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949B1 -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949B1
KR101321949B1 KR1020070031530A KR20070031530A KR101321949B1 KR 101321949 B1 KR101321949 B1 KR 101321949B1 KR 1020070031530 A KR1020070031530 A KR 1020070031530A KR 20070031530 A KR20070031530 A KR 20070031530A KR 101321949 B1 KR101321949 B1 KR 10132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tream
turbo
parity
adaptation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790A (ko
Inventor
유정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949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4Concatenated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는,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에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를 생성하는 어댑터부, 및 생성된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림(Turbo Stream)을 삽입하여 듀얼 전송 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을 생성하는 스터퍼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터보 스트림의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할 수 있다.
노멀 데이터, 터보 데이터, 듀얼 전송 스트림, 패리티, 적응 필드

Description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Dual transmission stream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ATSC VSB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패킷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로 입력되는 노멀 스트림의 패킷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서 생성되는 듀얼 전송 스트림의 패킷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서 생성되는 듀얼 전송 스트림의 패킷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110 : 어댑터부
120 : 터보 처리부 122 : RS 인코더
124 : 인터리버 126 : 듀플리케이터
130 : 스터퍼부
본 발명은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리티 부가 영역을 터보 스트림 전송 용도로 사용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방송 시스템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어 디지털 방송에 대한 다양한 규격이 발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국향 규격인 ATSC VSB 규격과, 유럽향 규격인 DVB-T 규격이 있다.
두 규격은 음성 압축 방식 및 채널 대역과 같은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나, 가장 크게는 ATSC VSB 규격은 단일 반송파 방식이고, DVB-T 규격은 다중 반송파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들 중 미국향 규격인 ATSC VSB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ATSC VSB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1개의 프레임은 2개의 필드로 구성되며, 1개의 필드는 첫 번째 세그먼트인 1개의 필드 동기신호 세그먼트(field sync segment)와 312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또한, 전송 스트림 내의 각 패킷에는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가 마련될 수 있다. 적응 필드란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필드를 의미한다. 적응 필드 내에는 사적인 용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라이빗 데이터(Private data) 필드, 임 의의 데이터 삽입을 위한 스터핑(Stuffing) 영역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송신기 측에서는 적응 필드 내에 부가기준신호(SRS: Supplementary Reference Singal, 이하 "SRS"라고 함)와 같은 기지(known)의 시퀀스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기 측에서 동기 및 등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ATSC VSB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패킷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312개의 패킷은 각각 1 바이트의 동기신호(SYNC), 3 바이트의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 PID), 및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로 이루어지며, 페이로드의 후단에는 20 바이트의 패리티(Parity)가 부가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패킷 중 하나의 패킷은 SRS와 함께 터보 스트림(Turbo stream)를 포함하고, 나머지 3개의 패킷은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패킷이 SRS 및 터보 스트림으로 모두 채워질 경우, 해당 패킷에는 노멀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때, 4개의 패킷에 부가되는 각각의 패리티는 모두 노멀 스트림용 페이로드를 위한 패리티이기 때문에, 해당 패킷에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는 의미가 없는 패리티가 된다. 이와 같이, 불필요하게 부가되어 있는 패리티는 전체적인 데이터 전송률을 떨어뜨릴 뿐, 패리티의 고유 기능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멀 스트림의 페이로드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을 이용하여 터보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듀 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는,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에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를 생성하는 어댑터부, 및 생성된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림(Turbo Stream)을 삽입하여 듀얼 전송 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을 생성하는 스터퍼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어댑터부는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의 전체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어댑터부는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의 일부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은 패리티 부가 영역의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터보 코딩을 수행하는 터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보 처리부는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RS 인코더, RS 인코딩된 터보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버, 및 인터리빙된 터보 스트림 내에 패리티 삽입 영역을 마련하여, 스터퍼부로 제공하는 듀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은,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에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 림(Turbo Stream)을 삽입하여 듀얼 전송 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의 전체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의 일부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은 패리티 부가 영역의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터보 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보 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는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RS 인코딩된 터보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인터리빙된 터보 스트림 내에 패리티 삽입 영역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100)는 어댑터부(adaptor part : 110), 터보 처리부(120), 및 스터퍼부(stuffer part : 130)를 포함한다.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100)는 방송 촬영 장치와 같은 외부 모듈 혹은 압축 처리 모듈(예를 들어, MPEG-2 모듈), 비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인코더와 같은 다양한 내부 모듈로부터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및 터보 스트림(Turbo stream)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노멀 스트림은 어댑터부(110)로 입력되고, 터보 스트림은 터보 처리부(120)로 입력된다.
어댑터부(110)는 노멀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노멀 스트림의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 영역 및 패리티(parity) 부가 영역에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를 생성한다.
어댑터부(110)는 노멀 스트림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어댑터부(110)는 노멀 스트림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에서 4개의 패킷 당 하나의 패킷에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어댑터부(110)는 노멀 스트림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의 전체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부(110)는 노멀 스트림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의 일부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어댑터부(110)에서 적응 필드가 생성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터보 처리부(120)는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터보 스트림의 터보 코딩을 수행한다. 여기서, 터보 스트림이란 소정의 압축 규격에 따라 압축하여 로버스트(robust)하게 처리된 데이터 스트림을 의미한다. 터보 처리부(120)는 RS 인코더(122), 인터리버(124), 및 듀플리케이터(126)를 포함할 수 있다.
RS 인코더(122)는 외부로부터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터보 스트림의 RS(Reed-Solomon) 인코딩을 수행한다. 즉, RS 인코더(122)는 동기신호, 헤더, 터보 스트림 영역으로 구성된 터보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때, 터보 스트림 패킷은 1 바 이트의 동기신호, 3 바이트의 헤더, 184 바이트의 터보 스트림을 포함하여 188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RS 인코더(122)는 터보 스트림 중 동기신호를 제거하고 터보 스트림 영역에 대한 패리티를 연산하여 20 바이트 크기의 패리티를 부가한다. 결과적으로, RS 인코더(122)에서 출력되는 터보 스트림의 일 패킷은 3 바이트의 헤더, 184 바이트의 터보 스트림, 20 바이트의 패리티를 포함하여 총 207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리버(124)는 RS 인코딩된 터보 스트림을 인터리빙하여 듀플리케이터(126)로 제공한다.
듀플리케이터(126)는 터보 스트림 내에 패리티를 삽입하기 위한 패리티 삽입 영역을 마련한 후, 패리티 삽입 영역이 마련된 터보 스트림을 스터퍼부(130)로 제공한다.
스터퍼부(130)는 어댑터부(110)에 의해 생성된 노멀 스트림 내의 적응 필드에 터보 처리부(120)에 의해 터보 코딩된 터보 스트림을 삽입하여, 듀얼 전송 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을 생성한다. 여기서, 듀얼 전송 스트림은 터보 스트림 및 노멀 스트림이 혼재하는 스트림을 의미한다.
스터퍼부(130)에서 생성된 듀얼 전송 스트림의 일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드를 포함하며, 각 필드는 복수개의 패킷으로 구성된다. 또한, 터보 스트림은 복수개의 패킷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듀얼 전송 스트림은 송신 장치(미도시)에 의해 랜덤화, 인코딩, 로버스트 처리, 동기 신호 먹싱, 및 변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수신 장치(미도시)로 송신된다.
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된 듀얼 전송 스트림을 처리하여 송신하는 구성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로 입력되는 노멀 스트림의 패킷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100)로 입력되는 노멀 스트림의 일 패킷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노멀 스트림의 패킷(200)은 동기신호(SYNC)(210), 헤더(220), 및 페이로드 영역(2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헤더(220)에는 전송 에러 지표(Transport Error Indicator), 페이로드 시작 지표(Payload Start Indicator), 전송 우선 순위(Transport Priority), 및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er : PID)가 포함될 수 있다.
노멀 스트림의 패킷(200)은 총 188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1 바이트는 동기신호(210), 3 바이트는 헤더(220), 184 바이트는 페이로드 영역(2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페이로드 영역(230)은 노멀 스트림 기록 영역으로 활용되며, 페이로드 영역(230)의 후단에는 20 바이트의 패리티 부가 영역(240)이 포함될 수 있다. 패리티 부가 영역(240)은 노멀 스트림에 대한 에러 정정을 위한 패리티가 삽입되는 영역이다.
도 3에 도시한 구조의 노멀 스트림의 패킷(200)이 입력되면, 어댑터부(110)는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전체 혹은 일부에 터보 스트림 삽입을 위한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 이후, 어댑터부(110)는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전체 혹은 일부에 적응 필드가 생성된 패킷을 스터퍼부(130)로 제공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서 생성되는 듀얼 전송 스트림의 패킷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어댑터부(110)는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전체 혹은 일부에 터보 스트림을 삽입하기 위한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 도 4에서는 어댑터부(110)에서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전체에 적응 필드를 생성하였을 경우에 스터퍼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듀얼 전송 스트림의 패킷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스터퍼부(13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나의 필드는 312개의 패킷(300)으로 이루어진다. 각 패킷(300)은 1 바이트의 동기신호(310), 3 바이트의 PID(320), 184 바이트의 노멀 스트림(330), 20 바이트의 패리티(340) 및 204 바이트의 SRS+터보 스트림(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4에 도시한 복수개의 패킷(300)은 노멀 스트림(330)와 SRS+터보 스트림(350)이 3:1의 비율로 반복 위치한다.
어댑터부(110)는 312개의 패킷에서 4개의 패킷 당 하나의 패킷에 적응 필드를 생성하고, 스터퍼부(130)에 의해 적응 필드에 SRS 및 터보 스트림이 부가되어 도 4에 도시한 형태의 패킷(300) 구조를 갖는다. 즉, 하나의 필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300)들은 노멀 스트림 및 터보 스트림이 1:3의 비율로 배치될 수 있다.
어댑터부(110)는 전체 패킷에서 4개의 패킷 당 하나의 패킷에 적응 필드를 생성하며, 적응 필드 생성시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전체에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SRS(Supplementary Reference Signal) 및 터보 스트림는 스터퍼부(130)에 의해 페이로드 영역(230)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 전체인 204 바이트에 모두 실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부(110)에서 페이로드 영역(230)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 전체에 적응 필드를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패킷에 SRS를 포함하는 터보 스트림이 더 많이 실릴 수 있다.
또한, 터보 스트림이 실리는 패킷의 후단의 패리티 부가 영역(240)에 부가되는 패리티는 노멀 스트림(330)에 대한 패리티이기 때문에, 수신 장치측에서 사용되지 않는 패리티이다. 그러므로, 터보 스트림(350)이 실리는 패킷의 패리티 부가 영역(240)을 터보 스트림이 부가되는 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에서 생성되는 듀얼 전송 스트림의 패킷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어댑터부(110)는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전체 혹은 일부에 터보 스트림을 삽입하기 위한 적응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어댑터부(110)에서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일부에 적응 필드를 생성한 예를 도시하였다.
어댑터부(110)는 필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에서 4개의 패킷 당 하나의 패 킷에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 이때, 어댑터부(110)는 해당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일부에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적응 필드 생성에 적용되는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일부는 총 20 바이트의 패리티 부가 영역(240) 중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10 바이트에 해당할 수 있다.
어댑터부(110)에서 해당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10 바이트에 적응 필드를 생성하면, 스터퍼부(130)에서는 어댑터부(110)에서 생성된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림을 부가한다.
도 4에서 예시한 패킷 구조에서는 20 바이트의 패리티 부가 영역(240) 전체에 터보 스트림이 부가됨에 따라, 하나의 패킷에 보다 많은 터보 스트림이 실릴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킷(300)에 패리티(34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수신 장치의 RS 디코더에서 해당 패킷의 PID(220) 값을 정정할 때 오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 장치의 RS 디코딩 과정에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패리티 부가 영역(240)에 RS 패리티로 인한 최대 정정능력인 10 바이트는 남겨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5에서는 터보 스트림(350')이 페이로드 영역(230)의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10 바이트에만 부가되는 상태를 예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터퍼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듀얼 전송 스트림을 구성하는 패킷(300')은 1 바이트의 동기신호(310'), 3 바이트의 PID(320'), 노멀 스트 림(330'), SRS+터보 스트림(350'), 및 20 혹은 x 바이트의 패리티(340')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패킷(300') 중 노멀 스트림에 해당하는 패킷의 후단에는 20 바이트의 패리티(340')가 부가되어 있으며, 터보 스트림에 해당하는 패킷의 후단에는 x 바이트의 패리티(340')가 부가되어 있다. 여기서, x는 0 내지 10 바이트일 수 있으나, 10 바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어댑터부(110)에서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적응 필드로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어댑터부(110)에서는 패리티 부가 영역(240)의 0 내지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적응 필드로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100)는 방송 촬영 장치와 같은 외부 모듈 혹은 압축 처리 모듈, 비디오 인코더, 및 오디오 인코더와 같은 다양한 내부 모듈로부터 노멀 스트림 및 터보 스트림을 수신한다(S400). 이때, 노멀 스트림은 어댑터부(110)로 입력되고, 터보 스트림은 터보 처리부(120)로 입력된다.
어댑터부(110)는 노멀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노멀 스트림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230)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에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 이때, 페이로드 영역(230)은 전체, 및 패리티 부가 영역(240)은 0 내지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적응 필드를 생성한다(S410).
터보 처리부(120)는 터보 스트림의 터보 코딩을 수행한다. 즉, 터보 스트림은 RS 인코더(122)에서 RS 인코딩되고, RS 인코딩된 터보 스트림은 인터리버(124)에서 인터리빙되며, 인터리빙된 터보 스트림에는 듀플리케이터(126)에서 패리티 삽입 영역을 마련된다(S420).
스터퍼부(130)는 어댑터부(110)로부터 적응 필드가 생성된 노멀 스트림을 입력받으며, 듀플리케이터(126)로부터 패리티 삽입 영역이 마련된 터보 스트림을 입력받는다. 스터퍼부(130)는 노멀 스트림 내에 생성된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림을 삽입한다(S430).
이후, 스터퍼부(130)는 노멀 스트림 내의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림이 부가된 즉, 노멀 스트림과 터보 스트림이 혼재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을 출력한다(S440).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듀얼 전송 스트림은 송신 장치를 통해 수신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듀얼 전송 스트림은 어댑터부(110)에서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위치에 따라 최대 20 바이트까지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은 노멀 스트림의 페이로드 영역뿐만 아니라 패리티 부가 영역의 전체 혹은 일부 영역에 터보 스트림를 부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최대 20 바이트까지 더 많은 데 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보 스트림이 부가된 패킷에 불필요하게 부가되는 패리티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에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를 생성하는 어댑터부; 및
    상기 생성된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림(Turbo Stream)을 삽입하여 듀얼 전송 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을 생성하는 스터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상기 패리티 부가 영역의 전체 영역에 상기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상기 패리티 부가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기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패리티 부가 영역의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 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터보 코딩을 수행하는 터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처리부는,
    상기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RS 인코더;
    상기 RS 인코딩된 터보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버; 및
    상기 인터리빙된 터보 스트림 내에 패리티 삽입 영역을 마련하여, 상기 스터퍼부로 제공하는 듀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7. 노멀 스트림(Normal Stream) 중 일부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 및 패리티 부가 영역에 적응 필드(Adaptation Fiel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응 필드에 터보 스트림(Turbo Stream)을 삽입하여 듀얼 전송 스트림(Dual Transport Stream)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상기 패리티 부가 영역의 전체 영역에 상기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전체 영역 및 상기 패리티 부가 영역의 일부 영역에 상기 적응 필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패리티 부가 영역의 10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터보 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보 스트림을 수신하여 RS 인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RS 인코딩된 터보 스트림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빙된 터보 스트림 내에 패리티 삽입 영역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방법.
KR1020070031530A 2007-03-30 2007-03-30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30A KR101321949B1 (ko) 2007-03-30 2007-03-30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530A KR101321949B1 (ko) 2007-03-30 2007-03-30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790A KR20080088790A (ko) 2008-10-06
KR101321949B1 true KR101321949B1 (ko) 2013-10-25

Family

ID=4015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530A KR101321949B1 (ko) 2007-03-30 2007-03-30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9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108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70008406A (ko) * 2005-07-13 200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3108A (ko) * 2005-03-24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방법
KR20070008406A (ko) * 2005-07-13 200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성능이 향상된 디지털 방송 송수신기 및 그의신호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790A (ko) 200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500B1 (ko) 디지털티브이의 브이에스비 통신시스템
KR100510679B1 (ko)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 및 부가 데이터 다중화 방법
KR100740210B1 (ko)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7760B1 (ko)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 방법, 및 데이터 구조
KR20020094426A (ko) 디지털 vsb 전송 시스템
US20080187040A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to transmit and receive avsb data, and processing methods thereof
JP2010004579A (ja) デュアル伝送ストリームの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CA2645533C (en) Transmission stream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ransmission stream which additional data is stuffed in a payload area of a packet, digital broadcast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the transmission stream, and methods thereof
KR101321949B1 (ko)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740226B1 (ko)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012373B1 (ko) Enhanced-8VSB 전송 시스템의 부가 데이터처리장치 및 방법
JP2009513057A (ja) デュアル送信ストリーム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WO2008140260A1 (en)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es and methods thereof
KR20060055494A (ko)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69393B1 (ko) 디지털 송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1186B1 (ko) 듀얼 전송 스트림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908065B1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20090014235A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20090014412A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JP2008193484A (ja) Ts伝送システム、その送信側装置、及び受信側装置、並びにts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