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903B1 -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903B1
KR101320903B1 KR1020130020290A KR20130020290A KR101320903B1 KR 101320903 B1 KR101320903 B1 KR 101320903B1 KR 1020130020290 A KR1020130020290 A KR 1020130020290A KR 20130020290 A KR20130020290 A KR 20130020290A KR 101320903 B1 KR101320903 B1 KR 10132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ider
road
cylinder
ball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범
조상운
Original Assignee
조상운
홍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운, 홍경범 filed Critical 조상운
Priority to KR102013002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견인되어 울퉁불퉁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평평하게 평탄화할 수 있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바디의 전방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장착브라켓; 차량의 바디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장착브라켓; 차량의 전방에서 도로 위의 형상과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설치되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울퉁불퉁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하는 글라이더;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좌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좌측 실린더;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글라이더의 우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우측 실린더; 상기 좌측 실린더 및 우측 실린더에 설치되어서 연동(連動)하여 작동하되 상기 글라이더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제2 장착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조장하는 두 개의 상하작동 실린더; 상기 글라이더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전후방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 및 상기 글라이더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좌우측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now and ice, and providing pavement on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부착, 견인되어서 도로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또한 울퉁불퉁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할 수 있게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이상 기후의 영향으로 폭설이 수시로 내리게 되는 동절기에 산간 농어촌지역 및 도회지는 많은 적설로 인하여 보행이 불편하게 되거나 사람 또는 차량이 고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에 대한 강구책으로서 트랙터 등의 농기계나 차량의 전후방에 제설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설장치는 도로의 포장작업을 위한 노면의 평탄화작업에도 종종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전후방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하여서 도로 위에서 제설 또는 제빙 그리고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44234호(2001.06.05)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설장치는 특수차량에 맞도록 제작되어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특히 비포장된 노면이 많은, 즉 노면이 울퉁불퉁한 농어촌 길에서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의 제설장치는 글라이더가 지면에 끄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제설 작업 시 글라이더가 지면으로부터 마찰저항을 많이 받아, 특히 노면이 울퉁불퉁한 곳에서는 제설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의 제설장치는 자체 하중이 많이 나가 제설 작업 시 도로를 손상시키거나 돌출물 내지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 제설장치가 자중에 의해 엎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차량의 연결대나 글라이더의 밑면 또는 측면이 휘어지거나 마모되어 변형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농로는 일반도로에 비해 노면이 매우 불규칙함으로써 제설장치가 엎어지는 현상은 더욱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44234호(2001.06.05)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방에 부착, 견인되어서 글라이더를 도로 위의 형상과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도로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그곳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또한 울퉁불퉁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할 수 있게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부착, 견인되어 울퉁불퉁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평평하게 평탄화할 수 있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는, 차량 바디의 전방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장착브라켓; 차량의 바디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장착브라켓; 차량의 전방에서 도로 위의 형상과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설치되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울퉁불퉁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하는 글라이더;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좌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좌측 실린더; 상기 제1 장착 브라켓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글라이더의 우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우측 실린더; 상기 좌측 실린더 및 우측 실린더에 설치되어서 연동(連動)하여 작동하되 상기 글라이더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 및 상기 제2 장착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조장하는 두 개의 상하작동 실린더; 상기 글라이더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전후방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 및 상기 글라이더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의 좌우측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들과 상기 브라켓들 또는 글라이더의 결합은 볼 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글라이더가 도로 위의 형상과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차량에 장착되기 때문에 도로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그곳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설령 도로 위에 돌출물 또는 장애물이 있다 하더라도 그를 피하여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글라이더가 손상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압을 인가받은 실린더의 작동을 통해 글라이더를 상황에 맞게 작동시킴으로써 울퉁불퉁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를 보인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글라이더가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전후방으로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글라이더가 좌측 또는 우측에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글라이더가 상하측에서 전후방으로의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볼 결합구조의 다른 일례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를 보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글라이더가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전후방으로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글라이더가 좌측 또는 우측에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글라이더가 상하측에서 전후방으로의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볼 결합구조의 다른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부착, 견인되어 글라이더(300)의 손상 없이 울퉁불퉁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불규칙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는, 제1 장착브라켓(100), 제2 장착브라켓(200), 글라이더(300), 좌측 실린더(400), 우측 실린더(500), 지지브라켓(600), 상하작동 실린더(700),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 및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실린더들은 회동가능한 연결부재를 통해서 브라켓이나 글라이더(30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장착브라켓(100)은 차량 바디(1)의 전방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서, 다음에 기술되는 좌측 실린더(400) 및 우측 실린더(50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게 한다.
상기 제2 장착브라켓(200)은 차량의 바디(1)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어서, 다음에 기술되는 상하작동 실린더(700)를 고정시켜주며, 여기서 상기 상하작동 실린더(700)는 상황에 대응하여 힌지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글라이더(300)는 차량의 전방에서 도로 위의 형상과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설치되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울퉁불퉁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음에 기술되는 좌측 실린더(400), 우측 실린더(500), 상하작동 실린더(700),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 및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와 힌지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 결합구조(50)의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되어 유압에 의한 실린더들 작동이나 또는 유압이 없는 상태에서 그의 자중에 의해 도로 노면의 상황에 맞게 작동한다.
상기 좌측 실린더(400)는 제1 장착브라켓(100)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글라이더(300)와 볼 결합구조(50)를 통해 연결되어서 유압의 제공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이더(300)의 좌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측 실린더(500)는 제1 장착브라켓(100)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글라이더(300)와 볼 결합구조(50)를 통해 연결되어서 유압의 제공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이더(300)의 우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600)은 좌측 실린더(400) 및 우측 실린더(500)에 설치되어서 연동(連動)하여 작동하되 글라이더(30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브라켓(600)은 상하작동 실린더(700),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 및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와 연동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작동 실린더(700)는 두 개로 구성되어서 유압의 제공에 따라 지지브라켓(600)을 통해 글라이더(300)를 상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하작동 실린더(700)는 제2 장착브라켓(200)과 지지브라켓(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글라이더(300)의 상하 이동을 조장한다.
상기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는 글라이더(300)와 지지브라켓(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이더(300)의 전후방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는 글라이더(300)와 지지브라켓(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이더(300)의 좌우측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좌측 실린더(400), 우측 실린더(500), 상하작동 실린더(700),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 및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와 상기 제1 장착브라켓(100), 제2 장착브라켓(200)) 또는 글라이더(300)의 결합은 볼 결합구조(50)로 이루어져서, 상기 글라이더(300)가 어느 방향으로든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제설, 제빙 또는 노면의 평탄화 작업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볼 결합구조(50)는 유압에 의해 글라이더(30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 즉 실린더들을 작동하는 유압을 해제한 상태에서도 글라이더(300)는 그의 자중에 의해 자유자재로 노면의 상황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설, 제빙 또는 평탄화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볼 결합구조(50)의 일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장착브라켓(100) 및 제2 장착브라켓(200)) 또는 글라이더(30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두 개의 고정브라켓(10)과, 중앙부에 볼(2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0)에 장착되는 회전지지체(30)와, 상기 좌측 실린더(400), 우측 실린더(500), 상하작동 실린더(700),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 및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서 회전지지체(30)의 볼(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들(400, 500, 700, 800, 900)에 제공된 유압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볼(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체(40)의 유동에 의해 글라이더(300)는 그의 자중에 의해 도로 위로 셋팅되되 노면이 울퉁불퉁하는 등의 상태에 따라서 위치하여 도로의 노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볼 결합구조(50)의 다른 일례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들(400, 500, 700, 800, 900)의 일측에 결합된 볼(20)과, 상기 제1 장착브라켓(100) 및 제2 장착브라켓(200)) 또는 글라이더(300)에 형성되어서 상기 볼(20)이 수용되게 하되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되게 하는 회전유도홈부재(60)와, 상기 볼(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도홈부재(60)와 볼트(82)로 체결되며 상기 회전유도홈부재(60)에 수용된 상기 볼(20)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 커버(8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들(400, 500, 700, 800, 900)에 제공된 유압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볼(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유도홈부재(60)의 유동에 의해 글라이더(300)는 그의 자중에 의해 도로 위로 셋팅되되 노면이 울퉁불퉁하는 등의 상태에 따라서 위치하여 도로의 노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브라켓(100) 및 제2 장착브라켓(200)과 좌측 실린더(400), 우측 실린더(500) 및 상하작동 실린더(700)의 볼 결합구조(50)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를 통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장착브라켓(100), 제2 장착브라켓(200) 및 상하작동 실린더(700)와 차체 바디(1)를 서로 결합시키는 볼(20) 및 볼 결합구조(50)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글라이더(300)가 도로의 제설, 제빙 또는 평탄화 작업을 할 때 발생되어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한으로 완화/방지하여 차량의 탑승자로 하여금 그 충격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볼(20)은 탄성재질인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는 상기 글라이더(300)에 제공되는 실린더의 유압의 조절에 의해 전후, 좌우, 상하, 전후방의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글라이더는 상기 실린더에 제공된 유압을 제거한 상태에서 그의 자중에 의해 노면을 따라 제설 및 평탄화를 수행하거나, 유압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노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제설 및 평탄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전후, 좌우, 상하, 전후방의 각도 조절이란 의미는 글라이더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볼 때 글라이더에 제공되는 유압의 조절에 의해 글라이더 자체가 상하, 전후 이동가능하고, 글라이더의 중심부 또는 중심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 측부가 상하 또는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 6a 내지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라이더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가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글라이더(300)는 어느 방향으로든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제설, 제빙 또는 노면의 평탄화 작업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 글라이더(300)는 지면과의 45°각도로 유지하여 노면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노면 마찰을 줄일 필요가 있을 때는 135°각도로 회동각도를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제설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에 쌓인 눈이나 얼음, 또는 울퉁불퉁한 노면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제거 또는 평탄화 작업을 하기 위한 상기의 장치를 트랙터나 차량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장치는 글라이더(300)가 도로에 닿지 않도록 상하작동 실린더(700)를 통해서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한다(도 6a 참조).
이 상태에서, 차량이 작업하기 위한 장소로 이동하면, 상하작동 실린더(700)를 통해 글라이더(300)가 도로의 노면에 얹혀지게 한다(도 6b 참조).
상기 글라이더(300)가 도로의 노면에 얹혀지게 되면, 좌측 실린더(400) 또는 우측 실린더(500)를 작동시켜 글라이더(300)가 전후방의 작업을 위한 적절한 장소에 위치되게 한다(도 4a 및 도 4b 참조).
이와 동시에, 상기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 및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를 작동시켜서 글라이더(300)가 노면의 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한 기울기로 위치되게 한다(도 5, 도 6a 및 도 6b 참조).
상기와 같은 실행을 통해서 글라이더(300)가 노면의 제설, 제빙 또는 평탄화 작업에 알맞게 셋팅이 되면 차량을 이동시켜 작업을 행하면 된다.
또한, 작업 도중에 글라이더(300)의 셋팅 상황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해당되는 실린더를 작동시켜 재셋팅하면서 작업하면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차량 바디
10: 고정브라켓 20: 볼
30: 회전지지체 40: 회전체
50: 볼 결합구조 60: 회전유도홈부재
80: 커버 82: 볼트
100: 제1 장착브라켓 200: 제2 장착브라켓
300: 글라이더 400: 좌측 실린더
500: 우측 실린더 600: 지지브라켓
700: 상하작동 실린더 800: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
900: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

Claims (8)

  1. 차량에 부착, 견인되어 울퉁불퉁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평평하게 평탄화할 수 있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에 있어서,
    차량 바디(1)의 전방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장착브라켓(100);
    차량의 바디(1)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장착브라켓(200);
    차량의 전방에서 도로 위의 형상과 대응하여 회동하도록 설치되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고 울퉁불퉁한 노면을 평평하게 평탄화하는 글라이더(300);
    상기 제1 장착 브라켓(100)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300)의 좌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좌측 실린더(400);
    상기 제1 장착 브라켓(100)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글라이더(300)의 우측이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하는 우측 실린더(500);
    상기 좌측 실린더(400) 및 우측 실린더(500)에 설치되어서 연동(連動)하여 작동하되 상기 글라이더(30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600); 및
    상기 제2 장착브라켓(200)과 상기 지지브라켓(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300)의 상하 이동을 조장하는 두 개의 상하작동 실린더(700);
    상기 글라이더(300)와 상기 지지브라켓(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300)의 전후방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전후방 각도조절 실린더(800); 및
    상기 글라이더(300)와 상기 지지브라켓(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글라이더(300)의 좌우측으로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좌우측 각도조절 실린더(9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들(400, 500, 700, 800, 900)과 상기 브라켓들(100, 200, 600) 또는 글라이더(300)의 결합은 볼 결합구조(5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 결합구조(50)는,
    상기 브라켓들(100, 200, 600) 또는 상기 글라이더(30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두 개의 고정브라켓(10)과,
    중앙부에 볼(2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0)에 장착되는 회전지지체(30)와,
    상기 실린더들(400, 500, 700, 800, 900)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비되어서 회전지지체(30)의 볼(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결합구조(50)는,
    상기 실린더들(400, 500, 700, 800, 900)의 일측에 결합된 볼(20)과,
    상기 제1 장착브라켓(100) 및 제2 장착브라켓(200)) 또는 글라이더(300)에 형성되어서 상기 볼(20)이 수용되게 하되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되게 하는 회전유도홈부재(60)와,
    상기 볼(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도홈부재(60)와 볼트(82)로 체결되며, 상기 회전유도홈부재(60)에 수용된 상기 볼(20)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 커버(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브라켓(100) 및 제2 장착브라켓(200)과 상기 좌측 실린더(400), 우측 실린더(500) 및 상하작동 실린더(700)의 볼 결합구조(50)에서의 볼(20)은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볼(2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이더는 상기 실린더에 제공된 유압을 제거한 상태에서 그의 자중에 의해 노면을 따라 제설 및 평탄화를 수행하거나, 유압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노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제설 및 평탄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이더는 상기 실린더에 제공된 유압의 조절에 의해 상기 글라이더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글라이더 자체가 상하, 전후 이동가능하고, 글라이더의 중심부 또는 중심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 측부가 상하 또는 좌우로 각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글라이더의 지면에 대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KR1020130020290A 2013-02-26 2013-02-26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KR10132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90A KR101320903B1 (ko) 2013-02-26 2013-02-26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290A KR101320903B1 (ko) 2013-02-26 2013-02-26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903B1 true KR101320903B1 (ko) 2013-10-21

Family

ID=4963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290A KR101320903B1 (ko) 2013-02-26 2013-02-26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7310B1 (de) * 1990-07-17 1994-06-08 SCHMIDT WINTERDIENST- UND KOMMUNALTECHNIK GmbH Schneepflug
US6408549B1 (en) * 2000-10-12 2002-06-25 Blizzard Corporation Adjustable wing plow
US20090223091A1 (en) * 2008-03-04 2009-09-10 American Equipment Corporation Vehicle mountable plow
KR20120003062A (ko) * 2010-07-02 2012-01-10 홍경범 차량 탈착용 블레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7310B1 (de) * 1990-07-17 1994-06-08 SCHMIDT WINTERDIENST- UND KOMMUNALTECHNIK GmbH Schneepflug
US6408549B1 (en) * 2000-10-12 2002-06-25 Blizzard Corporation Adjustable wing plow
US20090223091A1 (en) * 2008-03-04 2009-09-10 American Equipment Corporation Vehicle mountable plow
KR20120003062A (ko) * 2010-07-02 2012-01-10 홍경범 차량 탈착용 블레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1435C2 (ru) Раздвижной снегоочистительный отвал
US3231991A (en) Snow ridge scraper
US20160273176A1 (en) Wing plow with rotatable floating connection
US10119233B2 (en) Plow assembly with cushioning attachment
US10865534B2 (en) Snowplow with ground contour following cutting edge and impact absorption
US20210047793A1 (en) Sweeping blade device with adjustable blades
US20140054051A1 (en) Tillage implement with raisable soil-leveling cylinders
CN109024411B (zh) 一种扫刷装置和扫地机
US9557146B2 (en) Wire neutralization system
KR101079081B1 (ko) 트랙터용 제설장치
CA2854176C (en) Adjustable earth shaping blade and earth shaping apparatus
KR100701920B1 (ko) 유동기능을 갖는 트랙터용 써레
KR101052197B1 (ko) 트랙터 부착용 제설기
KR101456200B1 (ko) 차량연결용 제설 그레이더
US10358782B2 (en) Plow assembly with wings
KR101320903B1 (ko)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CA2938503A1 (en) Suspension device for mounting of a work apparatus on a vehicle
US20220112674A1 (en) Side panel assembly for a snow plow
WO2012070943A1 (en) Snow slush wiper apparatus
KR101557342B1 (ko)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JPH0159849B2 (ko)
KR101583322B1 (ko) 제설용 삽날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도로의 제설, 제빙 및 평탄화장치
US1956385A (en) Grader attachment
CN104563039A (zh) 一种洗扫车吸盘越障机构及洗扫车
RU2361035C1 (ru) Подвеска плужного снегоочистит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