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787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787B1
KR101317787B1 KR1020120012937A KR20120012937A KR101317787B1 KR 101317787 B1 KR101317787 B1 KR 101317787B1 KR 1020120012937 A KR1020120012937 A KR 1020120012937A KR 20120012937 A KR20120012937 A KR 20120012937A KR 101317787 B1 KR101317787 B1 KR 101317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peaker
diaphragm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557A (ko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78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요크의 폴은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동심을 이루는 복수개의 관(管)으로 형성된 형상이고, 진동판과 인접하면서 대향하는 면은 밀폐되고 진동판과 이격되어 외측을 향하는 면은 개방된다. 따라서, 요크의 폴의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요크의 폴을 통하여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된다. 그러므로, 스피커의 부품들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도 1a는 종래의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요크의 절개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이 마련되고, 프레임(10)의 하면측 및 상면측에는 자기회로부(20) 및 음향발생부(30)가 각각 설치된다. 자기회로부(20)는 플레이트(21), 마그네트(23) 및 요크(25)를 가지고, 음향발생부(30)는 진동판(31) 및 보이스코일(33)을 가진다.
플레이트(2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의 하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2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21)의 하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요크(25)는 마그네트(23)의 하면에 결합되는 받침판(25a)과 받침판(25a)의 중앙부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그네트(23) 및 플레이트(21)를 관통하는 폴(Pole)(25b)을 가진다. 플레이트(21)의 내주면과 폴(25b)의 외주면 사이 및 마그네트(23)의 내주면과 폴(25b)의 외주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진동판(31)은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측은 에지(35)를 매개로 프레임(10)의 상단면(上端面)측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자기회로부(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보이스코일(33)은 상부측은 진동판(31)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하부측은 캡(G)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보이스코일(33)에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면, 보이스코일(33)과 자기회로부(20)의 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33)이 상하로 진동하고, 보이스코일(33)에 의하여 진동판(31)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스피커가 동작하면, 보이스코일(33)에서는 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보이스코일(33)에서 발생하는 열은 자기회로부(20)를 통하여 외부로 방열된다.
그런데, 종래의 스피커는 금속재로 형성된 요크(25)의 폴(25b)의 내부가 금속재로 채워져 있으므로, 폴(25b)을 통한 방열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로 인해, 보이스코일(33)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부품들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보이스코일(33)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부품들이 손상되는 문제점은 고출력 스피커의 경우 더욱 심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요크의 폴을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되게 함으로써, 부품들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링 형상의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폴(Pole)을 가지는 요크를 포함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상기 폴의 상측에 위치된 진동판, 일측은 상기 진동판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폴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 및 상기 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갭에 위치된 보이스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를 구비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받침판에서 연장 형성된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과 간격을 가지는 내부관; 상기 진동판과 인접하는 상기 외부관의 단면(端面)과 상기 내부관의 단면(端面)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을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일측을 밀폐하는 밀폐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링 형상의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폴(Pole)을 가지는 요크를 포함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상기 폴의 상측에 위치된 진동판, 일측은 상기 진동판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폴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 및 상기 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갭에 위치된 보이스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를 구비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받침판에서 연장 형성된 외부관; 상기 진동판과 인접하는 상기 외부관의 단면(端面)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의 일측을 밀폐하며, 상기 진동판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부가 형성된 밀폐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요크의 폴은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동심을 이루는 복수개의 관(管)으로 형성된 형상이고, 진동판과 인접하면서 대향하는 면은 밀폐되고 진동판과 이격되어 외측을 향하는 면은 개방된다. 따라서, 요크의 폴의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요크의 폴을 통하여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된다. 그러므로, 스피커의 부품들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스피커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요크의 절개 사시도.
도 2a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요크의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크의 절개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요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이 마련된다. 프레임(110)은 외형이 대략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 중앙부에는 관통공(113)이 형성되고 타면은 개방된다.
이하, 프레임(110)을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관통공(113)이 형성된 프레임(110)의 하면에는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120)가 결합되고,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전기력을 발생하며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음향발생부(130)가 설치된다.
자기회로부(120)는 플레이트(121), 마그네트(123) 및 요크(125)를 가진다.
플레이트(12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10)의 하면에 결합되고, 마그네트(12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결합된다. 금속재로 형성된 요크(125)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마그네트(123)의 하면에 결합된 받침판(126)과 받침판(126)의 내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마그네트(123)와 플레이트(121)를 관통하는 폴(Pole)(127)을 가진다. 이때, 폴(127)의 외주면과 마그네트(123)의 내주면 사이 및 폴(127)의 외주면과 플레이트(121)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음향발생부(130)는 진동판(131), 보이스코일(133) 및 댐퍼(135)를 가진다.
진동판(131)은 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측은 에지(137)를 매개로 프레임(110)의 상단면(上端面)측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자기회로부(1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보이스코일(133)은 원통 형상의 보빈(133a)과 보빈(133a)의 하부측 외주면에 권선된 코일(133b)을 가진다. 보빈(133a)의 상부측 외주면은 진동판(131)의 내주면측에 결합되고, 하부측은 자기회로부(120)의 갭(G)에 위치된다.
댐퍼(135)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측은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진동판(131) 하측의 보빈(133a)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코일(133b)에 공급되면, 코일(133b)과 자기회로부(120)의 작용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33)이 상하로 진동하고, 보이스코일(133)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판(131)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이때, 댐퍼(135)는 보이스코일(133)이 좌우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판(131)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스피커가 동작하면, 보이스코일(133)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한다. 이때, 보이스코일(133)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되어야, 스피커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보이스코일(133)에서 발생되는 열이 요크(125)의 폴(127)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폴(127)은 받침판(126)에서 연장 형성된 외부관(127a), 외부관(127a)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관(127a)과 간격을 가지는 내부관(127b), 진동판(131)과 인접하는 외부관(127a)의 상단면(上端面)과 내부관(127b)의 상단면(上端面)에 형성되어 외부관(127a)과 내부관(127b)을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외부관(127a)과 내부관(127b)의 상단면을 밀폐하는 밀폐판(127c)을 포함한다.
즉, 폴(127)은 복수의 관(管)이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동심을 이루는 형상이고, 진동판(131)과 인접하면서 대향하는 상단면(上端面)은 밀폐되고 진동판(131)과 이격되어 스피커의 외측을 향하는 하단면(下端面)은 개방된다.
그러면, 폴(127)의 표면적이 넓어진 형태가 되므로, 보이스코일(133)의 코일(133b)에서 발생되는 열이 폴(127)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된다.
이때, 외부관(127a)과 내부관(127b)은 동심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관(127b)은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동심을 이루는 복수개의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크의 절개 사시도로서, 도 2b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225)의 폴(227)은 받침판(226)에서 연장 형성된 외부관(227a), 진동판(131)(도 2a 참조)과 인접하는 외부관(227a)의 상단면(上端面)에 형성되어 외부관(227a) 상단면을 밀폐하며, 중앙부측에 진동판(131)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부(227ba)가 형성된 밀폐판(227b)을 포함한다.
이 또한, 폴(227)의 표면적이 넓어진 형태가 되므로, 보이스코일(133)의 코일(133b)(도 2a 참조)에서 발생되는 열이 폴(227)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된다.
폴(227)도 복수의 관(管)이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동심을 이루는 형상이며, 진동판(131)(도 2a 참고)과 이격되어 스피커의 외측을 향하는 하단면(下端面)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120: 자기회로부
121: 플레이트
123: 마그네트
125: 요크
126: 받침판
127: 폴
130: 음향발생부

Claims (3)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된 링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된 링 형상의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 결합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폴(Pole)을 가지는 요크를 포함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내주면측은 상기 폴의 상측에 위치된 진동판, 일측은 상기 진동판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폴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 및 상기 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갭에 위치된 보이스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를 구비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받침판에서 연장 형성된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과 간격을 가지는 내부관;
    상기 진동판과 인접하는 상기 외부관의 단면(端面)과 상기 내부관의 단면(端面)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을 상호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일측을 밀폐하는 밀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은 동심을 이루고,
    상기 내부관은 상호 간격을 가지면서 동심을 이루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삭제
KR1020120012937A 2012-02-08 2012-02-08 스피커 KR101317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937A KR101317787B1 (ko) 2012-02-08 2012-02-08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937A KR101317787B1 (ko) 2012-02-08 2012-02-08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557A KR20130091557A (ko) 2013-08-19
KR101317787B1 true KR101317787B1 (ko) 2013-10-15

Family

ID=4921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937A KR101317787B1 (ko) 2012-02-08 2012-02-08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0622A (zh) * 2020-06-09 2020-11-20 深圳前海振百易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发电的扬声器及其实现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59A (ko) * 2004-02-04 2005-08-09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20110085102A (ko) * 2010-01-19 2011-07-27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101086932B1 (ko) * 2010-12-27 2011-11-29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59A (ko) * 2004-02-04 2005-08-09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20110085102A (ko) * 2010-01-19 2011-07-27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KR101086932B1 (ko) * 2010-12-27 2011-11-29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557A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388B1 (ko) 채널을 갖는 라우드스피커 자석
KR100962594B1 (ko) 다기능 스피커
KR101880250B1 (ko) 저 프로화일 라우드스피커 트랜스듀서용 보강 다이어프램
US20130108099A1 (en) Loudspeaker having improved cooling system integrally formed on speaker frame
US8879774B2 (en) Loudspeaker magnet assembly with two inner magnets comprising a central bore
JP6270651B2 (ja) スピーカ装置
US7634101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loudspeaker having internal heat sink and vented top plate
KR101980163B1 (ko) 저 프로화일 라우드스피커 서스펜션 시스템
KR101317787B1 (ko) 스피커
KR20150025340A (ko) 측면 방사형 마이크로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인클로져스피커
KR101481649B1 (ko) 마이크로스피커
KR101317799B1 (ko) 스피커 시스템
JP2009159009A (ja) スピーカ
KR101345335B1 (ko) 스피커
KR101345334B1 (ko) 스피커
KR20110085102A (ko) 스피커
KR100993242B1 (ko) 스피커
KR101722530B1 (ko) 스피커
KR102038000B1 (ko) 스피커
KR100957539B1 (ko) 스피커
KR20080085465A (ko) 스피커
JP2009141521A (ja) 磁気ギャップ構造及びダイナミックスピーカ
KR20080085470A (ko) 스피커
KR20090087566A (ko) 스피커
KR20080085468A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