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595B1 -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595B1
KR101321595B1 KR1020130078811A KR20130078811A KR101321595B1 KR 101321595 B1 KR101321595 B1 KR 101321595B1 KR 1020130078811 A KR1020130078811 A KR 1020130078811A KR 20130078811 A KR20130078811 A KR 20130078811A KR 101321595 B1 KR101321595 B1 KR 10132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wave
module
sensing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권
전형섭
Original Assignee
(주)올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포랜드 filed Critical (주)올포랜드
Priority to KR1020130078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89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장치의 앵커가 신속히 이탈되도록 한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으로 감지장치는 하우징 아래에 연결을 위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결대를 구비하고, 연결대의 종단에는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원형상의 원형추를 구비하며; 원형추를 감싸거나 벌어져서 개폐시키는 3조각의 개폐척이 상단에 구성되고, 하단 외경에는 체결을 위한 수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개폐수단이 구비되며; 상승하면 개폐수단이 잠궈지고, 하강하면 개폐수단이 해제되도록 개폐수단의 둘레에 끼워진 도넛 형상의 가이드링이 구비되며; 가이드링을 아래에서 지지하다가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면 가이드링으로부터 가해진 압력 때문에 수축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개폐수단의 수나사에 대응되도록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저면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수중에 투하시 해저면에 박히도록 설계된 앵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Amending system of new measuring data with audio signal for numeric map}
본 발명은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감지장치 구조가 해저지형의 급격한 변화를 읽을 수 있도록 개선하고, 감지장치의 앵커가 신속히 이탈되도록 한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등록번호 제10-0950973호(2010.03.26.) "음향탐사 방식을 이용한 해저면의 정밀 관측 및 기존정보 갱신용 해저면 정보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해수면과의 결속을 위해 돌출된 다수의 걸림부(113)가 저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콘크리트 재질의 앵커(110); 앵커(110)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대(111); 앵커(110)의 상면에 위치하는 고정대(111)의 일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112); 힌지(12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속되어 집게기능을 하도록 절첩되면서 고정돌기(112)와 탈부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한 쌍의 구속대(121)와, 한 쌍의 구속대(121) 중 하나에 탑재되는 전자석(123)과, 한 쌍의 구속대(121) 중 다른 하나에 탑재되어 전자석(123)의 자력에 대응하는 자화체(124)와, 고정돌기(112)와 접하는 구속대(121)의 일면에 구비되어 고정돌기(112)와 구속대(121) 간의 결속력을 높이는 탄성체(125)를 구비한 그립퍼(120); 기밀처리된 부력탱크(131)를 중공에 형성하고, 평평한 면을 이루는 덮개(133)로 부력탱크(131)를 폐구하면서 상면을 이루며, 힌지(122)를 매개로 그립퍼(12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130); 일정 주파수로 진동하면서 음파를 발사하고, 덮개(133)의 상면에 배치되는 음파생성수단(140); 음파생성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며, 하우징(130)의 부력탱크(131)에 탑재되는 컨트롤러(150); 그립퍼(120),음파생성수단(140),컨트롤러(15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충전해 공급하며, 하우징(130)의 부력탱크(131)에 탑재되는 배터리(160)로 이루어진 감지장치(100)와, 음파생성수단(140)으로부터 발사되는 음파와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발사하는 발신모듈(210)과, 발신모듈(210) 및 감지장치(100)에서 발사한 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모듈(220)로 이루어진 음파탐지기(200)와, 음파탐지기(200)가 수신한 감지장치(100) 및 발신모듈(210)의 각 음파 정보를 확인하고, 탐사선(S)의 GPS 위치를 기준으로 연산해서 해저면에 대한 위치정보인 수치데이터를 확인하는 정보처리모듈(310); 정보처리모듈(310)에서 확인된 수치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정보DB(320); 수치데이터에 따라 해저면을 이미지로 도시하는 도화모듈(330); 해저면 지형에 대한 도화 이미지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형정보DB(350); 도화된 이미지에 GPS 정보를 링크시켜서 지형정보를 완성하고 지형정보DB(350)에 저장된 기존 지형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갱신모듈(340)로 이루어진 관리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이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950973호(2010.03.26.) "음향탐사 방식을 이용한 해저면의 정밀 관측 및 기존정보 갱신용 해저면 정보 관리시스템"
그러나, 종래의 감지장치의 앵커가 급격한 경사도를 가진 해저 지면에 도달할 경우에는 체결 구조적 문제로 인해서 앵커가 신속히 이탈되지 못하여 감지장치가 회수되지 못하거나 회수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앵커가 급격한 경사도를 가진 해저 지면에 도달할 경우에는 앵커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서 인접한 낮은 지대의 해저 지면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정확한 해저지형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급격한 경사도를 가지더라도 당초 기대한 해저 지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앵커의 착지구조를 개선하고, 착지 후에는 신속히 감지장치와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파를 발사하는 발신모듈(210)과, 발신모듈(210)에서 발사한 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모듈(220)로 이루어진 음파탐지기(200): 및 음파탐지기(200)가 수신한 발신모듈(210)의 음파 정보를 확인하고, 탐사선(S)의 GPS 위치를 기준으로 연산해서 해저면에 대한 위치정보인 수치데이터를 확인하는 정보처리모듈(310); 정보처리모듈(310)에서 확인된 수치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정보DB(320); 수치데이터에 따라 해저면을 이미지로 도시하는 도화모듈(330); 해저면 지형에 대한 도화 이미지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형정보DB(350); 도화된 이미지에 GPS 정보를 링크시켜서 지형정보를 완성하고 지형정보DB(350)에 저장된 기존 지형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갱신모듈(340)로 이루어진 관리장치(300): 앵커(110); 기밀처리된 부력탱크(131)를 중공에 형성하고, 평평한 면을 이루는 덮개(133)로 부력탱크(131)를 폐구하면서 상면을 이루며, 하우징(130); 일정 주파수로 진동하면서 음파를 발사하고, 덮개(133)의 상면에 배치되는 음파생성수단(140); 음파생성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며, 하우징(130)의 부력탱크(131)에 탑재되는 컨트롤러(150); 그립퍼(120),음파생성수단(140),컨트롤러(15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충전해 공급하며, 하우징(130)의 부력탱크(131)에 탑재되는 배터리(160)로 이루어진 감지장치(100): 상기 발신모듈(210)은 음파생성수단(140)으로부터 발사되는 음파와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발사하며: 상기 수신모듈(220)은 발신모듈(210)에서 발사한 음파와 더불어 감지장치(100)에서 발사한 음파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처리모듈(310)은 음파탐지기(200)의 수신모듈(220)이 수신한 발신모듈(210)과 더불어 감지장치(110)의 각 음파 정보를 확인하는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에 적용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하우징(130) 아래에 연결을 위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결대(501)를 구비하고, 연결대(501)의 종단에는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원형상의 원형추(502)를 구비하며; 상기 원형추(502)를 감싸거나 벌어져서 개폐시키는 3조각의 개폐척(503)이 상단에 구성되고, 하단 외경에는 체결을 위한 수나사(505)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개폐수단(504)이 구비되며; 상승하면 상기 개폐수단(504)이 잠궈지고, 하강하면 상기 개폐수단(504)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수단(504)의 둘레에 끼워진 도넛 형상의 가이드링(506)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506)을 아래에서 지지하다가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가이드링(506)으로부터 가해진 압력 때문에 수축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507)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수단(504)의 수나사(505)에 대응되도록 내경에 암나사(508)가 형성되고 저면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수중에 투하시 해저면에 박히도록 설계된 앵커(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급격한 경사도를 가지더라도 당초 기대한 해저 지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앵커의 착지구조를 개선하고, 착지 후에는 신속히 감지장치와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갱신시스템을 통한 해저면 관측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갱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지형갱신시스템을 통해 확보한 해저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되,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조인 감지장치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고, 인접한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30) 아래에 연결을 위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결대(501)를 구비하고, 연결대(501)의 종단에는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원형상의 원형추(502)를 구비한다.
상기 원형추(502)를 감싸거나 벌어져서 개폐시키는 3조각의 개폐척(503)이 상단에 구성되고, 하단 외경에는 체결을 위한 수나사(505)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개폐수단(504)이 구비된다.
개폐척(503)은 필요에 의하여 3 조각 이상이며 4 조각 내지 8 조각의 범위에서 선택된 숫자로 구성할 수 있다.
상승하면 상기 개폐수단(504)이 잠궈지고, 하강하면 상기 개폐수단(504)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수단(504)의 둘레에 끼워진 도넛 형상의 가이드링(506)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링(506)을 아래에서 지지하다가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가이드링(506)으로부터 가해진 압력 때문에 수축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507)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504)의 수나사(505)에 대응되도록 내경에 암나사(508)가 형성되고 저면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수중에 투하시 해저면에 박히도록 설계된 앵커(110)가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면으로 감지장치(100)가 투입된 후, 해저면에 앵커(110)가 접촉하면 일정한 충격이 감지장치(100)로 전해지고, 이로인해 가이드링(506)이 내려가면서 개폐척(503)이 벌어지면서 원형추(502)가 이탈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물속에서 진행되므로 매우 천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저면의 지형정보를 통신으로 주고받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앵커(110)만 해저면에 박힌 채로 남고, 감지장치(100)만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면서 재활용 가능하도록 자동 수거된다.
이러한 감지장치(100) 구성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해저지형정보갱신시스템으로 기능하게 되는데, 다른 구성요소는 등록특허 10-0950973호의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
해저면에 분산 배치되는 다수의 감지장치(100, 100', 100"; 본 명세서에서는 '100'으로 칭함)와, 자체적으로 발사한 음파와 감지장치(100)로부터 발사된 음파를 수신해서 해저면의 지형정보 확인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음파탐지기(200)와, 음파탐지기(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하고 탐사선(S)에 설치되는 관리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장치(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탐사선(S)으로부터 투출된 후 잠수해 해저면에 무작위로 분산 배치되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음파발사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음파탐지기(200)가 수신할 수 있는 일정 주파수의 음파를 지속적으로 발사하게 된다.
상기 음파탐지기(200)는 공지,공용기구인 '소나'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음파를 생성 및 발사하는 발신모듈(210)과, 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모듈(220)을 포함한다. 이때, 발신모듈(210)로부터 발신되는 음파의 주파수와 감지장치(100)로부터 발신되는 음파의 주파수는 그 식별을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물론, 감지장치(100)는 다른 감지장치들과의 식별을 위해 감지장치(100) 별로 고유한 주파수대의 음파를 발사할 것이다.
음파탐지기(200)의 상세한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음파탐지기(200)의 설계 및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관리장치(300)는 탐사선(S)에 설치되어서, 음파탐지기(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확인해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정보처리를 위한 정보처리모듈(310)과, 처리된 위치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위치정보DB(320)와, 정보처리모듈(310)에서 처리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저면의 지형을 도화 처리하는 도화모듈(330)과, 도화 처리된 해저면 정보에 수치정보를 합성해서 기존 해저면 지형정보를 갱신하는 갱신모듈(340)과, 갱신된 해저면 지형정보를 저장하는 지형정보DB(350)를 포함한다.
정보처리모듈(310)은 감지장치(100)로부터 발사된 음파의 세기를 확인해서 음파탐지기(200)로부터 감지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연산한다. 이때, 감지장치(100)로부터 발사된 음파는 해저면에 대한 반사파가 아닌 감지장치(100)로부터 직접 발사된 것이므로, 음파탐지기(200)가 감지하는 반사파의 정확성은 매우 높다.
따라서, 정보처리모듈(3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장치(100)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모듈(310)은 탐사선(S)의 위치를 GPS를 통해 확인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감지장치(100)의 위치를 높은 신뢰도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음파탐지기(200)는 발신모듈(210)로부터 발사된 음파에 대한 반사파를 수신모듈(220)에서 수신하고, 그 수집정보를 정보처리모듈(310)로 전송한다. 물론, 정보처리모듈(310)은 당해 수집정보를 확인해서 감지장치(100)가 분산배치된 해저면의 표면정보를 연산한다
음파탐지기(200)에서 자체적으로 발사된 음파에 의한 수집정보는 감지장치(100)에 의한 수집정보에 보조정보로 활용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장치(100)에 의한 수집정보는 매끄러운 해저면의 모습이 아닌 절곡된 지형모습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조정보가 필요한 것이다.
위치정보DB(320)는 정보처리모듈(310)에서 처리된 최종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감지장치(100)에 의한 수집정보와 음파탐지기(200) 자체에 의한 수집정보가 정보처리모듈(310)에서 연산처리된 수치데이터로, GPS 정보와 링크되어 위치정보DB(320)에 기록될 수 있다.
도화모듈(330)은 정보처리모듈(310)에서 처리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저면의 지형적/지리적 형상을 도화하는 것으로, 3차원 도화처리를 통해 해저면의 입체적인 모습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갱신모듈(340)은 도화된 해저면의 지형이미지에 GPS 정보를 적용해서 해저면의 지형정보를 완성하는 것으로, 해당 해저면에 대한 기존 지형정보가 존재할 경우엔 새롭게 완성된 지형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지형정보DB(350)는 갱신모듈(340)에서 완성 및 갱신된 지형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지형정보DB(350)에 기록된 지형정보는 잠수함 등과 같은 이동식 해양장비를 이용해서 해저탐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해양시추 및 광물채취 등의 위치확인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100)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의 상면에 배치되는 음파생성수단(140)과, 음파생성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0)와, 음파생성수단(140) 및 컨트롤러(15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60)를 포함한다.
앵커(110)는 감지장치(100)가 수중으로 잠수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밀도와 하중을 갖는 부재로,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앵커(110)는 감지장치(100)의 부상시 해저면에 잔존하므로, 각종 어패류 등의 서식에 용이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고려해 다공성 콘크리트와 같이 내측에 다양한 공간이 형성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기밀처리된 중공인 부력탱크(131)를 갖는 함체로, 부력탱크(131)에는 공기의 충진은 물론 음파생성수단(140), 컨트롤러(150) 및 배터리(160) 등이 내설된다. 물론, 부력탱크(131)는 기밀 및 방수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자장비는 침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하우징(130)은 감지장치(100)의 잠수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깔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하우징(130)의 형상은 고깔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탱크(131)는 공기가 채워지면서 감지장치(100)의 부상을 위한 충분한 부력을 갖는다. 하지만, 감지장치(100)의 부상은 앵커(110)와의 분리 후 이루어지므로, 부력탱크(131)가 갖는 부력은 앵커(110)의 부상을 위해서는 충분치 않으나, 앵커(110)가 분리될 시에는 수상으로 부상할 수 있는 충분한 부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하우징(130)은 그 상면에 음파의 발사를 위한 음파생성수단(140)이 배치되므로, 평평한 면을 이루어야 하고, 부력탱크(131) 내에 탑재된 컨트롤러(150) 및 배터리(160) 등의 관리를 위해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130)은 개폐가능한 평판형상의 덮개(133)가 하우징(130)의 상면을 이루도록 하였다. 여기서 덮개(133)의 개폐구조는 스크류방식 또는 압입방식 등과 같이 방수기능을 전제할 수 있는 구조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음파생성수단(140)은 음파를 발생시켜서 음파탐지기(200)가 고유한 주파수대의 음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진동판을 강제로 진동시키는 방식이 실질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150)는 음파생성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특정 주파수대의 음파가 발생되도록 전력공급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감지장치(100)가 위치할 지점의 예상수심 또는 해수의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관측환경 및 조건에 따라 음파생성수단(140)이 발사하는 음파의 주파수를 컨트롤러(150)를 통해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배터리(160)는 음파생성수단(140) 및 컨트롤러(15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반 배터리와 충전식 배터리 등 일정한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분없이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501 ; 연결대 502 ; 원형추
503 ; 개폐척 504 ; 개폐수단
505 ; 수나사 506 ; 가이드링
507 ; 탄성부재 508 ; 암나사
110 ; 앵커

Claims (1)

  1. 음파를 발사하는 발신모듈(210)과 상기 발신모듈(210)에서 발사한 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모듈(220)로 이루어진 음파탐지기(200): 및 상기 음파탐지기(200)가 수신한 상기 발신모듈(210)의 음파 정보를 확인하고, 탐사선(S)의 GPS 위치를 기준으로 연산해서 해저면에 대한 위치정보인 수치데이터를 확인하는 정보처리모듈(310); 상기 정보처리모듈(310)에서 확인된 수치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정보DB(320); 수치데이터에 따라 해저면을 이미지로 도시하는 도화모듈(330); 해저면 지형에 대한 도화 이미지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형정보DB(350); 도화된 이미지에 GPS 정보를 링크시켜서 지형정보를 완성하고 지형정보DB(350)에 저장된 기존 지형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갱신모듈(340)로 이루어진 관리장치(300): 앵커(110); 기밀처리된 부력탱크(131)를 중공에 형성하고, 평평한 면을 이루는 덮개(133)로 상기 부력탱크(131)를 폐구하면서 상면을 이루는 하우징(130); 일정 주파수로 진동하면서 음파를 발사하고 상기 덮개(133)의 상면에 배치되는 음파생성수단(140); 상기 음파생성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하우징(130)의 부력탱크(131)에 탑재되는 컨트롤러(150); 그립퍼(120), 상기 음파생성수단(140), 상기 컨트롤러(15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충전해 공급하며 상기 하우징(130)의 부력탱크(131)에 탑재되는 배터리(160)로 이루어진 감지장치(100): 상기 발신모듈(210)은 상기 음파생성수단(140)으로부터 발사되는 음파와 다른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발사하며: 상기 수신모듈(220)은 발신모듈(210)에서 발사한 음파와 더불어 상기 감지장치(100)에서 발사한 음파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처리모듈(310)은 음파탐지기(200)의 수신모듈(220)이 수신한 상기 발신모듈(210)의 음파와 더불어 상기 감지장치(100)의 각 음파 정보를 확인하는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30) 아래에 연결을 위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결대(50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501)의 종단에는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원형상의 원형추(502)를 구비하며;
    상기 원형추(502)를 감싸거나 벌어져서 개폐시키는 3조각의 개폐척(503)이 상단에 구성되고, 하단 외경에는 체결을 위한 수나사(505)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개폐수단(504)이 구비되며;
    상승하면 상기 개폐수단(504)이 잠궈지고, 하강하면 상기 개폐수단(504)이 해제되도록 상기 개폐수단(504)의 둘레에 끼워진 도넛 형상의 가이드링(506)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링(506)을 아래에서 지지하다가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가이드링(506)으로부터 가해진 압력 때문에 수축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507)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수단(504)의 수나사(505)에 대응되도록 내경에 암나사(508)가 형성되고 저면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수중에 투하시 해저면에 박히도록 설계된 앵커(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KR1020130078811A 2013-07-05 2013-07-05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KR10132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11A KR101321595B1 (ko) 2013-07-05 2013-07-05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11A KR101321595B1 (ko) 2013-07-05 2013-07-05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595B1 true KR101321595B1 (ko) 2013-10-28

Family

ID=4963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811A KR101321595B1 (ko) 2013-07-05 2013-07-05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5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63B1 (ko) * 2018-01-24 2018-07-10 한국해양개발(주) Gis를 기반으로 하는 해양정보 시스템
KR101942823B1 (ko) * 2018-11-13 2019-01-30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음향탐사에 의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KR20190104721A (ko) * 2018-03-02 2019-09-1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투하식 위치 안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70B1 (ko) 2009-04-30 2010-04-02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해저지형 변화에 따른 해양수로의 변형률 측량 및 수로지형정보 확인시스템
KR100950973B1 (ko) 2009-04-30 2010-04-02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음향탐사 방식을 이용한 해저면의 정밀 관측 및 기존정보 갱신용 해저면 정보 관리시스템
KR100950979B1 (ko) 2009-04-30 2010-04-07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해저면의 지형 및 지형변화 측정을 위한 소나 탑재형 관측시스템
KR20110127918A (ko) * 2010-05-20 2011-11-28 (주)미래세움 음향 측심법 연출장치 및 연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70B1 (ko) 2009-04-30 2010-04-02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해저지형 변화에 따른 해양수로의 변형률 측량 및 수로지형정보 확인시스템
KR100950973B1 (ko) 2009-04-30 2010-04-02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음향탐사 방식을 이용한 해저면의 정밀 관측 및 기존정보 갱신용 해저면 정보 관리시스템
KR100950979B1 (ko) 2009-04-30 2010-04-07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해저면의 지형 및 지형변화 측정을 위한 소나 탑재형 관측시스템
KR20110127918A (ko) * 2010-05-20 2011-11-28 (주)미래세움 음향 측심법 연출장치 및 연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63B1 (ko) * 2018-01-24 2018-07-10 한국해양개발(주) Gis를 기반으로 하는 해양정보 시스템
KR20190104721A (ko) * 2018-03-02 2019-09-1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투하식 위치 안내장치
KR102107440B1 (ko) * 2018-03-02 2020-05-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투하식 위치 안내장치
KR101942823B1 (ko) * 2018-11-13 2019-01-30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음향탐사에 의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6002B2 (en) Water submersible electronics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779646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eabed data acquisition
KR101048528B1 (ko) 해저 탐사장치 및 탐사방법
US9030919B2 (en) Combined broadband ocean bottom seismograph with single glass sphere
US10132949B2 (en) Single vessel range navigation and positioning of an ocean bottom seismic node
US10514473B2 (en) Seabed coupling plate for an ocean bottom seismic node
KR100950973B1 (ko) 음향탐사 방식을 이용한 해저면의 정밀 관측 및 기존정보 갱신용 해저면 정보 관리시스템
KR101899293B1 (ko) 해저 관측지형의 입체이미지 자동 출력방식을 갖춘 해양 전용 지형탐사시스템
US96513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hysical phenomena in an open water environment
KR101876563B1 (ko) Gis를 기반으로 하는 해양정보 시스템
US10488540B2 (en) Ocean sensor system
BRPI0610691A2 (pt) método para adquirir dados sìsmicos em uma pluralidade de posições dispersas sobre uma zona no fundo do mar, equipamento de guia destinado a dirigir uma unidade de aquisição sìsmica no sentido de uma posição alvo localizado sobre o fundo do mar e equipamento e sistema para aquisição sìsmica do fundo do mar
EP3776009B1 (en) Systems and methods to locate seismic data acquisition units
KR101321595B1 (ko) 음향탐사를 통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확인 및 해저지형 정보 갱신시스템
KR100950970B1 (ko) 해저지형 변화에 따른 해양수로의 변형률 측량 및 수로지형정보 확인시스템
KR100950979B1 (ko) 해저면의 지형 및 지형변화 측정을 위한 소나 탑재형 관측시스템
JP2006501458A (ja) 海底水中聴音器と地震計
US8269500B2 (en) Geophysical measurement device for natural soil resource exploration in aquatic environment
GB2504685A (en) Environmental survey apparatus incorporating a buoy and mooring mounted sensors
US20210405237A1 (en) Seismic data acquisition unit apparatus and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KR101883488B1 (ko) 해저 지형 변화에 의한 수로의 변형률 측량 시스템
KR101313871B1 (ko) 음향 탐사에 의한 해수로의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KR101340433B1 (ko) 해저 바닥면의 고저 변화 관측을 통한 해양지형정보 보정시스템
KR101336676B1 (ko) 해수에 의한 퇴적 및 침식에 의한 해저면의 굴곡변화와 지형변화를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지형확인 시스템
US2545179A (en) Submarine marker with sonic signal gene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