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772B1 -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772B1
KR101323772B1 KR1020100082504A KR20100082504A KR101323772B1 KR 101323772 B1 KR101323772 B1 KR 101323772B1 KR 1020100082504 A KR1020100082504 A KR 1020100082504A KR 20100082504 A KR20100082504 A KR 20100082504A KR 101323772 B1 KR101323772 B1 KR 10132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function
dimensional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221A (ko
Inventor
김수철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0008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단말이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휴대단말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휴대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따른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of 3D Application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차원 인식센서가 존재하지 않는 휴대단말에 3차원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전화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랩탑,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게임단말기, e-book 등의 다양한 휴대단말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언급한 휴대단말은 일반적으로 2차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을 입체적으로 즐기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극장이나 TV 등에서 3차원으로 시각 데이터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실용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본인이 휴대하는 휴대단말에서 게임, 동영상, 전자책 등의 컨텐츠를 사용할 때에도 보다 실감나게 데이터를 즐기기를 바라고 있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의 제조업체 등에서는 휴대단말에 3차원 인식센서를 장착시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컨텐츠를 3차원으로 즐길 수 있는 기술이 점차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의 기술은 휴대단말에 3차원 인식센서를 장착시켜야 하므로 휴대단말의 중량이 증가하거나 휴대단말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2차원 컨텐츠를 입체적으로 즐기기 위해서 사용자들이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할 수 있는 특정 도구들을 소지하거나, 손가락에 착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평면적인 2차원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즐기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를 보다 수월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의 개발이 시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휴대단말에 3차원 인식센서를 장착하지 않고, 사용자가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하기 위한 특정 도구 등을 소지하지 않고도 3차원 어플리케이션을 즐길 수 있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만으로 평면적인 2차원 어플리케이션을 3차원으로 즐길 수 있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은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따른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수신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따른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따른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은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기저장된 휴대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기저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된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면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기저장된 휴대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면,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3차원 인식센서를 장착하지 않고도 3차원 어플리케이션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휴대단말의 중량 증가, 비용 증가 등을 방지할 수 있고, 3차원 좌표값을 측정할 수 있는 특정 도구 없이도 간편하게 3차원 어플리케이션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만으로 평면적인 2차원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하게 3차원으로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휴대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휴대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휴대단말이라는 용어는 전화수행이 가능한 휴대전화기,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단말기, 전자책을 볼 수 있는 단말기 등을 통칭하는 용어임을 명확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휴대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휴대단말(100, 이하 휴대단말이라 명명함)은 통신부(110), 입출력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로 구성되며, 저장부(140)는 APP DB(145)를 구비한다.
제어부(130)는 휴대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의 구체적인 제어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미도시) 또는 타 휴대단말(미도시)에 접속하여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유무선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모듈이다. 통신부(110)는 공지의 모뎀과 유무선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공지의 USB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모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휴대단말(100)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차용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리케이션이라 명명함)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부(140)의 APP DB(14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전자책, 영상컨텐츠 등의 컨텐츠를 이용할 때 3차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즉, 종래의 2차원 평면적인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z좌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2차원 평면이 아니라 3차원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출력부(120)는 휴대단말(100)을 조작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각종 사용자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하고, 입출력부(120)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입출력부(1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입출력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3차원 기능을 표시한다. 입출력부(120)는 예컨대, 터치스크린 등의 통상적인 입출력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입출력부가 하나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와 출력부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고, 입출력부(120)로 구성되되 부수적인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실행신호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APP확인부(131), 아이콘확인부(132), 기능수행부(13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의 APP확인부(131)는 도 2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특정 플래그(3차원 기능 플래그(21))를 확인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한다.
APP확인부(131)에서 실행신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임을 상기 플래그(21)로부터 확인되면, 제어부(130)는 아이콘확인부(132)를 호출하고, 아이콘확인부(132)는 다른 플래그들(3차원 아이콘 위치 플래그(22), 3차원 아이콘 모양 플래그(23))로부터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및 모양을 확인한다. 제어부(130)는 다른 상기 플래그들(22, 23)에서 확인된 3차원 아이콘을 플래그(22, 23)에서 확인된 모양 및 위치에 출력한다. 이때, 3차원 아이콘은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함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이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번호인 APP ID,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기능인 func1, func2,...,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3차원 기능 플래그(21), 3차원 아이콘 위치 플래그(22), 3차원 아이콘 모양 플래그(23)로 구성된다.
이후,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로부터 3차원 기능 수행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3차원 기능 수행모드로 진입하여 기능수행부(133)를 호출하고, 기능수행부(133)는 입출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즉, 통신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제어부(130)는 이를 저장부(140)의 APP DB(145)에 저장하고, 특히, 제어부(130)는 이를 입출력부(120)에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S1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에 접속한 후,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140)의 APP DB(145)에 저장한다.
S12단계에서 제어부(130)는 APP DB(145)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S13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신호를 입출력부(120)로부터 수신한다.
이어서, S14단계에서 제어부(130)의 APP확인부(131)는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특정 플래그(21)를 확인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한다.
S14단계의 확인 결과,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제어부(130)는 S15단계로 진행하고,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제어부(130)는 S21단계로 진행한다.
S15단계에서 제어부(130)의 아이콘확인부(132)는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특정 플래그들(22, 23)을 확인하여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및 모양을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할 3차원 아이콘의 모양과 위치좌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S16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동시에 3차원 아이콘을 설정된 위치좌표에 표시한다.
이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41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화면(예: 전자책) 나타내고, 도면부호 42a는 2차원 형태의 아이콘을 나타낸다. 이때, 2차원 아이콘은 플래그(23)에서 확인되는 모양으로 플래그(22)에서 확인된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도 4에서 어플리케이션 및 아이콘을 2차원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은 3차원 기능 수행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S17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로부터 3차원 기능 수행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S18단계로 진행한다. 반대로, S17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로부터 3차원 기능 수행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21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3차원 기능 수행요청 신호는 사용자가 입출력부(120)에 특정 터치를 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입출력부(120)가 입력부와 출력부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 입력부를 구성하는 특정 버튼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S18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로부터 수신된 3차원 기능 수행요청 신호에 따라 3차원 기능 수행모드로 진입하여 기능수행부(133)를 호출하고, S19단계에서 기능수행부(133)는 입출력부(120)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S20단계에서 기능수행부(133)는 S19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에 따라 3차원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기능수행부(133)는 입출력부(120)로부터 2차원 평면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40)에는 2차원 입력신호에 대한 3차원 기능이 데이터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테이블은 입출력부(120)를 상향으로 스크롤하는 2차원 입력신호와 전자책에서 현재 페이지를 좌측으로 넘기는 3차원 기능이 매핑되고, 입출력부(120)를 하향으로 스크롤하는 2차원 입력신호와 전자책에서 현재 페이지를 우측으로 넘기는 3차원 기능이 매핑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의 동작상태는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기능수행부(133)는 3차원 기능 수행모드로 진입하여 어플리케이션을 3차원으로 출력하고, 2차원 아이콘(42a)을 3차원 아이콘(42b)으로 출력한다.
기능수행부(133)는 도면부호 43에서와 같이 입출력부(120)가 상향으로 스크롤되면, 도면부호 42c와 같이 현재 페이지를 좌측으로 넘기면서 3차원 형태로 출력한다. 아울러, 입출력부(120)를 하향으로 스크롤하면 기능출력부(133)는 책장을 우측으로 넘기면서 3차원 형태로 출력한다.
반대로, S14단계의 확인 결과,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면,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S17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로부터 3차원 기능 수행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S21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S22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수신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3차원 기능 수행모드에 진입하지 않았으므로 어플리케이션을 2차원으로 표현하고, 도면부호 43과 같이 상향으로 입출력부(120)를 스크롤하면 전자책이 41a와 같이 화면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2차원 아이콘(42a)도 도면부호 42a'와 같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입출력부(120)를 하향으로 스크롤하면 전자책이 화면 하부로 이동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차원 아이콘은 3차원 기능을 수행할 때 3차원 형태로 변화되고, 2차원 기능을 수행할 때는 2차원 형태의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드시 2차원, 3차원 형태로 변화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기호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모양, 색깔을 포함하는 디자인 등이 변화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자책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가능함을 분명히 하는 바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휴대단말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휴대단말(200, 이하 휴대단말이라 명명함)은 통신부(210), 입출력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40)로 구성되며, 특히, 제어부(230)는 APP확인부(231), 우선순위확인부(232), 아이콘확인부(233), 기능수행부(2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저장부(240)는 APP DB(245)와 더불어 지원APP DB(2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휴대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0)의 구체적인 제어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210)는 도 1에서 설명한 통신부(1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응용 어플리케이션이라 명명함)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부(240)의 APP DB(245)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3차원 기능만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지원 어플리케이션이라 명명함)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부(240)의 지원APP DB(2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PC, 휴대단말 등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휴대단말(200) 생산 시 휴대단말(200) 자체에 설치되어 있어 다운로드 없이 3차원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게임, 전자책 등의 어플리케이션 및 영상컨텐츠 등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아울러,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2차원 기능만을 지원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3차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3차원 기능만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3차원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220)는 도 1에서 설명한 입출력부(12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30)는 입출력부(220)를 통해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230)의 APP확인부(231)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한다.
제어부(230)의 APP확인부(231)에서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30)는 우선순위확인부(232)를 호출하고, 우선순위확인부(232)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를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확인한다. 이때, APP확인부(231)와 우선순위확인부(232)는 각각 도 8과 같은 지원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세그먼트의 APP 식별 플래그를 이용하여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할 수 있고, 응용 어플리케이션과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우선순위 확인 결과, 아이콘확인부(233)를 호출하고, 아이콘확인부(233)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가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모양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하여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3차원 아이콘을 출력한다.
반대로, 아이콘확인부(233)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가 높으면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모양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하여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해당 위치에 3차원 아이콘을 출력한다. 이때, 3차원 아이콘은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함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이다.
아울러, APP확인부(231)에서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임이 확인되고, 입출력부(220)를 통해 3차원 기능 수행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 제어부(230)의 아이콘확인부(233)은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모양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하여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해당 위치에 3차원 아이콘을 출력한다.
제어부(230)는 입출력부(220)로부터 3차원 기능 수행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3차원 기능 수행모드로 진입하여 기능수행부(234)를 호출하고, 기능수행부(234)는 입출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3차원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40)는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즉, 통신부(2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제어부(230)는 이를 저장부(240)의 APP DB(245)에 저장하고,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지원APP DB(250)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이때, 2차원 평면에서 3차원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기능을 제공하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은 S51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미리 휴대단말(200)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S51단계 내지 S54단계는 도 3의 S11단계 내지 S14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3의 S11단계 내지 S14단계에 기재된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용어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되어 적용된다.
S54단계의 확인결과,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면 S55단계로 진행하고,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면 S56단계로 진행한다.
S55단계에서 우선순위확인부(232)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응용 어플리케이션과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S58단계로 진행한다.
S58단계에서 아이콘확인부(233)는 우선순위확인부(232)에서 확인된 우선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3차원 좌표의 위치, 모양에 대응되는 플래그를 확인하고, S59단계로 진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55단계에서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가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58단계에서 아이콘확인부(233)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및 모양에 대응되는 플래그를 확인하고,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에 표시할 3차원 아이콘의 모양 및 위치좌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S59단계에서 아이콘확인부(233)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과 동시에 3차원 아이콘을 설정된 위치좌표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순위확인부(232)가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이유는 입출력부(220)로부터 입력된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된 3차원 기능이 어플리케이션별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2차원 입력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3차원 기능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순위확인부(232)는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입력된 2차원 입력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3차원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것이다.
반대로, 실행하고자 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니고, S56단계에서 입출력부(220)를 통해 3차원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30)는 S57단계로 진행하여,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S58단계로 진행한다.
S58단계에서 아이콘확인부(233)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 중 3차원 좌표의 위치, 모양에 대응되는 플래그를 확인하고, S59단계로 진행한다.
S59단계는 도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예 또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10에서 도면부호 81은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82a는 2차원 형태의 아이콘을 나타낸다. 이때, 2차원 아이콘(82a)은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에서 확인되는 모양으로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에서 확인된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도 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2차원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은 3차원 기능 수행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이기 때문이다.
S60단계 내지 S65단계는 도 3의 S17단계 내지 S22단계와 각각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61단계 내지 S63단계에 해당하는 도 11을 보면, 기능수행부(234)는 3차원 기능 수행모드에 진입하였으므로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3차원으로 표현하고, 2차원 아이콘(82a)을 3차원 아이콘(82b)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부호 83에서와 같이 입출력부(220)를 상향으로 스크롤하면 도면부호 82c와 같이 현재 페이지를 좌측으로 넘기면서 3차원 형태로 출력한다. 아울러, 입출력부(220)를 하향으로 기능수행부(234)는 책장을 우측으로 넘기면서 3차원 형태로 출력한다.
아울러, S64단계 및 S65단계에 해당하는 도 12를 보면, 제어부(230)는 3차원 기능 수행모드에 진입하지 않았으므로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2차원으로 표현하고, 도면부호 83과 같이 입출력부(220)를 상향으로 스크롤하면 전자책이 81a와 같이 화면 상부로 이동한다. 아울러, 입출력부(220)를 하향으로 스크롤하면 전자책이 화면 하부로 이동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화면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 경우, 2차원 기능 수행 시에는 입출력부(120)를 통해 도면부호 93과 같이 상향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도 13과 같이 캐릭터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입출력부(120)를 통해 하향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캐릭터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3차원 기능 수행 시 입출력부(120)를 통해 도면부호 93과 같이 상향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30)의 기능수행부(133)는 도 14와 같이 캐릭터를 점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도면부호 92a인 2차원 아이콘 및 도면부호 92b인 3차원 아이콘을 통하여 2차원 기능, 3차원 기능의 수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휴대단말
110, 210: 통신부 120, 220: 입출력부
130, 230: 제어부 131, 231: APP확인부
132, 233: 아이콘확인부 133, 234: 기능수행부
232: 우선순위확인부 140, 240: 저장부
145, 245: APP DB 250: 지원APP DB

Claims (18)

  1.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3차원 기능수행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2차원 입력신호를 수신 시,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3차원 기능 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2차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2차원 기능 및 상기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를 확인하여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한 이후에,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에서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및 모양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확인된 플래그에 해당하는 모양 및 위치로 상기 3차원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4. 삭제
  5.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수신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3차원 기능수행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추출하여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수행부; 를 더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2차원 입력신호를 수신 시,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3차원 기능 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2차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2차원 기능을 수행하거나, 상기 기능수행부에 의해 상기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추출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를 확인하여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확인부의 확인 결과,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에 3차원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상기 세그먼트에서 상기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및 모양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확인하는 아이콘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
  8. 삭제
  9.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3차원 기능수행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2차원 입력신호를 수신 시,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3차원 기능 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2차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2차원 기능 및 상기 2차원 입력신호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기저장된 휴대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3차원 기능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3차원 기능들 중,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2차원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3차원 기능 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2차원 입력에 대응하는 2차원 기능 및 상기 2차원 입력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를 확인하여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설정한 이후에,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에서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및 모양에 대응되는 플래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확인된 플래그에 대응되는 모양 및 위치로 상기 3차원 아이콘을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14. 지원 어플리케이션을 기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된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고,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3차원 기능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3차원 기능들 중,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2차원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3차원 기능 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2차원 입력에 대응하는 2차원 기능 및 상기 2차원 입력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를 확인하여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어플리케이션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우선순위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입출력부에 3차원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상기 우선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세그먼트에서 3차원 아이콘의 위치 및 모양에 대응되는 플래그를 확인하는 아이콘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장치.
  18. 지원 어플리케이션이 기저장된 휴대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행신호에 해당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로부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3차원 기능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지원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 중 우선 순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3차원 기능들 중,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2차원 입력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2차원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3차원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 및 외부로부터 상기 3차원 기능 수행 요청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상기 2차원 입력에 대응하는 2차원 기능 및 상기 2차원 입력에 매핑되는 3차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82504A 2010-08-25 2010-08-25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1323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04A KR101323772B1 (ko) 2010-08-25 2010-08-25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504A KR101323772B1 (ko) 2010-08-25 2010-08-25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21A KR20120019221A (ko) 2012-03-06
KR101323772B1 true KR101323772B1 (ko) 2013-11-04

Family

ID=4612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504A KR101323772B1 (ko) 2010-08-25 2010-08-25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7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552A (ko) * 2000-03-21 2000-07-05 전진우 별도의 플러그 인이 없이 3차원적 입체도시구조물을컴퓨터그래픽으로 작성한 지도와 3차원적 도시시설물의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한 후 두 가지를 상호 조합하여 실제지역상가(상권)를 3차원 데이터 베이스 구조로 가지게하여 지역밀착형 인터넷 컨덴트의 제공과 지역밀착형 전자상거래를 행하기 위한 방법
JP2001507890A (ja) * 1996-12-27 2001-06-12 チェックメイ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2次元ビデオ情報源から3次元ビデオを合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06282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피앤조이 3차원 영상 및 2차원 영상의 자동 변환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890A (ja) * 1996-12-27 2001-06-12 チェックメイ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2次元ビデオ情報源から3次元ビデオを合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00036552A (ko) * 2000-03-21 2000-07-05 전진우 별도의 플러그 인이 없이 3차원적 입체도시구조물을컴퓨터그래픽으로 작성한 지도와 3차원적 도시시설물의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한 후 두 가지를 상호 조합하여 실제지역상가(상권)를 3차원 데이터 베이스 구조로 가지게하여 지역밀착형 인터넷 컨덴트의 제공과 지역밀착형 전자상거래를 행하기 위한 방법
KR20070006282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피앤조이 3차원 영상 및 2차원 영상의 자동 변환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21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128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10248306A1 (en) Computing device and browser for same
Steele et al. The Android developer's cookbook: building applications with the Android SDK
Firtman Programming the Mobile Web: Reaching Users on iPhone, Android, BlackBerry, Windows Phone, and more
US201400594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list depending o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mobile device
KR102056175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단말장치
Firtman Programming the mobile web
CN102971688B (zh) 跨平台应用程序框架
KR101041338B1 (ko) 스크린을 위한 움직임 보정
US98047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playlist thereof
CN104102376A (zh) 触摸输入设备触觉反馈
US20090195513A1 (en) Interactive multimedia control module
US20130127749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JP6655275B2 (ja) モバイ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853424A (zh) 显示装置和控制显示装置的方法
WO2012173940A1 (en) Gaming accessory and interface apparatus for multifunctional gaming platform
Schwarz et al. The Android developer's cookbook: building applications with the Android SDK
US20120052933A1 (en) Multifunctional gaming platform
US20140164186A1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8427586B (zh) 应用主题的推送终端、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3111144A2 (en) System for inserting services in a software application
KR101323772B1 (ko) 휴대단말의 3차원 어플리케이션 적용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03379A (ko) 반응형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9747941B2 (en) Method for applying supplementary attribute information to E-book content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EP2566142A1 (en)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ttribute of application based on mo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