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100B1 -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 Google Patents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100B1
KR101323100B1 KR1020110123664A KR20110123664A KR101323100B1 KR 101323100 B1 KR101323100 B1 KR 101323100B1 KR 1020110123664 A KR1020110123664 A KR 1020110123664A KR 20110123664 A KR20110123664 A KR 20110123664A KR 101323100 B1 KR101323100 B1 KR 10132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nucleotide consisting
seq
base
sequence
nucleotide seque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7760A (en
Inventor
조대연
문서윤
최수연
전현미
박은정
정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Priority to KR102011012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100B1/en
Publication of KR2013005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24Animal traits, i.e. production traits, including athletic performance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암 및 난소암의 소인 및 감수성을 판단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한국인 특이적인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orean specific BRCA1 and BRCA2 gene mutation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redisposition and susceptibility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Description

유방암 또는 난소암의 유전성 소인 예측에 유용한 BRCA1, BRCA2 유전자 돌연변이{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conducted as part of the industrial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과제고유번호: 10038662, 과제명: 유방암 및 비뇨생식기 질환의 조기진단을 위한 저가 보급형 질량분석기 개발][Project number: 10038662, Assignment name: Development of a low-cost, low-cost mass spectrometer for early diagnosis of breast cancer and genitourinary diseases]

본 발명은 유방암 및 난소암의 발병 유전자로 알려진 BRCA1 및 BRCA2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방암 및 난소암의 감수성 예측이나 진단시 이용될 수 있는 한국인 특이적인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 및 이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BRCA1 and BRCA2 genes known as the onset gene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orean specific BRCA1 and BRCA2 gene mutations that can be used in predicting or diagnosing susceptibility of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and methods of detecting the same.

BRCA1 유전자는 염색체 17번에 위치하며 22개의 엑손으로 구성되며, 최초로 유방암 및 난소암의 발병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유전자로 검증된 유전자이다. BRCA2 유전자는 염색체 13번에 위치하며, 26개의 엑손으로 구성되고 BRCA1에 이어 유방암 및 난소암의 발병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유전자로 검증되었다. 부모 중 한쪽으로부터 BRCA1,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유전받은 사람은 70세가 될 때까지 유방암 발병 확률이 87%에 이르며, 폐경기 이전의 40 내지 50세에 유방암이 발병할 확률은 59%이다. The BRCA1 gene, located on chromosome 17 and consists of 22 exons, was the first gene to be proven to increase the risk of developing breast and ovarian cancer. The BRCA2 gene, located on chromosome 13, consists of 26 exons and has been validated as a gene that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breast and ovarian cancer following BRCA1. Those who inherited the BRCA1 and BRCA2 gene mutations from one of their parents had a 87% chance of developing breast cancer until they were 70 years old, and a 59% chance of developing breast cancer between 40 and 50 years before menopause.

BRCA1은 유방암뿐 아니라 난소암의 발병에도 관련이 있어, BRCA1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의 난소암 발병률은 70세 이전에 44%에 이른다(Ford, et al., 1994). 돌연변이가 일어난 BRCA 유전자는 모계뿐 아니라 부계로부터 유전될 수도 있으며,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경우, 유방암의 발병율은 높아진다.BRCA1 i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ovarian cancer as well as breast cancer, and the incidence of ovarian cancer in people with the BRCA1 gene mutation is 44% before age 70 (Ford, et al., 1994). The mutated BRCA gene can be inherited from not only the mother but also from the father, and if the female and male have a genetic mutation,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s high.

대략 유방암의 7%, 난소암의 10%가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두 유전자 중에 돌연변이가 있을 경우, 유방암 발생률이 56~87% 까지 상승되며, 난소암의 발생률도 정상인의 10배 이상으로 상승된다. 또한 유방암, 난소암의 재발율을 증가시키며, 전립선암, 대장암 등 기타 암들에 대한 질병민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pproximately 7% of breast cancers and 10% of ovarian cancer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the BRCA1 and BRCA2 genes. Mutations in these two genes increase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by 56-87%, and the incidence of ovarian cancer increases more than 10 times that of normal individuals. It is also known to increase the recurrence rate of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and to increase the disease sensitivity for prostate cancer, colon cancer and other cancers.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 발생빈도는 민족별로 차이가 있으며, 현재까지 3400 여종의 생식세포 BRCA1 및 BRCA2 돌연변이, 다형성 및 서열 변이가 확인되었다(Breast Cancer Information Core(BIC), National Center for Human Genome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http://research.nhgri.nih.gov/projects/bic/).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의 분석은 유방암의 유전에 관한 이해를 크게 심화시켰으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의 발생 빈도 및 특이적인 돌연변이 유형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와 많지 않다. 특히, 유방암은 국내에서 연간 7,600 여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여성의 경우 위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발병률을 기록하고 있다(한국 중앙 암 등록사업 연례보고서). The incidence of mutations in the BRCA1 and BRCA2 genes varies among ethnic groups. To date, more than 3,400 germline BRCA1 and BRCA2 mutations, polymorphisms, and sequence variations have been identified (Breast Cancer Information Core (BIC), National Center for Human Genome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http://research.nhgri.nih.gov/projects/bic/). Analysis of the BRCA1 and BRCA2 gene mutations has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tics of breast cancer,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frequency and specific mutation types of BRCA1 and BRCA2 gene mutations in Koreans. In particular, about 7,600 new cases of breast cancer occur annually in Korea, and women have the second highest incidence after gastric cancer (Korea Central Cancer Registration Annual Report).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 및 단일염기다형성을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 변이 양상을 연구하여 한국인 특이적인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무를 분석하는 것은 유방암 및 난소암의 발병 위험성을 조기에 진단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예방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발병위험성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한국인 유방암 환자들 및 정상인들로부터 수득된 시료를 분석하여, BRCA1 및 BRCA2 유전자 상에 존재하는 돌연변이 유형 및 빈도를 조사하여 유방암 및 난소암 예측 및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nucleotide variation patterns including mutations and monobasic polymorphisms of the BRCA1 and BRCA2 genes in Koreans to identify Korean specific BRCA1 and BRCA2 gene mutations.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tations in the BRCA1 and BRCA2 genes may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risk of disease by performing a more proactive prevention program by early diagnosis of the risk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analyzed a sample obtained from a number of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and normal people, and investigated the type and frequency of mutations present in the BRCA1 and BRCA2 genes to identify gene mutation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and diagnose breast and ovarian cancer. Confirmed.

본 발명의 목적은 유방암 및 난소암의 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한국인 특이적인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Korean specific BRCA1 and BRCA2 gene mut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diagnosi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방암 또는 난소암의 진단을 위해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로 활용될 수 있는 한국인 특이적인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20 내지 100개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 to 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Korean specific BRCA1 or BRCA2 gene mutations that can be utilized as primers or probes for the diagnosis of breast or ovarian cancer.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국인 특이적인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20개 내지 100개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서열을 프로브로 포함하는 유방암 및 난소암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agnose a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microarray comprising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 to 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or complementary sequences thereof comprising a Korean specific BRCA1 or BRCA2 gene mutation as a probe To provid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전자 돌연변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Gene mutat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6은 각각 BRCA1(Gen Bank Accession No. NM_007294.1) 및 BRCA2(Gen Bank Accession No. NM_000059.1)의 코딩 서열(CDS)을 나타내며, 번역 개시 코돈인 ATG의 A를 뉴클레오티드 +1로 표시한다.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엑손 내의 돌연변이는 각각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6를 기준으로 표시된다. 삽입(insertion) 돌연변이는 'ins'로 표시하고, 결실(deletion) 돌연변이는 'del'로 표시하며, 'ins'와 'del' 다음의 문자는 실제 삽입 또는 결실된 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치환(substitution) 돌연변이는 기호'>'를 표시하여 기재하며, '>'앞의 문자는 정상인 BRCA1, BRCA2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이며, '>' 뒤의 문자는 돌연변이 BRCA1, BRCA2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SEQ ID NO: 1 and SEQ ID NO: 6 represent the coding sequence (CDS) of BRCA1 (Gen Bank Accession No. NM_007294.1) and BRCA2 (Gen Bank Accession No. NM_000059.1), respectively, and the nucleotide of ATG, the translation start codon Mark as +1. Mutations within the exons of the BRCA1 and BRCA2 genes are expressed based on SEQ ID NO: 1 and SEQ ID NO: 6, respectively. Insertion mutations are denoted by 'ins', deletion mutations are denoted by 'del', and the letters following 'ins' and 'del' refer to the actual inserted or deleted nucleotides. Substitution mutations are described by indicating the symbol '>', where the letters before '>' are normal nucleotides of the BRCA1 and BRCA2 genes, and the letters after '>' refer to nucleotides of the mutant BRCA1 and BRCA2 genes.

서열번호 2 내지 5는 GenBank 게놈 기준 서열 NT_010755.15를 참조하고 서열번호 7 내지 14는 GenBank 게놈 기준 서열 NT_024524.13을 참조한다. 서열번호 2 내지 5 및 서열번호 7 내지 14는 각각 BRCA1 및 BRCA2의 인트론(intron) 부위 또는 스플라이싱(splicing) 부위의 돌연변이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며, 해당되는 코돈과 인트론의 접경 부위의 서열, 즉, 코돈과 인트론의 일부를 포함하는 서열을 나타낸다. 인트론의 시작 부위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는 선행하는 엑손의 마지막 뉴클레오티드의 번호(코딩 서열 기준) 다음에 '+' 및 이에 뒤이어 상기 뉴클레오티드로부터 돌연변이 부위까지의 뉴클레오티드의 수를 기재하고 그 다음에 돌연변이의 유형을 기재한다. 예를 들면, 'c.547+14delG'는 코딩서열상의 547번째 뉴클레오티드로부터 14번째에 위치한 뉴클레오티드 G가 결실된 돌연변이를 의미한다. 한편, 인트론의 종결 부위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는 후행하는 엑손의 첫번째 뉴클레오티드 번호(코딩 서열 기준) 다음에 '-' 부호 및 뒤이어 상기 엑손 상의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상향(upstream)으로 인트론 내의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뉴클레오티드의 수를 기재하고 그 다음에 돌연변이의 유형을 기재한다. 예를 들면, 'c.5194-10G>T'는 코딩 서열상의 5194번째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상향으로 10번째에 위치한 뉴클레오티드 G가 T로 치환된 돌연변이를 의미한다.SEQ ID NOs 2 to 5 refer to GenBank genome reference sequence NT_010755.15 and SEQ ID NOs 7 to 14 refer to GenBank genome reference sequence NT_024524.13. SEQ ID NOs: 2 to 5 and SEQ ID NOs: 7 to 14 are used to indicate mutations in intron or splicing sites of BRCA1 and BRCA2, respectively, and include sequences of corresponding codons and borders of introns, That is, a sequence including a portion of a codon and an intron. The mutation present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n describes the number of the last nucleotide of the preceding exon (based on the coding sequence) followed by '+' followed by the number of nucleotides from the nucleotide to the mutation site and then the type of mutation. List it. For example, 'c.547 + 14delG' means a mutation in which the nucleotide G located at the 14th position from the 547th nucleotide on the coding sequence is deleted. On the other hand, the mutations present at the end of the intron are the first nucleotide number of the trailing exon (based on the coding sequence) followed by the '-' sign and subsequently upstream from the nucleotide on the exon up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the intron. List the numbers, followed by the type of mutation. For example, 'c.5194-10G> T' refers to a mutation in which the nucleotide G located tenth upwards from the 5194th nucleotide on the coding sequence is replaced with T.

도 1 및 도 2는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구조 및 본 발명에서 확인된 유전자 돌연변이의 개략적인 분포를 도시한다.1 and 2 show the structure of the BRCA1 and BRCA2 genes and the schematic distribution of the gene mutations ident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BRCA1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 예를 들면, 20-80개, 20-60개, 20-50개, 또는 20-4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BRCA1 gene mut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0-80, 20-60, 20-50, or 20-40 Provided is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wo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1)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8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c.28G>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G-to-A substitution of the 28th base (c.28G> A)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1;

(2)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824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c.824G>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G-to-A substitution of the 824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c.824G> A);

(3)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067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c.1067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A to G of the 1067th base (c.1067A> G)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4)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511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c.1511G>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G-to-A substitution (c.1511G> A) of the 1511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5)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511번째 염기 G의 중복(c.1511dup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uplication of the 1511th base G (c.1511dupG)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6)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077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c.2077G>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6)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G to A of the 2077th base (c.2077G> A)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7)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157번째 염기 A의 중복(c.2157dup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7)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uplication of the 2157th base A (c.2157dupA)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1;

(8)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296번째 염기와 2297번째 염기에서 AG의 결실(c.2296_2297del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8)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AG (c.2296_2297delAG) at the 2296 base and the 2297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 ID NO: 1;

(9)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856번째 염기에서 2857번째 염기까지 2개의 염기의 결실(c.2856_2857delT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9)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wo bases (c.2856_2857delTT) from bases 2856 to 2857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0)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884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c.2884G>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0)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G-to-A substitution of the 2884 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c.2884G> A);

(11)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3213번째 염기의 A에서 C로의 치환(c.3213A>C)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1)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A-to-C of the 3213rd base (c.3213A> C)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2)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3607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c.3607C>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2)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C to T substitution (c.3607C> T) of the 3607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3)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3982번째 염기 T의 중복(c.3982 dup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3)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uplicate of the 3982 base T (c.3982 dupT)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4)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3991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c.3991C>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4)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C-to-T substitution of the 3991th base (c.3991C> T)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5)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092번째 염기에서 4093번째 염기까지 2개의 염기의 결실(c.4092_4093delT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wo bases (c.4092_4093delTT) from base 4092 to 4093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6)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327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c.4327C>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6)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C-to-T substitution of the 4327th base (c.4327C> T)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7)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459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c.4459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7)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A to G of the 4459th base (c.4459A> G)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8)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586번째 염기의 T에서 C로의 치환(c.4586T>C)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8)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T-to-C substitution (c.4586T> C) of the 4586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9)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985번째 염기의 T에서 C로의 치환(c.4985T>C)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19)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T-to-C substitution (c.4985T> C) of the 4985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20)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5080번째 염기의 G에서 T로의 치환(c.5080 G>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0)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G to T substitution (c.5080 G> T) of the 5080th base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21)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5548번째 염기 C의 결실(c.5548delC)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1)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he 5548 base C (c.5548delC)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22) 서열번호 2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79번째 염기의 G에서 C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2)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G to C substitution for the 279 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2;

(23) 서열번호 3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00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3)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C to T substitution of the 200th base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3;

(24) 서열번호 4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81번째 염기 G의 결실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24)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281 base G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 ID NO: 4; And

(25) 서열번호 5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45번째 염기의 G에서 T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G to T of the 245 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5.

상기에서, 돌연변이 (1) 내지 (21)은 BRCA1 유전자의 코딩 서열상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로서 서열번호 1을 기준으로 표시된다. 이들은 각각 서열번호 1의 해당하는 위치에서 뉴클레오티드의 결실, 중복, 또는 치환 돌연변이에 해당되며, 이에 의해 정상인 BRCA1과 다른 아미노산 서열이 생성되고, 이는 BRCA1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 the mutations (1) to (21) are represented on the basis of SEQ ID NO: 1 as a mutation present on the coding sequence of the BRCA1 gene. These each correspond to deletion, duplication, or substitution mutations in the nucleotid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SEQ ID NO: 1, resulting in an amino acid sequen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BRCA1, which can alter the in vivo function of the BRCA1 protein.

또한, 상기에서 돌연변이 (22) 내지 (25)는 BRCA1 유전자의 코딩 서열이 아닌 인트론 또는 스플라이싱 부위에서의 돌연변이이다:In addition, mutations (22) to (25) above are mutations at the intron or splicing site that are not the coding sequence of the BRCA1 gene:

돌연변이 (22)는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1)의 5152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1번째 위치(서열번호 2의 279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G가 C로 치환된 것인 스플라이싱 부위의 돌연변이(c.5152+1G>C)이다. 스플라이싱 부위는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1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nt (22) is a splicing site wherein the nucleotide G present at the first position (SEQ ID NO: 279) at position 5152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1) is substituted with C. Mutation (c.5152 + 1G> C). Since the splicing region is not a region encoding the amino acid,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it may cause a change in the BRCA1 expression pattern due to the difference in RNA production due to the splicing change.

돌연변이 (23)은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1)의 81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상향으로 13번째 위치(서열번호 3의 200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C가 T로 치환된 것인 인트론 상의 돌연변이(c.81-13C>T)이다. 인트론은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1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Mutation (23) is a mutation on an intron wherein nucleotide C present at position 13 (200 of SEQ ID NO: 3) upwards is replaced by T from the nucleotide at position 81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1) (c.81-13C> T). Since introns are not sites encoding amino acids,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may result in changes in BRCA1 expression patterns due to differences in RNA production due to changes in splicing.

돌연변이 (24)는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1)의 547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14번째 위치(서열번호 4의 281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가 결실된 것인 인트론 상의 돌연변이(c.547+14delG)이다. 인트론은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1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tion (24) is a mutation on intron (c.547 +) wherein the nucleotide at position 14 (SEQ ID NO: 281) is deleted from the nucleotide at position 547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1). 14delG). Since introns are not sites encoding amino acids,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may result in changes in BRCA1 expression patterns due to differences in RNA production due to changes in splicing.

돌연변이 (25)는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1)의 4986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바로 다음(서열번호 5의 245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G가 T로 치환된 것인 스플라이싱 부위의 돌연변이(c.4986+1G>T)이다. 스플라이싱 부위는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1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tion (25) is a mutation of a splicing site in which the nucleotide G immediately following (nucleotide number 245 of SEQ ID NO: 5)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1) is substituted with T ( c.4986 + 1G> T). Since the splicing region is not a region encoding the amino acid,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it may cause a change in the BRCA1 expression pattern due to the difference in RNA production due to the splicing change.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로 사용될 수 있다.Polynucleotide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as probes or prim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또한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BRCA2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 예를 들면, 20-80개, 20-60개, 20-50개, 또는 20-4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BRCA2 mut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0-80, 20-60, 20-50, or 20- Polynucleotides consisting of 4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are provided:

(26)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880번째 염기의 G에서 T로의 치환(c.880G>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6)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G-T substitution of the 880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c.880G> T);

(27)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046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c.1046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7)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A to G of the 1046th base (c.1046A> G)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28)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115번째 염기의 A에서 T로의 치환(c.1115A>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8)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1115th base A for T (c.1115A> T)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SEQ ID NO: 6;

(29)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176번째 염기부터 1180번째 염기까지 5개의 염기의 결실(c.1176_1180delCTGT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29)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5 bases (c.1176_1180delCTGTG) from base 1176 to base 1180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0)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568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c.1568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0)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A to G of the 1568th base (c.1568A> G)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1)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817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c.1871C>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1)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C-to-T substitution of the 1817 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c.1871C> T);

(32)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271번째 염기의 A에서 T로의 치환(c.2271A>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2)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A-to-T of the 2271st base (c.2271A> T)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3)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347번째 염기의 C에서 A로의 치환(c.4347C>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3)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C-to-A substitution of the 4347th base (c.4347C> T)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4)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478번째 염기에서 4481번째 염기까지 4개의 염기의 결실(c.4478_4481delAA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4)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4 bases (c.4478_4481delAAAG) from base 4478 to base 4481 in the polynucleotide having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5)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593번째 염기 A의 결실(c.4593del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he 4593 base A (c.4593delA)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6)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802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c.4802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6)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A to G (c.4802A> G) of the 4802 base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7)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5351번째 염기 A의 결실(c.5351del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37)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he 5351st base A (c.5351delA)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6;

(38)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5592번째 염기에서 5593번째 염기까지 2개의 염기의 결실(c.5592_5593delC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8)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wo bases (c.5592_5593delCA) from the 5592 to 5593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39)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5645번째 염기의 C에서 A로의 치환(c.5645C>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39)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C-to-A substitution of the 5645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c.5645C> A);

(40)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5722번째 염기에서 5723번째 염기까지 2개의 염기의 결실(c.5722_5723 delC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0)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wo bases (c.5722_5723 delCT) from base 5722 to 5723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1)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6100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c.6100C>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1)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C-to-T substitution of the 6100th base (c.6100C> T)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2)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6688번째 염기 A의 결실(c.6688del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2)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he 6688th base A (c.6688delA)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3)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7051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c.7051 G>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3)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G-to-A substitution of the 7051st base (c.7051 G> A)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4)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7375번째 염기의 A에서 T로의 치환(c.7375A>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4)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A to T of the 7375th base (c.7375A> T)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5)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8023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c.8023A>G)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from A to G of the 8023th base (c.8023A> G)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6)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8944번째 염기의 A에서 C로의 치환(c.8944A>C)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6)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A-to-C of the 8944th base (c.8944A> C)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7)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9097번째 염기 A의 중복(c.9097dupA)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7)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uplication of the 9097 base A (c.9097dupA)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8)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9431번째 염기 C의 결실(c.9431delC)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8)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he 9431 base C (c.9431delC)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49)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9435번째 염기에서 9436번째 염기까지 2개의 염기의 결실(c.9435_9436delGT)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49)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wo bases (c.9435_9436delGT) from the 9435 base to the 9436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50) 서열번호 6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0131번째 염기의 A에서 C로의 치환(c.10131A>C)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0)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the A-to-C of the 10131th base (c.10131A> C)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6;

(51) 서열번호 7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58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1)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G for A of the 258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7;

(52) 서열번호 8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96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2)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G for A of a 96th base in a polynucleotide having a sequence of SEQ ID NO: 8;

(53) 서열번호 9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94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3)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G for A of the 294 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9;

(54) 서열번호 10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67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4)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the A to G of the 167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10;

(55) 서열번호 1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45번째 염기의 A에서 G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the substitution of the A to G of the 145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1;

(56) 서열번호 12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24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6)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C for T for the 124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2;

(57) 서열번호 13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70번째 염기의 T에서 C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57)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T-to-C substitution of the 270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 ID NO: 13; And

(58) 서열번호 14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124번째 염기의 G에서 A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58)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G for A of the 124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having the sequence of SEQ ID NO: 14.

상기에서, 돌연변이 (26) 내지 (50)는 BRCA2 유전자의 코딩 서열상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로서 서열번호 6를 기준으로 표시된다. 이들은 각각 서열번호 6의 해당하는 위치에서 뉴클레오티드의 결실, 삽입 또는 치환 돌연변이에 해당되며, 이에 의해 정상인 BRCA2와 다른 아미노산 서열이 생성되고, 이는 BRCA2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 mutations (26) to (50) are represented on the basis of SEQ ID NO: 6 as mutations present on the coding sequence of the BRCA2 gene. These correspond to deletions, insertions or substitution mutations of nucleotide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in SEQ ID NO: 6, respectively, resulting in amino acid sequences different from normal BRCA2, which may alter the in vivo function of the BRCA2 protein.

또한, 상기에서 돌연변이 (51) 내지 (58)은 BRCA2 유전자의 코딩 서열이 아닌 인트론에서의 돌연변이이다:In addition, mutations (51) to (58) above are mutations in introns that are not coding sequences of the BRCA2 gene:

돌연변이 (51)은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7976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24번째 위치(서열번호 7의 258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G가 A로 치환된 것인 인트론 상의 돌연변이(c.7976+24G>A)이다. 인트론은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Mutation (51) is a mutation on intron (c) wherein nucleotide G present at position 24 (SEQ ID NO: 258) is replaced with A from the nucleotide at position 7976 of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7976 + 24G> A). Since introns are not sites encoding amino acids,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may result in changes in BRCA2 expression patterns due to differences in RNA production due to changes in splicing.

돌연변이 (52)은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8488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상향으로 1번째 위치(서열번호 8의 96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T가 C로 치환된 것인 스플라이싱 부위의 돌연변(c.8488-1G>A)이이다. 스플라이싱 부위는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tion 52 is a splicing in which nucleotide T present at position 1 (SEQ ID NO: 96) upwards from the nucleotide at position 8488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is replaced with C Mutation of the site (c.8488-1G> A). Since the splicing site is not an amino acid coding site,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a change in the expression of BRCA2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RNA production due to a change in splicing.

돌연변이 (53)은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9117번 위치(서열번호 9의 294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G가 A로 치환된 것인 스플라이싱 부위의 돌연변이(c.9117G>A)이다. 스플라이싱 부위는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tion 53 is a mutation of a splicing site (c.9117G> A) in which nucleotide G present at position 9117 (SEQ ID NO: 294)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is substituted with A. to be. Since the splicing site is not an amino acid coding site,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a change in the expression of BRCA2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RNA production due to a change in splicing.

돌연변이 (54)는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317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상향으로 10번째 위치(서열번호 10의 167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A가 C로 치환된 것인 인트론 상의 돌연변이(c.317-10A>G)이다. 인트론은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tion 54 is a mutation on intron wherein nucleotide A present at position 10 (No. 167 of SEQ ID NO: 10) is upwardly replaced by C from the nucleotide at position 317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c.317-10A> G). Since introns are not sites encoding amino acids,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may result in changes in BRCA2 expression patterns due to differences in RNA production due to changes in splicing.

돌연변이 (55)은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8633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상향으로 26번째 위치(서열번호 11의 145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A가 G로 치환된 것인 인트론 상의 돌연변이(c.8633-26A>G)이다. 인트론은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Mutation 55 is a mutation on intron wherein nucleotide A present at position 26 (number 145 of SEQ ID NO: 11) is replaced by G upwards from the nucleotide at position 8633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c.8633-26A> G). Since introns are not sites encoding amino acids,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may result in changes in BRCA2 expression patterns due to differences in RNA production due to changes in splicing.

돌연변이 (56)은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1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상향으로 37번째 위치(서열번호 12의 124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C가 T로 치환된 것인 5'-UTR 상의 돌연변이(c.1-37C>T)이다. 5'-UTR은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Mutation 56 is 5'- wherein nucleotide C present at position 37 (number 124 of SEQ ID NO: 12) is upwardly replaced by nucleotide present at position 1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Mutation on UTR (c.1-37C> T). Since 5′-UTR is not an amino acid coding region,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it may cause a change in BRCA2 expression pattern due to a difference in RNA production due to a change in splicing.

돌연변이 (57)는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67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2번째 위치(서열번호 13의 270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T가 C로 치환된 것인 스플라이싱 부위의 돌연변이(c.67+2T>C)이다. 스플라이싱 부위는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tion 57 is a splicing site wherein the nucleotide T present at the second position (SEQ ID NO: 270) at position 67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is substituted with C. Mutation (c.67 + 2T> C). Since the splicing site is not an amino acid coding site,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a change in the expression of BRCA2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RNA production due to a change in splicing.

돌연변이 (58)은 코딩 서열 상(서열번호 6)의 516번 위치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로부터 1번째 위치(서열번호 14의 124번)에 존재하는 뉴클레오티드 G가 A로 치환된 것인 스플라이싱 부위의 돌연변이(c.516+1G>A)이다. 스플라이싱 부위는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아미노산 서열에는 변화가 없으나, 스플라이싱의 변화로 인한 RNA 생성의 차이 때문에 BRCA2 발현 양상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Mutation 58 is a splicing site wherein the nucleotide G present at the first position (No. 124 of SEQ ID NO: 14) is replaced with A from the nucleotide at position 516 on the coding sequence (SEQ ID NO: 6). Mutation (c.516 + 1G> A). Since the splicing site is not an amino acid coding site, there is no change in the amino acid sequence, but a change in the expression of BRCA2 may occur due to a difference in RNA production due to a change in splicing.

본 발명에 따르면, BRCA1 및/또는 BRCA2 유전자에 상기와 같은 돌연변이를 갖는 사람은 정상인에 비해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having such mutations in the BRCA1 and / or BRCA2 genes is more likely to develop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than normal peopl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와 같은 BRCA1 또는 BRCA2 유전자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20 내지 100개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서열의 폴리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를 제공한다.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전술된 BRCA1 및/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primer or probe consisting of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 to 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mutation present in such a BRCA1 or BRCA2 gene or a polynucleotide of a sequence complementary thereto. The primer or probe may be used to confirm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of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by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forementioned BRCA1 and / or BRCA2 gene mutations.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BRCA1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 내지 (25)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프로브 세트가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probe set comprising two or more combinations selected from polynucleotides (1) to (25) comprising mutations on the BRCA1 gene to identify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BRCA1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 내지 (25)로 구성된 프로브 세트가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probe set consisting of polynucleotides (1) to (25) comprising mutations on the BRCA1 gene can be used to confirm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BRCA2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6) 내지 (58)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프로브 세트가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probe set comprising two or more combinations selected from polynucleotides (26) to (58) comprising mutations on the BRCA2 gene to identify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BRCA2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6) 내지 (58)로 구성된 프로브 세트가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probe set consisting of polynucleotides (26) to (58) comprising mutations on the BRCA2 gene can be used to confirm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BRCA1 및/또는 BRCA2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 내지 (58)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프로브 세트가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wo or more combinations selected from polynucleotides (1) to (58) comprising mutations on the BRCA1 and / or BRCA2 genes to identify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Including probe sets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BRCA1 및/또는 BRCA2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 내지 (58)로 구성된 프로브 세트가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probe set consisting of polynucleotides (1) to (58) comprising mutations on the BRCA1 and / or BRCA2 genes is used to confirm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to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Can be.

이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 상세히 기재된 F-CSGE를 수행한 후 DNA 서열분석(sequencing)을 통해 확인하는 기술 외에 하기와 같이 여러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To this end, in addition to the technique of performing DNA sequencing after performing F-CSG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various methods may be used as follows:

(가) 엑손 및 인트론 경계 부분을 포함하는 표적 절편들을 각각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한 쌍의 프라이머로 증폭하여 F-CSCE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디데옥시(dideoxy) 반응을 통한 서열분석으로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돌연변이가 일어난 부위 및 이를 포함하는 염기서열로 구성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쓰지 않고, 바로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BRCA1, BRCA2를 클로닝하여 벡터에 삽입한 후 서열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상 BRCA1, BRCA2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서열분석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A) Do not perform F-CSCE by amplifying the target fragments containing the exon and intron boundary portions with a pair of primers each capable of confirming the mutation, and performing sequencing of the mutation through a dideoxy reaction. You can check the presence. In this ca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ion can be immediately determined without using an oligonucleotide probe composed of a site where the mu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e sequence including the same occur. Alternatively, BRCA1 and BRCA2 may be cloned and inserted into a vector, followed by sequencing.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ion by compar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normal BRCA1, BRCA2 gene and sequencing results.

(나) 유전자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는 또한 제한효소절단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는 BRCA1, BRCA2 유전자의 정상 유전자와 돌연변이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적당한 제한효소 또는 제한효소와 동일한 결과를 도출하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정상 유전자는 절단되고 돌연변이 유전자는 절단되지 않거나 또는 역으로 정상 유전자는 절단되지 않고, 돌연변이 유전자는 절단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는 돌연변이 위치 부근에 결합한 프라이머를 절단하는 엔도뉴클레아제(endonuclease) 효소가 돌연변이에 의한 부정합 부위는 절단할 수 없는 원리를 이용한 인베이더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B) Presence of gene mutations can also be confirmed by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utant and normal genes of the BRCA1 and BRCA2 ge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normal gene is cleaved and the mutant gene is not cleaved using a compound that produces the same result as a suitable restriction enzyme or restriction enzyme. Conversely, the normal gene is not cut, but the mutant gene is cut using the principle. Similar methods include invaders using the principle that an endonuclease enzyme that cuts a primer bound to a mutation site cannot cleave a misalignment site caused by a mutation, and all of them have a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to confirm.

(다)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유전자 상의 염기 위치 전후에 결합하는 프라이머가 돌연변이 위치의 염기에 따라서 결합하는 정도가 다른 것을 이용하여 돌연변이 양상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리버스 도트 블롯(reverse dot blot) 등이 있으며, 형광표지자, 비드 등을 사용한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상기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돌연변이를 포함한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 및 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C) There is a method of identifying mutation patterns by using primers that bind before and after the base position on the gene where mutation can occur, depending on the base of the mutation position. Reverse dot blot (reverse dot blot) and the like, using a variety of methods using a fluorescent marker, beads, etc.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aspect of the mutation including the mu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bove principle.

(라) 대립형질-특이적 PCR(Allele-specific PCR)은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유전자 상의 염기 위치 부위에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함으로써, 돌연변이 위치의 염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PCR 반응이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양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FRET(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와 AlphaScan 등이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D) Allele-specific PCR is a principle in which a PCR reaction occurs selectively according to a base of a mutation site by performing PCR using a primer that binds to a base site site on a gene where a mutation can occur. It is a method to identify the mutation pattern using.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and AlphaScan, etc., all of which can be used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마) 또 다른 방법으로서, SSCP(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는 유전자의 절편 중에서 단쇄(single strand)를 분석하여 돌연변이 유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는 돌연변이의 유무에 따라 단쇄의 이중구조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기영동 또는 이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E) As another method, SSCP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can b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mutations by analyzing the single strand in the fragment of the gene. This can be used for diagnosis using a system capable of producing electrophoresis or similar results,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the dual structure of the single chai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tation.

(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이형이중가닥(Heteroduplex) 분석법은 이형이중가닥을 생성시켜 이를 염기서열분석기(예를 들면, ABI377)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는 생성된 이형이중가닥을 2-D로 분리하는 TDGS(Two-Dimensional Gene Scanning)와 D-HPLC, DGGE 등이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F) As another method, heteroduplex analysis is a method for generating a heterologous double strand and analyzing it using equipment such as a sequencing analyzer (for example, ABI377). Similar methods include Two-Dimensional Gene Scanning (TDGS), D-HPLC, and DGGE, which separate the resulting heterologous double strands into 2-D, which are all used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사) 또 다른 방법으로서, 프라이머 연장(primer extension) 분석법은 돌연변이의 유무를 확인하고자 할 때,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유전자 상의 염기 위치의 5' 방향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부착시킨 후,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연장시켜 돌연변이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4) As another method, a primer extension assay is to prepare and attach a primer that selectively binds to the 5 'direction of a base position on a gene where mutations can occur when the presence of a mutation is desired. , Using primers to extend the primer to check for the presence of mutations.

(아) 또 다른 방법으로서, 실시간 PCR(real time PCR) 분석법은 돌연변이의 유무를 확인하고자 할 때,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유전자 상의 염기 위치 부근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프라이머의 양 말단에 형광표지자와 퀀처(quencher)를 표지하여 PCR의 진행과 함께 유리되는 형광표지자의 양을 측정하여 돌연변이 양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Taqman 등의 방법이 이에 해당되며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는 Molecualr beacon 등이 있다.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H) As another method, a real time PCR (real time PCR) assay produces a primer that complementarily binds to a base position on a gene where a mutation can occur when the presence of a mutation is desired, and the amount of primer It is a method of identifying a mutation pattern by labeling a fluorescent marker and a quencher at the ends and measuring the amount of the fluorescent marker liberated with the progress of PCR. Taqman et al. And the like, Molecualr beacon. These can all be used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자) 또 다른 방법으로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결합을 이용한 분석법(OLA: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은 돌연변이의 유무를 확인하고자 할 때, 돌연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유전자 상의 염기 위치 전후에 결합하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돌연변이 위치에 정확히 상보적으로 결합한 프라이머끼리만 결합효소(ligase)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양상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OLA와 Colorimetric OLA, OLA에 기반한 DNA 칩 등이 있다.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돌연변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4) As another method, an oligonucleotide ligation assay (OLA) is used to prepare primers that bind before and after base positions on genes where mutations can occur when the presence of mutations is desired. It is a method of identifying mutation patterns using the principle that only primers that are exactly complementary to the mutation site are bound by a ligase. OLA, Colorimetric OLA, and OLA-based DNA chips. These can all be used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BRCA1 또는 BRCA2 유전자에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20 내지 100개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서열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프로브로 포함하는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iagnosing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comprising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 to 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mutation present in a BRCA1 or BRCA2 gene or a polynucleotide of a sequence complementary thereto. Provide a microarray.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에서, 프로브인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개, 20 내지 60개, 또는 20 내지 50개의 연속된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In the microarra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obe polynucleotide is preferably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 to 80, 20 to 60, or 20 to 5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에서, 프로브인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방사선 표지, 형광 표지, 효소 표지, 서열 택(sequence tag), 또는 바이오틴에 의해 표지될 수 있다. In a microarra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nucleotide that is a probe may be labeled by radiolabeling, fluorescent labeling, enzyme labeling, sequence tag, or biotin.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마이크로어레이는 표면개질 유리, 실리콘, 또는 나일론 등의 재질로 된 작은 고형의 기판 표면에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서열의 폴리뉴클레오티드인 프로브를 고밀도로 부착시킨 마이크로 칩일 수 있다. 마이크로어레이 상의 프로브와 시료 내의 표적 물질과의 혼성화(hybridization) 여부를 검출하여 시료의 BRCA1 또는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대상자의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의 소인 또는 감수성을 예측할 수 있다.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icroarray comprises a polynucleotide comprising a BRCA1 or BRCA2 gene mutation or a polynucleotide having a sequence complementary thereto on a small solid substrate surface made of surface-modified glass, silicone, or nylon. It may be a microchip attached at a high density. By detecting hybridization between the probe on the microarray and the target material in the samp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tations in the BRCA1 or BRCA2 genes in the sample can be used to predict the predisposition or susceptibility of the subject's breast and / or ovarian cancer. .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BRCA1 및/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에 기인한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키트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수단(container means)과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수단을 밀폐된 공간 내에 수용하도록 구획(compartment)되어 있는 캐리어 수단(carrier means)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수단은 상기 BRCA1 및/또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내포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 for diagnosing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caused by the BRCA1 and / or BRCA2 gene mutations. The kit comprises one or more container means and carrier means compartmentalized to receive the one or more container means in a confined space, wherein the one or more container means comprises the BRCA1 and / or Or polynucleotides comprising a BRCA2 gene mutation.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유방암 및/또는 난소암 유발 유전자인 BRCA1, BRCA2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상에 존재하는 한국인 특이적인 돌연변이의 유형을 제공하여, 유방암 및 난소암의 소인을 저비용, 고효율로 진단할 수 있게 한다. The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ype of Korean-specific mutation present on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breast cancer and / or ovarian cancer inducing genes BRCA1 and BRCA2, so that the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can be diagnosed with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do.

도 1은 BRCA1 유전자의 구조 및 돌연변이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번호는 엑손을 나타내며 화살표 머리는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도 2는 BRCA2 유전자의 구조 및 돌연변이 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번호는 엑손을 나타내며 화살표 머리는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도 3은 BRCA1 유전자 돌연변이 중 하나인, BRCA1 유전자(서열번호 1)의 1511번째 뉴클레오티드(엑손 11에 위치함) 위치에 G가 삽입된 돌연변이(c.1511dupG)의 F-CSCE 분석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는 BRCA2 유전자 돌연변이 중 하나인, BRCA2 유전자(서열번호 6)의 9117번째 뉴클레오티드(엑손 23에 위치함)에서 G가 A로 치환된 돌연변이(c.9117G>A)의 F-CSCE 분석 그래프를 도시한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ructure and mutation distribution of the BRCA1 gene. Numbers indicate exons and arrowheads schematically indicate where mutations are present.
2 schematically depicts the structure and mutation distribution of the BRCA2 gene. Numbers indicate exons and arrowheads schematically indicate where mutations are present.
Figure 3 shows an F-CSCE analysis graph of a mutation (c.1511dupG) with G inserted at the 1511th nucleotide (located at exon 11) of the BRCA1 gene (SEQ ID NO: 1), one of the BRCA1 gene mutations.
FIG. 4 is a graph of F-CSCE analysis of a mutation (c.9117G> A) in which G is substituted for A in the 9117th nucleotide (located at exon 23) of the BRCA2 gene (SEQ ID NO: 6), which is one of the BRCA2 gene mutations. Illustrated.

실시예Example 1.  One. BRCA1BRCA1 및/또는  And / or BRCA2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 검출 및 확인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utations in Genes

1. 게놈 DNA의 분리1. Isolation of Genomic DNA

유방암 및 난소암 환자의 게놈 DNA는 200 ㎕ EDTA-말초혈액으로부터 G-DEX 키트(Catalog No. PK1104, Intron, KOREA)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정상인 50인의 말초혈액으로부터 환자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게놈 DNA를 분리하였다.Genomic DNA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patients was isolated from 200 μl EDTA-peripheral blood using G-DEX kit (Catalog No. PK1104, Intron, KOREA).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the normal 50 peripheral blood as a control in the same manner as the patient group.

2.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통한 BRCA1, BRCA2 유전자의 증폭2. Amplification of BRCA1 and BRCA2 Gen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다중(multiplex)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각 PCR 단위 튜브에 동일한 주형을 넣고, 프라이머 쌍을 한 가지가 아닌 이중(duplex), 삼중(triplex) 또는 사중(quadraplex)의 조합으로 첨가하여 수행하는 방법이다. 다중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은 전체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소요되는 비용을 1/3 수준으로 절감한다. BRCA1 및 BRCA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24개 및 27개의 엑손을 포함하는 거대 유전자이다. 특히, BRCA1의 엑손 11은 그 크기가 매우 커서 한 쌍의 프라이머에 의해서는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할 수 없어서 총 10개의 중복 절편으로 나누어 열 쌍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 이 엑손 11의 10개의 절편은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및 11-10으로 명명하였다. BRCA2는 26개의 엑손 중에서 엑손 10, 엑손 11 및 엑손 27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엑손 10은 10-1, 10-2, 10-3, 및 10-4로 나누고, 엑손 11은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11-12, 11-13, 11-14 및 11-15로 나누었고, 엑손 27은 27-1 및 27-2로 나누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BRCA1 및 BRCA2는 표 1a 및 1b에 표시된 바와 같이 24개의 다중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총 75개의 절편으로 증폭되었다. 각 중합효소연쇄반응의 산물은 20 bp의 전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및 최소 40 bp의 5'- 및 3'-인접(flanknig)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계하였다.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by a multiplex method. This is done by putting the same template in each PCR unit tube and adding a pair of primers in a combination of not one, duplex, triple or quadraplex. Multipl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duces the cost of the entire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one third. BRCA1 and BRCA2 are large genes containing 24 and 27 exon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 and 2. In particular, exon 11 of BRCA1 was so large that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could not be performed by a pair of primers, and amplified using ten pairs of primers. The ten segments of this exon 11 are named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and 11-10. It was. Since BRCA2 has the larger size of exon 10, exon 11 and exon 27 out of 26 exons, exon 10 is divided into 10-1, 10-2, 10-3, and 10-4, and exon 11 is 11-1, 11 -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11-12, 11-13, 11-14 And 11-15, and exon 27 was divided into 27-1 and 27-2 to perform a polymerase chain reaction. As a result, BRCA1 and BRCA2 were amplified into a total of 75 fragments through 24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s as shown in Tables 1a and 1b. The product of each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designed to include 20 bp forward and reverse primer sequences and at least 40 bp 5'- and 3'-flanknig regions.

표 1A. BRCA1 유전자의 증폭Table 1A. Amplification of the BRCA1 Gene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1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1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2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2

표 1B. BRCA2 유전자의 증폭Table 1B. Amplification of the BRCA2 Gene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3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3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4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4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5
Figure 112011093297310-pat00005

다중 PCR 반응의 구성 및 반응 조건은 각각 표 2 및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다. The composition and reaction conditions of the multiple PCR reaction are as shown in Table 2 and Table 3, respectively.

성분ingredient 부피(㎕)Volume ([mu] l) 10X Taq-완충액(MgCl2 불포함)10X Taq-buffer without MgCl 2 1One MgCl2(25 mM)MgCl 2 (25 mM) 0.60.6 프라이머 믹스Primer mix 1(정방향 0.5 + 역방향 0.5)1 (0.5 forward + 0.5 reverse) dNTPs(각각 10 mM씩)dNTPs (10 mM each) 0.1250.125 Taq 폴리머라아제Taq polymerase 0.10.1 DNA(게놈 DNA)DNA (genomic DNA) 1One 5X Band Doctor5X Band Doctor 0.40.4 증류수Distilled water 5.785.78 총 부피Total volume 1010

순서order 온도Temperature 시간time 사이클 수Number of cycles 1One 95℃95 5분5 minutes 1One 2

2

95℃95 ℃ 30초30 seconds
35

35
57℃57 ℃ 40초40 seconds 72℃72 ℃ 45초45 seconds 33 72℃72 7분7 minutes 1One 44 4℃4 ℃ --

3. F-CSCE(Fluorescence Conformation Senstitive Capillary Electrophoresis)3.F-CSCE (Fluorescence Conformation Senstitive Capillary Electrophoresis)

F-CSCE는 유전자 염기 서열상에 존재하는 유전자 변이를 검색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이다. 유전자상에 돌연변이가 존재할 경우, 돌연변이 대립형질과 정상 대립형질 간에 이형이중가닥(heteroduplex)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DNA 이중쇄(double strand)의 3차 구조 형태가 상이해져서 모세관 전기영동 시 이동속도의 차이가 생기는 점을 이용하여,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 F-CSCE is a method used to search for genetic variations present on gene sequences. In the presence of mutations in the gene, heteroduplexes can be formed between the mutant allele and the normal allele. As a result, mutations can be detected by using the fact that the tertiary structure of the DNA double strand is different and a difference in the moving speed occurs dur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상기에서 수득된 중합효소연쇄반응 산물을 1/5 내지 1/10 비율로 희석하였다. 96 웰 프레이트의 각 웰에 한 종류의 다중 중합효소연쇄반응 산물을 적재하였다(적재 혼합물(loading mix)의 성분: 희석한 산물 0.5 ㎕, GeneScan-ROX 500 DNA 크기 표준 0.5 ㎕, 증류수 8.5 ㎕). ABI 3130 시퀀서에서 구조 분석 폴리머(conformation analysis polym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Genemapper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도 3 및 도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돌연변이가 있는 유전자와 돌연변이가 없는 정상 유전자(대조군)는 F-CSCE를 통해 나타난 분석결과가 상이한 양상을 보이므로, F-CSCE 상에서의 분석결과가 대조군과 다른 DNA는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그 변이 유무를 최종 분석하였다.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duct obtained above was diluted at a ratio of 1/5 to 1/10. Each well of a 96 well plate was loaded with one kind of multiple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duct (components of the loading mix: 0.5 μl of diluted product, 0.5 μl of GeneScan-ROX 500 DNA size standard, 8.5 μl of distilled wa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conformation analysis polymer in an ABI 3130 sequencer. Data was analyzed using the Genemapper 4.0 program.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genes with mutations and the normal genes without the mutations (control) show different result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F-CSCE. DNA was finally analyzed for mutants through sequencing.

4. DNA 염기서열분석4. DNA sequencing

F-CSCE 분석을 통해 나타난 돌연변이 및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의 존재가 예상되는 중합효소연쇄반응 산물은 F-CSCE 분석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다시 증폭하여, ABI3730xl 시퀀서(Applied Biosystems)에서 POP7 폴리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F-CSCE를 통해 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 DNA 절편 상의 구체적인 돌연변이 양상을 분석하였다.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duct predicted for the presence of mutations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from the F-CSCE analysis was amplified again using the same oligonucleotide primers as those used for the F-CSCE analysis. ) Using a POP7 polymer. As a result, specific mutation patterns on DNA fragments identified by the presence of mutations through F-CSCE were analyzed.

환자군에서 확인된 BRCA1 및 BRCA2 유전자 상의 돌연변이가 병인성 돌연변이(pathogenic mutation)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50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돌연변이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였다. 환자군과 달리, 정상인에서는 병인성 돌연변이로 판단된 돌연변이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mutations on the BRCA1 and BRCA2 genes identified in the patient group were pathogenic mutations, 50 normal subject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the same mutation. Unlike the patient group, no mutations determined to be pathogenic mutations were detected in normal subjects.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Attach an electronic file to a sequence list

Claims (6)

하기의 BRCA1 유전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유방암 또는 난소암의 진단을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트:
(7)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157번째 염기 A의 중복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9)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856번째 염기에서 2857번째 염기까지 2개의 염기의 결실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3)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3982번째 염기 T의 중복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4)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3991번째 염기의 C에서 T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5)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4092번째 염기에서 4093번째 염기까지 2개의 염기의 결실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21) 서열번호 1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5548번째 염기 C의 결실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25) 서열번호 5의 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245번째 염기의 G에서 T로의 치환을 포함하는 20-100개의 연속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A set of polynucleotides for the diagnosis of breast or ovarian cancer, comprising a polynucleotide comprising the following BRCA1 gene mutation:
(7)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secutive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uplication of the 2157th base A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1;
(9)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wo bases from the 2856nd base to the 2857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3)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uplicate of the 3982th base T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1;
(14)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C to T substitution of the 3991th base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1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two bases from the 4092 base to the 4093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 of SEQ ID NO: 1;
(21)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deletion of 5548 base C in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1; And
(25)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20-100 contiguous nucleotide sequences comprising a substitution of G to T of the 245 th base 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sequences of SEQ ID NO: 5.
제1항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트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트를 프로브로 포함하는 BRCA1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용 마이크로어레이.A microarray for detecting a BRCA1 gene mutation comprising a polynucleotide set of claim 1 or a polynucleotide set complementary theret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트는 방사선 표지, 형광 표지, 효소 표지, 서열 택(sequence tag), 또는 바이오틴에 의해 표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 The microarray of claim 2, wherein the polynucleotide set is labeled with a radiolabel, fluorescent label, enzyme label, sequence tag, or biot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23664A 2011-11-24 2011-11-24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KR101323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64A KR101323100B1 (en) 2011-11-24 2011-11-24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664A KR101323100B1 (en) 2011-11-24 2011-11-24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244A Division KR101323101B1 (en) 2013-08-02 2013-08-02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60A KR20130057760A (en) 2013-06-03
KR101323100B1 true KR101323100B1 (en) 2013-10-30

Family

ID=4885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64A KR101323100B1 (en) 2011-11-24 2011-11-24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1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864B1 (en) * 2017-12-28 2019-06-05 주식회사 엔젠바이오 Composition for detecting Breast Cancer and Ovarian Cancer and uses thereof
KR20200054030A (en)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셀레믹스 Method for producing probes for detecting mutations derived from cell in breast cancer tissue and method for detecting using thereof
CN111154874A (en) * 2020-01-16 2020-05-15 安徽省第二人民医院(安徽医学高等专科学校附属医院、安徽省职业病防治院) Breast cancer susceptibility gene BRCA2 site g.32332272G & gtA mutant and application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551A (en) * 2007-06-21 2008-12-26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or detecting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551A (en) * 2007-06-21 2008-12-26 주식회사 랩 지노믹스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or detecting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umber NM_007294 (2010.12.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760A (en)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3652B1 (en)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 as a prescreening tool
KR20090056921A (en) Diagnosis kit and chip for bladder cancer using bladder cancer specific methylation marker gene
EP2574680A1 (en) Probe, polymorphism detection method, method of evaluating drug efficacy or tolerance, and reagent kit
KR101582723B1 (en) Genetic marker for predicting a risk of developing colorectal cancer and use thereof
US9200326B2 (en) Probe for detecting polymorphism in disease-related gene and use of the probe
KR101323100B1 (en)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JP2013074888A (en) METHOD FOR DETECTING MUTATION AT GENE IL28B (rs8099917) AND ITPA(rs1127354)
KR101051385B1 (en) Primer set for obesity gene amplification, reagent for amplifying obesity gene comprising same and use thereof
KR100886937B1 (en) BRCA1 and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or detecting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Medina-Arana et al. New founding mutation in MSH2 associated with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ncer syndrome on the Island of Tenerife
KR101323101B1 (en) BRCA2 germline mutations useful for predicting genetic predisposition of breast cancer or ovarian cancer
JP6644333B2 (en) Methods to help predict the risk of side effects from irinotecan
US20160053333A1 (en) Novel Haplotype Tagg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Use of Same to Predict Childhood Lymphoblastic Leukemia
CN104531866B (en) Biomarker used for colorectal cancer
KR101676089B1 (en) Polymorphism biomarker for predicting prognosis in lung cancer patients and the method for predicting prognosis using the same
Mazdeh et al. Ecotropic Viral Integration Site 5 (EVI5) variants are associated with multiple sclerosis in Iranian population
Huijsmans et al.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profiling assay to confirm the identity of human tissues
KR101728023B1 (en) Detection of mutations in ATP7B gene using PCR-LDR
KR101598296B1 (en) Composition for Ankylosing spondylitis high risk prediction using DNA copy number variants and use thereof
US7094538B2 (en) Diagnostic assay for cancer susceptibility
KR101806025B1 (en) SNP markers for predicting clinical response to anticancer drugs and prognosi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uses thereof
WO2008090632A1 (en) Marker for detecting the proposed efficacy of treatment
KR101309887B1 (en) SNP for diagnosing susceptibility to gastric cancer and method for diagnosing susceptibility to gastric cancer using the LOX gene SNP
KR101092580B1 (en) Polymorphic markers of VCAN for predicting susceptibility to gastric cancer and the predic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0137671A1 (en) Method for assessing lymph node metastasis of cancer or the risk thereof, and rapid assessment kit for sai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