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312B1 -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 Google Patents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312B1
KR101317312B1 KR1020110129834A KR20110129834A KR101317312B1 KR 101317312 B1 KR101317312 B1 KR 101317312B1 KR 1020110129834 A KR1020110129834 A KR 1020110129834A KR 20110129834 A KR20110129834 A KR 20110129834A KR 101317312 B1 KR101317312 B1 KR 10131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er
frame
plate
upper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357A (ko
Inventor
이경택
Original Assignee
영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3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22Holders for feeding or positioning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2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presses or dies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10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상정반(120)과,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정반(120) 하부에 위치하여 상정반(120)을 가압하는 압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정반(120)은 육면체 형상의 블록(121)과, 상기 블록(121)의 양쪽 측면(123)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체이서(140)를 상방으로 끌어올려서 상정반(120)에 밀착시키는 고정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0) 중, 상기 체이서(140)가 진입하는 쪽의 일측 프레임(110)에, 상정반(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통공(1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블록(121)의 하면(122)에 상기 체이서(140)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홈(130)과, 상기 홈(130)에 삽입고정되는 레일(131)과, 상기 레일(131)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체이서(140)의 상면(147)에 고정된 가이드(14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공(115)이 형성된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체이서(140)를 상기 통공(115) 내부로 밀어주는 진입부(160)와, 상기 상정반(120)의 측면(123)에 장착되어 상기 통공(115)으로 진입하는 체이서(140)를 상정반(12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진입부(160)와 이송부(170)에 의해, 체이서(140)를 작업자의 힘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상정반(12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48)가 상기 레일(131)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체이서(140)가 하방으로 아크 모양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칼날이 판지에 인쇄된 절개부위를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Blanking machine that a chaser approach is automatically possible}
본 발명은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체이서를 사람의 힘에 의하지 않고, 진입부와 이송부에 의해 상정반의 하부까지 이동하도록 구성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발기(1)는 도 1에서처럼, 판지(P, 골판지, 마닐라지 등 포장박스용 종이)를 절개하여 포장박스(B)를 전개도 상태로 커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타발기(1)는 도 2에서처럼, 양측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상정반(2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개재되어 상정반(20) 하부에 위치하여 상정반(20)을 가압하는 압축부(30)가 구성된다.
상기 상정반(20)은 육면체 형상의 블록(21)과, 상기 블록(21)의 양쪽 측면(23, 프레임에 접촉하지 않은 측면)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체이서(40)를 장착하는 고정부(25)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5)는 상기 측면(23)에 장착된 브래킷(26)과, 상기 브래킷(26)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로드(28)가 연장되는 에어실린더(27)와, 상기 로드(28)에 장착되어 하방을 향하며 후술하는 체이서(40)를 걸어서 올리는 후크 형상의 핑거(29)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부(30)는 상하방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체이서(40)를 가압하는 이동정반(31)과, 상기 이동정반(31)을 왕복시키는 구동부(33)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33)를 수용하며 상기 프레임(10)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 박스(3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핑거(29)에 걸려서 상기 블록(21)의 하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체이서(40)가 구성되는데, 측방(양쪽의 고정부 방향)으로 상기 핑거(29)에 걸리는 플랜지(45)가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 중 일측 프레임(10)에는 상정반(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공(15)이 형성되어 상기 체이서(40)가 진입하여 상기 핑거(29)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체이서(40)의 하면에 판 형상의 목형(50)을 부착한다. 상기 목형(50)은 하면에 칼날(55)이 형성되어 판지(P)를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이서(40)를 상기 통공(15)을 통해서 밀어넣은 후, 상기 핑거(29)에 플랜지(45)가 걸리도록 한다. 물론, 이때 상기 핑거(29)는 에어실린더(27)에 의해서 하강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에어실린더(27)를 작동시켜서 핑거(29)가 상승하도록 한다. 그러면, 체이서(40)를 상부로 올리면서 상정반(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정반(31)이 하강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동정반(31)의 상면에 판지(P)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3)를 작동시켜서 이동정반(31)이 상승하도록 하면 상기 목형(50)의 칼날(55)에 의해, 전개도 상태의 포장박스(B)가 절개되며, 상기 이동정반(31)은 구동부(33)의 작동에 의해 다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다수매의 판지(P)로부터 포장박스(B)를 블랭킹하게 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상기 체이서를 상정반에 장착하기 위해서, 인력으로 상기 체이서를 들어서 일측 프레임의 통공으로 넣은 후, 상기 핑거에 플랜지가 걸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를 작동시켜서 상기 상정반의 하면에 상기 체이서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처럼, 사람의 힘에 의해서 체이서를 장착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목형에는 칼날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체이서를 들고 상기 통공을 밀어 넣다가 상기 칼날에 다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체이서는 도 6에서처럼, 양측의 플랜지가 고정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므로 하중에 의해 중앙부가 하부로 처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목형도 원호형으로 처지게 되어 칼날의 끝이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칼날이 정확한 지점을 절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상정반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정반 하부에 위치하여 상정반을 가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정반은 육면체 형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양쪽 측면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체이서를 상방으로 끌어올려서 상정반에 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하방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체이서를 가압하는 이동정반과, 상기 이동정반을 상하로 왕복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며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서 상기 블록의 하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체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체이서가 진입하는 쪽의 일측 프레임에, 상정반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발기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하면에 상기 체이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홈과, 상기 홈에 삽입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체이서의 상면에 고정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어 이송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서 측방으로 대응하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과,상기 가이드에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걸리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체이서를 상기 통공 내부로 밀어주는 진입부와, 상기 상정반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통공으로 진입하는 체이서를 상정반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입부는 상기 통공의 좌우측에 고정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대응하는 내측면에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이서를 받치는 롤러와, 상기 아암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체이서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상기 상정반의 측면에 회전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치에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과 돌출부의 접촉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는, 상기 진입부와 이송부에 의해, 체이서를 작업자의 힘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상정반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와 단턱의 각 접촉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므로 돌출부의 후방 종단부와 단턱의 전방 종단부가 부딪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체이서가 하방으로 아크 모양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칼날이 판지에 인쇄된 절개부위를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타발기에 의해서 종이를 블랭킹하여 제품을 커팅한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타발기에 체이서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타발기의 상정반에 체이서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G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타발기에서 지지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타발기에 장착된 체이서 및 상기 체이서의 하면에 부착된 목형이 하방으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서 상정반의 전방으로 체이서를 진입시키는 진입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진입부로 체이서가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의 상정반에 레일이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 구성되는 체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F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K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서 상정반의 하면에 장착되는 레일에 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T-T'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가이드가 레일에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로서, 상정반을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P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의 체이서가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9는 도 16의 상태에서 체이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서 상정반의 전방으로 체이서를 진입시키는 진입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진입부로 체이서가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의 상정반에 레일이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 구성되는 체이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F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3은 도 11의 K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에서 상정반의 하면에 장착되는 레일에 가이드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T-T'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가이드가 레일에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로서, 상정반을 전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P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의 체이서가 이송부에 의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19는 도 16의 상태에서 체이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타발기(100)는 판지(골판지, 마닐라지 등 포장 박스용 종이)를 절개하여 포장박스를 전개도 상태로 커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타발기(10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1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상정반(12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정반(120) 하부에 위치하여 상정반(120)을 가압하는 압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정반(120)은 육면체 형상의 블록(121)과, 상기 블록(121)의 양쪽 측면(123, 프레임에 접촉하지 않은 측면)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체이서(140)를 장착하는 고정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25)는 상기 측면(123)에 장착된 브래킷(126)과, 상기 브래킷(126)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로드(128)가 연장되는 에어실린더(127)와, 상기 로드(128)에 장착되어 하방을 향하며 후술하는 체이서(140)를 걸어서 올리는 후크 형상의 핑거(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부(150)는 상하방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체이서(140)를 가압하는 이동정반(151)과, 상기 이동정반(151)을 왕복시키는 구동부(153)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53)를 수용하며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 박스(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핑거(129)에 걸려서 상기 블록(121)의 하면(122)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체이서(140)가 구성되는데, 칼날이 장착된 판 형상의 목형이 하부에 부착된다. 상기 체이서(140)는 측방(양쪽의 고정부 방향)으로 상기 핑거(129)에 걸리는 플랜지(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이서(14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블록(121)의 하면(122)에 부합되는 사각형의 플레이트(146)와, 상기 플레이트(146)의 테두리에서 후방(후술하는 통공(115)의 반대측 방향)을 제외한 테두리에 형성된 테(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144, 145)는 상부로 돌출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플레이트(146)가 상기 블록(121)의 하면(122)에 밀착하는 경우, 상기 테(144, 145)는 상기 블록(121)의 둘레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41)는 상기 테(144, 145) 중 측방에 형성된 양쪽의 대응하는 테(145)의 바깥쪽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0) 중 일측 프레임(110)에는 상정반(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통공(115)이 형성되어 상기 체이서(140)가 진입하여 상기 핑거(129)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타발기(100)의 일반적인 구성에서, 상기 체이서(140)를 용이하게 상기 블록(121)의 하방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체이서(140)가 상기 블록(121)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블록(121)의 하면(122)에 상기 체이서(140)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홈(1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홈(130)에 삽입고정되는 레일(131)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131)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체이서(140)의 상면(147)에 고정된 가이드(1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131)은 상기 가이드(148)가 삽입되어 이송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안내홈(13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133)에서 측방으로 대응하는 내측면(137)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139)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공(115)이 형성된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체이서(140)를 상기 통공(115) 내부로 밀어주는 진입부(16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정반(120)의 측면(123)에 장착되어 상기 통공(115)으로 진입하는 체이서(140)를 상정반(12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131)의 상세한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레일(131)은 상기 홈(131)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2개의 바(135, ba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바(135)는 양 측방으로 밀착되므로, 바(135) 사이에 상기 안내홈(133)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135)의 대응하는 내측면(137)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측방으로 돌출된 상기 단턱(139)이 구성된다. 상기 바(135)는 상기 홈(130)에 볼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카운트싱크 가공에 의해 볼트의 머리가 수용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148)는 양 측방으로 상기 단턱(139)에 걸리는 돌출부(1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14에서처럼, 가이드(148)가 안내홈(133)에 수용된 상태에서 돌출부(149)가 단턱(139)에 걸리므로 체이서(140)가 하방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입부(160)는 상기 통공(115)의 좌우측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16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암(161)의 대응하는 내측면(163)에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이서(140)를 받치는 롤러(16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161)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165)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67)는 일측의 아암(161)에 장착되어 일부 롤러(165)에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체이서(140)의 이송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부(170)는 상기 체이서(14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기어치(143)가 구성되는데, 상기 플랜지(141)의 하방에 형성되며 상기 테(14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정반(120)의 측면(123)에 회전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모터(17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치(143)에 맞물리는 기어(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71)는 가급적 전방에 배치하므로 상기 블록(121)의 하방으로 진입하는 순간 기어치(143)가 기어(175)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139)과 돌출부(149)의 접촉면(T,S)은 도 15에서처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기울어진다. 즉, 상기 단턱(139)의 접촉면(T)은 단턱(139)의 상면이고, 상기 돌출부(149)의 접촉면(S)은 돌출부(149)의 하면에 해당된다.
도 9에서처럼, 체이서(140)가 아암161)에 장착된 롤러(165)에 올려진 상태에서 모터(167)의 구동에 의해 상기 통공(115)으로 진입하게 되면 자연히, 상기 가이드(148)가 상기 안내홈(133)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부(125)의 핑거(129)가 체이서(140)의 플랜지(141)를 들어올렸을 때, 가이드(148)가 안내홈(133)의 상단에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안내홈(133)의 높이가 고려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서처럼, 상기 체이서(140)를 아암(161)에 장착된 롤러(165)에 올린 후, 상기 모터(167)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체이서(140)의 하면에는 칼날이 장착된 목형이 부착된 상태이다. 그러면, 체이서(140)는 수평으로 이송되어 상기 통공(115)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48)가 상기 안내홈(133)으로 삽입될 때, 각 접촉면(T, S)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경사지기 때문에, 상기 단턱(139)의 전방 종단부(U)와 상기 돌출부(149)의 후방 종단부(M)는 부딪치지 않고 각 접촉면(T, S)은 충격 없이 접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접촉면(T, S)이 수평이라면, 상기 돌출부(149)의 후방 종단부(M)가 단턱(139)의 전방 종단부(U)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맞추기가 여간 어렵지가 않다. 따라서, 상기 후방 종단부(M)가 전방 종단부(U)에 부딪친 후, 상기 가이드(148)는 상기 레일(131)에 올라타게 되므로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때, 상기 에어실린더(127)의 작동에 의해 핑거(129)는 진입한 체이서(140)의 하방으로 하강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체이서(140)가 상기 블록(121)의 하방으로 진입하는 순간, 상기 기어치(143)는 기어(175)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70)의 모터(171)를 구동시키면 자연히, 기어(175)의 회전에 의해 체이서(140)는 블록(121)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148)가 상기 안내홈(133)을 따라 이송함은 물론이다.
체이서(140)가 정위치가지 이송되면 상기 이송부(170)의 모터(171)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5)의 에어실린더(127)를 작동시켜서 핑거(129)가 상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체이서(140)가 블록(121)의 하면에 밀착되어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148)는 안내홈(133)의 상단에 부딪치지 않게 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이동정반(151)은 하강한 상태이고, 상기 이동정반(151) 위에 판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구동부(153)의 작동에 의해 이동정반(151)이 상향하여 상정반(120)을 가압한 후, 하강하도록 한다. 그러면 판지에는 전개도 형상의 포장박스가 절개된다.
상기 체이서(140)를 교체할 때에는 상기 고정부(125)의 핑거(129)가 하강하도록 한 후, 상기 이송부(170)의 모터(17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면, 체이서(140)는 자연히 전방으로 후퇴하게 되며, 상기 진입부(160)의 롤러(165) 위에까지 안착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입부(160)와 이송부(170)에 의해, 체이서(140)를 작업자의 힘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상정반(12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48)가 상기 레일(131)에 삽입되어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체이서(140)가 하방으로 아크 모양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칼날이 판지에 인쇄된 절개부위를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다.
100: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110: 프레임
115: 통공 120: 상정반
121: 블록 123: 측면
122: 하면 125: 고정부
126: 브래킷 127: 에어실린더
128: 로드 129: 핑거
130: 홈 131: 레일
133: 안내홈 135: 바
137: 내측면 139: 단턱
140: 체이서 141: 플랜지
143: 기어치 145: 테
146: 플레이트 147: 상면
148: 가이드 149: 돌출부
150: 압축부 151: 이동정반
153: 구동부 155: 박스
160: 진입부 161: 아암
163: 내측면 165: 롤러
167: 모터 170: 이송부
171: 모터 175: 기어

Claims (4)

  1. 양측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상정반(120)과,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정반(120) 하부에 위치하여 상정반(120)을 가압하는 압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정반(120)은 육면체 형상의 블록(121)과,
    상기 블록(121)의 양쪽 측면(123)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체이서(140)를 상방으로 끌어올려서 상정반(120)에 밀착시키는 고정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축부(150)는 상하방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체이서(140)를 가압하는 이동정반(151)과,
    상기 이동정반(151)을 상하로 왕복시키는 구동부(153)와,
    상기 구동부(153)를 수용하며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개재되어 구성된 박스(15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25)에 의해서 상기 블록(121)의 하면에 장착되는 판 형상의 체이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0) 중, 상기 체이서(140)가 진입하는 쪽의 일측 프레임(110)에, 상정반(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통공(1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블록(121)의 하면(122)에 상기 체이서(140)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홈(130)과,
    상기 홈(130)에 삽입고정되는 레일(131)과,
    상기 레일(131)에 삽입되어 안내되고 상기 체이서(140)의 상면(147)에 고정된 가이드(14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131)은 상기 가이드(148)가 삽입되어 이송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안내홈(133)과,
    상기 안내홈(133)에서 측방으로 대응하는 내측면(137)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단턱(139)과,
    상기 가이드(148)에 형성되어 상기 단턱(139)에 걸리는 돌출부(14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공(115)이 형성된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체이서(140)를 상기 통공(115) 내부로 밀어주는 진입부(160)와,
    상기 상정반(120)의 측면(123)에 장착되어 상기 통공(115)으로 진입하는 체이서(140)를 상정반(12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160)는 상기 통공(115)의 좌우측에 고정되는 아암(161)과,
    상기 아암(161)의 대응하는 내측면(163)에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체이서(140)를 받치는 롤러(165)와,
    상기 아암(161)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165)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6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70)는 상기 체이서(14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기어치(143)와,
    상기 상정반(120)의 측면(123)에 회전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 모터(171)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기어치(143)에 맞물리는 기어(17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139)과 돌출부(149)의 접촉면(T,S)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KR1020110129834A 2011-12-06 2011-12-06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KR10131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834A KR101317312B1 (ko) 2011-12-06 2011-12-06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834A KR101317312B1 (ko) 2011-12-06 2011-12-06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357A KR20130063357A (ko) 2013-06-14
KR101317312B1 true KR101317312B1 (ko) 2013-10-14

Family

ID=4886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834A KR101317312B1 (ko) 2011-12-06 2011-12-06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231A (ko) * 2000-05-16 2001-11-28 제이. 페루이세오, 씨. 콜롬보 전환 프레스
JP2007313602A (ja) 2006-05-25 2007-1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打抜機
KR20110027299A (ko) * 2009-09-10 2011-03-16 영신기계(주) 시트 안정화가 가능한 타발기
KR101032108B1 (ko) 2009-04-30 2011-05-02 영신기계(주) 타발기용 블랭킹 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231A (ko) * 2000-05-16 2001-11-28 제이. 페루이세오, 씨. 콜롬보 전환 프레스
JP2007313602A (ja) 2006-05-25 2007-1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打抜機
KR101032108B1 (ko) 2009-04-30 2011-05-02 영신기계(주) 타발기용 블랭킹 머신
KR20110027299A (ko) * 2009-09-10 2011-03-16 영신기계(주) 시트 안정화가 가능한 타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357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28295Y (zh) 集成电路冲切成型设备的引线框架自动折弯机
US2593843A (en) Crate disassembling and salvaging machine
CN106363090B (zh) 一种自动窗帘铆扣机
CN206065255U (zh) 一种冲压件自动送取系统
CN103658439B (zh) 冲床冲压废料自动清除工装及冲床
CN210754583U (zh) 一种五金手啤机
CN205702035U (zh) 一种钢板自动放置抓取夹持冲孔一体机
KR101317312B1 (ko) 체이서 자동 진입이 가능한 타발기
CN112297124A (zh) 一种服饰用四孔纽扣均匀打孔机
CN110749196A (zh) 一种烧结机及其打孔透气装置
CN209757725U (zh) 一种纸巾包装机的印花装置
CN212216860U (zh) 一种板材冲压装置
CN108774648B (zh) 一种带卷料切断的皮料分片送料机构
CN213887754U (zh) 一种标牌制作用冲压装置
CN105458060A (zh) 散件裁切治具
CN207771970U (zh) 一种应用于模切设备的边框排废传送机构
CN211164300U (zh) 书本闸角设备
JPH11171325A (ja) 部品振込機における昇降式回収パレット
KR101677937B1 (ko) 아이렛 자동 부착장치
DE20206060U1 (de) Vorrichtung zum Aufrichten von Schachteln aus Kartonzuschnitten
CN217943553U (zh) 一种用于平压平模切机的清废机
CN217943551U (zh) 一种清废机的成品收集结构
CN218018855U (zh) 一种清废机的成品收集架结构
CN219338745U (zh) 一种纸箱生产用钉箱机
CN220242536U (zh) 一种包装箱打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