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194B1 -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194B1
KR101324194B1 KR1020110096305A KR20110096305A KR101324194B1 KR 101324194 B1 KR101324194 B1 KR 101324194B1 KR 1020110096305 A KR1020110096305 A KR 1020110096305A KR 20110096305 A KR20110096305 A KR 20110096305A KR 101324194 B1 KR101324194 B1 KR 10132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terminal
played
credentials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544A (ko
Inventor
윤하영
나택균
Original Assignee
아이테크 도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테크 도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이테크 도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데이터 공유를 위한 설정시간을 단축시키며, 파일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및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크리덴셜(Credential)을 획득하는 제1 태그 리드부와, 획득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는 제1 레지스트라와,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재생부 및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기간 보안성을 가지는 무선 연결을 보다 쉽게 수행하고, 재생중인 컨텐츠를 공유할 때까지의 설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네트워크 설정에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에도 손쉽게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S,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공유를 위해 설정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자의 개입 없이 파일 공유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N스크린 기반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N스크린 개념을 통한 컨텐츠의 다수 기기간 공유가 대중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기기는 N스크린 기반 환경에서 컨텐츠를 생산하는 역할(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영상을 녹화하여 TV로 전송), 컨텐츠를 소비하는 역할(예를 들어, 셋톱박스(Set-top-box)에 녹화된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을 한다.
N스크린 환경에서 컨텐츠 공유/스트리밍 방법은 장치 인증 및 등록 절차를 포함한 장치간 패어링 단계와, 공유 컨텐츠 선택과 호설정 절차를 포함하는 전송(Transport) 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로컬 네트워크 기반 컨텐츠 공유 및 스트리밍 방법은 패어링을 위하여, 사용자가 독립적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공유대상 장치와 공유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연결장치 사이에 인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복잡한 장치간 연결 설정은 사용자의 빈번한 개입을 요구하므로 실제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질 때까지 설정시간이 오래 걸리며, 사용자가 네트워크 설정에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 손쉽게 파일 공유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공유를 위한 설정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자 개입없이 파일 공유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및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및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크리덴셜(Credential)을 획득하는 제1 태그 리드부와,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는 제1 레지스트라와,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재생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지스트라는,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시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레지스트라로부터 생성된 크리덴셜을 획득하여 획득한 크리덴셜을 태그화하고 상기 제1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태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태그 리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를 리딩하여 리딩한 태그 정보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한 후, 추출된 크리덴셜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해당장치와 연결이 설정된 후 상기 제1 재생부와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지 판단하여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해당장치에서는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해당장치에 컨텐츠 송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고 상기 해당장치에서는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해당장치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저장부를 초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재생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의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전송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및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크리덴셜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 중 해당 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연결이 설정된 해당 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미리 인코딩된 크리덴셜을 태그화하는 제2 태그 생성부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포함하는 조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조작 제어신호를 상기 고정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를 리딩하여 리딩한 태그 정보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한 후, 추출된 크리덴셜을 제공하는 제2 태그 리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 저장부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크리덴셜을 수신하고, 수신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3 레지스트라와,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3 제어부와, 상기 제3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크리덴셜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연결을 통해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따르면, 리모트 콘트롤러 및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의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크리덴셜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 중 해당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를 리딩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리딩한 태그 정보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추출된 크리덴셜을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크리덴셜을 수신하고, 수신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 중 해당장치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장치와 연결이 설정된 후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지 판단하여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해당장치에서는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해당장치에 컨텐츠 송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를 상기 해당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고 상기 해당장치에서는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해당장치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저장부를 초기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획득한 크리덴셜이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접속되어 모바일 단말에서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송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기기간 보안성을 가지는 무선 연결을 보다 쉽게 수행하고, 재생중인 컨텐츠를 공유할때까지의 설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네트워크 설정에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에도 손쉽게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과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과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과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과정은 모바일 단말(100)과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컨텐츠 시스템은 리모트 콘트롤러(200) 및 고정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 PDA, PMP, 패드형 단말과 같이 통신 및 정보처리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장치(30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젝터 등과 같은 컨텐츠의 재생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적외선 또는 RF(Radio Frequency)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장치(300)를 원격제어하는 다양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재 모바일 단말(100)에서 콘텐츠가 재생 중이고 고정장치(300)는 전원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0)과 고정장치(300) 사이에 연결을 설정한 후, 모바일 단말(1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고정장치(300)로 전송하여 고정장치(300)에서 재생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단말(100)은 리모트 콘트롤러(200)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고정장치의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획득한 크리덴셜이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고정장치(300)와 연결을 설정하고,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를 고정장치(300)로 전송한다.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모바일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획득한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제어신호를 고정장치(300)에 전송한다.
고정장치(300)는 리모트 콘트롤러(200)로부터 조작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제어신호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하고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경우 모바일 장치(100)와 연결을 설정하고 모바일 장치(100)로부터 재생중인 컨텐츠를 수신한 후,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한다. 여기서, 고정장치(30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해 처음부터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00)에서 재생된 부분을 이어서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과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과정은 모바일 단말(100)과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컨텐츠 시스템은 리모트 콘트롤러(200) 및 고정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제1 태그 리드부(110), 제1 레지스트라(120), 제1 제어부(130), 제1 통신부(140), 제1 제1 저장부(150), 제1 재생부(160) 및 제1 태그 생성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태그 리드부(110)는 제1 통신부(140)를 통하여 리모트 콘트롤러(200)에서 태그를 리딩하여 고정장치(300)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고정장치(300)의 크리덴셜을 획득한다.
여기서, 리모트 콘트롤러(200)에서 리딩한 태그에는 고정장치(300)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고정장치(300)의 크리덴셜이 인코딩 되어있다.
제1 레지스트라(120)는 상기 제1 태그 리드부(100)로부터 제공된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레지스트라(120)는 모바일 단말(100)이 태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경우 일정 주기 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하고 생성된 크리덴셜을 저장 하거나 기기간 근거리 무선통신시 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하고 생성된 크리덴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제어부(130)는 상기 제1 레지스트라(120)에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고정장치(300)와 연결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300)와의 연결은 상기 제1 통신부(14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과 상기 고정장치(300)의 네트워크 셋업을 수행하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30)는 고정장치(300)와 연결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재생부(160)와 상기 고정장치(3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지 판단하여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30)는 제1 재생부(16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고정장치(3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100)을 송신 장치로 설정하고,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을 초기화하고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가 제1 통신부(130)를 통해 고정장치(3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제1 제어부(130)는 고정장치(300)와 연결이 설정된 경우, 현재 제1 재생부(16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고 상기 고정장치(3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고정장치(3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수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저장부(150)를 초기화한다.
또는, 제1 제어부(130)는 제1 재생부(160) 및 상기 고정장치(3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100)이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재생부(160)에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생성된 메뉴를 이용하여 고정장치(300)에 컨텐츠를 송신 할 것인지 또는 고정장치(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통신부(140)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리모트 콘트롤러(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고정장치(300)와 연결을 설정하고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부(140)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고정장치(300)로부터 현재 고정장치(3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140)와 리모트 콘트롤러(200)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0)과 리모트 콘트롤러(200)의 간단한 접촉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40)와 고정장치(300)의 통신은 802.11x(예를 들면,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바이너리 CDMA(B-CDMA: Binar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50)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패킷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받아 콘텐츠가 재생 가능하도록 복원하여 상기 제1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1 저장부(150)는 대용량의 비휘발성 저장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될 수 있고, 콘텐츠 이용 기록 및 콘텐츠 목록 데이터베이스(또는 EPG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50)는 모바일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와, 다양한 콘텐츠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및 즐겨찾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재생부(160)는 제1 제어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재생부(160)는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된 음악, 동영상, 문서 등을 실행하기 위해 인코딩된 포맷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재생부(160)는 예를 들어, 독립된 반도체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제어부(130)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태그 생성부(170)는 제1 레지스트라(120)로부터 생성된 크리덴셜을 획득하여 획득한 크리덴셜을 태그화 한다.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제2 태그 리드부(210), 제2 제어부(220), 제2 통신부(230) 및 제2 태그 생성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태그 리드부(21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태그를 획득하고 획득한 태그를 리딩한 후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추출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획득한 태그에는 고정장치(300)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이 인코딩되어 있다.
제2 제어부(220)는 제2 태그 리드부(210)로부터 제공된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획득하여 획득한 크리덴셜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상응하는 조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2 통신부(230)를 통해 고정장치(300)로 전송한다.
제2 통신부(23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태그를 리딩하여 제2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또한, 제2 통신부(230)는 제2 제어부(220)로부터 제공된 조작 제어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한 후 고정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부(230)와 모바일 단말(100)의 통신은 802.11x(예를 들면,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바이너리 CDMA(B-CDMA: Binar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230)는 고정장치(300)와 통신하기 위하여 적외선 송수신 모듈로 구성되거나, RF 송수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태그 생성부(240)는 미리 인코딩 되어있는 크리덴셜을 태그화 한다.
여기서,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능동 NFC인 경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 NFC 통신이 가능하고 제2 태그 생성부(240)가 생성하는 태그 정보는 능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나,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수동 NFC인 경우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단방향 NFC 통신이 가능하고 제2 태그 생성부(240)가 생성하는 태그 정보는 능동적으로 변경될 수 없다.
고정장치(300)는 제3 통신부(310), 제3 제어부(320), 제3 레지스트라(330), 제3 저장부(340) 및 제3 재생부(350)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통신부(310)는 리모트 콘트롤러(200)의 제2 통신부(230)로부터 소정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3 제어부(320)에 제공한다. 또한, 제3 통신부(310)는 제3 제어부(3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현재 고정장치(3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3 통신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재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재생중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무선 신호는 고정장치(300)에 대한 조작 제어신호 및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신호는 리모트 콘트롤러(200)의 키입력부(미도시)에 구비된 복수의 키 중에서 소정 키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가 될 수 있고, 상기 전기 신호는 제1 제어부(32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비트열)를 가지며 고정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제어신호가 될 수 있다.
제3 제어부(320)는 제3 통신부(310)로부터 제공된 조작 제어신호 및 크리덴셜을 제공받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3 제어부(320)는 제3 통신부(310)로부터 고정장치(300)의 ON 실행을 지시하는 조작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고정장치(300)가 ON되도록 제어하고, 크리덴셜이 제공된 경우 제공된 크리덴셜을 제3 레지스트라(330)에 제공한다.
제3 레지스트라(330)는 상기 제3 제어부(320)로부터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미리 저장된 고정장치(300)의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제3 제어부(320)는 제3 레지스트라(330)에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제3 통신부(31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 설정을 제어한다.
제3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이 설정된 후, 상기 제3 재생부(350)와 상기 모바일 단말(1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지 판단하여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3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이 설정된 후, 현재 제3 재생부(35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100)에서는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고정장치(3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를 제3 통신부(31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에 제공한다. 또한, 제3 제어부(320)는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현재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를 제3 저장부(340)로부터 추출하여 패킷화하고, 제3 통신부(31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재생되고 있는 컨텐츠가 제3 통신부(31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제3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이 설정된 경우, 현재 제3 재생부(350)에서는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지 않고 상기 모바일 단말(1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수신을 위한 전송 프로코톨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3 저장부(340)를 초기화한다.
또는, 제3 제어부(320)는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이 설정된 경우, 현재 제3 재생부(350) 및 모바일 단말(1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고정장치(300)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재생부(160)에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생성된 메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00)에 컨텐츠를 송신 할 것인지 또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저장부(340)는 제3 제어부(32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고, 콘텐츠 이용 기록 및 콘텐츠 목록 데이터베이스(또는 EPG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저장부(340)는 고정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운영체제와, 다양한 콘텐츠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 및 즐겨찾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3 재생부(350)는 제3 제어부(3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재생부(350)는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된 음악, 동영상, 문서 등을 실행하기 위해 인코딩된 포맷에 상응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재생부(350)는 예를 들어, 독립된 반도체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3 제어부(320)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수신이 모바일 단말과 고정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수신이 모바일 단말과 모바일 단말, 고정장치와 고정장치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단말과 고정장치가 일 대 일로 구성되는 경우에 컨텐츠의 송수신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대 다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연속적인 NFC 태깅을 통해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능동 NFC인 것으로 가정한다.
현재 모바일 장치(100)에서 콘텐츠가 재생 중이고 고정장치(300)는 전원이 꺼져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리모트 콘트롤러(200)에서 태그를 리딩한다(단계 111).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과 리모트 콘트롤러(200)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0)과 리모트 콘트롤러(200)의 간단한 접촉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리모트 콘트롤러(200)로부터 리딩한 태그에는 고정장치(300)와의 접속에 사용되는 고정장치(300)의 크리덴셜이 인코딩 되어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단계 111에서 태그 리딩을 통해 고정장치(300)와의 연결에 사용되는 고정장치(300)의 크리덴셜을 추출하고 추출된 크리덴셜을 획득한다(단계 113).
이와 동시에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에서 태그를 리딩한다(단계 112).
리모트 콘트롤러(200)는 단계 112에서 태그 리딩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과의 접속에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추출하고(단계 114), 추출된 크리덴셜을 포함한 조작 제어신호를 고정장치에 전송한다(단계 115).
모바일 단말(100)은 제공된 크리덴셜과 모바일 단말(100)의 크리덴셜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단계 116), 인증이 완료된 경우 고정장치(300)와 연결을 설정한다(단계 117).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은 일정 주기 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하고 생성된 크리덴셜을 저장 또는 NFC 기기간 P2P 통신시 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하고 생성된 크리덴셜을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고정장치(300)는 리모트 콘트롤러(200)로부터 수신된 조작 제어신호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한 후 추출된 크리덴셜을 획득한다(단계118).
단계 118에서 획득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고정장치(300)의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119), 인증이 완료된 경우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을 설정한다(단계 120).
단계 117을 통해 고정장치(300)와 연결이 설정된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현재 모바일 단말(1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준비한다(단계 121).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0)은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를 고정장치(300)에 전송하고 재생중인 컨텐츠를 고정장치(300)에 송신한다.
만일, 현재 고정장치(3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모바일 단말(1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되고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고정장치(3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수신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0)은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초기화한다.
단계 12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과 연결이 설정된 경우, 고정장치(300)는 현재 모바일 단말(1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수신을 준비한다(단계 122). 구체적으로 고정장치(300)은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초기화한다.
만일, 현재 모바일 단말(100)에서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지 않고 고정장치(300)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고정장치(300)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준비하여 재생중인 컨텐츠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장치(300)는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를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하고 재생중인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한다.
단계 121에서 컨텐츠 송신 준비가 완료된 경우 고정장치(300)에 현재 모바일 장치(100)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송신한다(단계 123).
단계 122에서 수신 준비가 완료된 경우, 고정장치(3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한다(단계 124).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과 고정장치(300)의 통신은 802.11x(예를 들면,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바이너리 CDMA(B-CDMA: Binar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능동 NFC인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수동 NFC일 수도 있다. 여기서,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능동 NFC인 경우 모바일 단말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제2 태그 생성부(240)가 생성하는 태그 정보는 능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나, 리모트 콘트롤러(200)가 수동 NFC인 경우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단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제2 태그 생성부(240)가 생성하는 태그 정보는 능동적으로 변경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서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수신이 모바일 단말과 고정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수신이 모바일 단말과 모바일 단말, 고정장치와 고정장치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서는 모바일 단말과 고정장치가 일 대 일로 구성되는 경우에 컨텐츠의 송수신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대 다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연속적인 NFC 태깅을 통해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수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서는 현재 모바일 장치(100)에서 콘텐츠가 재생 중이고 고정장치(300)는 전원이 꺼져있는 상태인 경우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서는 모바일 장치(100)와 고정장치(300) 모두 컨텐츠를 재생 중인 경우 모바일 단말(100)과 고정장치(300)의 연결이 설정된 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를 송신할 대상 및 컨텐츠를 수신할 대상이 정해질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또는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크리덴셜(Credential)을 획득하는 제1 태그 리드부;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는 제1 레지스트라;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재생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에 재생중인 컨텐츠를 송신하거나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해당장치와 연결이 설정된 후 상기 제1 재생부와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지 판단하여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며, 상기 제1 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재생부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제어하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지스트라는,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시마다 크리덴셜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레지스트라로부터 생성된 크리덴셜을 획득하여 획득한 크리덴셜을 태그화하고 상기 제1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1 태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그 리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를 리딩하여 리딩한 태그 정보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한 후, 추출된 크리덴셜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고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해당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츠 수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저장부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부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재생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9.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의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전송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및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수신한 크리덴셜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 중 해당 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연결이 설정된 해당 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미리 인코딩된 크리덴셜을 태그화하는 제2 태그 생성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상응하여,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포함하는 조작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조작 제어신호를 상기 고정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를 리딩하여 리딩한 태그 정보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한 후, 추출된 크리덴셜을 제공하는 제2 태그 리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제3 저장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크리덴셜을 수신하고, 수신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3 레지스트라;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연결 설정을 제어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제어하는 제3 제어부;
    상기 제3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재생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13. 모바일 단말의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크리덴셜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바일 단말 또는 고정장치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에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송신하거나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지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방법.
  14. 리모트 콘트롤러 및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컨텐츠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의 크리덴셜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크리덴셜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 중 해당장치와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이 설정된 해당장치와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전송된 크리덴셜을 수신하고, 수신된 크리덴셜을 미리 저장된 크리덴셜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또는 다른 고정장치 중 해당장치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장치와 연결이 설정된 후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해당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인지 판단하여 재생중인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또는 수신 단계는,
    상기 고정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고 상기 해당장치에서는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은 경우 상기 고정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송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의 부호화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재생중인 컨텐츠를 상기 해당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크리덴셜을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다른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다른 고정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를 리딩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리딩한 태그 정보로부터 크리덴셜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추출된 크리덴셜을 상기 고정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중이지 않고 상기 해당장치에서는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상기 해당장치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의 수신을 위한 전송 프로토콜을 초기화하고 저장부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송수신 방법.




KR1020110096305A 2011-07-14 2011-09-23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 KR101324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0004 2011-07-14
KR1020110070004 2011-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44A KR20130009544A (ko) 2013-01-23
KR101324194B1 true KR101324194B1 (ko) 2013-11-06

Family

ID=4783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05A KR101324194B1 (ko) 2011-07-14 2011-09-23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4022A1 (ko) * 2013-12-03 2015-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보안 방법 및 컨텐츠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장치
KR102626319B1 (ko) * 2018-05-23 202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키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897A (ja) * 2004-05-19 2006-01-05 Dowango:Kk 端末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プログラム
KR20060045195A (ko) * 2004-11-12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6113A (ko) * 2007-02-14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와 디지털 tv 간의 tv 방송 프로그램 연계시청방법과, 그 이동통신기기 및 디지털 tv
KR20090122968A (ko) * 2007-02-23 2009-12-0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접근에 기초한 동적 자격증명 인프라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897A (ja) * 2004-05-19 2006-01-05 Dowango:Kk 端末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プログラム
KR20060045195A (ko) * 2004-11-12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서비스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76113A (ko) * 2007-02-14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와 디지털 tv 간의 tv 방송 프로그램 연계시청방법과, 그 이동통신기기 및 디지털 tv
KR20090122968A (ko) * 2007-02-23 2009-12-0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접근에 기초한 동적 자격증명 인프라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44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1923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ystem
CN101882366B (zh) 主机设备、附件和遥控信号学习和处理方法
US2023001765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parame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3595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US8649652B2 (en) Slide show display system with BGM, slide show display method with BG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layback device, and programs
KR10221095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이동단말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US108411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at change data transmission roles of different devices
JP2007174166A (ja) リモコン兼用携帯端末、およびav機器の遠隔制御方法
CN103209248B (zh) 共享多媒体内容的手机终端和方法
CN102612052A (zh) 无线通信装置、程序及无线通信系统
WO2013179769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
KR20110039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엘엔에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18021358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50067876A (ko)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109051B1 (ko) 기능 확장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24194B1 (ko) 컨텐츠 송수신 모바일 단말, 컨텐츠 송수신 시스템 및 컨텐츠 송수신 방법
JP2006268618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1109320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37677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4011522A (ja) 映像表示装置
US20160248832A1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50382054A1 (en) Multimedia playing control method, apparatus for the same and system
JP20170285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4768056A (zh) 电子装置及其串流媒体的播放方法
US202101271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media device communications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