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734B1 -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 Google Patents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734B1
KR101322734B1 KR1020120001094A KR20120001094A KR101322734B1 KR 101322734 B1 KR101322734 B1 KR 101322734B1 KR 1020120001094 A KR1020120001094 A KR 1020120001094A KR 20120001094 A KR20120001094 A KR 20120001094A KR 101322734 B1 KR101322734 B1 KR 101322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protection
antenna
lightning
antenna unit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270A (ko
Inventor
현영오
김세윤
손승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0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7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또는 안테나 시스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 또는 항공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연결기; 및 낙뢰보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기는 상기 낙뢰보호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낙뢰보호장치는,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낙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낙뢰에 기인한 충격 전류를 접지를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antenna including lightning protection apparatus}
본 명세서는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낙뢰는 일반적으로 30 ~ 40kA의 최대전류를 항공기에 인가하기 때문에 탑재 전자장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분산할 수 있도록 낙뢰보호기가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항공기는 운용 중 자연적으로 발생 되는 낙뢰에 노출되기 때문에 항공기에서 낙뢰보호 장치 사용 요구는 점차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항공산업의 발전에 따라 항공용 전자장비들이 국내기술로 개발되는 추세에 있으며, 항공기용 전자장비 개발과 발맞춰 외부 장착용 안테나의 국내개발도 함께 증가 됨에 따라 항공기 외부에 장착되는 안테나의 경우 성능에 대한 중요성도 높지만 낙뢰보호에 대한 중요성 또한 많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항공기에 장착되는 낙뢰보호를 위한 종래 기술은 안테나와 별개로 낙뢰보호를 위해 피뢰기(arrester)나 가스튜브 같은 별도 분리된 형태의 낙뢰보호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항공기 장착시 공간과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단점뿐만 아니라, 낙뢰보호기와 안테나 등의 장착 전자 장비와의 신호 인터페이스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의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는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또는 안테나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안테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 또는 항공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연결기; 및 낙뢰보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기는 상기 낙뢰보호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낙뢰보호장치는,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낙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낙뢰에 기인한 충격 전류를 접지를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부는, 평면 또는 평판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낙뢰보호장치는, 낙뢰보호회로;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를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기에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낙뢰보호장치는, 상기 낙뢰보호회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낙뢰보호회로는, 일 측이 외부로 개방된 개방선로; 일측이 상기 개방선로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과 결합되는 연결핀 결합홀을 구비하는 연결핀 결합부; 일측이 상기 연결핀 결합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정합부; 및 상기 정합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접지와 결합되는 접지 결합홀을 구비하는 단락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안테나부는, 동작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단락선로는, 상기 동작 주파수 파장의 1/4배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개방선로 또는 상기 정합부의 길이는 상기 안테나부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도록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또는 안테나 시스템)를 제공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안테나에 따르면, 낙뢰보로장치를 안테나 내부에 적층함으로써 항공기의 무게와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낙뢰보호장치를 상기 안테나에 최대한 가까이 배치시킴으로써 낙뢰에 기인한 충격전류에 대한 전류분산 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호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항공기용 안테나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안테나,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에 대한 설명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 또는 항공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연결기 및 낙뢰보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기는 상기 낙뢰보호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낙뢰보호장치는,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낙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낙뢰에 기인한 충격 전류를 접지를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10)는 안테나부(100), 낙뢰보호장치(200) 및 케이블 연결기(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안테나(10)는 낙뢰보호기능을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상기 안테나부(100)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특정 동작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 동작주파수는 수백 MHz에서 수천 MHz 이상일 수 있다(예를 들어, 200 MHz이상).
또한, 상기 안테나부(100)는 낙뢰가 발생한 경우, 상기 낙뢰를 입력(또는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낙뢰는 뇌운(雷雲)과 지표물체 사이에 생기는 방전현상으로 일반적으로는 벼락이나 또는 그것이 떨어지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낙뢰는 1 ~ 10억 볼트의 전압을 가질 수 있고, 수 MHz이하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낙뢰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낙뢰에 대한 수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낙뢰가 입력된 경우, 상기 낙뢰에 기한 충격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격전류는 30 ~ 40k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는 접지를 통하여 상기 충격전류는 외부로 내보내는(또는, 분산시키는) 낙뢰보호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낙뢰로부터 통신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시스템은 항공기 시스템(또는 항공기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00)는 다양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부(100)는 평면 또는 평판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부에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낙뢰보호장치(200)는 낙뢰로부터 상기 항공기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낙뢰보호장치(200)는 낙뢰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뢰보호회로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또한, 상기 낙뢰보호장치(200)는 상기 낙뢰보호회로를 상기 안테나부(100) 또는/및 케이블 연결기(300)에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뢰보호장치(200)는, 상기 낙뢰보호회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연결기(300)는 상기 안테나부(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항공기 시스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연결기(30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 연결기(300)은 상기 안테나(10)가 상기 항공기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나사모양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상기 케이블 연결기(300)에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안테나의 구체적인 구현 예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항공기용 안테나로의 구현 예 - 제 1 실시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항공기용으로 구현되었을 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안테나는 안테나와 함께 운용되는 항공용 전자장비의 항공기 운용 중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낙뢰보호 장치를 평면형 안테나 내부에 적층하여 안테나와 일체형이 되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낙뢰보호 장치가 필요 없도록 한 안테나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낙뢰보호 장치가 내장된 평면형 안테나란 낙뢰보호 장치가 내장된 항공기 안테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낙뢰시 유입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의 동작주파수의 파장(λ)/4 접지선로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적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MHz 이하의 낮은 주파수 성분을 갖는 낙뢰의 주파수 대역은 차단되어 단락되기 때문에 낙뢰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입되는 전류는 분산되어 낙뢰로부터 항공기 시스템의 전자장비가 보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또는 안테나 시스템)는 동작주차수의 파장(λ)/4의 접지단락 선로(또는 낙뢰보호회로)를 스트립라인으로 구성하여 안테나와 케이블 연결기 사이에 위치함으로서 낙뢰에 대한 보호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낙뢰보호회로가 스트립라인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상기 안테나 시스템의 사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기 낙뢰보호 회로의 동작주파수에 대한 파장(λ)/4 선로는 전기적으로 접지와 연결되어 있어 동작주파수의 신호를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 신호는 접지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낙뢰가 항공기에 가해지면 전류는 항공기의 외부도체들을 통해 분산되어 내부로 유입되므로 외부매질과 구조에 따라 특성이 좌우되므로 일반적으로 낙뢰보호기는 최대한 안테나와 가까이 위치할수록 전류의 분산효과는 좋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또는 안테나 시스템)에 따르면, 항공기의 동체에 부착되는 인쇄형 안테나에 낙뢰보호장치를 적층하여 배치하면 좋은 전류분산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낙뢰보호 장치가 필요 없음으로서 항공기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항공기의 무게와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항공기의 안테나를 이용하는 전자장비 개발 등에도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는 안테나부(100), 낙뢰보호장치(200) 및 케이블 연결기(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100)는 안테나 모듈(110), 안테나 하부기판(120) 및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110)은 실제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분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0, 또는 안테나 시스템)의 명칭과 구분하기 위한 용어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안테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0)은 안테나 회로 기판 내지 안테나 회로 패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기 안테나 모듈(110)의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안테나 모듈(110)은 다양한 소재(또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모듈(110)은 금속(예를 들어, 구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상기 안테나 모듈(110)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안테나 하부기판(120)은 상기 안테나 모듈(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하부기판(120)은 상기 안테나 모듈(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하부기판(120)은 다양한 소재(또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하부기판(120)은 테프론(Teflon, PTFE) 기판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상기 안테나 하부기판(120)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안테나 하부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은 낙뢰가 상기 안테나 모듈(110)에 입력된 경우, 상기 낙뢰에 기인한 충격전류를 외부로 흘려보내기 위한 접지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은 다양한 소재(또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30)은 알루미늄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상기 안테나 하부기판(120)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낙뢰보호장치(200)는 연결핀(210) 및 낙뢰보호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뢰보호장치(200)는 상기 낙뢰보호회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기판(230)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기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뢰보호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된다.
상기 커넥터 연결기(300)는 커넥터 체결부(310), 동축 케이블(320, coaxial cab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연결기(300)는 상기 연결핀(210)이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핀(210)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채널 또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핀(210)은 전송경로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31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항공기 시스템에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31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상기 항공기 시스템에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 체결부(310)는 나사 모양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축 케이블(320, coaxial cable)은 송수신되는 신호와 외부와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동축 케이블(320)은 다양한 소재(또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축 케이블(320)은 테프론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상기 동축 케이블(320)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항공기용 안테나에 있어서의 낙뢰보호장치의 구현 예 - 제 2 실시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호장치는 항공기용으로 구현되었을 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로장치(200)는 낙뢰보호회로(220)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를 상기 안테나부(100) 및/또는 상기 케이블 연결기(300)에 연결하는 연결핀(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로장치(200)는 상기 낙뢰보호회로(220)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기판(230)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220)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기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10)은 상기 낙뢰보호회로(200)를 상기 안테나부(100) 또는/및 상기 케이블 연결기(30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낙뢰보호회로(220)는 상기 안테나 모듈(110)에 입력된 낙뢰를 접지를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또는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230) 및 상기 하부기판(240)은 상기 낙뢰보호회로(220)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낙뢰보호회로(22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된다.
상기 상부기판(230) 및 상기 하부기판(240)은 다양한 소재(또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기판(230) 및 상기 하부기판(240)은 테프론(Teflon, PTFE) 기판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상기 상부기판(230) 및 상기 하부기판(240)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항공기용 안테나에 있어서의 낙뢰보호회로의 구현 예 - 제 3 실시예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호회로는 항공기용으로 구현되었을 때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목적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호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낙뢰보호회로(220)는 일 측이 외부로 개방된 개방선로(221), 일측이 상기 개방선로(221)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210)과 결합되는 연결핀 결합홀(225)을 구비하는 연결핀 결합부(222), 일측이 상기 연결핀 결합부(22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정합부(223) 및 상기 정합부(223)의 타측에 연결되고, 접지와 결합되는 접지 결합홀(226)을 구비하는 단락선로(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부(100)는, 동작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단락선로(224)는, 상기 동작 주파수 파장의 1/4배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방선로(221) 또는 상기 정합부(223)의 길이는 상기 안테나부(100)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도록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낙뢰보호회로(220)는 다양한 소재(또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낙뢰보호회로(220)는 금속(예를 들어, 구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상기 낙뢰보호회로(220)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10: 안테나 100: 안테나부
200: 낙뢰보호장치 300: 케이블 연결기

Claims (7)

  1.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안테나부 또는 항공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케이블 연결기; 및
    낙뢰보호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기는 상기 낙뢰보호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낙뢰보호장치는,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낙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낙뢰에 기인한 충격 전류를 접지를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고,
    낙뢰보호회로;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를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케이블 연결기에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평면 또는 평판 형태인 것인 안테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보호장치는,
    상기 낙뢰보호회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낙뢰보호회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보호회로는,
    일 측이 외부로 개방된 개방선로;
    일측이 상기 개방선로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과 결합되는 연결핀 결합홀을 구비하는 연결핀 결합부;
    일측이 상기 연결핀 결합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정합부; 및
    상기 정합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접지와 결합되는 접지 결합홀을 구비하는 단락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동작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단락선로는,
    상기 동작 주파수 파장의 1/4배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인 안테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선로 또는 상기 정합부의 길이는 상기 안테나부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도록 조절되는 것인 안테나.
KR1020120001094A 2012-01-04 2012-01-04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KR101322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94A KR101322734B1 (ko) 2012-01-04 2012-01-04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94A KR101322734B1 (ko) 2012-01-04 2012-01-04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270A KR20130080270A (ko) 2013-07-12
KR101322734B1 true KR101322734B1 (ko) 2013-10-29

Family

ID=4899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094A KR101322734B1 (ko) 2012-01-04 2012-01-04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7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051A (ko) * 1997-12-30 1999-07-26 구관영 이동통신 기지국 낙뢰방지용 피뢰기
JP2000201010A (ja) 1999-01-06 2000-07-18 Maspro Denkoh Corp アンテナの耐雷構造
JP2002141737A (ja) * 2000-11-01 200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051A (ko) * 1997-12-30 1999-07-26 구관영 이동통신 기지국 낙뢰방지용 피뢰기
JP2000201010A (ja) 1999-01-06 2000-07-18 Maspro Denkoh Corp アンテナの耐雷構造
JP2002141737A (ja) * 2000-11-01 200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270A (ko)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047B1 (en) Bi-directional switched RF amplifier, waterproof housing, electrostatic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and mounting bracket therefor
WO2012129426A3 (en) Integrated circuit with electromagnetic communication
US5986869A (en) Grounding panel
US9893414B2 (en) Antenna assembly for aircraft
EP2811572B1 (en) Insulat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equipment
US8860624B2 (en) Wireless explosion-proof apparatus
KR20010088404A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통신장치
CN104868240A (zh) 一种用于开关柜局部放电监测的超高频宽带微带天线
US6283771B1 (en) Grounding techniqu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F coaxial lightning protector
KR101322734B1 (ko) 낙뢰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안테나
EP2493006A1 (en) Antenna protection device and system
CN208433502U (zh) 基于射频同轴结构的高可靠强耦合定向耦合器
KR101088142B1 (ko) 배전기기 상태감시 시스템
EP3598596A1 (en) Temperature sensor for a cable head for a ring main unit
CN110364830A (zh) 一种gnss与罗兰c组合一体化接收天线
CN102204033A (zh) 小型化的dc阻断装置
WO2007090041A3 (en) Rf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of the device
US6313810B1 (en) Arrangement relating to antenna protection
WO2019086486A1 (en) Devices with radiating systems proximate to conductive bodies
CN108346854A (zh) 一种具有耦合馈电结构的天线
CN204481124U (zh) 移动设备4g多频天线
CN204289716U (zh) 移动设备3g多频天线
CN102738565A (zh) 一种机载导航天线
EP2843776B1 (en) U-link connector for RF signals with integrated bias circuit
KR101138656B1 (ko) 동축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설치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