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310B1 - 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 Google Patents

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310B1
KR101321310B1 KR1020110089196A KR20110089196A KR101321310B1 KR 101321310 B1 KR101321310 B1 KR 101321310B1 KR 1020110089196 A KR1020110089196 A KR 1020110089196A KR 20110089196 A KR20110089196 A KR 20110089196A KR 101321310 B1 KR101321310 B1 KR 10132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fine fuel
tube
cha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6625A (en
Inventor
손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
(주)원진월드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 (주)원진월드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
Priority to KR102011008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3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2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6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3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3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 F23B3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7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cyclon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40Intercepting solids by cycl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분연료의 완전연소를 구현할 수 있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상하로 연장된 중공 형상의 연소실 하우징;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미분연료가 회전하면서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관; 및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관 및 상기 연소실 하우징에서 연소된 후 발생한 재를 상기 연소실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재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that can realize complete combustion of fine fuel.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ombustion chamber housing extending vertically; A combustion tube provid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fine fuel is burned while rotating; And a re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under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discharging ash generated after the combustion pipe and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Description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본 발명은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분화된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that improves combustion efficiency of finely divided fuel.

최근 들어 석유 가격이 폭등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석유 에너지의 위기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석유의 대체 원료가 부족하고 대다수의 산업이 석유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석유가 개발되기 이전의 주요 연료였던 석탄은 석유에 비교할 때 발열량이 떨어지고 착화시간도 길며 수송도 불편한 등의 단점이 존재하여, 현재는 산업용 발전소 등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는 에너지원으로 취급받고 있는 실정이다.Oil prices have soared in recent years, suggesting that the global energy crisis is spreading. This is because the alternative sources of petroleum are insufficient and the majority of industries depend on oil. Coal, which was the main fuel before the development of petroleum, has the disadvantages of low calorific value, long ignition time and in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compared to petroleum, and it is currently being treated as an energy source used only for limited use such as industrial power plants .

이러한 석탄을 낮은 입도를 가지도록 미세화된 미분탄의 형태로 활용하려는 연구는 지속되고 있으며, 예컨대 가스버너에 미분탄을 공급하면서 연소시키는 방안, 혹은 전기로 내부에 미분탄을 분사하여 연소시키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미분탄 외에 바이오매스(Biomass; 생물체를 열분해시키거나 발효시켜 제조한 연료)를 미세화된 미분 형태로 제조하여 연료료 사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Research into the use of coal in the form of finely divided coal to have a low particle size has been continued, and for example, a method of burning while supplying pulverized coal to a gas burner, or a method of injecting pulverized coal into an electric furnace and burning it, has been studied. . In addition to the pulverized coal, biomass (fuel produced by thermal decomposition or fermentation of biomass) is manufactured into finely divided fine powder to use fuel materials.

그런데 이러한 미분연료를 연소시키는 장치에서, 미분석탄 또는 바이오매스 등을 혼합한 미분연료에 대한 종래의 연소부의 형태는 연소부(챔버) 내가 중공 형태로 비어 있는 장치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연소부 전체를 가열하여 적정 연소분위기 조성까지 이르는 초기가열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연소부 내로 공기와 함께 혼합되어 공급된 연료는 중공 상태의 연소부 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너무 짧음에 따라 제대로 연소되지 않아, 연소부의 온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여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미분연료가 불완전 연소상태의 화염과 바로 빠져나감에 따라 연료 손실이 크고 불완전연소로 인하여 환경오염물질도 다량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apparatus for combusting such fine fuel, the type of the conventional combustion unit for the fine fuel mixed with the analyte coal or biomass is mostly the apparatus in which the combustion unit (chamber) is hollow in the hollow form. As a result, the initial heating time of heating the entire combustion section to the proper combustion atmosphere is excessively consumed, and the fuel supplied by mixing with the air into the combustion section is burned properly as the time to stay in the hollow combustion section is too sh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omplete combustion is not maintained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unit is not maintained in a constant state. In addition, as the fine fuel exits the flame in an incomplete combustion state, a large amount of fuel is lost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also generated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분연료를 완전연소에 가깝게 연소시켜 연소효율을 증가시키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to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by burning the fine fuel close to complete combus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로 연장된 중공 형상의 연소실 하우징;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미분연료가 회전하면서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관; 및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관 및 상기 연소실 하우징에서 연소된 후 발생한 재를 상기 연소실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재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of the hollow shape extending up and down; A combustion tube provid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fine fuel is burned while rotating; And a re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under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discharging ash generated after the combustion pipe and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나아가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의 화염 및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further comprises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ame and high temperature heat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재 처리장치가 구비되며, 원뿔 형상인 사이클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ical cyclone.

또한 상기 재 처리장치는: 상기 연소실 하우징에서 발생한 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h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veyor for moving ash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conveyor.

아울러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단면은 타원형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is preferably oval or circular.

나아가 상기 연소관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미분연료가 공급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하측 내부로 연장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combustion tube, the inlet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he fine fuel is supplied; And an outle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let and extending into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소관에서 하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구; 및 상기 연소관에서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port formed toward the lower portion in the combustion tube;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outlet formed toward the top in the combustion tube.

또한 상기 연소관은, 일측 방향으로 굴곡된 제 1 굴곡부; 및 상기 제 1 굴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제 2 굴곡부를 포함하여, W자 혹은 S자 연속 형태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tube, the first bent portion bent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that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and preferably extends in a W or S shape.

아울러 상기 제 1 굴곡부 및 제 2 굴곡부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나아가 상기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 사이에 구비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저항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sistance plate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또한 상기 연소관은: 소정 지름을 가진 내측 원판; 상기 내측 원판의 외측에 위치하며 소정 지름을 가진 외측 원판; 및 상기 내측 원판 및 외측 원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나선 판 형상으로 설치된 나선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bustion tube further comprises: an inner disc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 outer disk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disk and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spiral guide installed in a spiral plate shape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disc and the outer disc.

아울러 상기 연소관 상부에 위치하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ㄱ자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tu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shaped inlet formed in the 'b' shape.

나아가 상기 연소관은 스프링 형상으로 꼬인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combustion tube preferably includes a bent portion twisted in a spring shape.

그리고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관의 무게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upport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combustion tube.

또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상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의 화염 및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is provided toward the top, and may further include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ame and high temperature heat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유출구는,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부; 및 상기 하부 연장부에 다수 구비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let, the lower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interior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lower extension.

나아가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미분연료 공급관 및 예비연료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e fuel supply pipe and a preliminary fuel supply pip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그리고 상기 미분연료 공급관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부를 감싸며 형성된 나선관; 및 상기 나선관의 단부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연장된 ㄱ자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ine fuel supply pipe, the spiral tube formed to surround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it may further comprise an a-shaped tube extending in the 'b' shape from the end of the spiral tube.

또한 상기 미분연료 공급관 및 상기 ㄱ자 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U자 형상으로 굴곡되는 철망 형태의 저항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소관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수직관 및 제 2 수직관; 상기 제 1 수직관 및 상기 제 2 수직관 사이에 구비되는 곡선 형상의 곡선 수평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수직관은 상기 ㄱ자 관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ovided adjacent to the fine fuel supply pipe and the L-shaped tube, and further comprises a resistance plate of a wire mesh shape bent in a U-shape, the combustion tube, the first vertical tub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A second vertical tube; It may include a curved horizontal tube of a curved shape provid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tube and the second vertical tube, the second vertical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adjacent to the L-shaped tube.

본 발명의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1) 미분연료 연소를 위한 초기 가열면적이 축소됨에 따라, 가열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빠른 시간 내에 연소 분위기를 조성하고, 초기 가열수단인 유류나 가스 혹은 전기의 사용량을 최소화함에 따라 연료사용비용 절감하는 효과,(1) As the initial heating area for fine fuel combustion is reduced, the heating time is greatly shortened to create a combustion atmosphere in a short time, and the fuel usage cost is reduced by minimizing the use of oil, gas, or electricity as initial heating means. Effect,

(2) 미분연료가 여러 가지 형태로 장치한 연소관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하면서 접촉하는 면적이 많아짐에 따라 1차 연소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2)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primary combustion rate as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fine fuel is rotated and moved along the combustion tube equipped with various forms;

(3) 연소관을 통과하는 시간과 연소관을 빠져나와 연소통 안에서 2차 연소를 일으키는 시간 등 연소부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길게 하여 완전연소를 실현하는 효과,(3) The effect of realizing complete combustion by prolonging the time to stay in the combustion section such as the time to pass through the combustion pipe and the time of leaving the combustion pipe and causing secondary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ylinder;

(4) 연소관을 통과한 열이 연소부 내 하단에서 위로 향하여 움직여서 열 교환실로 이동하는 경로가 되므로, 연소관 및 연소부의 냉각을 방지하고 연소부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 즉, 1차 연소와 2차 연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고 또한 연소부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효과.(4) Since the heat passing through the combustion tube is mov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part to move to the heat exchange chamber, the cooling tube and the combustion part are prevented from cooling and the temperature in the combustion part is kept constant to maximize the combustion efficiency. In other words, the primary combustion and the secondary combustion is made sequentially in order to achieve complete combustion an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연소관(21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연소관(22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연소관(23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과 연료공급부를 모두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combustion tube 210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combustion tube 220 in FIG.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combustion tube 230 in FIG. 5;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shown in FIG.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both a combustion chamber and a fuel supply unit for fine fuel combustion shown in FIG. 7.

일반적으로 석탄의 연소조건으로는 착화온도와 적정량의 연소공기, 그리고 점화를 위한 불씨가 있고, 이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석탄이 연소 가능하게 된다. 석탄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분탄 및 미분연료의 불완전연소를 해결하고 연소실 내부를 일정온도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열원이 없이 지속적으로 미분연료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이다.In general, the combustion conditions of coal include ignition temperature, an appropriate amount of combustion air, and an ember for ignition. Coal is combustible when these three conditions are met. In view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a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incomplete combustion of pulverized coal and pulverized fuel and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t a constant temperature so that the combustion of the pulverized fuel continuously without any heat sou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a) 및 단면도(b)이고, 도 2는 도 1에서 연소관(21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연소실 하우징(100), 연소관(210), 재 처리장치(300)를 포함한다. 이들 세 구성(100, 210, 300)의 기능을 간략히 요약하면, 연소실 하우징(100)은 최외곽에 위치하여 연소관이 내장되도록 상하로 연장된 중공의 하우징으로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 형상 혹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소관(210)은 연소실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며 미분연료가 1차적으로 연소되는 공간이 되며, 미분연료가 회전하여 이동하면서 연소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재 처리장치(300)는 미분연료의 연소 후 발생한 재를 연소실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 is a plan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combustion tube 210 in FIG. 1 and 2,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 combustion tube 210, and a reprocessing apparatus 300. Briefly summarizing the functions of these three components 100, 210, and 300,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s a hollow housing which is located at the outermost and extends up and down so that the combustion tube is embedded,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cross section may have an elliptic shape or a circular shape. Combustion tube 210 is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becomes a space in which the fine fuel is primarily burned, and is configured to be burned while the fine fuel is rotated and moved. The ash processing apparatus 300 is a device for discharging ash generated after combustion of fine fuel to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Hereinafter, these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연소실 하우징(100)은 유출구(110) 및 사이클론(120; cyclone)을 포함한다. 유출구(110)는 연소실 하우징(100) 내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이 유출되는 구성으로, 연소실 하우징(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유출구(110)는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 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클론(120)은 연소실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미분연료의 연소 후 발생한 재들이 모이도록 하는 구성이다. 원뿔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재들이 사이클론(120)의 중심부에 모이게 되고, 사이클론(120)의 하부에는 재 처리장치(300)가 구비된다. 연소실 하우징(100)의 중공부는 미분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 역할을 하며, 설계에 따라 1차 연소실 혹은 2차 연소실 등이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연소실 하우징(100)의 중공부는 2차 연소실 역할을 한다.First,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ncludes an outlet 110 and a cyclone 120. Outlet 11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s discharged,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e outlet 110 may be connected to a heat exchange device (not shown).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extends toward the side. The cyclone 120 is position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is configured to collect ash generated after combustion of the fine fuel. The ash is configured in a conical shape and the ashes are collected at the center of the cyclone 120,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120 is provided with a reprocessing apparatus (300). The hollow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serves as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fine fuel is combusted, and may be a primary combustion chamber or a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according to a design. 1 and 2, the hollow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serves as a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다음으로, 연소관(210)은 연소실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어 미분연료가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이프 형상의 구성이며, 일측 단부에는 미분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202)가, 타측 단부에는 연소관(210)에서 착화 및 연소된 화염과 일부 미연소된 미분연료가 배출되는 배출구(204a, 204b, 204c)가 구비된다. 배출구는 연소관(210)의 타측 단부에 하나(204a)만 구비될 수 있으나,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구(204b, 204c)를 추가로 형성할 경우 연소관(210)으로부터 연소된 연료 및 화염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어 연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b)와 같이 배출구(204a)가 좌측에서 하부를 향하여 형성된 경우, 연소관(210)의 우측에서 하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구(204c), 연소관(210)의 좌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구(204b)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Next, the combustion tube 210 is a pipe-shaped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fine fuel is combusted, the inlet 202 through which the fine fuel is introduced, and the combustion tube at the other end thereof. At 210 the outlets 204a, 204b, 204c are provided which discharge the flame ignited and combusted and some unburned fine fuel. Only one outlet 204a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mbustion tube 210, but as shown in FIG. 1B, when the additional discharge ports 204b and 204c extend in various directions, the combustion tube ( Emission of fuel and flame combusted from 210 may be facilitated to increase combustion efficiency. For example, when the discharge port 204a is formed from the left side to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1B, the discharge port 204c form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tube 210 toward the lower side, and the discharge hole formed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tube 210. Most preferably, 204b is further formed.

그리고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서의 연소관(210)은 제 1 굴곡부(212)와 제 2 굴곡부(214)를 포함한다. 연소관(210)의 전체 형상은 'W(더블유)'자 내지 'S(에스)'자가 연속된 형상이 된다. 제 1 굴곡부(212) 및 제 2 굴곡부(214)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굴곡된 형상이며, 두 굴곡부(212, 214)의 단면 형상(도 1의 (b))는 대략 반원에 가까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굴곡부(212)와 제 2 굴곡부(214)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a)에 도시된 연소실 하우징(100)의 타원 형상이 더 긴 타원이 될 경우에는, 굴곡부(212, 214)의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을 증가시키거나 상술한 직선부(미도시)를 추가함으로써 연소실 하우징(100) 내에 연소부(210)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두 굴곡부(212, 214)는 도 1에서 각각 두 개씩 형성되었으나, 그 개수에 제한은 없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tube 210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ent part 212 and a second bent part 214. The overall shape of the combustion tube 210 is a continuous shape of the letter 'W (double oil)' to 'S (S)'. The first bent part 212 and the second bent part 214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shape (Fig. 1 (b)) of the two bent parts (212, 214) is approximately a semi-circular shape desirable. Although not shown, a straight portion (not show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21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214. For example, when the elliptic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shown in FIG. 1A becomes a longer ellips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bends 212 and 214 is increased or the above-described straight portion ( By not adding), the combustion unit 210 can be efficiently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wo bends (212, 214) are formed in each of two in Figure 1,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재 처리장치(300)는 연소실 하우징(100)의 최하단, 즉 사이클론(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소실 하우징(100)에서 연소 후 발생한 재를 연소실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재 처리장치(300)는 사이클론(120)에서 중력에 의하여 떨어진 재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310), 이 컨베이어(310)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32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er)로 형성될 수도 있고, 벨트 컨베이어(미도시) 혹은 기어(gear)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ash processing apparatus 30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120, and discharges and processes ash generated after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o be. The ash processing apparatus 300 includes a conveyor 310 for moving ash dropped by gravity from the cyclone 120 to the outside, and a driving device 320 such as a motor for driving the conveyor 310. Conveyor 310 may be formed as a screw conveyor (screw conveyer), as shown in Figure 1 may be formed in a belt conveyor (not shown) or gear (gear) structure.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연소실 하우징(100) 내주면에는 저항판(1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연소관(210)에서 토출된 화염은 상측 방향으로 상승한 후 유출구(110)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저항판(130)이 구비될 경우 화염 및 고온의 열이 연소부 하우징(100)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저항판(130)이 만일 표면이 막힌 판으로 형성되거나 저항판(130)의 면적이 너무 넓을 경우에는 오히려 연소효과가 저감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저항판(130)을, 굴곡부(212, 214)에 인접한 넓은 공간에 설치할 경우 연소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염 및 고온의 열은 저항판(130)에 의하여 이동속도가 저감되지만 관통공이나 저항판(130)이 없는 공간을 따라 적절히 상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Finally,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plate 13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e flame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tube 210 rises upwar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0. In the process, when the resistance plate 130 is provided, flame and high temperature heat stay in the combustion unit housing 100. The time to do it increases. If the resistance plate 130 is formed of a plate whose surface is blocked, or if the area of the resistance plate 130 is too large, the combustion effect may be reduced, and as shown, the resistance plate 13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f installed in a large space adjacent to the bends (212, 214) it can optimize the combustion effect. In this case, the flame and the high temperature heat is reduced by the resistance plate 130, but can be properly moved upward along the space without the through hole or the resistance plate 130.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소관(210)의 유입구(202)를 통하여 미분연료가 유입되기 전에, 연소관(210)은 미리 미분연료의 적정 연소온도(700℃ 내지 900℃)까지 예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연소관(210)의 유입구(202) 외부에 별도의 착화부를 구성함으로써, 착화된 미분연료가 연소관(21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Before the fine fuel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2 of the combustion tube 210, the combustion tube 210 is preferably preheated to an appropriate combustion temperature (700 ° C. to 900 ° C.) of the fine fuel in advance. Alternatively, by forming a separate ignition unit outside the inlet 202 of the combustion tube 210, it is possible to allow the ignition fine powder to flow into the combustion tube 210.

미분탄의 착화온도까지 예열된 연소관(210)에 예컨대 공기로 블로잉(blowing)하는 방식으로 미분연료가 투입되면, 연소관(210)의 유입구(202) 및 상측에 위치한 제 1 굴곡부(212)에서 미분연료의 연소가 시작된다. 이 때 미분연료는 제 1 굴곡부(212)에 부딪치면서 연소관(210) 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 증가하고, 점화를 위한 불씨도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후 미분연료는 연소관(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연소되고,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화염 및 고온의 열 또한 연소관(210)을 따라 이동한다. 연소관(210)의 배출구(204)를 통해 배출된 화염과 열 및 일부 미연소된 미분연료는 연소실 하우징(100)에서 2차로 연소된다. 연소실 하우징(100)은 가열된 연소관(210)에 의하여 역시 가열된 상태이며, 연소실 하우징(100)의 중공부 내에서도 미분연료는 계속 연소되고 화염 및 열은 연소실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계속 이동한다.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재(ash)는 사이클론(120)에 떨어진 후 재 처리장치(30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When fine fuel is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tube 210 preheated to the ignition temperature of the pulverized coal, for example, by blowing air, the fine fuel is injected into the inlet 202 of the combustion tube 210 and the first bent part 212 located above. Combustion starts. At this time, the fine fuel strikes the first bent portion 212 and further increases the time to stay in the combustion tube 210, and ignition for ignition may be additionally generated. After that, the fine fuel continues to be burned while moving along the combustion tube 210, and the flame and the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also move along the combustion tube 210. The flame and heat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04 of the combustion tube 210 and some unburned fine fuel are combusted secondary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s also heated by the heated combustion tube 210, and even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he fine fuel continues to be burned and the flame and heat continue to move upwards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 Ash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ash treatment device 300 after falling on the cyclone (120).

본 발명에 따르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이와 같이 연소실 내부에서 미분연료가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미분연료 및 화염이 특정 경로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방식으로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완전 연소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creases the residence time of fine fuel with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increases the contact area in such a way that the fine fuel and the flame move along a specific path, resulting in complete combustion. Make it possible.

본 발명에 따르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위 제 1 실시예 외에도 여러 가지 실시예를 포함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효과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firs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연소관(22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ustion tube 220 part in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연소실 하우징(100), 연소관(220) 및 재 처리장치(300)를 포함하며, 연소실 하우징(100) 및 재 처리장치(300)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3 and 4,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 combustion tube 220, and a reprocessing apparatus 300, and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Since the reprocessing apparatus 3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연소관(220)은 유입구(202) 및 배출구(204;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점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내측 원판(222), 외측 원판(224), 나선 가이드(226) 및 ㄱ자 유입부(228)를 포함한다. 본 제 2 실시예에서 연소관(220)의 전체 형상은 스크류(screw) 형상이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tube 220 includes the inlet 202 and the outlet 204 (see FIG. 4)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and includes an inner disc 222 and an outer disc 224. And a spiral guide 226 and a letter inlet 228.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verall shape of the combustion tube 220 is a screw shape.

내측 원판(222) 및 외측 원판(224)은 소정 지름을 가진 원통형 판으로, 두 원판(222, 2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미분연료 및 화염이 이동하는 공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나선 가이드(226)는 두 원판(222, 224) 사이에서 나선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미분연료 및 화염이 두 원판(222, 224)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하지 않고 나선 형상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내측 원판(222)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은 연소실 하우징(100) 내 중공부의 일부로서 2차 연소실 역할을 하게 되며, 외측 원판(224)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 또한 2차 연소실 역할을 하게 된다.The inner disc 222 and the outer disc 224 are cylindrical plate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wo discs 222 and 224 forms a space in which the fine fuel and the flame move. The spiral guide 226 is formed as a spiral plate between two discs 222 and 224 so that fine fuel and flame are rotated along the spiral shape without moving vertically between the two discs 222 and 224. It is a configuration that serves as a guide. The space formed inside the inner disc 222 serves as a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as part of the hollow part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the space formed outside the outer disc 224 also serves as a secondary combustion chamber.

두 원판(222, 224)의 상부에는 'ㄱ(기역)'자 형상의 관인 ㄱ자 유입부(228)가 구비되어, 이 ㄱ자 유입부(228)는 미분연료가 최초 연소되는 부분이며, 두 원판(222, 224) 사이로 미분연료가 이동하는 경로가 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two disks (222, 224) is provided with an inlet 228, which is a 'shaped (air)' shaped tube, this inlet 228 is a portion where the differential fuel is first burned, 222, 224 is a path for the fine fuel to mov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미분연료가 연소되는 과정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미분연료는 유입구(202), ㄱ자 유입부(228)를 통하여 유입된 후 두 원판(222, 224) 사이 공간에서 나선 가이드(226)를 따라 이동하면서 1차 연소되고, 이후 연소실 하우징(100) 내부에서 2차 연소된 후 유출구(110)를 통해 화염 및 고온의 열이 이동하며, 연소시 발생한 재는 사이클론(120) 및 재 처리장치(3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burning the fine fuel is also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ine fuel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2 and the A-shaped inlet 228 and then two discs 222 and 224. ) Is first combustion while moving along the spiral guide 226 in the space between, and after the second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e flame and the heat of the high temperature is moved through the outlet 110, and the ash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is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yclone 120 and the reprocessing device (300).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연소관(23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ustion tube 230 part in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연소실 하우징(100), 연소관(230) 및 재 처리장치(300)를 포함하며, 연소실 하우징(100) 및 재 처리장치(300) 구성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5 and 6,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 combustion tube 230, and a reprocessing apparatus 300, and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the reprocessing apparatus 300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연소관(230)은 유입구(202) 및 배출구(204)를 포함하는 점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ㄱ자 유입부(232)를 포함하는 점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굴곡부(234) 및 지지대(236)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제 3 실시예에서 연소관(230)의 전체 형상은 스프링(spring) 형상 내지 아나콘다(뱀) 형상이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tube 230 includes an inlet 202 and an outlet 204, 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point of including the L-shaped inlet 232.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bend 234 and the support 236.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verall shape of the combustion tube 230 is a spring shape or anaconda (snake) shape.

제 3 실시예의 연소관(230)은 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꼬인 굴곡부(234)를 포함한다. 굴곡부(234)는 일정한 각도를 따라 경사된 원통 형상이 관이, 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서로 인접하여 꼬여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측 단부에는 배출구(204)가 구비된다.The combustion tube 230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bent portion 234 twisted into a spring-like shape. The curved portion 234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shape inclined along a predetermined angle, the tube is twist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pring-like shape, the discharge end 20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굴곡부(234)의 하부에는 굴곡부(234)의 무게를 지탱하는 지지대(236)가 구비된다. 이 지지대(236)는 제 3 실시예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도 연소관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bend 234 is provided with a support 236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bend 234. This support 236 is shown only in the third embodiment, but may also be provided in the form of supporting the combustion tub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미분연료가 연소되는 과정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며, 미분연료는 유입구(202), ㄱ자 유입부(232)를 통하여 유입된 후 굴곡부(234)를 따라 이동하면서 1차 연소되고, 이후 연소실 하우징(100) 내부에서 2차 연소된 후 유출구(110)를 통해 화염 및 고온의 열이 이동하며, 연소시 발생한 재는 사이클론(120) 및 재 처리장치(3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burning the fine fuel is also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fine fuel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02 and the A-shaped inlet 232 and then the bent portion 234. After the first combustion is moved along, and after the second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e flame and high temperature heat is moved through the outlet 110, the ash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s cyclone 120 and the ash processing devic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300).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과 연료공급부를 모두 도시한 도면으로, 미분연료를 공급하는 장치 및 예비연료를 공급하고 점화시키는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shown in FIG. 7.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both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nd a fuel supply unit shown in FIG. 7,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supplying fine fuel and an apparatus for supplying and igniting preliminary fuel.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은 연소실 하우징(100), 연소관(240) 및 재 처리장치(300)를 포함하며, 연소실 하우징(100) 및 재 처리장치(300)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7 to 9,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 combustion tube 240, and a reprocessing apparatus 300, and a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the reprocessing apparatus 300 are mostly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연소실 하우징(100) 구성 중 유출구(110)의 구성은 다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 4 실시예의 유출구(110)는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연소실 하우징(100)의 거의 중심부까지 하부로 연장된 하부 연장부(11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연장부(112)에는 다수의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화염 및 고온의 열은 하부 연장부(112)의 하부 개구부(opening; 112a) 및 관통공(114)을 통해 연소실 하우징(100) 외부의 열교환장치 등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연소실 하우징(100)은 평행하게 형성된 격벽(102)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되고, 상하로 구분된 연소실 하우징(100)은 연소관(240)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outlet 110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embodiments. The outlet 11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toward the top and includes a lower extension 112 extending downward to the near center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4 are formed in the lower extension part 112, so that the flame and the heat of the high temperature are transferred to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112a and the through hole 114 of the lower extension part 112. 100) It is discharged to an external heat exchanger. In additio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s vertically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102 formed in parallel, and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divided up and down is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by the combustion tube 240.

본 제 4 실시예에도 연소관(240)이 구비되나, 이 연소관(240)은 다른 실시예와는 달리 1차 연소가 아닌 2차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이 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연소실 하우징(100) 하부에 분리되어 구비된 U자형 저항판(430) 부근에서 미분연료가 착화되어 통과하면서 1차 연소가 일어나고, 형성된 화염과 미분연료가 연소관(240)을 통과하면서 2차 연소를 하고 최종적으로는 연소실 하우징(100) 상부의 중공부로 토출되어 내부 중공부에서 3차 연소가 일어난다.Although the combustion tube 240 is also provided in the fourth embodiment, unlike the other embodiments, the combustion tube 240 becomes a space in which secondary combustion occurs, not primary combus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primary combustion occurs while the fine fuel is ignited and passed near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provid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the flame and the fine fuel formed pass through the combustion tube 240. While secondary combustion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ertiary combustion occurs in the inner hollow portion.

연소실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미분연료 공급관(410) 및 보조열원 공급부(420)이 구비된다. 즉, 제 4 실시예에서는 미분연료의 착화(점화, ignition)가 연소실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일어난다. 즉, ㄱ자 관(414)으로 공급된 미분연료가 보조열원 공급부(420)의 송풍팬(미도시)에 의해 공급된 공기의 속도에 의하여 연소실 하우징(100) 하단에 연속형태로 구비된 2개의 U자형 저항판(430)에 미분연료를 공급하여 이 U자형 저항판(430)에서 착화가 일어난다.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fine fuel supply pipe 410 and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0. That is, in the fourth embodiment, ignition (ignition) of the fine fuel occurs at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at is, the two U fuel provided to the U tube 414 in a continuous form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by the speed of the air supplied by the blowing fan (not shown) of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0 The fine fuel is supplied to the magnetic resistance plate 430 so that ignition occurs in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미분연료 공급관(410)에 연속하여, 연소실 하우징(100)의 내부를 감싸며 형성된 나선관(412), 나선관(412)의 단부로부터 연소실 하우징(100) 내부에서 'ㄱ(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된 ㄱ자관(414)을 통하여 예열된 미분연료는 연소실 하우징(100)의 하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미분연료 공급관(410)의 하부에 구비된 보조열원 공급부(420)는 유류나 가스를 이용한 버너(burner; 미도시) 및 송풍기(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연소실 하우징(100)을 미분연료 착화온도까지 예열하는 역할을 한다.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ine fuel supply pipe 410, the spiral tube 412 formed to surround the interior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from the end of the spiral tube 412 to the 'b (air)' shape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nside The fine fuel preheated through the formed tube 414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n addition,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ne fuel supply pipe 410 is provided with a burner (not shown) and a blower (not shown) using oil or gas, so that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s charged with fine powder. Preheats to the ignition temperature.

연소실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보조열원 공급부(420) 및 ㄱ자관(414)에 인접하여 U자형 저항판(430)이 구비된다. 이 U자형 저항판(430)은 다수의 메쉬(mesh)를 가진 철망 형태의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 상에서 'U'자 타원 형상으로 굴곡되어 구비되며, 보조열원 공급부(420)의 초기가열을 통하여 예열이 되어 미분연료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착화 및 연소를 극대화하는 구성이다.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part 420 and the A-shaped tube 414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ire mesh having a plurality of meshes (mesh), as shown in FIG. 8 is provided bent in an 'U' elliptical shape on the top view,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0 It is preheated through the initial heating of maximizing ignition and combustion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fine fuel.

미분연료 및 화염의 이동경로 상에서 U자형 저항판(430)에 다음에 해당되는 위치, 즉 도 7에서 연소실 하우징(100)의 좌측 하단으로부터 연소관(240)이 구비된다. 연소관(240)은 제 1 수직관(242), 곡선 수평관(244) 및 제 2 수직관(246)을 포함한다. 제 1 수직관(242)은 U자형 저항판(430)의 내측 영역(도 8 참조)에서 연소실 하우징(100)의 상부까지 수직하게 연장된 형상의 관이며, 곡선 수평관(244)은 제 1 수직관(242)의 상측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반대 방향(도 7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여 곡선 형상으로(도 8, 평면도 참조) 굴곡되면서 형성된 관이다. 제 2 수직관(246)은 곡선 수평관(244)의 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관이며, ㄱ자관(414)과 평면도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 방향으로 역시 ㄱ자관(414)에 인접한 위치까지 하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bustion tube 240 is provided on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on the movement path of the fine fuel and the flame from the lower lef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in FIG. 7. The combustion tube 240 includes a first vertical tube 242, a curved horizontal tube 244, and a second vertical tube 246. The first vertical tube 242 is a tub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inner region (see FIG. 8) of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the curved horizontal tube 244 is the first tube. It is a tube formed while bending in a curved shape (refer to FIG. 8, top vie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242 to the opposite direction (right direction in FIG. 7). The second vertical pipe 246 is a pipe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curved horizontal pipe 244, and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floor plan as the A-tube 414, and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referred to extend downward to a position adjacent to 414.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 미분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burning the fine fuel is as follows.

미분연료는 미분연료 공급관(410)으로 공급된 후 나선관(412)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 때 연소실 하우징(100)의 열에 의하여 예열된다. 이후 ㄱ자 관(414)을 통하여 연소실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미분연료는 보조열원 공급부(420)의 송풍팬 공기에 의하여 U자형 저항판(430)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U자형 저항판(430)에 충돌되면서 미분연료의 착화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 이전에, 보조열원 공급부(420)를 통하여 연소실 하우징(100) 내부(하부 및 상부)를 미분연료의 착화온도까지 미리 예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ne fuel is supplied to the fine fuel supply pipe 410 and then moved in the spiral direction along the spiral pipe 412 and is preheated by the heat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en,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hrough the U-shaped tube 414, and the supplied fine fuel is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by the blowing fan air of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0. Colliding with 430, the ignition of the fine fuel is made. Prior to th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preheat the inside (lower and upper)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to the ignition temperature of the fine fuel through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0.

이후 예열된 미분연료는 보조열원 공급부(420)에 구비된 송풍기(미도시; fan)에 의하여 도 7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U자형 저항판(430)과의 마찰에 의하여 착화되고 1차 연소가 일어난다.(1차 연소). 이후 다수의 미분연료 및 화염 그리고 고온의 열은 연소관(240)을 따라 이동하면서 계속 연소되며(2차 연소), 여기서 발생된 화염 및 고온의 열과 일부 미연소된 미분연료는 연소실 하우징(100) 상부의 중공부에서 하단 방향로 토출되면서 연소실 하우징(100) 및 ㄱ자관(414) 등을 예열함과 동시에 중공부 내에서 최종 연소과정을 거쳐 이 과정이 반복되고, 연소실 하우징(100) 내에서도 미분연료의 연소는 계속하여 이루어지며(3차 연소), 발생한 화염 및 고온의 열은 유출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하고, 연소시 발생한 재는 사이클론(120) 및 재 처리장치(3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Since the pre-heated fuel is moved to the left in FIG. 7 by a blower (not shown) provided in the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0, and is ignited by friction with the U-shaped resistance plate 430 and the primary combustion Occurs (primary combustion). Afterwards, the plurality of fine fuels and flames and the high temperature heat continue to be burned while moving along the combustion tube 240 (secondary combustion), where the flames and the high temperature heat and some unburned fine fuel are gene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While discharg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hollow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and the A-tube 414, and the like, the process is repeated through the final combustion process in the hollow portion, and also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100 Combustion is continued (third combustion), the generated flame and the heat of high temperature is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0, the ash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yclone 120 and the reprocessing device (300) do.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연소실 하우징 110 : 유출구
112 : 하부 연장부 114 : 관통공
120 : 사이클론 130 : 저항판
210, 220, 230, 240 : 연소관 202 : 유입구
204 : 배출구 212 : 제 1 굴국부
214 : 제 2 굴곡부 222 : 내측 원판
224 : 외측 원판 226 : 나선 가이드
228 : ㄱ자 유입부 232 : ㄱ자 유입부
234 : 굴곡부 236 : 지지대
242 : 제 1 수직관 244 : 곡선 수평관
246 : 제 2 수직관 410 : 미분연료 공급관
412 : 나선관 414 : ㄱ자 관
420 : 보조열원 공급부 422 : 송풍기
430 : U자형 저항판
100: combustion chamber housing 110: outlet
112: lower extension 114: through hole
120: cyclone 130: resistance plate
210, 220, 230, 240: combustion pipe 202: inlet
204: outlet 212: first recessed part
214: second bend 222: inner disc
224: outer disk 226: spiral guide
228: A inlet 232: A inlet
234: bend 236: support
242: first vertical tube 244: curved horizontal tube
246: second vertical pipe 410: fine fuel supply pipe
412 Spiral Tube 414 S Tube
420: auxiliary heat source supply unit 422: blower
430 U-shaped resistance plate

Claims (22)

상하로 연장된 중공 형상의 연소실 하우징;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미분연료가 회전하면서 연소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관;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관 및 상기 연소실 하우징에서 연소된 후 발생한 재를 상기 연소실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재 처리장치; 및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저항판을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A hollow combustion chamber housing extending vertically;
A combustion tube provid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fine fuel is burned while rotating;
A re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discharging ash generated after being burned by the combustion tube and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including a resistanc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의 화염 및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구
를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ame and high temperature heat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o the outsid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재 처리장치의 구비되며, 원뿔 형상인 사이클론
을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yclone having a conical shape and provided with the reprocessing device under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 처리장치는:
상기 연소실 하우징에서 발생한 재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processing device is:
A conveyor for moving ash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conveyor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단면은 타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is oval or circul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미분연료가 공급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하측 내부로 연장되는 배출구
를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tube,
An inlet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supplied with fine fuel; And
An outle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let and extending into a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소관에서 하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구; 및
상기 연소관에서 상부를 향하여 형성된 배출구
를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charge port
An outlet formed downward from the combustion tube; And
An outlet formed upward from the combustion tub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은,
일측 방향으로 굴곡된 제 1 굴곡부; 및
상기 제 1 굴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굴곡된 제 2 굴곡부
를 포함하여, W자 혹은 S자 형태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tube,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ent portion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form of W or 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 및 제 2 굴곡부는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have a semicircular shap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굴곡부와 제 2 굴곡부 사이에 구비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부
를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 straigh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은:
소정 지름을 가진 내측 원판;
상기 내측 원판의 외측에 위치하며 소정 지름을 가진 외측 원판; 및
상기 내측 원판 및 외측 원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나선 판 형상으로 설치된 나선 가이드
를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tube is:
An inner disc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 outer disk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disk and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spiral guide provided in a spiral plate shape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disk and the outer disk;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 상부에 위치하며,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ㄱ자 유입부
를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tube,
A-shaped inlet formed in '-' shap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은 스프링 형상으로 꼬인 굴곡부를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tube is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omprising a bent portion twisted in a spring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관의 무게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supporting a weight of the combustion tu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상측에서 상부를 향하여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의 화염 및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구
를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s provided toward the top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flame and high temperature heat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to the outsid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부; 및
상기 하부 연장부에 다수 구비되는 관통공
을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outlet is
A lower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Through holes provided in the lower extension portion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는 미분연료 공급관 및 예비연료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ne fuel supply pipe and a preliminary fuel supply pipe which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미분연료 공급관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부를 감싸며 형성된 나선관; 및
상기 나선관의 단부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연장된 ㄱ자 관
을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fine fuel supply pipe,
A spiral tube formed to surround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And
L-shaped tub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piral tube in a '-' shap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미분연료 공급관 및 상기 ㄱ자 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U자 형상으로 굴곡되는 철망 형태의 저항판
을 더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of claim 19,
It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ne fuel supply pipe and the L-shaped pipe, the resistance plate of the wire mesh form bent in a U shap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수직관 및 제 2 수직관;
상기 제 1 수직관 및 상기 제 2 수직관 사이에 구비되는 곡선 형상의 곡선 수평관
을 포함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mbustion tube,
First and second vertical tub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housing;
Curved curved horizontal tu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tube and the second vertical tube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omprising a.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직관은 상기 ㄱ자 관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연료 연소용 연소실.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second vertical pipe is a combustion chamber for fine fuel combus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adjacent to the L-pipe.
KR1020110089196A 2011-09-02 2011-09-02 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KR1013213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96A KR101321310B1 (en) 2011-09-02 2011-09-02 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96A KR101321310B1 (en) 2011-09-02 2011-09-02 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625A KR20130026625A (en) 2013-03-14
KR101321310B1 true KR101321310B1 (en) 2013-10-28

Family

ID=4817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196A KR101321310B1 (en) 2011-09-02 2011-09-02 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3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331A (en) * 2000-05-09 2001-11-23 윤복현 The method for disposal of the sludge and waste by incinerating, and its apparatus
JP2008545116A (en) * 2005-07-05 2008-12-11 メデックスピア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Regenerative gas combustion furnace
KR100916111B1 (en) * 2009-03-02 2009-09-08 주식회사 상천 Pellet boiler
KR100984551B1 (en) 2008-09-26 2010-09-30 임용현 Multi-function boi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331A (en) * 2000-05-09 2001-11-23 윤복현 The method for disposal of the sludge and waste by incinerating, and its apparatus
JP2008545116A (en) * 2005-07-05 2008-12-11 メデックスピア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Regenerative gas combustion furnace
KR100984551B1 (en) 2008-09-26 2010-09-30 임용현 Multi-function boiler
KR100916111B1 (en) * 2009-03-02 2009-09-08 주식회사 상천 Pellet bo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625A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124B1 (en) Combustion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RU2561636C2 (en) Combustion chamber, burning metho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of power generation in such device
CN103968370A (en) Burner
CN102425776A (en) Steam boiler with biomass particles as fuel
CN202581285U (en) Energy-saving type biomass boiler furnace
CN102287920B (en) Straw granule boiler
KR20120067047A (en) Heat recovery system with improved heat recovery rate and 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is
CN204153767U (en) A kind of biomass fuel boiler
KR101321310B1 (en) Burning chamber for burning powder fuel
KR101321216B1 (en) Hybrid pulverized fuel burning apparatus
KR101786304B1 (en) Furnance of solid fuel
CN101294705A (en) Highly effective internal combustion type pulverized coal burner with ignition source
WO2016121223A1 (en) Excess gas burning device
KR101228792B1 (en) Solid fuel boiler
KR20120130802A (en) The pellet boiler
CN111486444A (en) Spiral feeding biomass combustion furnace
CN201497188U (en) Organic heat carrier boiler
KR101861205B1 (en) Heater for solid fuel
CN101907301B (en) Material-gathering device of burner and combustion stove thereof
CN204678386U (en) Biomass fuel boiler
CN204665256U (en) Low nox combustion equipment
CN203848275U (en) Combustor
RU2361154C1 (en) Method of heat transfer
KR101358711B1 (en) Backfire prevention apparatus for wood pellet supply devices
CN215676378U (en) External combustion type rotary kil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