(300)는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서로 접촉 충돌하게 되므로 오랜 기간 사용시 마모되어 교환이 필요할 수 있으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장착되는 점핑스토퍼(300)는 그 교환과정 역시 매우 간소하므로 교환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이 감소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상부에서 볼 때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하부점핑스토퍼(320)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그 길이방향이 상부에서 볼 때, 러더블레이드(240)의 장축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와 스케그(120)가 정합된 경우, 러더블레이드(240)의 받음각이 0으로 러더블레이드(240)의 장축 상에 프로펠러(140)의 중심이 위치하게 배치된다. 즉, 상부에서 볼 때, 러더블레이드(240)와 스케그(120)의 장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배치되는 경우, 하부점핑스토퍼(320)와 상부점핑스토퍼(31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그 길이가 러더블레이드(24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점핑스토퍼(320)는 러더블레이드(240)에 형성된 홈(242)에 삽입되고, 그 양단이 웰딩되어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가로지르는 형태로 러더블레이드(240)에 결합될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부에는 하부점핑스토퍼(320)가 하나 또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제2홀(241)을 사이에 두고, 프로펠러(140)가 배치된 측(이하 전방)과 그 반대측(이하 후방)에 각 하나씩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의 하부점핑스토퍼(320)와 후방의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장축을 기준으로 서로 선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하부점핑스토퍼(320)의 수나 배치가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방의 하부점핑스토퍼(320)와 후방의 점핑스토퍼(300)는 각각 제2홀(24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점핑스토퍼(320)가 배치되면, 러더블레이드(240)가 종축회전하여 어느 받음각으로 배치되더라도,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가 직접 충돌하는 대신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스케그(120)와 도 5의 러더블레이드(240)에서 점핑스토퍼(300)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각각 두 지점(빗금친 부분)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더블레이드(240)가 승강하더라도 스케그(120)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는 러더블레이드(240)가 받음각을 가지도록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러더블레이드(240)는 최대 35도까지 종축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각각 두 지점(빗금친 부분)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더블레이드(240)가 승강하더라도 스케그(120)와 직접 충돌하지 않는다.
만일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일 지점에서만 접촉하는 경우에, 러더블레이드(240)에 작용하는 승강력이 강한 경우에는 러더블레이드(240)가 비틀리면서 상부점핑스토퍼(310)는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접촉하고,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스케그(120)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두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러더블레이드(240)와 스케그(120)가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러더블레이드(240)의 받음각이 커지게 되면, 점핑스토퍼들(300) 중 일부는 일 지점에서 접촉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3의 하부점핑스토퍼(3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그 길이방향이 상부에서 볼 때, 러더블레이드(240)의 장축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러더블레이드(240)와 스케그(120)가 정합된 경우, 하부점핑스토퍼(320)와 상부점핑스토퍼(310)는 상부에서 볼 때, 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제2홀(24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제2홀(241)를 사이에 두고, 전방과 후방에 각 두 개씩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서로 제2홀(24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되거나 또는 장축을 기준으로 선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하부점핑스토퍼(320)의 수나 배치가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방의 하부점핑스토퍼(320)와 후방의 점핑스토퍼(300)는 각각 단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그 길이방향이 장축으로부터 단축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축은 제2홀(241)의 중심을 통과하고 장축에 수직한 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방의 두 개의 하부점핑스토퍼(320)는 러더블레이드(240)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단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후방의 두 개의 하부점핑스토퍼(320)는 후방을 향하여 단축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의 점핑스토퍼(300)와 후방의 점핑스토퍼(300)가 각각 단축과 이루는 각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하부점핑스토퍼(320)는 상기 소정의 각도들이 러더블레이드(240)의 최대회전각도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그 길이가 러더블레이드(240)의 일측으로부터 장축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점핑스토퍼(320)는 러더블레이드(240)에 형성된 홈(242)에 삽입되고, 그 일단은 러더블레이드(240)의 홈(242)이 막히는 부분에 밀착되고 타단은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의 일측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타단은 웰딩되어 러더블레이드(240)에 하부점핑스토퍼(3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하부점핑스토퍼(320)가 배치되면, 러더블레이드(240)가 종축회전하여 어느 받음각으로 배치되더라도,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가 직접 충돌하는 대신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4의 스케그(120)와 도 10의 러더블레이드(240)에서 점핑스토퍼(300)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네 개의 하부점핑스토퍼(320)가 각각 일 지점(빗금친 부분)에서 상부점핑스토퍼(3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더블레이드(240)가 승강하더라도 스케그(120)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는 러더블레이드(240)가 받음각을 가지도록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네 개의 하부점핑스토퍼(320)는 각각 일 지점(빗금친 부분)에서 상부점핑스토퍼(3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러더블레이드(240)가 승강하더라도 스케그(120)와 직접 충돌하지 않는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하부점핑스토퍼(320)가 모두 상부점핑스토퍼(310)에 접촉하므로 총 네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상부점핑스토퍼(310)와 하부점핑스토퍼(320)가 접촉하여 러더블레이드(240)와 스케그(120)가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러더블레이드(240)의 받음각이 커지게 되면, 하부점핑스토퍼들(320)들 중 일부가 상부점핑스토퍼(310)에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여전히 세 개 이상의 하부점핑스토퍼(320)가 상부점핑스토퍼(310)와 접촉하므로 러더블레이드(240)와 스케그(120)가 직접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그(120)에 그 길이방향이 장축과 나란하도록 배치된 상부점핑스토퍼(310)와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그 길이방향이 장축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부점핑스토퍼(320)는 러더블레이드(240)가 종축회전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서로 접촉하여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점핑스토퍼(300)는 상부가 장축에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고, 하부가 장축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역시 스케그(120)와 러더블레이드(240)의 충돌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만약에 상부와 하부의 점핑스토퍼들(300)이 정합상태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러더블레이드(240)가 회전하는 경우, 상부와 하부의 점핑스토퍼들(300)이 서로 엇갈려서 접촉하지 않고, 상부점핑스토퍼(310)는 러더블레이드(240)의 상면에 부딪히고, 하부점핑스토퍼(320)는 러더블레이드(240)의 하면에 부딪힐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와 같이 배치된 점핑스토퍼들(300)은 러더블레이드(240)가 회전하더라도 적어도 일 지점 이상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어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선박
110: 선체 120: 스케그 121: 제1홀
130: 틸러 140: 프로펠러
200: 러더
210: 러더캐리어 220: 러더스톡 230: 러더트렁크
240: 러더블레이드 241: 제2홀 242: 홈
300: 점핑스토퍼 310: 상부점핑스토퍼 320: 하부점핑스토퍼
321: 삽입부 322: 돌출부

Claims (12)

  1. 선체;
    상기 선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케그;
    상기 스케그를 관통하여 상기 스케그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선체에 현수(hanging)되어 설치되고, 종축회전하도록 제공되는 러더스톡;
    상면이 상기 스케그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러더스톡의 하부에 결합되는 러더블레이드; 및
    상기 스케그와 상기 러더블레이드 사이에서 상기 러더블레이드가 상승하여 상기 스케그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핑스토퍼;를 포함하되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점핑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하부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스케그를 향해 돌출되는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점핑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와 상기 러더블레이드가 정합된 경우, 그 길이방향이 상부에서 볼 때 상기 제2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제공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과 수직하고,
    상기 제2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은, 상기 스케그의 장축과 평행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2점핑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상기 스케그와 상기 러더블레이드가 정합된 경우, 그 길이방향이 상부에서 볼 때 상기 제2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제공되는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점핑스토퍼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러더블레이드에 삽입된 상기 러더스톡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점핑스토퍼 각각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러더스톡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에 수직한 단축에 가까워지게 배치되는
    선박.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결합되는 상기 제1점핑스토퍼의 하부는, 아래가 위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1점핑스토퍼의 상부는, 상면이 평평하게 제공되는
    선박.
  8.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점핑스토퍼는, 일단 또는 양단이 상기 러더블레이드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선박.
  9. 프로펠러의 후류방향에 위치하여 종축회전하도록 제공되고,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러더블레이드; 및
    하부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점핑스토퍼;를 포함하는
    러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부에서 볼 때 그 길이방향이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에 수직하도록 제공되는
    러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핑스토퍼는, 상부에서 볼 때 그 길이방향이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러더.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장축에 수직한 방향과 상기 점핑스토퍼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러더블레이드의 최대회전각보다 작은
    러더.
KR1020110140031A 2011-12-22 2011-12-22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2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31A KR101324316B1 (ko) 2011-12-22 2011-12-22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031A KR101324316B1 (ko) 2011-12-22 2011-12-22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53A KR20130072553A (ko) 2013-07-02
KR101324316B1 true KR101324316B1 (ko) 2013-11-01

Family

ID=4898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031A KR101324316B1 (ko) 2011-12-22 2011-12-22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35B1 (ko) * 2016-06-02 2016-1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수 흐름을 관측하는 표류 부이
CN107391865B (zh) * 2017-07-31 2021-08-06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舵叶端部抑制流体分离和空化的导流罩及其设计方法
CN107697259A (zh) * 2017-11-06 2018-02-16 钦州学院 一种基于船舶悬挂舵的止跳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12A (ko) * 1987-06-12 1989-03-13 볼프강 헤더 선박용 균형 종단면 리더
KR200164776Y1 (ko) * 1999-07-26 2000-02-15 박휴규 선박용타지지장치
KR20090017194A (ko) * 2007-08-14 2009-0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1축 2점 고정 러더
KR20090047973A (ko) * 2007-11-09 2009-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고양력 러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12A (ko) * 1987-06-12 1989-03-13 볼프강 헤더 선박용 균형 종단면 리더
KR200164776Y1 (ko) * 1999-07-26 2000-02-15 박휴규 선박용타지지장치
KR20090017194A (ko) * 2007-08-14 2009-0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1축 2점 고정 러더
KR20090047973A (ko) * 2007-11-09 2009-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고양력 러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553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8195A (ko) 얼음 덮힌 바다에서 운항되는 선박 또는 부유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101324316B1 (ko)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3523194B1 (en) Tugboat having azimuthal propelling units
CN201505385U (zh) 一种中舵桨港作消防船
KR20140007013A (ko) 선박에서의 추진 장치
US20200164947A1 (en) Vessel having an improved hull shape
EP2547581B1 (en) Ship with azimuting tractor drive
CN103381877A (zh) 改进的拖船船体及包括该改进船体的拖船
US9463848B2 (en)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KR20110006810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10050736A (ko) 선박용 덕트 및 선박
CN103661793A (zh) 一种基于倾斜双层底圆弧舭部的船舶
EP3424809A1 (en) Large displacement hull ship
CN103661795A (zh) 一种内底直接对位的倾斜双层底圆弧舭部船舶
KR20100020342A (ko) 가변식 빌지킬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JP4024793B2 (ja) 船舶のピッチング軽減装置
JP4278658B2 (ja) 船尾水流誘導板
JP2012183996A (ja) 操舵補助具
CN103832569A (zh) 一种船用抗冰型舵装置保护结构
KR101491669B1 (ko) 선박
KR20150007539A (ko) 선수 울타리를 구비하는 선박
US913973A (en) Navigable vessel.
CN205220983U (zh) 一种船舶加固结构
KR20150002735U (ko) 선수 울타리를 구비하는 선박
KR20130007221U (ko) 횡동요 감쇠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