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242B1 -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242B1
KR101319242B1 KR1020120009520A KR20120009520A KR101319242B1 KR 101319242 B1 KR101319242 B1 KR 101319242B1 KR 1020120009520 A KR1020120009520 A KR 1020120009520A KR 20120009520 A KR20120009520 A KR 20120009520A KR 101319242 B1 KR101319242 B1 KR 10131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heat
module
solar modul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342A (ko
Inventor
박기주
위관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2000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2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으로부터 방출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생산과 함께 태양열로부터 방출된 열에너지를 집열 및 가열하여 난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열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받아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와, 상기 태양열 모듈에 연결되어 일사량, 풍향 및 풍속, 모듈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태양열 모듈로부터 생산된 열에너지를 받아 열로 변환하는 열 변환기와, 상기 열 변환기로부터 변환된 열을 받아 난방하는 난방기기와, 상기 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모듈과 태양열 모듈의 감시와 함께 상기 전력 변환기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solar genepating apparatus using the solar light and solar hea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함께 난방에 사용하도록 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대기 밖에 있어서 태양을 곧장 향하고 있는 면(面)은 1㎠당 매분(每分) 약 1.96cal의 복사에너지를 받는다. 지상에서는 대기 중의 수증기에 의한 흡수나 구름에 의한 반사/산란(散亂) 등으로 에너지가 손실되어 1㎠당 매초 약 1cal의 복사에너지를 받는다.
이것은, 1㎡당 약 700W의 에너지에 상당하며,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열로 계산하면, 태양은 주위의 공간에 매초 3.90×1033erg의 복사에너지를 방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태양에너지는 주로 전자기파(電磁氣波)가 되어서 지구로 오는데, 이 전자기파는 파장이 긴 쪽에서 차례로 전파·적외선(赤外線)·가시광선·자외선·X선·γ선 등, 모든 파장의 방사선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흔히 햇빛이라고 하면 주로 가시광선을 가리키며, 자연광이라고도 하는, 이른바 빛에 상당하며, 일광욕(日光浴)이나 일광 소독 같은 경우에는 적외선이나 자외선도 포함되는데, 그중에서도 자외선이 특히 중요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태양열 에너지와 태양광 에너지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취지에 부합하는 친환경적인 발전모델로서, 정부기관, 기업체 및 연구기관들에서 상기 태양열 및 태양광을 에너지들을 자원화하려는 연구개발이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개발이 태양열을 이용한 열에너지를 건축물의 난방으로 활용하는 기술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고, 태양광 에너지를 자원화하기 위한 연구는 농작물의 하우스재배에 국한되는바, 태양광 에너지의 자원화와 관련된 기술은 미비한 실정이다.
더욱이, 태양으로부터 발생하는 태양열 에너지와 태양광 에너지 양자 모두를 단일 시스템을 통해 자원화하는 기술은 전혀 개시되고 있지 않은바, 태양 에너지의 고효율 자원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으로부터 방출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생산과 함께 태양열로부터 방출된 열에너지를 집열 및 가열하여 난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열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받아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와, 상기 태양열 모듈에 연결되어 일사량, 풍향 및 풍속, 모듈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태양열 모듈로부터 생산된 열에너지를 받아 열로 변환하는 열 변환기와, 상기 열 변환기로부터 변환된 열을 받아 난방하는 난방기기와, 상기 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모듈과 태양열 모듈의 감시와 함께 상기 전력 변환기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발전과 태양열 발전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력 변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스트링 제어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구성 예시도
도 4는 도 1의 감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110)과, 상기 태양광 모듈(11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열 모듈(120)과, 상기 태양광 모듈(110)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받아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130)와, 상기 태양열 모듈(120)에 연결되어 일사량, 풍향 및 풍속, 모듈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기(140)와, 상기 태양열 모듈(120)로부터 생산된 열에너지를 받아 열로 변환하는 열 변환기(150)와, 상기 열 변환기(150)로부터 변환된 열을 받아 난방하는 난방기기(160)와, 상기 검출기(140)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모듈(110)과 태양열 모듈(120)의 감시와 함께 상기 전력 변환기(130)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장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모듈(110)을 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복수열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태양광 모듈(1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태양열 모듈(120)을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열로 배열되어 있다. 즉 상기 태양광 모듈(110)이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될 때 동일한 방향으로 태양열 모듈(120)이 배열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110)이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될 때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태양열 모듈(120)을 배열할 수도 있고, 상기 태양광 모듈(110)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일측에 배열한 상태에서 타측에 상기 태양열 모듈(120)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할 수 있다.
즉, 상기 태양광 모듈(110)과 태양열 모듈(120)의 배열에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태양광과 태양열을 입사 받아 각각 전기 에너지 및 열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면 그 배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도 1의 전력 변환기(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변환기(130)는 스트링 제어장치(131)와 인버터(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트링 제어장치(131)는 복수열로 배열된 태양광 모듈(110)을 스트링별로 분리하여 각 스트링별로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110)의 최대 전력점 추정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인버터(132)는 상기 스트링 제어장치로부터 최대 전력점 추정된 결과를 받아 생산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한다.
상기 스트링 제어장치(131)는 제어부(131a) 및 스트링 옵티마(SMC, 13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31a)는 복수의 스트링 옵티마(131b)를 개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제어부(131a)는 스트링 옵티마(131b)로 전달되는 각각의 입력전압 및 출력전압에 의한 각 스트링별 전력추종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해당 스트링 옵티마(131b)에 전달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31a)는 상기 검출기(140)에서 전달되는 환경정보에 따라 전력추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31a)는 태양전지모듈 또는 스트링이 설치된 위치의 일사량, 설치 위치의 온도, 패널의 온도, 시간과 같은 환경정보에 따라 각각 다른 추종 범위를 적용하여 최대전력점을 추종하고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트링 옵티마(131b)에 전달한다.
상기 스트링 옵티마(131b)는 태양광 모듈(110)의 각 스트링별로 공급되는 진류 전압을 인버터(132)의 입력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이러한 변환을 제어부(131a)의 제어하에 수행한다.
특히, 상기 스트링 옵티마(131b)는 태양광 모듈(110)의 각 스트링별로부터 스트링 옵티마(131b)로 입력되는 입력전압과, 변화 후 인버터(132)로 출력되는 출력전압 값을 제어부(131a)에 전달한다.
도 3은 도 2의 스트링 제어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구성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링 제어장치(131)는 스트링 옵티마(131b)와 태양광 모듈(110)의 각 스트링 사이에 퓨즈(133)에 의해 중계 연결된다. 상기 퓨즈(133)는 태양광 모듈(110)의 각 스트링별 과전압 발생시 자동으로 절단되어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트링제어장치(131)의 출력단에는 서킷브레이커(134)가 설치되어 태양광 모듈(110)의 각 스트링 또는 스트링 제어장치(131)의 이상 발생시 인버터(132)와 스트링제어장치(131) 간의 연결을 끊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링 옵티마(131b) 각각은 퓨즈(133)를 통해 태양광 모듈(110)의 각 스트링에 연결되어, 각 스트링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인버터(132)의 입력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135)와 제어부(131a)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버터(135)가 최대전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MPPT 제어기(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트링 제어장치(131)의 제어부(131a)는 각 스트링 옵티마(131b)의 MPPT 제어기(136)와 연결된다.
상기 스트링 옵티마(131b) 각각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 및 스트링 옵티마(131b)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은 MPPT 제어기(136)에 의해 측정되어 제어부(131a)에 전달되거나, 제어부(131a)가 각 스트링 옵티마의 입출력단에 설치된 전압검출기로부터 직접 전압 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의 감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장치(170)는 저장부(171), 분석부(172) 및 통신부(17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171)는 상기 태양광 모듈(110) 및 태양열 모듈(120), 상기 전력 변환기(130)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71)는 대상 설비에 대한 온도, 전류, 전압, 전력 피크치, 변압기 역률, 부하 불평형률 등의 센서들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다.
상기 분석부(172)는 상기 저장부(171)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고, 그 결과를 상기 통신부(173)를 통해 외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분석부(172)는 상기 대상 설비의 상태는 과거 임계치를 사용한 단순 항목별 상태감시 및 진단과 차별화하여 임계치를 벗어난 항목이 발생하는 경우 그와 관련된 모든 각각의 항목별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상기 저장부(171)와 분석부(172)는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초소형/저전력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MCU에는 CPU, 프로그램 메모리, SRAM, EEPROM, ADC 등이 집적되며, 그 예로 아트멜의 ATMega128L, TI의MSP430, 마이크로칩의 PIC18F 등이 있다.
상기 통신부(173)는 Wi-Fi,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대상 설비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73)는 스마트폰의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망과 3G 또는 4G 무선 통신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Wi-Fi 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PDA, 무선노트북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폰의 3G 또는 4G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의 관리 서버에 상기 통신부(173)를 통해 전달하거나 대상 설비의 제작 이력, 사고 이력, 유지 보수 및 교체 이력 등 종합적인 전력설비 이력 데이터를 자동/수동으로 입력받아 관리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에 결과 검색의 보안성을 제공하고, 고성능 서버 시스템의 분석 진단 결과와 DB에 저장된 설비 이력을 현장에서 손쉽게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사고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여 전력설비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이 대상 설비에 부착된 감시장치(170)의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대상 설비의 상태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대상설비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취득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감시장치(170)는 대상 설비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171)에 저장하고 있다가 관리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상기 통신부(173)를 통해 스마트폰에 상기 저장부(171)에 저장된 정보를 전달해준다.
상기 전달된 정보를 관리자는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상기 대상 설비의 상태를 감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 취득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감시장치(170)는 대상 설비의 상태를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와 온도 센서 등의 기본적인 센서를 입력 가능한 통신 포트를 원칩 및 원모듈형으로 구성하여 설치를 간소화함과 더불어 설치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를 이용 태양광발전과 태양열발전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태양광을 파장 별로 분류한 후 태양광발전에 맞는 파장의 태양광은 태양광 발전을, 태양열에 유리한 파장의 태양광은 태양열 발전에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장치는 종래와 같이 접속반을 사용하지 않고 인버터를 다수의 분리하고, 상기 각 스트링별로 대응하게 스트링 옵티마(131b)를 설치하여 상기 스트링 옵티마(131b)에서 MPPT 제어하여 최대 전력을 5개로 분리된 인버터(13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해당 인버터에서 AC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그 결과 스트링별로 대응되게 설치된 스트링 옵티마(131b)에서 MPPT 제어하여 각 스트링별로 발전량을 최적화하여 각 스트링별로 전력 생산에 차이가 발생하더라도 최대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생산이 작은 경우에 필요한 인버터만을 선택하여 전력 생산을 최대로 할 수 있고, 인버터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0kW의 인버터 5개로 분리하여 250kW 용량의 인버터를 설치하고, 100kW만을 동작할 경우에 2개의 인버터를 최대로 동작하고 나머지 3개의 인버터는 대기 상태를 하고 있다. 만약, 2개의 인버터 동작이 완료된 후 3개의 인버터가 필요한 경우에는 대기 상태로 되어 있던 3개의 인버터를 사용하게 된다.
즉, 5개의 인버터를 순환 구동하여 사용하므로 인버터의 수명을 한층더 향상시킴과 함께 전력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5개의 인버터 중 하나의 인버터가 고장난 경우에 해당 인버터만 발전을 차단하고 나머지 인버터들을 구동함으로써 발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인 타입으로 인버터 고장시 발전 중단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버터를 5개로 분리하여 250kW 용량을 갖는 인버터로 제작하여 인버터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이 종래와 같이 낮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스트링 옵티마를 통해 승압하여 발전하게 되므로 발전 효율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일출, 일몰 및 구름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일사량이 작아 스트링 전압이 인버터의 최저 동작전압보다 낮아지면 250kW의 인버터 동작이 중단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트링 옵티마를 사용하여 일사량이 작더라도 전압을 승압하여 인버터에 인가하므로 인버터의 동작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태양광 모듈 120 : 태양열 모듈
130 : 전력 변환기 140 : 검출기
150 : 열 변환기 160 : 난방기기
170 : 감시장치

Claims (7)

  1.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열 모듈과,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받아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기와,
    상기 태양열 모듈에 연결되어 일사량, 풍향 및 풍속, 모듈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태양열 모듈로부터 생산된 열에너지를 받아 열로 변환하는 열 변환기와,
    상기 열 변환기로부터 변환된 열을 받아 난방하는 난방기기와,
    상기 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태양광 모듈과 태양열 모듈의 감시와 함께 상기 전력 변환기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될 때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태양열 모듈을 배열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일측에 배열한 상태에서 타측에 상기 태양열 모듈을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기는 복수열로 배열된 태양광 모듈을 스트링별로 분리하여 각 스트링별로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최대 전력점 추정 제어를 수행하는 스트링 제어장치와, 상기 스트링 제어장치로부터 최대 전력점 추정된 결과를 받아 생산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제어장치는 제어부 및 스트링 옵티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스트링 옵티마를 개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링 옵티마는 태양광 모듈의 각 스트링별로 공급되는 진류 전압을 인버터의 입력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각 스트링 옵티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분배기를 통해 분배된 전력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각 태양전지 모듈을 통해 생성된 DC 전력을 계통에 연계할 수 있도록 AC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동일한 kW용량으로 분리된 다수의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 및 태양열 모듈, 인버터로부터 전달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 및 태양열 모듈, 인버터의 이상 유무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상기 태양광 모듈 및 태양열 모듈, 인버터의 상태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Wi-Fi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외부의 스마트폰에 상기 태양광 모듈 및 태양열 모듈, 인버터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20009520A 2012-01-31 2012-01-31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1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20A KR101319242B1 (ko) 2012-01-31 2012-01-31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20A KR101319242B1 (ko) 2012-01-31 2012-01-31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342A KR20130088342A (ko) 2013-08-08
KR101319242B1 true KR101319242B1 (ko) 2013-10-16

Family

ID=4921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20A KR101319242B1 (ko) 2012-01-31 2012-01-31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241B1 (de) * 2014-09-04 2019-10-15 Fronius Int Gmbh Wechselrichter zur Fluiderwärm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58Y1 (ko) 2009-03-04 2009-10-01 (주)금성콘테이너하우스 태양열 및 태양광을 이용하여 온수 사용이 가능한 콘테이너하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58Y1 (ko) 2009-03-04 2009-10-01 (주)금성콘테이너하우스 태양열 및 태양광을 이용하여 온수 사용이 가능한 콘테이너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342A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5491B2 (en) Voltage setting devic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voltage setting device
KR102412303B1 (ko) 전류값을 이용하여 스트링 단위로 균등 전압을 추종하는 스트링 옵티마, 및 이를 적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026353B1 (ko) 디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태양전지모듈 제어 및 모니터링시스템
CN112292812B (zh) 用于检测太阳能跟踪器的阴影的方法和系统
KR101295529B1 (ko) 태양전지판의 고장진단 원격감시 시스템
KR101114240B1 (ko) 멀티 존 인버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742598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원격 감시 장치
KR101478019B1 (ko) 태양광발전 모니터링 및 제어 관리 시스템
KR10172066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 및 모니터링 통합 시스템
JP6093465B1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発電診断方法、及び発電診断装置
JP6334312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監視制御装置、監視制御プログラ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10848099B2 (en) Power generatio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for photovoltaic panels
EP2962235A2 (en) Building intergrated photovoltaic devices as smart sensors for intellig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U2018278210B2 (en)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hybrid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US11894802B2 (en) Solar module racking system
KR101132323B1 (ko) 단위 그룹별 최대전력점 추종을 수행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Ramu et al. An IoT‐based smart monitoring scheme for solar PV applications
KR102139329B1 (ko) 태양광 발전소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47508B1 (ko) 태양광 발전소의 운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3638A (ko)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57916B1 (ko) 전압 인가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스트링별 발전전력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14753B1 (ko)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57190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의 에너지 관리 장치
KR101740711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장치
KR101319242B1 (ko)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