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216B1 - 화장수용 발포정 - Google Patents

화장수용 발포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216B1
KR101324216B1 KR1020130039062A KR20130039062A KR101324216B1 KR 101324216 B1 KR101324216 B1 KR 101324216B1 KR 1020130039062 A KR1020130039062 A KR 1020130039062A KR 20130039062 A KR20130039062 A KR 20130039062A KR 101324216 B1 KR101324216 B1 KR 10132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skin
granules
water
tab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후
정지행
박상용
Original Assignee
이태후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후생명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태후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수용 발포정에 관한 것으로,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중 하나 이상의 과립, 유기산 과립 및 화장기능소재 과립을 포함하고, 물에 용해시,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물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용 발포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장수용 발포정{EFFERVESCENT TABLETS FOR COSMETIC CARE}
본 발명은 화장수용 발포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물에 용해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발포정으로 세안이나 목욕시 사용할 수 있는 화장수용 발포정에 관한 것이다.
발포정은 사용하려는 주약과립, 탄산염 과립 및 유기산 과립 등 원료 소재를 결합제와 함께 소정 비율로 배합한 후, 정상적인 열-습도조건과 표준 정 제조 장치에 의하여 직접 압축되어 정(tablets)으로 만들어진다. 발포정은 물에 넣었을 때에 정제 내부로 물이 신속하게 침투되어 빠르게 탄산염과 유기산의 반응이 일어나 이산화탄소 (CO2)를 발생시키면서 물에 신속하게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이다. 탄산염 과립 및 유기산과립은 산과 알칼리로서 정(tablet)이 물에 닿을 때 발포성(effervescence)과 분산성 또는 붕괴성(disintegration)을 부여하는 필수요소이다.
한편, 이러한 발포성 제제는 물에 넣으면 이산화탄소 가스의 기포가 발생하여 이완감, 상쾌감을 높이고 유쾌한 목욕감을 주기 때문에 화장수용, 예를 들면 세안용 또는 클렌징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성 제제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251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3398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098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발포성 제제는 물에 넣어 용해시킬 때 주약 과립 등이 수용액상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한편, 피부의 메이크업이나 노폐물을 지울 때에는 크림이나 오일 형태의 유액형태로 제조된 세안용 화장품을 이용하여 메이크업과 피부 모공에 끼인 피지를 녹여낸 후, 물로 가볍게 세척한 후 다시 클렌징 폼이나 비누를 사용하여 거품을 내며 잔여 메이크업이나 노폐물을 닦아낸 후 물로 깨끗하게 세척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세안하는 경우 피부가 진정이 잘 되지 않거나 뻣뻣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세안 후 스킨, 로션이나 에센스 등을 바를때 흡수가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화장수용 발포제제를 변형시켜 상기 세안시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예의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세안시 물에 넣으면 이산화탄소 기포가 발생하여 온천수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또는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탁월한 화장수용 발포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안 후 피부가 뻣뻣해지는 것을 탁월하게 방지하고 화장료들의 흡수를 탁월하게 증진시키는 화장수용 발포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중 하나 이상의 과립, 유기산 과립 및 화장기능소재 과립을 포함하고, 물에 용해시,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물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친수성 화장품 소재에 친수성 고분자를 결합시킨 후, 소수성 고분자를 더욱 결합시킨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친수성 화장품 소재에 직접 소수성 고분자를 결합시킨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친수성 화장품 소재를 양친화성 공중합체로 개질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친유성 화장품 소재이지만 화장수용 발포정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소수성 또는 양친화성 블록 공중합체에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품 소재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진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종래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물에 넣어 용해시키면 발포정을 이루는 각 성분들이 물에서 고르게 분포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물에 넣어 용해시키면 화장기능소재가 물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막을 형성함에 따라, 화장기능소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피부진정 또는 피부보습효과가 뛰어나고, 화장기능소재의 가공시 사용되는 소수성 고분자로 인하여 피부가 뻣뻣해지는 느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세안 후 바르게 되는 화장료들의 흡수를 탁월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산 민감성 화장료 소재를 함유하는 경우 가수분해로 인하여 저장 안정성이 없으며 물의 표면 장력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거품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화장료 소재가 설령 산 민감성 소재라 하더라도 이를 개질시킴에 따라 발포정의 저장안정성 및 제품의 사용시 거품이 치오르는 현상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중 하나 이상의 과립, 유기산 과립 및 화장기능소재 과립을 포함하는데, 물에 용해시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물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화장기능소재를 개질시킴에 따라 발포정을 물에 용해시켰을 때 화장기능소재가 물의 표면에 떠있게 되어 막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발포정에 적용되는 개질된 화장기능소재는 일반적인 화장품 제조 공정에 적용되는 유화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제조한 후 유화액을 감압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교반하여 유화에 적용한 용매를 제거한 후 여과하여 얻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개질된 화장기능소재는 하기의 3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하기와 같이 친수성 화장품 소재에 친수성 고분자를 결합시킨 후, 소수성 고분자를 더욱 결합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1
둘째,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하기와 같이 친수성 화장품 소재에 직접 소수성 고분자를 결합시켜 공중합체가 된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2
셋째, 상기 화장기능소재는 하기와 같이 친수성 화장품 소재를 양친화성 블록 공중합체로 개질시킨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3
한편, 본 발명은 상기 3가지 유형 외에도 친유성 화장품 소재이지만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을 더욱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소수성 또는 양친화성 블록 공중합체를 결합시켜 화장기능소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품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피부보습 또는 피부진정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품공전이나 화장품 공전에 등재된 각종 자연에서 채취 가능한 식물, 해산물, 동물, 광물등의 천연물 유래 화장품 원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화장품의 원료로 적용이 가능한 생약추출액은 예를 들면 인삼(홍삼)추출물, 녹차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병풀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석류추출물, 어성초추출물, 국화추출물, 토마토추출물, 파프리카추출물, 편백추출물, 황금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등이나 기타 화장료로 적용되는 천연물 유래의 기능성 소재인 엘라스틴, 콜라겐, 플라센타, 레티놀, 세라미드, 실크아미노산, 알부틴, 베타글루칸, 코엔자임큐텐 , 상피세포성장인자(EGF), 태반추출물, 줄기세포 배양추출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ⅰ) 카테킨 또는 갈산이 붙은 젤라틴 계열, ⅱ) 폴리감마글루탐산 계열, ⅲ) 폴리갈락토오스(갈락토오스로 구성된 고분자) 계열, ⅳ)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ⅴ) 이소부틸렌/소듐말리에이트 코폴리머(isobutylene/sodium maleate copolymer), ⅵ)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ⅰ) 카테킨 또는 갈산이 붙은 젤라틴 계열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4
ⅱ) 폴리감마글루탐산 계열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5
ⅲ) 폴리갈락토오스(갈락토오스로 구성된 고분자) 계열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6
ⅳ)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ⅴ) 이소부틸렌/소듐말리에이트 코폴리머(isobutylene/sodium maleate copolymer)
ⅵ)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7
여기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카본이 주 사슬을 이루고 있는 대부분의 고분자 물질(분자량 1k 이상)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ⅰ) 폴리에틸렌, 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열, ⅲ) 락톤, 아마이드 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ⅰ) 폴리에틸렌
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계열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8
ⅲ) 락톤, 아마이드 계열(Polycaprolactone, Poly(N-isopropylacrylamide))
Figure 112013031062987-pat00009
Figure 112013031062987-pat00010
여기서, 상기 양친화성 블록 공중합체는 양친화성 물질을 가진 공중합체는 모두 해당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Poly(L-amino acid)-b-Poly(L-aspartate), Poly(L-amino acid)-b-Poly(2-hydroxyethyl-L-aspartamide), Poly(L-amino acid)-b-Poly(N-hexyl-L-aspartamide)-acyl esters, Poly(L-amino acid)-b-Poly(b-benzyl L-glutamate), Poly(L-amino acid)-b-Poly(C16-benzyl-L-aspartate) , Poly(L-amino acid)-b-Poly(L-aspartate-DOX), Poly(ester)-b-Poly(D,L-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ester)-b-Poly(e-caprolactone), Poly(ester)-b-Poly(D,L-lact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은 탄산가스 생성원으로서, 발포성을 만들어주며 통상 수용성 알칼리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알칼리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알칼리토류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중탄산나트룸, 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탄산칼륨, 중탄산칼슘, 탄산칼슘 또는 글리신 탄산나트륨(sodium glycine carb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정은 이와 같이 알칼리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을 함유함에 따라, 물에 넣으면 알칼리 온천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산으로는 식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말산 또는 말레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트르산은 수화성 또는 무수성의 두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정은 이와 같이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과 유기산을 포함함에 따라, 물에 넣으면 이산화탄소 가스 기포가 발생하여 탄산 온천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발포정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결합제, 윤활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친수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윤활제로는 안식향산에스텔나트륨(sodium benzoate), 작산나트륨(sodium acetate), 푸마르산, 분자량이 4000 이상인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라닌(alanine) 및 글리신(glycin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정은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중 하나 이상의 과립, 유기산 과립, 화장기능소재 과립 각각을 친수성 고분자를 결합제로 사용하여 조립한 결합체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시에 수중에 투입되면 각각의 과립형을 만들고 있는 결합제가 물에 빠르게 분산됨으로써 과립 각각이 입자레벨로 분해되기 용이한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세안 또는 목욕시 물에 넣으면 이산화탄소 기포가 발생하여 온천수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피부 진정 또는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세안 또는 목욕 후 피부가 뻣뻣해지는 것을 탁월하게 방지하고 화장료들의 흡수를 탁월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수용 발포정은 저장안정성이 좋으며, 사용시 거품이 치오르는 현상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기능소재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수용 발포정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수용 발포정의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수용 발포정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1 : 화장기능소재의 제조(고분자 캡슐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수용 발포정에 적용할 화장기능소재용 캡슐의 제조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라울리 메타아크레이트/글리콜디메칠아크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대해 16중량%로 도입한 다음 실온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고분자 용액에 인삼사포닌 등을 1~30중량% 도입하여 완전히 녹였다. 녹여진 물질을 물에 넣은 후에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000rpm에서 10분간 유화시켰다. 이때 유화 후 소재를 이용한 제품의 사용감을 좋게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마이크로 플루다이저를 이용하여 1000Bar 전후의 고압력을 이용하여 5회 정도 반복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유화액을 감압증발기로 옮겨 실온에서 30분간 감압교반하여 용매인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 여과지를 통과시켜 화장기능소재용 고분자 캡슐만을 회수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화장기능소재용 캡슐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화장수용 발포정의 제조
하기 표 1의 배합비율로 통상의 방법으로 발포정을 제조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래 1) ~ 7) 의 순서에 따라 제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1) 원료구입 : 모든 원료는 식품공전에 적합한 원료를 사용한다.
2) 칭량 : 소량원료는 (0.5 - 5kg)의 전자저울을 사용하며, 대량원료는 (50 g - 150kg)의 전자저울을 사용한다.
3) 선별 : 원료의 특성에 따라 20 - 100 매쉬 스텐체로 체분리한다.
4) 과립 : 구연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을 각각 과립한다
5) 혼합 : 3)항의 사별물과 4)항의 과립물과 나머지 원료를 혼합기(스피드믹서기)에 넣고 약 20분간 혼합한다.
5) 타정 : 혼합 완료된 원료를 정제타정기를 이용하여 분당 8 - 10 회전의 속도로 정당 5000mg으로 타정한다.
6) 탈분 : 정제를 탈분기에 통과 시켜 정제의 분진을 제거한다.
7) 포장 : 스트립 포장기로 분당 40~50 회전의 속도로 포장한다.
Figure 112013031062987-pat00011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화장수용 발포정을 하기의 도 2,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 화장수용 발포정의 제조
개질되지 않은 화장기능소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발포정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발포정은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화장수용 발포정의 관능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 비교예의 화장수용 발포정에 대하여 피부진정효과, 피부보습효과, 피부가 뻣뻣해지는 정도, 화장료 흡수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실험자(20대 ~ 50대의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이중 50명은 실시예 2의 화장수용 발포정으로 세안을 하게 하고, 나머지 50명은 비교예의 화장수용 발포정으로 세안을 하게 한 후, 피부진정효과, 피부보습효과, 피부가 뻣뻣해지는 정도를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진정효과 피부보습효과 피부가 뻣뻣해지는 정도
5점 피부가 전혀 따끈거리 않고 가렵지 않다. 피부가 매우 촉촉하다. 피부가 전혀 뻣뻣해지지 않았다.
4점 피부가 따근거리지 않고 가렵지 않다. 피부가 촉촉하다. 피부가 아주 조금 뻣뻣해졌다.
3점 피부가 조금 따끈거리고 가렵다. 피부가 조금 촉촉하다. 피부가 조금 뻣뻣해졌다.
2점 피부가 따근거리고 가렵다. 피부가 촉촉하지 않다. 피부가 뻣뻣해졌다.
1점 피부가 매우 따끈거리고 가렵다. 피부가 매우 촉촉하지 않다. 피부가 매우 뻣뻣해졌다.
피부진정효과 피부보습효과 피부가 뻣뻣해지는 정도
실시예 2 4.9 4.8 4.9
비교예 3.2 2.5 2.9
상기 표 3에 의하면, 개실된 화장기능소재를 함유한 화장수용 발포정은 개질되지 않은 화장기능소재를 함유한 화장수용 발포정에 비하여 피부진정효과, 피부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세안 후 피부가 뻣뻣해지는 문제를 탁월하게 방지함을 알 수 있었다.
계속하여 실험자들에게 세안 후 스킨과 로션을 바르게 한 후, 스킨과 로션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화장료의 흡수정도
5점 피부에 매우 쏙 스며든 느낌이다.
4점 피부에 쏙 스며든 느낌이다.
3점 피부에 어느 정도 스며든 느낌이다.
2점 피부에 스며들지 않고 것도는 느낌이다.
1점 피부가 전혀 스며들지 않고 것도는 느낌이다.
화장료의 흡수정도
실시예 2 4.8
비교예 3.1
상기 표 5에 의하면, 개실된 화장기능소재를 함유한 화장수용 발포정은 개질되지 않은 화장기능소재를 함유한 화장수용 발포정에 비하여 피부진정효과, 피부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세안 후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면 화장료가 매우 효과적으로 흡수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중 하나 이상의 과립, 유기산 과립 및 화장기능소재 과립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기능소재 과립은,
    라울리 메타아크레이트/글리콜디메칠아크레이트 크로스폴리머로 개질된 인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용 발포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39062A 2013-04-10 2013-04-10 화장수용 발포정 KR10132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62A KR101324216B1 (ko) 2013-04-10 2013-04-10 화장수용 발포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62A KR101324216B1 (ko) 2013-04-10 2013-04-10 화장수용 발포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216B1 true KR101324216B1 (ko) 2013-11-06

Family

ID=4985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062A KR101324216B1 (ko) 2013-04-10 2013-04-10 화장수용 발포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026A (ko) 2014-06-16 2015-12-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5429A (ko) 2015-09-22 2017-03-3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6471A (ja) * 1993-12-28 1995-08-01 Pola Chem Ind Inc 発泡性浴用剤
KR20010033984A (ko) * 1998-11-10 2001-04-25 카렌 에이. 로우니 자기 발포 클렌징 시스템
JP2006219417A (ja) 2005-02-10 2006-08-24 Kao Corp 固形状発泡性入浴剤組成物
KR20070040980A (ko) * 2005-10-13 2007-04-18 (주)파이온텍 발포성 세안 및 목욕 제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6471A (ja) * 1993-12-28 1995-08-01 Pola Chem Ind Inc 発泡性浴用剤
KR20010033984A (ko) * 1998-11-10 2001-04-25 카렌 에이. 로우니 자기 발포 클렌징 시스템
JP2006219417A (ja) 2005-02-10 2006-08-24 Kao Corp 固形状発泡性入浴剤組成物
KR20070040980A (ko) * 2005-10-13 2007-04-18 (주)파이온텍 발포성 세안 및 목욕 제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026A (ko) 2014-06-16 2015-12-24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5429A (ko) 2015-09-22 2017-03-3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5749B1 (en) Effervescent bath composition
CN107080708A (zh) 一种温和多效洁面组合物
KR101324216B1 (ko) 화장수용 발포정
KR102198260B1 (ko) 액적 방출 화장료
JP2000229841A (ja) 混合タイプ入浴剤
KR101279020B1 (ko)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점도를 강화시킨 화장품 조성물
JPH0925223A (ja) 化粧料組成物
JP6062279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230934B1 (ko) 수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발포형 알약 형태의 무수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201415653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20110084053A (ko) 보습효과를 가지는 이층상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2094214A1 (fr) Serviette de nettoyage et processus de production de celle-ci
KR102646763B1 (ko) 목욕용 슬라임 및 그 제조방법
JP2023008894A (ja) アミノ酸系界面活性剤を含むクレンジングフォーム化粧料組成物
JP2006219417A (ja) 固形状発泡性入浴剤組成物
CN103509655A (zh) 非气体起泡容器装液体洗涤剂
JP2002145720A (ja) ホイップドo/w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083993B2 (ja) 発泡性の1剤式二酸化炭素外用剤
KR20150062801A (ko) 발포 고형 입욕제 조성물
KR102544804B1 (ko) 천연 고체형 입욕제 제조방법 및 그 천연 고체형 입욕제
DE102019210159A1 (de) Feste Haarkosmetikzusammensetzung
JP2004137247A (ja) 液状洗浄剤
JP6366437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GB2564650A (en) Composition
JP2019014671A (ja) 角栓除去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