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481B1 -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481B1
KR101322481B1 KR1020120027839A KR20120027839A KR101322481B1 KR 101322481 B1 KR101322481 B1 KR 101322481B1 KR 1020120027839 A KR1020120027839 A KR 1020120027839A KR 20120027839 A KR20120027839 A KR 20120027839A KR 101322481 B1 KR101322481 B1 KR 10132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arrel
unit
gear
sw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6162A (en
Inventor
구해원
김민경
Original Assignee
김민경
구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경, 구해원 filed Critical 김민경
Priority to KR102012002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481B1/en
Publication of KR2013010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자세를 자동이나 수동으로 조절함에 있어 조절 축과 범위를 확장하면서도 촬영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가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자세를 전환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촬영 방향을 축으로 하여 원하는 각도로 카메라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촬영 가능한 카메라의 자세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의 자세를 변경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발생되는 카메라의 미세한 흔들림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최적의 촬영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 외에도 복수의 리그에 용이하게 구성되어 복수 카메라에 대한 가로 세로 모드 전환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복수 카메라용 시스템의 촬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positioning device to increase the shoot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while extending the adjustment axis and range in automatically or manually adjusting the posture of the camera, while the camera is fixed to the support, in landscape mode or portrait In addition to switching the posture in the mod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rotate the camera at a desired angle with the shooting direction as an axis, thereby extending the posture range of the camera that can be photograph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the optimum shooting result by minimizing the slight shaking of the camera generated when photographing the subject while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amera. In addition, it is easily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rigs,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switch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modes for a plurality of cameras, thereby extending the shooting range of various multiple camera systems.

Description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Camera positioning device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본 발명은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자세를 자동이나 수동으로 조절함에 있어 조절 축과 범위를 확장하면서도 촬영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positio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positioning device to increase the shoot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while extending the adjustment axis and range in automatically or manually adjusting the pose of the camera.

고품질 촬영 영상을 얻기 위한 노력으로 카메라의 촬영 자세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삼각대로부터 정밀한 카메라의 자세 조절이나 자세 제어가 가능한 전문형 위치결정 장치들까지 다양한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In an effort to obtain high quality photographing images, a variety of camera positioning devices are used, ranging from tripods for stably fixing the camera's shooting posture to professional positioning devices capable of precise camera posture control and posture control.

카메라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들은 보다 안정적이면서 신뢰성있게 원하는 카메라의 촬영 앵글을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축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되고 있는데, 최근에 사용되는 위치결정 장치는 X, Y, Z 축의 3차원 위치 조절은 물론이고 기울어진 자세를 위한 틸트(Tilt)나 롤(Roll)각 조절도 가능하다. 더불어, 최근의 위치결정 장치는 수동 조작을 통한 자세 조정은 물론이고 내장 구동부를 이용한 전기적 정밀 제어를 통한 위치 결정도 가능하다. 즉, 카메라의 자세를 원격 제어하거나 원하는 설정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Position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have been improved to be able to adjust the various axes to obtain a desired angle of the camera more stably and reliably. Recently used positioning devices are X, Y, Z In addition to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ing of the axis,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tilt and roll angles for the tilted posture. In addition, the latest positioning device is capable of positioning through electronic precision control using a built-in drive as well as posture adjustment through a manual operation. That is, the posture of the camera is configured to be remotely controlled or easily positioned to a desired setting posi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를 적용한 카메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amera system to which 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도 1을 살펴보면, 카메라(1)는 광학계가 내장된 경통(3)과 그 경통(3)에 연결되는 카메라본체(5)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카메라(1)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자세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본체(5)를 위치제어유닛(7)과 연결하여 카메라 시스템을 구성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amera 1 is composed of a barrel (3) with a built-in optical system and a camera body 5 connected to the barrel (3) to precis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camera 1 in a desired posture It can be seen that the camera system 5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7 to fix the camera system.

즉, 기존에는 카메라(1)의 위치를 변경 즉, 카메라(1)의 자세를 복수 축을 기준으로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 본체(5)를 상기 위치제어유닛(7)에 직접 연결한다.That is, conventionally, the camera body 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7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mera 1, that is, change the posture of the camera 1 based on a plurality of axes.

도시된 위치제어유닛(7)은 상기 카메라(1)를 X축, Y축 및 Z축 기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X축노브(2), Y축노브(4) 및 Z축노브(6)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5)를 좌우로 일부 기울어지도록 조절하거나 앞뒤로 일부 기울어지도록 조절하기 위한 롤각노브(8)와 틸트노브(9)를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position control unit 7 has a zoom axis knob 2, a zoom axis knob 4, and a Z axis knob 6 for adjusting the camera 1 on the X-axis, Y-axis, and Z-axis basis. And a roll angle knob 8 and a tilt knob 9 for adjusting the camera main body 5 to be partially inclined to the left or right or to be partially tilted to the front and rear.

상기 노브들(2, 4, 6, 8, 9)은 상기 카메라(1)의 자세를 수동으로 미세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각 위치 조정 구성에 전기적 구동부를 추가하여 전기적 제어에 의해 원하는 상태로 상기 위치제어유닛(7)을 제어할 수 있다.The knobs 2, 4, 6, 8, and 9 may serve as an interface for manually fine-tuning the posture of the camera 1, and if necessary, an electric drive unit may be added to each of the positioning configurations to By the control, the position control unit 7 can be controlled in a desired state.

현재 이러한 위치제어유닛(7)은 다양한 종류의 정밀도와 크기의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며, 원격 제어를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 종류도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At present, the position control unit 7 has various kinds of precision and size products on the market, and a type having a driving unit for remote control has been released and used.

상기 위치제어유닛(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카메라를 위한 구성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그보다는 복수의 카메라들에 대한 정밀한 자세 제어가 요구되는 영상 분야, 즉 3D 카메라 장치, 파노라마 카메라 장치, 피사체의 전면을 360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 등에 주로 적용된다. The position control unit 7 is also used as a configuration for a single camera as shown, but rather than the field of the image that requires precise posture control for a plurality of cameras, that is, 3D camera device, panoramic camera device, Mainly applied to a camera device for shooting the front 360 degrees.

즉, 상기 위치제어유닛(7)은 복수의 카메라를 원하는 목적에 맞게 동시에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각 카메라의 자세를 제어하기 위해서 주로 복수 카메라용 리그(Rig)에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That is, the position control unit 7 is mainly employed in a plurality of camera rigs (Rig) in order to precisely adjust the plurality of cameras at the same time or precisely control the posture of each camera to the desired purpose.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 자세 조정을 위한 상기 위치제어유닛(7)은 카메라본체(5)의 하단에 구성된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나사 홀)와 체결되는 카메라 거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본체(5)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촬영 영상의 앵글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품질 영상을 얻기 위해 고성능 광학계를 구비한 경통(3)을 이용하는 경우 그 지지구조가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다. 즉, 고성능 광학계를 구비할수록 상기 경통(3)의 길이가 길어지고 무게가 증가하므로 상기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체결 구조에서는 경통 부분에 위치하는 무게 중심과 체결 위치가 달라 자세 변경 시 경통(3)이 흔들리게 되며, 이러한 카메라 거치의 불안정은 촬영 영상의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sition control unit 7 for adjusting the camera posture has a camera mounting interface coupled with a standard connection interface (screw hole) configured at the bottom of the camera body 5, and the camera body ( Since the angle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5), when the barrel 3 equipped with a high performance optical system is used to obtain a high quality image, its support structure is destabilized. 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barrel 3 is increased and the weight is increased as the high performance optical system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structure using the standard connection interfa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rrel and the fastening position are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rrel. Instability of the camera mounting may cause a fatal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photographed image.

더불어, 상기 설명한 카메라의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위치제어유닛(7)과의 결합 구조는 가로가 길고 세로가 짧은 가로모드를 기준으로 하는 영상만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세로모드가 필요한 경우 상기 위치제어유닛(7) 자체를 세로 구조물에 장착하는 형태로 전환해야하므로 가로모드와 세로모드에 대한 전환이 극히 불편하며, 세로 구조물이 없는 경우에는 세로모드 촬영이 어렵다.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structure with the position control unit 7 using the standard connection interface of the camera described above can capture only the image based on the horizontal mode having a long horizontal length and a short vertical length, when the vertical mode is required, the position control unit (7) It is extremely inconvenient to switch between landscape mode and portrait mode because it is necessary to switch itself to the form of mounting on the vertical structure.

기존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로모드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세로모드 전환에 대한 필요성이 낮았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휴대용 디스플레이나 세로 배치형 광고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의 등장으로 세로모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세로 모드로 촬영한 영상을 인화하고자 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어 가로모드와 세로모드의 전환 쵤영이 요구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Since the conventional display is based on the landscape mode, the need for vertical mode switching was low. Recently, the demand for the portrait mode has increased due to the appearance of various portable displays or vertical information displays. Increasingly, the image taken in the mode is increasing, and switching between landscape and portrait mode is frequently required.

따라서, 다양한 카메라 자세결정이 가능하면서 가로모드와 세로모드의 전환이 자유롭고 자세 변경을 위한 카메라 위치 변경 시에도 촬영 영상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new type of camera positioning device capable of various camera positioning, freely switching between landscape and portrait modes, and minimizing shake of a captured image even when changing camera position for changing posture.

등록특허 제10-0068965호 (1993.12.20)Registered Patent No. 10-0068965 (1993.12.20) 공개특허 제10-2012-0007330호 (2012.01.20)Publication No. 10-2012-0007330 (2012.01.20)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는,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는 장치가 경통에 연결되어 카메라의 촬영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특히, 카메라의 지향 방향을 축으로 적어도 90°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가로모드와 세로모드는 물론이고 필요한 경우 회전 범위를 확장하여 뒤집어진 영상까지도 정밀한 조작에 따라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Camera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connected to the barrel can be variously changed the shooting posture of the camera, in particular, to rotate at least 90 ° around the direction of the camera axis to the horizont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positioning device capable of precisely positioning an inverted image by precise operation as well as a mode and a portrait mode, by extending a rotation range if necessary.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는, 카메라의 위치 변경 시 카메라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촬영 품질을 신뢰성 있게 보장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camera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positioning apparatus for reliably guaranteeing the shooting quality by minimizing the shaking of the camera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는, 카메라의 촬영 자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촬영 앵글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위치결정 장치를 복수로 구성한 리그에서 복수 카메라의 수평, 수직모드 촬영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quickly and accurately control the shooting position of the camera to easily obtain a desired shooting angle, and the horizontal, multip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positioning device that enables the vertical mode shooting switching to be made quickly.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는, 카메라(10)의 광학계가 구성되는 경통(30); 상기 경통(30)의 외측 일부에 체결되어 상기 경통(30)과 연결된 카메라 본체(20)를 부유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경통(30)을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10)의 자세를 변경하는 스윙유닛(100); 및 상기 스윙유닛(100)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한다.Camera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el 30, the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10 is configured; The swing unit which is fastened to a part of the outer side of the barrel 30 to support the camera body 20 connected to the barrel 30 in a floating state, and rotates the barrel 30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amera 10. 100; And an interface 400 for controlling the swing unit 100.

상기 스윙유닛(100)과 연결되어 상기 스윙유닛(100)의 회전축과 다른 하나 이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스윙유닛(1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스윙유닛(1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카메라(10)의 자세를 변경하는 위치제어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10 connected to the swing unit 100 and supported by the swing unit 10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wing unit 100 based on one or more axe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wing unit 100. Position control unit 200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may further include.

상기 스윙유닛(100)의 회전에 따른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400)에 전달하는 경통 위치 검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통 위치 검출유닛은 상기 스윙유닛의 회전 부분의 일부에 구성되는 원점 검출용 구조물; 및 상기 스윙유닛의 회전되지 않은 부분이나 인접 영역에 구성되어 상기 원점 검출용 구조물의 접근을 검출하는 원점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arrel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wing unit 100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to the interface 400. Here, the barrel position detecting unit includes an origin detecting structure which is configured on a part of the rotating part of the swing unit; And an origin sensor configured at an unrotated portion or an adjacent area of the swing unit to detect an approach of the origin detection structure.

상기 스윙유닛(100)은, 상기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경통(30)의 중심축(A)을 기준으로 상기 경통(30)을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10)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동유닛(110); 상기 경통(30)과 상기 구동유닛(1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통(30)과 상기 구동유닛(110)의 체결을 보조하는 슬리브(120); 및 상기 슬리브(120)와 상기 구동유닛(110)을 감싸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과 연결되는 하우징(1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wing unit 100 rotates the barrel 30 about the central axis A of the barrel 30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400 to adjust the posture of the camera 10. A driving unit 110 for changing; A sleeve 120 positioned between the barrel 30 and the driving unit 110 to assist the coupling of the barrel 30 and the driving unit 110; And a housing 130 configured to surround the sleeve 120 and the driving unit 110 and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경통(30) 외면의 한 부분을 상기 슬리브(120)를 매개로 감싸는 제1기어(112)와, 상기 제1기어(112)와 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112)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기어(114)와, 상기 제2기어(114)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6a)와, 상기 제2기어(114)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11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노브(118a)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112 and the first gear 112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30 via the sleeve 120, the first gear ( A second gear 114 for rotating 112, a motor 116a for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gear 114, and a second gear 114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114. It may include a knob (118a) to change the position of.

상기 인터페이스(400)는, 상기 스윙유닛(100)을 포함하는 위치결정유닛에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유닛(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 신호와 수신 신호를 외부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송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400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o a positioning unit including the swing unit 100, receives a signal for an operating state of the swing unit 10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Signals can be sent and received to external wired and wireless networks.

상기 스윙유닛(100)은 90°이상의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메라(1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wing unit 100 preferably rotates the camera 1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90 ° or more.

상기 스윙유닛(100)은 복수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촬영하는 복수 카메라 시스템의 개별 카메라의 경통마다 연결되어 복수 카메라들의 촬영 모드를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로 전환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wing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arrels of individual cameras of the multiple camera system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and may be used to convert the shooting modes of the plurality of cameras to the horizontal mode and the vertical mode.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는, 카메라가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자세를 전환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촬영 방향을 축으로 하여 원하는 각도로 카메라를 정밀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촬영 가능한 카메라의 자세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camera is fixed to the support, can not only change the posture in the horizontal mode or the vertical mode, but also rotate the camera precisely at a desired angle with the shooting direction as the ax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xtend the posture range of the recordable camera.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는, 카메라의 자세를 변경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발생되는 카메라의 미세한 흔들림이 최소화 되도록 하여 최적의 촬영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camera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camera shake that is generated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while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amera to obtain an optimal photographing resul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는, 복수의 리그에 용이하게 구성되어 복수 카메라에 대한 가로 세로 모드 전환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복수 카메라용 시스템의 촬영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be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rigs so as to quickly perform a portrait and landscape mode switching for a plurality of cameras, thereby extending the shooting range of various multiple camera systems. .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분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요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요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된 다른 카메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360도 카메라 서포팅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camera positioning device.
2 is a view showing a camera system to which 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system to which a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separation of a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main embodiment of a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main embodiment of a camera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camera system to which 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360-degree camera supporting system to which 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length and area, thicknes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경통과 카메라본체로 이루어진 카메라 두 개를 이용하는 3D 촬영 시스템에 적용된 위치결정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는 장치가 경통에 연결되어 카메라가 회전 또는 이동 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구성은 단일 카메라를 위한 카메라 시스템에서부터 수십개의 카메라가 이용되는 파노라마 혹은 360°카메라 시스템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 positioning device applied to a 3D photographing system using two cameras including a barrel and a camera body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evice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is connected to the barrel so that the camera can be rotated or moved. Techn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cable to a panorama or 360 ° camera system, such as a camera system for a single camera is used dozens of camera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amera system to which 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system to which the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disassembled state of a camera positioning device.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도시된 카메라 시스템은 내부에 렌즈(32)를 포함하는 광학계가 구비되는 경통(30)과, 상기 경통(30)과 연결되는 카메라본체(20)로 이루어진 카메라(10)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3D 영상을 촬영하는 수직리그 카메라 시스템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4, the illustrated camera system includes a camera 30 including a barrel 30 having an optical system including a lens 32 therein, and a camera body 20 connected to the barrel 30. It can be seen that 10) is a vertical league camera system that is vertically arranged to shoot 3D images.

도시된 수직리그의 각 카메라(10)는 반투과거울을 통해 동일 피사체를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카메라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시차를 더욱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고급형 3D 카메라 시스템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시된 수직리그 3D 카메라 시스템은 물론이고 기존의 수평리그 3D 카메라 시스템에도 정밀한 카메라 위치 결정을 위해서 앞서 도 1을 예로 들어 설명한 위치제어유닛이 사용되고 있으나, 카메라 본체가 위치제어유닛에 직접 결합되는 형태였기 때문에 고성능 광학계를 구비한 경통을 이용할 경우 카메라의 흔들림이 심하고 세로 모드 촬영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였으나,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는 카메라 본체(20)를 위치제어유닛(200)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10)를 좀 더 흔들림 없이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실제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카메라의 경통(30)을 스윙유닛(100)으로 지지한 후, 상기 스윙유닛(100)을 상기 위치제어유닛(200)과 연결하도록 하여 보다 물리적으로 안정적인 카메라(10) 지지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스윙유닛(100)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경통(3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체 카메라(10)의 자세가 경통(30)의 지향 방향을 축으로 변하게 되므로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며 그 사이나 이를 초과하는 각도로의 자세 변형도 가능하게 된다.Each camera 10 of the illustrated vertical league is capable of shooting the same subject at different points of view through a semi-transparent mirror, and further reduces the parallax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ameras are arranged horizontally. It is used.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vertical league 3D camera system, the position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s used for precise camera positioning in a conventional horizontal league 3D camera system, but the camera body is directly coupl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Therefore, when using a barrel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optical system,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camera shakes severely and makes it difficult to shoot in the vertical mode, but 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Instead of connecting directly to the camera 10, the barrel 30 of the camera where the actual center of gravity is positioned to support the camera 10 more effectively without swinging is supported by the swing unit 100, and then the swing unit 100 is supported. By connecting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it becomes possible to support a more physically stable camera 10, Since the barrel 30 of the camera is rotated by the swing unit 100, the posture of the entire camera 10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barrel 30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horizontal mode and the vertical mode can be switched.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at an angle in between or exceeding.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된 카메라 시스템은 상기 한 쌍의 카메라(10)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윙유닛(100)과 위치제어유닛(200) 외에도 상기 스윙유닛(100)을 통해서 회전되는 상기 경통(30)의 원점을 검출하는 원점체크유닛(300)과 상기 위치제어유닛(200), 상기 스윙유닛(100) 및 상기 원점체크유닛(300)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한다.The camera system to which the positioning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rotated through the swing unit 100 in addition to the swing unit 100 and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air of cameras 10. Interface for providing an electrica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rigin check unit 300 and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the swing unit 100 and the origin check unit 300 to detect the origin of the barrel 30 ( 400).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은 수동 혹은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X, Y, Z 축으로 상기 스윙유닛(100)의 위치를 가변하거나, 틸트 및 롤 조정을 통해 상기 스윙유닛(10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위치제어유닛(200)의 구조와 기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기존의 위치제어유닛을 활용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varies the position of the swing unit 100 in the X, Y, Z axis by a manual or internally provided drive unit, or the swing through the tilt and roll adjustment The position of the unit 100 may be varied,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f necessary, the existing position control unit may be utilized.

여기서, 상기 스윙유닛(100)은, 상기 경통(30)과 연결된 상기 카메라본체(20)가 상기 경통(30)의 중심축(A)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전되도록 상기 경통(30)에 연결되는 구동유닛(110)을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구동유닛(110)은 상기 인터페이스(400)를 통한 신호에 의해 동작하거나 노브(118a)를 통한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Here, the swing unit 100, the camera body 20 connected to the barrel 30 is driven to be connected to the barrel 30 so as to rotate in both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 of the barrel (30). The unit 110 may be included, and the driving unit 110 may be operated by a signal through the interface 400 or by a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knob 118a.

결과적으로, 상기 스윙유닛(100)은, 상기 경통(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경통(30)을 물리적으로 안정하게 지지하여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에 의한 카메라 자세 변경 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상기 경통(3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10)의 촬영 모드를 전환하거나 임의의 각도로 촬영 각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wing unit 100 is disposed outside the barrel 30 to physically and stably support the barrel 30 so as to generat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camera posture is changed by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By minimizing and rotating the barrel 30, the camera 10 may switch the shooting mode or determine the shooting angle at an arbitrary angle.

상기 스윙유닛(100)의 회전 제어를 위해서 상기 카메라(10)의 촬영이 개시 되거나 카메라 시스템의 초기 기동 시 상기 경통(30)의 회전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상기 경통(30)에 대한 초기 위치를 원점 검출을 통해 파악하는 원점체크유닛(300)이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원점을 기준으로 원하는 회전 각도가 제어되며, 필요한 경우 초기 설정 등을 통해서 원점과 다소 상이할 수 있는 실제 카메라(10)의 초기 위치 오프셋을 고려한 제어도 가능하다. 물론, 절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위치센서(다양한 종류의 엔코더)가 적용되어 카메라의 정확한 자세를 파악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원점 검출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In order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wing unit 100, an init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rrel 30 is determin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barrel 30 when the photographing of the camera 10 is started or when the camera system is initially started. The origin check unit 300 to grasp through the origin detection is configured. Through this, the desired rotation angle is controlled based on the origin, and if necessary, control may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initial position offset of the actual camera 10 which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origin through an initial setting. Of course, since other types of position sensors (various types of encoders) capable of determining absolute positions may be applied to determine the correct posture of the camera, the origin detection method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시된 상기 스윙유닛(100)은, 상기 경통(30) 외면에 결합되는 원형 띠 형태의 슬리브(120), 상기 슬리브(120)와 상기 구동유닛(110)을 감싸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에 연결되는 하우징(130)을 포함한다.The swing unit 100 is shown,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while surrounding the sleeve 120, the sleeve 120 and the drive unit 110 of the circular band-shap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30. It includes a housing 130 connected to.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스윙유닛(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경통(30) 외면에 배치된 상기 슬리브(120)에 연결되어 상기 경통(30)이 상기 경통(30)의 중심축(A)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ing unit 110 is disposed in the swing unit 100 and connected to the sleeve 12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30 so that the barrel 30 is the central axis of the barrel 30. It can be rotated bidirectionally based on A).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110)의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의 도 4 및 도 5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details of the driv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상기 슬리브(120)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상기 경통(30)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상기 경통(30)이 상기 스윙유닛(100)과 원활하게 결합 되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슬리브(120)는 도시된 단순한 보조 원통의 형상이 아닌 다른 종류의 형상으로도 구성 가능하며,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경통(30)을 효과적으로 상기 구동유닛(110)과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대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leeve 120 is form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barrel 30 having various diameters, and serves to smoothly couple the barrel 30 of various diameters with the swing unit 100. Of course, the sleeve 120 can be configured in a shape other than the shape of the simple auxiliary cylinder shown,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effectively combining the barrel 30 having various diameters with the drive unit 110.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as a means.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윙유닛(100)과 연결되는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은, 상기 경통(30)이 상기 경통(30)의 길이방향인 X축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X축노브(210)와, 상기 경통(30)이 상기 경통(30)의 좌우 측 수평방향인 Y축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Y축노브(220)을 가지며, 상기 경통(30)이 상기 경통(30)의 수직방향인 Z축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Z축노브(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통(30)이 수평선상에서 상기 경통(30)의 좌우측 방향으로 유동 되되, 상기 스윙유닛(100)을 중심으로 상기 경통(30)의 선단과 말단이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대각선을 이루도록 하는 롤각노브(240)를 가지며, 상기 경통(3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 되되, 상기 스윙유닛(100)을 중심으로 상기 경통(30)의 선단과 말단이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대각선을 이루도록 하는 틸트노브(250)를 가질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swing unit 100, the shaft shaft to allow the barrel 30 to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el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el 30. (210), and the barrel 30 has a shaft shaft 220 to reciprocate in the horizontal axis of the horizontal axis of the vertical axis of the barrel 30, the barrel 30 is the barrel 30 It includes a Z-axis knob 230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Z-axis. In addition, the barrel 30 is flow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arrel 30 on the horizontal line,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barrel 30 around the swing unit 100 to form a diagonal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ilt knob having a roll angle knob 240, the barrel 30 is flo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barrel 30 to form a diagonal to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round the swing unit 100; May have 250.

상기 도시된 각 노브들(210, 220, 230, 240, 250)의 경우도 내부적으로 각 축에 대한 위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동부(115)와 연동되어 외부 신호에 따른 제어나 상기 노브를 통한 수동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knobs 210, 220, 230, 240, and 250, the knob 115 is interlocked with the drive unit 115 configured to internally change the position of each knob. It can be configured to enable manual control through.

상기 인터페이스(400)는 상기 스윙유닛(100), 위치제어유닛(200), 원점체크유닛(300)과 연결되고, 직접적인 사용자의 제어입력이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윙유닛(100)이나 위치제어유닛(200)을 제어하며, 원검체크유닛(300)에 대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인터페이스(400)에 부가적으로 제어부가 더 구성되어 상기 스윙유닛(100)이나 위치제어유닛(200) 및 원점체크유닛(300)에 대한 능동적인 동작을 스스로 제어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 비디오 처리 수단이나 카메라 제어 수단을 더 부가하여 상기 카메라(10)에 대한 원격 제어나 영상 송수신도 처리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다. The interface 400 is connected to the swing unit 100,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the origin check unit 300, and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through a direct user's control input or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the swing unit ( 100) or control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and can transmit a signal for the original check unit (300). Of course, the control unit is further configured in the interface 400 to control the active operation of the swing unit 100 or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and the origin check unit 300 by themselves, if necessary By further adding video processing means or camera control means,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emote control or the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the camera 10.

따라서, 필요한 경우 원격지에서 상기 카메라(10)의 자세를 제어하고 영상을 확인하면서 촬영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도시된 3D 수직 리그의 경우 이를 사람이나 거치 장비에 거치하고 근거리에서 리모콘 등을 통해 자세를 제어하면서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Therefore,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camera 10 from a remote location and check the image while photographing, and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3D vertical rig, it is mounted on a person or a mounting equipment and the posture through a remote control at a close range. You can also transmit the image while controll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요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main embodiment of a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경통(30) 외면의 한 부분을 슬리브(120)를 통해 감싸는 제1기어(112)와, 상기 제1기어(112)와 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112)가 회전되도록 하는 스크류 형상의 제2기어(114)와, 상기 제2기어(114)에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경통(30)을 회전시키는 모터(116a)와, 상기 제2기어(114)가 수동 작동 되도록 상기 제2기어(114)에 연결되는 노브(118a)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nd FIG. 4, referring to FIG. 5, the driving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gear 112 surrounding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barrel 30 through the sleeve 120, and the first gear. The second gear 114 of the screw shape is connected to the gear 112 to rotate the first gear 112, and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gear 114 to rotate the barrel 30 A motor 116a and a knob 118a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114 to manually operate the second gear 114.

여기서, 상기 제1기어(112)는 웜힐이고, 상기 제2기어(114)는 웜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gear 112 is a worm heel, the second gear 114 may be a worm gear.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경통(30) 외면의 한 부분을 직간접적으로 감싸는 웜힐과, 상기 웜힐과 연결되어 상기 웜힐이 회전되도록 하는 스크류 형상의 웜축과, 상기 웜축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16a)와, 상기 웜축이 수동 작동 되도록 상기 웜축에 연결되는 노브(118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drive unit 110, a worm heel to directly or indirectly wrap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30, a screw-shaped worm shaft connected to the worm heel to rotate the worm heel, and the rotational power to the worm shaf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116a for transmitting and a knob 118a connected to the worm shaft so that the worm shaft is manually operated.

상기 웜힐과 연결되는 경통(3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카메라본체(20)의 회전각도는 일 방향으로 적어도 90°까지 회전가능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그 이상의 각도까지도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camera body 20 rotated by the barrel 30 connected to the worm heel should be rotatable up to at least 90 ° in one direction, and if necessary, can be rotated up to an angle greater than that.

이렇게 상기 카메라본체(20)가 90° 각도로 회전될 경우, 수평방향으로 촬영되는 피사체를 수직방향으로 촬영할 수 있어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간의 전환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When the camera body 20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 in this way, the subject photograph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photograp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transition between the horizontal mode and the vertical mode can be made quickly and accurate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amera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제1기어(111)와 상기 제2기어(113)에 해당하는 기어의 종류를 베벨 기어로 대체한 것으로, 상기 베벨 기어는 설명의 편의상 큰기어(111)와 작은기어(113)로 구분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referring to FIG. 6, a type of gea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ar 111 and the second gear 113 is replaced with a bevel gear, and the bevel gear is a large gea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separately from 111 and the small gear 113.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경통(30) 외면의 한 부분을 슬리브(120)를 통해 감싸는 큰기어(111)와, 상기 큰기어(111)와 맞물려 상기 큰기어(111)가 회전되도록 하는 작은기어(113)와, 상기 작은기어(113)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16b)와, 상기 작은기어(113)가 수동 작동 되도록 상기 작은기어(113)에 연결되는 노브(118b)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e unit 110, the large gear 111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30 through the sleeve 120, and the large gear 111 to engage with the large gear 111 to rotate the large gear 111 A small gear 113, a motor 116b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small gear 113, and a knob 118b connected to the small gear 113 for manual operation of the small gear 113; Can be.

이렇게 베벨기어를 이용할 경우 앞서 도 5의 경우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해져 회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When the bevel gear is used as described above, more stable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than in the case of FIG. 5,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rotation.

물론, 상기 구동유닛(110)은 위와 같은 기어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소음을 줄이기 위해 풀리 구조나 자석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 동력 전달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동부 구조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Of course, the drive unit 110 may use the above-described gear, but may also use a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method using a pulley structure or a magnet to reduce noise,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rive structur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요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main embodiment of a camera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원점체크유닛(300)은, 상기 경통(30)을 회전시키는 상기 스윙유닛(100)의 회전부위에 돌출형성되는 원점편(310)과, 상기 원점편(310)의 진입을 감지하는 원점센서(330)가 구비된 채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 외면에 고정형성되는 원점검출기(320)와, 상기 원점검출기(320)를 통해 얻은 상기 경통(30)의 원점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400)로 전달하는 송신부(340) 및 상기 경통(30)의 원점 오프셋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위치제어유닛(200)에 형성되는 리셋버튼(3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referring to FIG. 7, the origin check unit 300 includes an origin piece 310 protruding from a rotation part of the swing unit 100 for rotating the barrel 30. The home detector 32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while the home sensor 330 detects the entry of the home piece 310, and the home detector 320 is obtained through the home detector 320. Transmitter 340 for transmitting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barrel 30 to the interface 400 and a reset button 350 formed in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to set the origin offset of the barrel 30. do.

상기 원점체크유닛(300)은,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초기 기동시나 정확한 위치 확인이 필요한 경우 초기 원점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전원 인가/리셋/초기화/위치확인 등의 상황 시 상기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제어기나 상기 인터페이스(400)에 부가되는 로컬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통(30)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러한 회전 동작에 따라 연동 회전되는 원점편(310)을 상기 원점센서(330)가 검출할 경우 원점이 인식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점편(310)과 이를 검출하기 위한 포토 인터럽트 등의 원점센서(330)를 이용하였으나 원점편(310) 대신 마그네트를 이용하고, 상기 원점센서(330)로 홀센서를 이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앞서 언급했었던 바와 같은 엔코더(저항값, 패턴 판독 등을 통한 방식)를 통한 절대위치 측정 수단을 원점체크유닛(300) 대신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는 원점체크유닛(300)을 사용했으나 홀센서와 마그네트를 이용한 변형 원점체크유닛이나 엔코더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경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들을 경통 위치 검출유닛이라 포괄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통 위치 검출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The origin check unit 300 is for checking the initial origin position when the camera system is initially started or when accurate positioning is required, and when the power supply / reset / initialization / position check is performed on the camera system. Rotating the barrel 3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an external controller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400 or a local controller added to the interface 400, and the origin piece 310 is interlocked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When the home sensor 330 detects it, it operates in a manner in which the home point is recogniz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lthough the origin piece 310 and the origin sensor 330 such as a photo interrupt for detecting the same are used, a magnet is used instead of the origin piece 310, and the hall sensor is used as the origin sensor 330. In addition, the absolute position measuring means through the encoder (resistance value, pattern reading, etc.)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in place of the origin check unit 300. That is, although the origin check unit 300 is us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various configuratio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arrel may be applied, such as the case of using a deformation origin check unit or an encoder using a hall sensor and a magnet. The structures are referred to as a barrel position detecting uni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such a barrel position detecting unit.

한편, 상기 원점편(310)에 의한 원점이 실제 카메라의 원점위치와 상이한 경우, 실제 카메라의 원점위치를 노브(118a, 118b)를 통한 수동 조작이나 모터(116a, 116b) 제어를 통해 맞춘 후 상기 리셋버튼(350)을 눌러 해당 위치가 실제 원점 위치임을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rigin by the origin piece 310 is different from the home position of the actual camera, after adjusting the home position of the actual camera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knobs (118a, 118b) or control the motor (116a, 116b) By pressing the reset button 350 can se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the actual home posi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수동이나 자동으로 조정 가능한 스윙유닛(1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경통(30)을 적절한 위치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카메라 본체(20)가 허공에 부유하는 상태이면서도 카메라(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회전 구동을 통해 카메라(10)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어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신속한 전환은 물론이고 원하는 각도로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피사체가 회전하는 영상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By using the swing unit 100 which can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body 20 floats in the air by supporting the barrel 30 of various sizes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 10 can be mounted stably, and the rotational drive can rotate the camera 10 to a desired angle, allowing quick switching between landscape and portrait modes as well as shooting a subject at a desired angle or rotating the subject.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obtain an image.

더불어, 이러한 스윙유닛(100)이 위치제어유닛(200)과 견고하게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위치제어유닛(200)에 의한 복수축 제어 시에도 위치 변경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여 촬영 영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wing unit 100 is directly and firmly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the vibration of the position change may be minimized even when controlling the multiple axes by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have.

한편, 상기 스윙유닛(100)에 카메라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연결 인터페이스(암나사)를 구성할 경우 기존의 위치제어유닛과도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기존의 위치제어유닛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여유가 있다면 기존의 카메라 리그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카메라 리그와의 호환성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configuring the connection interface (female screw) configured in the lower end of the camera to the swing unit 100 can be securely fastened with the existing position control unit in this case can use the existing position control unit as it is, If you can afford it, you can apply it to existing camera rigs, so you can expect compatibility with existing camera rigs.

도시된 실시예는 3D 수직 리그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스윙유닛(100)을 포함하는 위치제어유닛(200)은 3D 수평 리그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위치 제어를 필요로 하는 파노라마 카메라 시스템이나 360도 카메라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카메라 시스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가 적용될 경우 촬영 범위를 크게 확장할 수 있으며 모드 전환이 자유로워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촬영 선택이 극히 용이하게 되므로 다양한 각도의 영상이 필요한 분야(인화, 세로 모드 디스플레이 시스템(DID 등), 휴대형 재생 단말, 회전 가능한 모니터 등)에 대한 업계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Although the illustrat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using a 3D vertical rig as an example,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including the swing unit 100 is not only applicable to the 3D horizontal rig, but also requires position control of a plurality of cameras. It can be applied to a panoramic camera system or a 360 degree camera system. When 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such various camera systems, the shooting range can be greatly expanded, and the mode switching is free, so the selection of the horizontal mode and the vertical mode shooting is extremely easy. It is possible to meet the industry requirements for printing, portrait mode display systems (DID, etc.), portable playback terminals, rotatable monitors, and the lik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를 적용한 다른 카메라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한 카메라를 이용하는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윙유닛(100)과 위치제어유닛(200) 및 원점체크유닛(미도시)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8 shows another camera system to which the camera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And it can be seen that the origin check unit (not shown) can be easily configured.

상기 도 8의 구성은 단일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가 구성된 리그로, 이는 복수 카메라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연동 적용되어 전체 시스템에 대한 카메라 위치결정 기능을 확장해 줄 수 있다.
8 is a rig configured with a positioning device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single camera, which can be applied to a system using multiple cameras to extend the camera positioning function for the entire system.

도 9는 360도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360도 카메라 서포팅 시스템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360도 카메라 서포팅 시스템(500)은 피사체가 위치할 스테이지(530)를 다수의 카메라 서포터(510)가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카메라 서포터(510)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원하는 촬영 위치로 수평,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360 degree camera support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 360 degree camera system. The illustrated 360 degree camera supporting system 500 includes a stage 530 on which a subject is to be positioned. The camera supporter 510 is configured to enclose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to enabl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to a desired shooting position.

상기 각 카메라 서포터(510)의 상단에는 앞서 도 8에 도시한 단일 카메라 리그와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 리그 연결부(520)를 구비한다. The upper end of each camera supporter 510 is provided with a camera rig connecting portion 52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ingle camera rig shown in FIG.

상기 카메라 리그 연결부(520)에 도 8에 도시한 카메라 시스템을 연결하면 스테이지를 360도 전 방향에서 촬영할 수 있는 360도 카메라 시스템이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서포터(510)와 카메라 리그의 위치결정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위치와 자세를 일사불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 모드와 수평 모드의 전환이나 임의 각도에 대한 설정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를 이용하므로 기존에는 기대할 수 없었던 수직 화면용 촬영과 수평 화면용 촬영의 신속한 전환은 물론이고 피사체가 회전하는 효과나 뒤집어지는 효과 등도 대단히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camera system shown in FIG. 8 is connected to the camera rig connecting unit 520, a 360 degree camera system capable of capturing the stage from all directions in 360 degrees is constructed. It can be controlled remotely to adjust the camera position and posture to obtain the desired image. In particular, since 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switched between the vertical mode and the horizontal mode or set to an arbitrary angle,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screen shooting and the horizontal screen shooting that have not been previously expected can be In addition to the transition, the effect of rotating the subject and the flipping effect can be obtained very easily.

물론, 상기 카메라 리그 연결부(520)에는 도 2에 도시한 3D 카메라 리그를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360도 3D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화면 모드 전환이 가능한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the camera rig connection unit 52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3D camera rig shown in Figure 2,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asily build a system capable of switching various screen modes as a 360-degree 3D camera system.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 카메라 2 : X축노브
3 : 경통 4 : Y축노브
5 : 카메라본체 6 : Z축노브
7 : 위치제어유닛 8 : 롤각노브
9 : 틸트노브
A : 중심축
10 : 카메라 20 : 카메라본체
30 : 경통 32 : 렌즈
100 : 스윙유닛 110 : 스윙유닛
111 : 큰기어 112 : 웜힐
113 : 작은기어 114 : 웜축
116a, 116b :모터 118a, 118b : 노브
120 : 보조결합편 130 : 하우징
200 : 위치제어유닛 210 : X축노브
220 : Y축노브 230 : Z축노브
240 : 롤각노브 250 : 틸트노브
300 : 원점체크유닛 310 : 원점편
320 : 원점검출기 330 : 원점센서
340 : 송신부 350 : 리셋버튼
400 : 인터페이스 500 : 360도 카메라 서포팅 시스템
510 : 카메라 서포터 520 : 카메라 리그 연결부
530 : 스테이지
1: camera 2: zoom axis knob
3: barrel 4: pinch shaft knob
5: Camera main body 6: Z axis knob
7: Position control unit 8: Roll angle knob
9: tilt knob
A: Center axis
10: camera 20: camera body
30: barrel 32: lens
100: swing unit 110: swing unit
111: Big Gear 112: Worm Hill
113: small gear 114: worm shaft
116a, 116b: Motor 118a, 118b: Knob
120: auxiliary coupling piece 130: housing
200: Position control unit 210: X axis knob
220: Y axis knob 230: Z axis knob
240: roll angle knob 250: tilt knob
300: origin check unit 310: origin
320: home detector 330: home sensor
340: transmitting unit 350: reset button
400: Interface 500: 360 degree camera support system
510: camera supporter 520: camera rig connection
530: stage

Claims (10)

카메라(10)의 광학계가 구성되는 경통(30);
상기 경통(30)의 외측 일부에 체결되어 상기 경통(30)과 연결된 카메라 본체(20)를 부유 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경통(30)을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10)의 자세를 변경하는 스윙유닛(100);
상기 스윙유닛(100)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00); 및
상기 스윙유닛(100)과 연결되어 상기 스윙유닛(100)의 회전축과 다른 하나 이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스윙유닛(1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스윙유닛(10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카메라(10)의 자세를 변경하는 위치제어유닛(200)을 포함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A barrel 30 in which an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10 is configured;
The swing unit which is fastened to a part of the outer side of the barrel 30 to support the camera body 20 connected to the barrel 30 in a floating state, and rotates the barrel 30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amera 10. 100;
An interface 400 for controlling the swing unit 100; And
The camera 10 connected to the swing unit 100 and supported by the swing unit 10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wing unit 100 based on one or more axe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wing unit 100. Camera positioning device comprising a position control unit 200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100)의 회전에 따른 위치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400)에 전달하는 경통 위치 검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amera position detec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barrel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wing unit 100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to the interface (4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100)은,
상기 인터페이스(400)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경통(30)의 중심축(A)을 기준으로 상기 경통(30)을 회전시켜 상기 카메라(10)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동유닛(110);
상기 경통(30)과 상기 구동유닛(1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경통(30)과 상기 구동유닛(110)의 체결을 보조하는 슬리브(120); 및
상기 슬리브(120)와 상기 구동유닛(110)을 감싸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위치제어유닛(200)과 연결되는 하우징(130)을 포함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ng unit 100,
A driving unit 110 for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camera 10 by rotating the barrel 30 based on the central axis A of the barrel 30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400;
A sleeve 120 positioned between the barrel 30 and the driving unit 110 to assist the coupling of the barrel 30 and the driving unit 110; And
And a housing (130) configured to surround the sleeve (120) and the drive unit (110) and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20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경통(30) 외면의 한 부분을 상기 슬리브(120)를 매개로 감싸는 제1기어(112)와, 상기 제1기어(112)와 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112)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기어(114)와, 상기 제2기어(114)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6a)와, 상기 제2기어(114)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114)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노브(118a)를 포함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rive unit 110,
A first gear 112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30 via the sleeve 120 and a second gear connected to the first gear 112 to rotate the first gear 112. A knob connected to the gear 114, the motor 116a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gear 114, and the second gear 114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econd gear 114. A camera positioning device comprising 118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112)는,
웜힐이고,
상기 제2기어(114)는,
웜기어인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gear 112,
Worm Hill,
The second gear 114,
Worm gear camera position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 위치 검출유닛은 상기 스윙유닛의 회전 부분의 일부에 구성되는 원점 검출용 구조물; 및
상기 스윙유닛의 회전되지 않은 부분이나 인접 영역에 구성되어 상기 원점 검출용 구조물의 접근을 검출하는 원점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rrel position detecting unit may include an origin detecting structure configured at a portion of a rotating part of the swing unit; And
And an origin sensor configured at an unrotated portion or an adjacent area of the swing unit to detect an approach of the origin detection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400)는,
상기 스윙유닛(100)을 포함하는 위치결정유닛에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윙유닛(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 신호와 수신 신호를 외부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송수신하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face 400,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o a positioning unit including the swing unit 100, receiving a signal for an operating state of the swing unit 100,
Camera position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to an external wired or wireless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100)은 90°이상의 기 설정 범위 내에서 상기 카메라(10)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ng unit 100 is a camera positioning device for rotating the camera 1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90 °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100)은 복수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촬영하는 복수 카메라 시스템의 개별 카메라의 경통마다 연결되어 복수 카메라들의 촬영 모드를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로 전환시키는 카메라 위치결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ng unit 100 is connected to each barrel of the individual cameras of the multiple camera system to shoot while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to switch the shooting mode of the plurality of cameras to landscape mode and portrait mode.
KR1020120027839A 2012-03-19 2012-03-19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KR101322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39A KR101322481B1 (en) 2012-03-19 2012-03-19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839A KR101322481B1 (en) 2012-03-19 2012-03-19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62A KR20130106162A (en) 2013-09-27
KR101322481B1 true KR101322481B1 (en) 2013-10-29

Family

ID=4945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839A KR101322481B1 (en) 2012-03-19 2012-03-19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4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7913A (en) * 2019-02-01 2019-07-30 桂林智神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vertical shock absorption device
KR102300017B1 (en) 2020-04-24 2021-09-09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361496A (en) * 2022-07-29 2022-11-18 重庆七腾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inspection robot image recognition device
KR102638836B1 (en) * 2022-08-10 2024-02-22 (주)자이언트스텝 Studio structure for threer-dimensional sca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060B1 (en) * 1985-04-18 1990-12-17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Camera apparatus
JPH08321984A (en) * 1995-03-22 1996-12-03 Sony Corp Automatic tracking image pickup device
KR20010052642A (en) * 1998-06-11 2001-06-25 마이클 알. 쿠리 Device for rotatably positioning a camera or similar article about two orthogonal axes
JP2011099987A (en) 2009-11-06 2011-05-19 Nikon Corp Supporting device, optical apparatus, and camera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060B1 (en) * 1985-04-18 1990-12-17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Camera apparatus
JPH08321984A (en) * 1995-03-22 1996-12-03 Sony Corp Automatic tracking image pickup device
KR20010052642A (en) * 1998-06-11 2001-06-25 마이클 알. 쿠리 Device for rotatably positioning a camera or similar article about two orthogonal axes
JP2011099987A (en) 2009-11-06 2011-05-19 Nikon Corp Supporting device, optical apparatus, and camer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162A (en)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222B1 (en) Handheld stabilizer
US9458963B1 (en) 360-degree gimbal system
US9800786B1 (en) Shooting apparatus with stabilizer module
WO2018233330A1 (en) Pan-tilt and camera assembly having same
KR101322481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camera position
ITTO20110410A1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WITH CORRECTION AND INCLINATION MANAGEMENT
JP6380787B2 (en) IMAGING DEVICE, CAMERA, DISPLAY DEVICE, IMAGING METHOD,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155958B1 (en) Smart support device
EP3086016A1 (en) Motorized camera holder
CN105430131A (en) Angle adjustable camera assembly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W201913208A (en) Camera device
KR101082798B1 (en) A Photographing System For Self Camera
KR102399513B1 (en) Wide angle picturing device and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692879B2 (en)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WO2022077748A1 (en) Photography assistance structure and photography apparatus
US887394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JP2008070551A (en) Head-mounted display
JP2010141485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O2019205131A1 (en) Camera device
TWI695138B (en) Image capturing device
JP2015012550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WO2021102738A1 (en) Gimbal assembly having camera body integrated, and photographing device
JP2011257441A (en) Projector device
KR101711433B1 (en) Easily fixed on the ceiling and the floor panorama camera system using the pole
JP2009049854A (en) Compound-eye photograp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