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961B1 - 장어 자동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장어 자동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961B1
KR101318961B1 KR1020120032189A KR20120032189A KR101318961B1 KR 101318961 B1 KR101318961 B1 KR 101318961B1 KR 1020120032189 A KR1020120032189 A KR 1020120032189A KR 20120032189 A KR20120032189 A KR 20120032189A KR 101318961 B1 KR101318961 B1 KR 101318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l
sorting
main body
inle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328A (ko
Inventor
노정호
Original Assignee
노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호 filed Critical 노정호
Priority to KR102012003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9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2Apparatus having only parallel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어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지게 설치된 각도와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장어를 자연스럽게 유동시키면서 복수의 선별망을 통해 장어의 몸통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복수의 크기 집단으로 자동 선별함으로써 장어 선별 작업을 신속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어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 상측에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입설된 복수의 분산격벽에 의해 복수의 투입관로가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장어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본체의 상부에 투입구의 하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입설된 복수의 가이드격벽에 의해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장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관로; 상기 이동관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장어가 보이는 투명판과; 상기 이동관로의 하부에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되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선별공의 간격이 본체의 후단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넓어지게 구성되어, 이동관로를 이동하는 장어가 몸통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낙하하여 선별되는 복수의 선별망; 상기 본체의 하부에 각 선별망의 하부와 연통되면서 내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배출공이 설치되어, 각 선별망에서 낙하되는 장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을 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장어를 몸통 크기별로 신속 정확하게 자동 선별함으로써 선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된 장어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어 자동 선별장치{Automatic sorting apparatus of eel}
본 발명은 장어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지게 설치된 각도와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장어를 자연스럽게 유동시키면서 복수의 선별망을 통해 장어의 몸통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복수의 크기 집단으로 자동 선별함으로써 장어 선별 작업을 신속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어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32440호, 2003.10.28.자
[문헌 2] 국내 특허등록 제10-0879609호, 2009.01.13.자
일반적으로 어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경우 한 종류의 어류만을 목표로 포획하더라도 그 주변의 다른 어류도 함께 어망에 포획되므로 어류의 종류별 선별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문헌 1의 어류 선별 장치가 안출되었다. 이는 어류배출관의 투하구로부터 투하되는 어류를 제1분류판의 통공과 제2분류판의 틈새 및 투입구를 통해 어류의 형태에 따라 선별하는 구조이다.
즉, 장어, 멸치 등과 같이 몸통이 둥근 어류는 제1분류판에서 분리되고 뱅어, 밴댕이 등과 같이 몸통이 납작한 어류는 제2분류판에서 분류되며 삼치, 아구, 오징어, 해파리 등과 같이 몸통이 크고 넓은 어류는 투입구에서 분류된다.
그러나 상기한 문헌 1의 어류 선별 장치는 다종의 어류를 형태에 따라 각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로서, 어류 한 종류에 대하여 그 크기별로 선별하는 작업은 불가능하다.
특히, 통발이나 어망 등의 어구를 사용하여 포획하는 장어는 길이가 보통 60㎝내외로 보통의 어류와 마찬가지로 그 크기 혹은 무게에 따라 가격이 책정되므로 크기별로 분류하는 선별작업이 필요하다.
보통 장어의 선별작업은 수작업으로 행해지므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대충 눈대중으로 선별하므로 정확한 선별이 어렵다. 선별작업이 길어지면서 장어가 받는 스트레스가 증대되며 상처도 생기면서 장어의 신선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이를 위해 장어가 투입되는 투입부, 투입된 장어가 선별되는 선별부, 선별부의 선별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투입부로 유입되는 장어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조절부, 선별부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부를 구성되어 일정크기의 장어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문헌 2의 장어 자동 선별장치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문헌 2의 장어 자동 선별장치는 일정 크기를 가진 장어만을 따로 선별하는 것으로, 장어의 다양한 크기별로 다단계로 선별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한 구조이다.
즉, 장어를 크기에 따라 다단계로 선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계마다 선별부의 간격을 조금씩 줄이는 작업이 필요하고, 선별부의 간격을 줄인 후에는 선별되지 않은 장어를 선별될 때까지 투입부로 반복 투입하여 재차 선별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헌 1의 장어 자동 선별장치로는 장어의 크기별 선별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별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선별된 장어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장어를 몸통 크기별로 자동으로 신속 정확하게 선별하여 장어 선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고 크기별로 선별된 장어의 신선도를 보장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 상측에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입설된 복수의 분산격벽에 의해 복수의 투입관로가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장어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본체의 상부에 투입구의 하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입설된 복수의 가이드격벽에 의해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투입구로 투입된 장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관로; 상기 이동관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장어가 보이는 투명판과; 상기 이동관로의 하부에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되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선별공의 간격이 본체의 후단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넓어지게 구성되어, 이동관로를 이동하는 장어가 몸통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낙하하여 선별되는 복수의 선별망; 상기 본체의 하부에 각 선별망의 하부와 연통되면서 내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배출공이 설치되어, 각 선별망에서 낙하되는 장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을 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투입구의 투입관로는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만곡되게 축소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의 상측에는 장어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상부급수관(12)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관로에는 장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중간급수관이 각 선별망의 선단마다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배출조의 상측에는 선별망에서 낙하하는 장어를 향하여 물을 급수하는 복수의 하부급수관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장어의 몸통 크기별로 다단계로 자동 선별함에 따라 선별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신속한 선별 작업으로 장어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자동 선별로 인해 장어를 크기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고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경사도와 물의 흐름을 이용함에 따라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자동 선별장치(100)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선단 상측에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입설된 복수의 분산격벽(2)에 의해 복수의 투입관로(3)가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장어가 투입되는 투입구(4);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투입구(4)의 하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입설된 복수의 가이드격벽(5)에 의해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투입구(4)로 투입된 장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관로(6); 상기 이동관로(6)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장어가 보이는 투명판(7)과; 상기 이동관로(6)의 하부에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되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선별공(8)의 간격이 본체(1)의 후단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넓어지게 구성되어, 이동관로(6)를 이동하는 장어가 몸통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낙하하여 선별되는 복수의 선별망(9); 상기 본체(1)의 하부에 각 선별망(9)의 하부와 연통되면서 내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배출공(10)이 설치되어, 각 선별망(9)에서 낙하되는 장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조(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4)의 투입관로(3)는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만곡된 형태로 축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4)의 상측에는 장어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상부급수관(12)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관로(6)는 장어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어의 몸통 크기가 가장 큰 장어보다 넓은 크기로 구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망(9)은 가장 작은 제1선별공(8a)을 가진 제1선별망(9a), 작은 제2선별공(8b)을 가진 제2선별망(9b), 넓은 제3선별공(8c)을 가진 제3선별망(9c), 가장 넓은 제4선별공(8d)을 가진 제4선별망(9d)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선별망(9)과 선별공(8)은 선별하고자 하는 장어의 몸통 크기에 대한 분포를 감안하여 그 분포에 맞는 수와 크기로 구성하면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조(11)는 선별망(9)과 같이 제1선별망(9a)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배출공(10a)을 구비한 제1배출조(11a), 제2선별망(9b)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2배출공(10b)을 구비한 제2배출조(11b), 제3선별망(9c)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3배출공(10c)을 구비한 제3배출조(11c), 제4선별망(9d)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4배출공(10d)을 구비한 제4배출조(11d)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또한 선별망(9)의 설치 수에 맞게 그 각각의 하부에 설치하여 구성하면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관로(6)의 상측에는 장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복수의 중간급수관(13)이 각 선별망(9)의 선단마다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조(11)의 상측에는 선별망(9)에서 낙하하는 장어를 향하여 물을 급수하는 복수의 하부급수관(14)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급수관(12)과 중간급수관(13) 및 하부급수관(14)은 연결관이나 연결호스 등을 통해 물탱크나 펌프 등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자동 선별장치(100)는, 길이가 길고 움직임이 많은 어류인 장어를 몸통 크기에 따라 복수의 크기 집단으로 자동 선별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자동 선별장치(100)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경사도와 물의 이동 흐름을 이용하여 장어를 자연스럽게 이동시키면서 몸통 크기가 작은 것부터 다단계로 자동 선별함으로써 장어의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신속 정확하게 크기별 선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즉, 선단에서 후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본체(1), 본체(1)의 선단 상측에 설치된 투입구(4), 본체(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구획된 이동관로(6), 이동관로(6)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공(8)이 단계별로 넓어지는 복수의 선별망(9), 각 선별망(9)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배출조(11), 투입구(4)와 이동관로(6) 및 배출조(11)에 각각 횡설된 상부급수관(12)과 중간급수관(13) 및 하부급수관(14)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일정량의 장어를 투입구(4)를 통해 연속적으로 투입하면, 장어는 상부급수관(12)과 중간급수관(13) 및 하부급수관(14)에서 공급되는 물의 흐름과 본체(1)의 경사 각도에 의해 투입구(4)와 연통된 각 이동관로(6)로 한 마리씩 차례대로 유입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펼쳐진 형태로 본체(1)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장어는 몸통 크기에 따라 이동관로(6)의 하측에 설치된 각 선별망(9)의 선별공(8)을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각 배출조(11)로 낙하되면서 자동 선별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투입된 장어는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몸통 크기가 가장 작은 것부터 가장 큰 것까지 복수의 크기 집단으로 자동 선별됨으로써 선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크게 절감하고 정확한 선별이 가능하며 장어가 받는 스트레스가 적어 신선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자동 선별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어를 투입구(4)를 통해 투입한다. 그러면 장어는 투입구(4)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분산격벽(2)에 의해 좌우로 분산되면서 각 투입관로(3)로 유입된다.
이때 투입관로(3)는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만곡된 형태로 축소되는 형태이므로 투입관로(3)의 상부로 유입된 장어는 그 하부에서 자연스럽게 한 마리씩 정렬되면서 가이드격벽(5)에 의해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이동관로(6)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투입구(4)의 상측에 물을 하방으로 급수하는 상부급수관(12)이 설치되어 투입관로(3)로 유입되어 이동관로(6)로 이동하는 장어의 이동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장어의 정체를 막고 투입 과정에서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상처를 예방하고 투입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관로(6)로 이동하는 장어는 가이드격벽(5)과 본체(1)의 경사 각도에 의해 이동관로(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쭉 뻗은 형태로 한 마리씩 차례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관로(6)의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중간급수관(13)을 통해 장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물을 급수함에 따라 이동관로(6)를 따라 이동하는 장어의 이동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도하여 장어의 정체를 막고 이동 과정에서 마찰 등으로 인한 상처를 예방하고 이동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이게 된다.
그러면 장어는 이동관로(6)의 하부에 본체(1)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선별망(9)의 각 선별공(8)을 통해 각 단에서 몸통 크기가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각 배출조(11)로 낙하되면서 복수의 크기 집단으로 선별된다.
즉, 첫 번째로 몸통 크기가 가장 작은 장어가 제1선별망(9a)의 제1선별공(8a)을 통과한 후 제1배출조(11a)로 낙하하여 선별되고, 두 번째로 몸통 크기가 작은 장어가 제2선별망(9b)의 제2선별공(8b)을 통과한 후 제2배출조(11b)로 낙하하여 선별된다.
그리고 세 번째로 몸통 크기가 큰 장어가 제3선별망(9c)의 제3선별공(8c)을 통과한 후 제3배출조(11c)로 낙하하여 선별되고, 마지막으로 몸통 크기가 가장 큰 장어간 제4선별망(9d)의 제4선별공(8d)을 통과한 후 제4배출조(11d)로 낙하하여 선별된다.
이때 각 배출조(11)의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급수관(14)을 통해 각 선별망(9)에서 낙하하는 장어를 향하여 물을 급수함에 따라 선별망(9)에서 완전히 통과하지 못한 장어가 쉽게 통과되도록 유도하여 장어가 선별망(9)에 걸리면서 정체가 되는 폐단을 막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배출조(11a)와 제2배출조(11b)와 제3배출조(11c) 및 제4배출조(11d)로 낙하하여 몸통 크기별로 선별된 장어는 그 하측의 경사면에 의해 제1배출공(10a)과 제2배출공(10b)과 제3배출공(10c) 및 제4배출공(10d)을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면서 선별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자동 선별장치(100)는, 다양한 몸통 크기를 가진 장어를 물의 흐름과 경사각도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이동시키면서 몸통 크기에 따라 자유 낙하시켜 복수의 크기 집단으로 자동 선별함으로써 장어의 선별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고 장어가 받는 스트레스를 덜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 본체 2: 분산격벽
3: 투입관로 4: 투입구
5: 가이드격벽 6: 이동관로
7: 투명판 8: 선별공
8a: 제1선별공 8b: 제2선별공
8c: 제3선별공 8d: 제4선별공
9: 선별망 9a: 제1선별망
9b: 제2선별망 9c: 제3선별망
9b: 제4선별망 10: 배출공
10a: 제1배출공 10b: 제2배출공
10c: 제3배출공 10d: 제4배출공
11: 배출조 11a: 제1배출조
11b: 제2배출조 11c: 제3배출조
11d: 제4배출조 12: 상부급수관
13: 중간급수관 14: 하부급수관
100: 장어 자동 선별장치

Claims (5)

  1. 선단에서 후단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본체(1);
    상기 본체(1)의 선단 상측에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입설된 복수의 분산격벽(2)에 의해 복수의 투입관로(3)가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장어가 투입되는 투입구(4);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투입구(4)의 하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입설된 복수의 가이드격벽(5)에 의해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획되어, 투입구(4)로 투입된 장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이동관로(6);
    상기 이동관로(6)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장어가 보이는 투명판(7)과;
    상기 이동관로(6)의 하부에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되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선별공(8)의 간격이 본체(1)의 후단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넓어지게 구성되어, 이동관로(6)를 이동하는 장어가 몸통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낙하하여 선별되는 복수의 선별망(9);
    상기 본체(1)의 하부에 각 선별망(9)의 하부와 연통되면서 내저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배출공(10)이 설치되어, 각 선별망(9)에서 낙하되는 장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조(1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을 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4)의 투입관로(3)는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만곡된 형태로 축소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4)의 상측에는
    장어가 투입되는 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상부급수관(12)이 횡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관로(6)에는
    장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물을 급수하는 중간급수관(13)이 각 선별망(9)의 선단마다 횡방향으로 관통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조(11)의 상측에는
    선별망(9)에서 낙하하는 장어를 향하여 물을 급수하는 복수의 하부급수관(14)이 횡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 자동 선별장치.
KR1020120032189A 2012-03-29 2012-03-29 장어 자동 선별장치 KR10131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89A KR101318961B1 (ko) 2012-03-29 2012-03-29 장어 자동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89A KR101318961B1 (ko) 2012-03-29 2012-03-29 장어 자동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28A KR20130110328A (ko) 2013-10-10
KR101318961B1 true KR101318961B1 (ko) 2013-10-15

Family

ID=4963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189A KR101318961B1 (ko) 2012-03-29 2012-03-29 장어 자동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87B1 (ko) 2020-10-22 2021-12-0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장어선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6924A (zh) * 2015-05-06 2015-07-08 李立群 一种鳗鱼苗筛选网架机构
CN112352821A (zh) * 2020-10-26 2021-02-12 顺祥食品有限公司 一种虾尾大小分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21Y1 (ko) 2001-08-22 2001-12-01 박종오 멸치 자동 선별장치
KR200306721Y1 (ko) 2002-12-02 2003-03-11 김정렬 패각류 세척기
KR20070102023A (ko) * 2006-04-13 2007-10-18 유근영 어류의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0879609B1 (ko) 2007-07-27 2009-01-21 박경만 장어 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21Y1 (ko) 2001-08-22 2001-12-01 박종오 멸치 자동 선별장치
KR200306721Y1 (ko) 2002-12-02 2003-03-11 김정렬 패각류 세척기
KR20070102023A (ko) * 2006-04-13 2007-10-18 유근영 어류의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0879609B1 (ko) 2007-07-27 2009-01-21 박경만 장어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687B1 (ko) 2020-10-22 2021-12-0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장어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28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2399B (zh) 一种鱼类福利化分级装置
CN102630620A (zh) 特定规格鱼类的筛选装置
CN104285918B (zh) 拖网选择性渔获分离装置
KR101318961B1 (ko) 장어 자동 선별장치
KR101615019B1 (ko) 통발
CN102369049B (zh) 受阻沉降式分级机
CN103821780B (zh) 一种液压油箱
DE102009046683A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s eines Trockners, Trockner mit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Bauteils eines Trockners
RU2013136837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нованного на текучей среде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одукта
DE202010012571U1 (de) Fischsortiervorrichtung
KR20210093865A (ko) 활어 선별 장치 (sorting device for live fish)
CN113273534B (zh) 一种适用于水坝集运鱼的转运及分类暂养系统
KR100879609B1 (ko) 장어 선별기
CN102349478B (zh) 设有分鱼装置和鲢鳙鱼苗安全逃生通道的灯光抬网
RU2339761C1 (ru) Способ привлечения рыбы в рыбоход и рыбоход его осуществляющий
KR101023603B1 (ko) 멸치 선별장치
DE102015100081A1 (de) Auswuchtvorrichtung für einen Waschautomaten oder Waschtrockner
WO2011109875A1 (en) Aquaculture tank
CN109006631B (zh) 一种鱼类选别器
CN103688894B (zh) 一种鲆鲽鱼类分苗装置
CN207653325U (zh) 鳗鱼分选系统
KR100808961B1 (ko) 제지용 정선장치
CN206122288U (zh) 一种清洗玻璃吸管的装置
CN203575334U (zh) 鱼类选别机
KR890005217Y1 (ko) 어류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