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616B1 -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616B1
KR101316616B1 KR1020120068985A KR20120068985A KR101316616B1 KR 101316616 B1 KR101316616 B1 KR 101316616B1 KR 1020120068985 A KR1020120068985 A KR 1020120068985A KR 20120068985 A KR20120068985 A KR 20120068985A KR 101316616 B1 KR101316616 B1 KR 10131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sound
forma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미
이승욱
김경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Priority to KR102012006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가 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위치를 식별하는 LID(Location ID) 포맷과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N(N≥1)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되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 중 제n(1≤n≤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한 결과가 확인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by using Sound}
본 발명은 무선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N(N≥1)개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확인되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이동통신 모뎀칩의 컴퓨팅 성능에 제한되던 종래의 피쳐폰과 대비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최근의 무선단말은 컴퓨팅 성능과 자유도가 월등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무선단말의 컴퓨팅 성능과 자유도의 향상은 종래 서버 또는 개인 컴퓨터에서나 가능했던 수준의 다양한 데이터 분석이나 처리가 무선단말 내에서 가능해졌음을 의미한다. 특히 자유도의 향상은 응용 서비스의 다양화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예를들어, 종래 피쳐폰의 경우에 마이크로 소리 신호는 전화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로 간주하여 통화 품질의 향상을 위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의 잡음을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설정되어 있었다. 그라나 자유도가 향상됨에 따라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지 않고 원음 그대로의 소리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되었다.
소리 신호에 가청주파수 영역의 특정 신호를 삽입하고 이를 판독하여 이용하는 기술은 이전부터 존재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전화 다이얼링에 적용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리 신호에 가청주파수 영역의 특정 신호를 삽입하는 방식은 상기 삽입된 신호가 인간의 귀로도 들리기 때문에 심리적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소리 신호에 삽입되는 특정 신호가 잡음 영역에 삽입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종래 피쳐폰과 같은 무선단말에서 소리 신호에 특정 신호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반대로 상기 무선단말이 입력되는 소리 신호의 잡음 영역에 포함된 특정 신호를 인식 및 판독하는 것은 제공되기에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무선단말을 통해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무선단말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LBS의 경우에 상기 LBS를 위한 위치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 유입된다. 그러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을 통신망에 접속시키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위치정보를 제공하기까지 매우 복잡한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측위모듈을 구비한 무선단말로 입력될 소리 신호에 위치정보를 부호화시켜 놓음으로써, 상기 위치정보가 부호화된 소리 신호가 상기 무선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위치정보를 검출 및 저장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단말로 각종 LBS가 제공되도록 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가 검출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위치를 식별하는 LID(Location ID) 포맷과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N(N≥1)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되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 중 제n(1≤n≤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한 결과가 확인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검출된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연관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연관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LID 포맷은, N개의 위치정보, N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서버 정보, N개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에 대한 PID(Product ID) 또는 MID(Merchan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개의 위치정보는, 상기 LID 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로부터 추출되거나, 상기 LID 포맷에 대응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LID 포맷에 포함된 PID(Product ID) 또는 MID(Merchant ID)를 근거로 지정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로부터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경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거리,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상기 무선단말에서 판별되거나, 또는 상기 LID 포맷에 포함된 PID(Product ID) 또는 MID(Merchant ID)를 근거로 지정된 서버에서 판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와 위치 측위모듈을 구비한 무선단말을 위치정보가 부호화된 소리 신호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각종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단말과 애플리케이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리 코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 판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무선단말(100)과 애플리케이션(115)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무선단말(10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N(N≥1)개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가 확인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위치정보와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 구성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115)과 그 무선단말(100)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제어부(101)와 메모리부(111)와 화면 출력부(102)와 키 입력부(103)와 소리 출력부(104)와 소리 입력부(105)와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과 위치 측위모듈(110)과 USIM 리더부(109)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06)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본 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11)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1)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11)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2)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화면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키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키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소리 출력부(104)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소리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소리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소리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소리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소리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소리 입력부(105)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마이크와 이를 구동하는 소리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소리 모듈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리 입력부(105)의 마이크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소리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소리 신호는 상기 소리모듈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덱을 통해 엔코딩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를 위해 상기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소리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되며, 음성녹음을 위해 상기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소리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에 접속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07)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08)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11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판독함으로써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한다.
상기 USIM 리더부(109)는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USIM 리더부(109)와 연결되는 IC칩으로서, 가입자 정보와 각종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하여 유지하고 관리한다.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1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111)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115)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미리 구동 중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소리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 포맷에 대응되는 LID(Location ID)이 설정되는 포맷 설정부(120)와, 상기 입력되는 소리 신호로부터 상기 설정된 LID 포맷의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디코딩 규칙이 설정되는 규칙 설정부(125)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리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 중에서 상기 LID 포맷의 데이터가 부호화된 소리 코드는, 지정된 소리 코드 생성 측에서 가청주파수 또는 비가청주파수 영역의 소리 신호에 ‘0’과 ‘1’로 이루어진 소정의 데이터 스트림이 부호화되는 형태로 생성된다.
상기 소리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소리 신호에 부호화되는 데이터는 인식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포맷 설정부(120)는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측에 의해 상기 소리 신호에 부호화되는 데이터의 포맷 중에서 LID 포맷이 설정 및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LID 포맷은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115) 내에 설정 및 유지되거나, 또는 본 애플리케이션(115)이 이용 가능한 포맷 정보의 형태로 메모리부(111)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LID 포맷은 지정된 비트 크기의 코드 값, 또는 제각기 지정된 비트 크기로 구성된 둘 이상의 코드 조합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LID 포맷은 N(N≥1)개의 위치정보, N개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에 대한 PID(Product ID) 또는 MID(Merchant I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정된 비트 크기의 코드 값, 또는 제각기 지정된 비트 크기로 구성된 둘 이상의 코드 값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LID 포맷이 N개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이라면, 상기 N개의 위치정보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LID 포맷이 N개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에 대한 PID 또는 MID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이 상기 PID 또는 MID를 관리하는 관리서버(185)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면, 상기 N개의 위치정보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가 검출된 이후에 상기 지정된 관리서버(185)에 저장된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PID 또는 MID와 매칭된 위치정보로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LID 포맷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이 접속 가능한 서버(180)에 대한 접속 주소(예컨대, URL, IP주소, 접속 파라미터 등)로 조합 가능한 지정된 비트 단위의 정보(예컨대, URL의 도메인, IP주소의 각 단위 숫자, GET 방식의 접속 파라미터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속 포맷은 지정된 최대 길이 이내의 접속 주소 문자열(예컨대, URL, 도메인과 GET 방식 접속 파라미터의 조합, IPT주소와 GET 방식 접속 파라미터의 조합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LID 포맷은 N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서버(180)에 대한 접속 주소로 조합 가능한 지정된 비트 단위의 정보, 접속 주소 문자열의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 포맷, N개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에 대한 PID 또는 MID와 이를 저장하는 관리서버(185)의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LID 포맷이 접속 주소 형태의 데이터 포맷을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N개의 위치정보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가 검출된 이후에 상기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18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LID 포맷이 N개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에 대한 PID 또는 MID와 이를 저장하는 관리서버(185)의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을 포함한다면, 상기 N개의 위치정보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가 검출된 이후에 상기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관리서버(185)에 저장된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PID 또는 MID와 매칭된 위치정보로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측은 소정의 데이터가 부호화될 소리 신호(예컨대, 음원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 등)를 확인하고, 상기 소리 신호에 부호화될 상기 LID 포맷의 데이터를 확인한 후, 상기 소리 신호의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확인된 LID 포맷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소리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리 확산 코드를 상기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에 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가 부호화된 소리 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소리 신호에 엔코딩되는 소리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소리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소리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생성된 소리 코드는 지정된 소리생성장치에 의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소리 입력부(105)로 입력되는데, 상기 소리 입력부(105)로 입력되는 소리 신호는 상기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소리 입력부(10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덱으로 엔코딩된다. 이 때 상기 입력되는 소리 신호는 상기 소리 입력부(105)가 지원하는 코덱 중에서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측의 엔코딩 규칙과 동일한 규칙의 코덱으로 엔코딩되거나, 또는 최소한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측이 상기 소리 신호에 부호화한 데이터가 훼손되지 않는 코덱으로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칙 설정부(125)는 상기 소리 입력부(105)의 코덱을 통해 엔코딩된 소리 신호를 상기 포맷 설정부(120)에 설정된 LID 포맷의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디코딩 규칙이 설정 및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코딩 규칙은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측의 엔코딩 규칙(=LID 포맷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소리 확산 코드를 생성한 후 소리 신호에 엔코딩하는 규칙)과 매칭되는 디코딩 규칙으로서,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115) 내에 설정 및 유지되거나, 또는 본 애플리케이션(115)이 이용 가능한 디코딩 규칙의 형태로 메모리부(111)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LID 포맷의 데이터 길이 이상의 소리 확산 코드를 버퍼링 가능한 버퍼를 설정하는 버퍼 설정부(130)와, 상기 디코딩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되는 소리 신호로부터 디코딩되는 소리 확산 코드를 상기 설정된 버퍼에 버퍼링하는 버퍼링 처리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버퍼는 상기 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로부터 디코딩되는 소리 확산 코드의 단위 길이와 상기 데이터의 길이를 곱한 값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 설정부(130)는 상기 포맷 설정부(120)에 설정된 LID 포맷의 데이터 길이를 확인하고, 상기 규칙 설정부(125)에 설정된 디코딩 규칙의 소리 확산 코드에 상기 LID 포맷의 데이터 길이를 포함시킬 수 있는 최소 버퍼 크기를 산출한 후, 상기 산출된 최소 버퍼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상기 소리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가 버퍼링될 버퍼를 설정한다.
상기 버퍼링 처리부(135)는 상기 소리 입력부(105)를 통해 지정된 코덱으로 엔코딩된 소리 데이터를 상기 규칙 설정부(125)에 설정된 디코딩 규칙에 디코딩하여 소리 확산 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소리 확산 코드를 상기 버퍼 설정부(130)에 의해 설정된 버퍼에 버퍼링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버퍼링 처리부(135)는 상기 소리 입력부(105)를 통해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FIFO(First Input First Output) 방식으로 상기 버퍼에 버퍼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버퍼에 버퍼링되는 소리 확산 코드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140)와, 상기 검출된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지정된 LID 포맷과 매칭되는지 포맷 매칭부(145)와, 상기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N(N≥1)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위치정보 등록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버퍼링 처리부(135)에 의해 상기 버퍼로 상기 소리 입력부(105)로 입력된 소리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소리 확산 코드가 FIFO 방식으로 버퍼링되는 동안, 상기 데이터 검출부(140)는 상기 디코딩 규칙에 따라 버퍼에 버퍼링되는 소리 확산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소리 확산 코드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검출부(140)는 상기 소리 확산 코드에 대한 상관 검출을 통해 상기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검출한다.
상기 포맷 매칭부(145)는 상기 검출되는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상기 포맷 설정부(120)에 설정된 LID 포맷과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소거된다.
만약 상기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면, 상기 위치정보 등록부(150)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N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에 N개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등록부(150)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로부터 상기 N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정보 등록부(150)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180)로부터 상기 N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정보 등록부(150)는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180)(또는 지정된 관리서버(185))로부터 상기 검출 데이터에 포함된 PID 또는 MID에 대응하는 N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등록부(150)는 상기 확인된 N개의 위치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11)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은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이 이용하는 저장영역, 또는 상기 N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프로그램모듈이 이용하는 저장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 위치정보가 PID 또는 MID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N개의 위치정보는 상기 PID 또는 MID와 매핑되어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위치 측위모듈(110)을 통해 측위되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의 상관관계를 판별할 대상에 대응하는 제n(1≤n≤N)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위치정보 결정부(155)와,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는 위치관계 판별부(160)와,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하는 위치관계 출력부(175)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정보 등록부(150)에 의해 상기 지정된 저장영역에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후, 상기 위치정보 결정부(155)는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위치 측위모듈(110)을 통해 측위되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의 상관관계를 판별할 대상에 대응하는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정보 결정부(155)는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정보 결정부(155)는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특정 위치 카테고리(예컨대, 특정 행정 구역에 속한 위치정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일정 거리 이내에 속하거나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 상에 함께 표시 가능한 위치정보, 특정 PID 또는 MID와 매핑된 위치정보 등)에 속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된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정보 결정부(155)는 상기 위치정보를 1차 결정하기 위해 특정 위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정보 결정부(155)는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목록을 표시하거나,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 상에 표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n 위치정보를 선택하는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정보 결정부(155)는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특정 위치 카테고리에 속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된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n 위치정보가 선택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정보 결정부(155)는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식을 설정(예컨대, 위치 카테고리 선택, 검색어 입력 등)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건식을 조합하는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되는 조건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의 상관관계를 판별할 제n 위치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위치관계 판별부(160)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110)을 통해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n 위치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경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거리,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수단 또는 상기 제n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까지의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관계 중에서 최적화된 관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최적 이동 경로, 최단 이동 거리, 최적 이동 수단, 최소 비용 이동 경로, 최소 비용 이동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 또는 상기 상관관계를 판별하는 기능이 구비된 프로그램모듈에 의해 판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LID 포맷에 포함된 PID 또는 MID를 근거로 지정된 관리서버(185)에서 판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가 판별되면, 상기 위치관계 출력부(175)는 상기 판별된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연관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연관위치 확인부(165)와, 상기 확인된 연관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위치정보 대체부(17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위치관계 판별부(16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기 대체된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고, 상기 위치관계 출력부(17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기 대체된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연관위치 확인부(165)는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연관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연관위치 확인 조건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관위치 확인 조건은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와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가 지정된 거리를 벗어나는 조건,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가 속한 행정 구역과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가 속한 행정 구역이 상이한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연관위치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연관위치 확인부(165)는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연관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연관위치 확인부(165)는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카테고리를 판별하고, 지정된 관리서버(185)로부터 상기 위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관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메모리부(111)에 연관위치정보로 이용 가능한 위치정보목록이 저장된 경우, 상기 연관위치 확인부(165)는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목록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관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관위치 확인부(165)는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카테고리 중에서 연관위치를 확인할 특정 위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연관위치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연관위치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위치정보 대체부(170)는 상기 확인된 연관위치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제n 위치정보로 대체하며, 상기 위치관계 판별부(16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기 대체된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고, 상기 위치관계 출력부(17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기 대체된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로 입력될 소리 신호에 지정된 LID 포맷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소리 코드를 생성하는 소리 코드 생성 측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소리 코드는 지정된 소리 코드 생성 장치 또는 소리 코드 생성 서버(18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무선단말(100)의 근거리에 위치하는 지정된 소리 코드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며,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장치와 소리 코드 출력 장치는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은, 소리 코드 생성 장치 또는 소리 코드 생성 서버에 구현되며, 상기 소리 코드가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생성된 소리 코드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소리 코드 출력 장치로 전송되어 출력된다.
상기 소리 코드 출력 장치는 스피커와 소리모듈이 구비된 컴퓨터 장치, 가맹점단말 장치(예컨대, POS 등), 통화 장치, 휴대 장치, TV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된 장치 이외에도 스피커와 소리모듈이 구비된 모든 장치가 상기 소리 코드 출력 장치에 해당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은, LID 포맷의 데이터가 부호화될 소리 신호를 확인하는 소리 신호 확인부(205)와, 상기 소리 신호에 부호화될 LID 포맷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부(210)와, 상기 소리 신호의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확인된 LID 포맷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소리 확산 코드를 생성하는 확산 코드 생성부(215)와, 상기 생성된 소리 확산 코드를 상기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에 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가 부호화된 소리 코드를 생성하는 소리 코드 생성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소리 신호 확인부(205)는 소리 코드 출력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소리 신호 중에서 LID 포맷의 데이터가 부호화될 소리 신호를 확인한다. 상기 데이터가 부호화될 소리 신호는 음원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 방송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확인부(210)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포맷 설정부(120)에 설정된 LID 포맷과 동일한 LID 포맷을 유지하며, 지정된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로부터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자동 접속시킬 서버(180)에 대한 접속 주소 값을 지정된 규칙(예컨대, 해시 함수)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정된 관리서버(185)로부터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확산 코드 생성부(215)는 상기 소리 신호의 엔코딩 규칙을 확인하고, 상기 소리 신호의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확인부(210)에 의해 확인된 LID 포맷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소리 신호의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소리 확산 코드를 생성한다. 상기 소리 확산 코드는 상기 소리 신호의 의사 잡음 영역에 엔코딩 가능한 확산 코드의 형태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리 코드 생성부(220)는 상기 확산 코드 생성부(215)에 의해 생성된 소리 확산 코드를 상기 소리 신호의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소리 신호의 의사 잡음 영역에 엔코딩하여 상기 데이터가 부호화된 소리 코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이 소리 코드 생성 서버에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생성된 소리 코드를 지정된 소리 코드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소리 코드 전송부(225)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이 소리 코드 출력 장치와 동일한 장치에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소리 코드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생성된 소리 코드를 출력하는 소리 코드 출력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리 코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저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무선단말(10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N개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소리 코드를 이용한 위치정보 저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소리 코드 생성 측은 LID 포맷의 데이터가 부호화된 소리 신호를 확인하고(300), 상기 확인된 소리 신호에 부호화할 상기 LID 포맷의 데이터를 확인한 후(305), 상기 소리 신호의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소리 확산 코드를 생성한다(310). 상기 소리 코드 생성 측은 상기 소리 신호의 의사 잡음 영역에 상기 생성된 소리 확산 코드를 엔코딩하여 소리 코드를 생성하고(315), 상기 생성된 소리 코드를 출력하거나, 또는 소리 코드 출력 장치로 제공하여 출력시킨다(320).
무선단말(100)은 마이크를 통해 상기 출력되는 소리 신호를 입력 받는데(325), 상기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LID 포맷의 데이터 길이 이상의 소리 확산 코드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 크기를 결정한 후(330), 상기 결정된 버퍼 크기 이상의 버퍼를 설정한 상태에서(335), 상기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지정된 디코딩 규칙에 따라 디코딩하여 소리 확산 코드를 생성하여(340), 상기 설정된 버퍼에 상기 생성된 소리 확산 코드를 실시간으로 버퍼링한다(345).
상기 버퍼에 상기 소리 확산 코드가 실시간으로 버퍼링됨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버퍼링되는 소리 확산 코드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검출한다(350).
만약 상기 버퍼링되는 소리 확산 코드로부터 상기 데이터가 검출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검출된 데이터 포맷이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지 확인한다(355).
만약 상기 검출된 데이터 포맷이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된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에 대응하는 N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360), 상기 확인된 N개의 위치정보를 메모리부(111)에 저장한다(365). 바람직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로부터 상기 N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180)로부터 상기 N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LID 포맷의 검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서버(180)(또는 지정된 관리서버(185))로부터 상기 검출 데이터에 포함된 PID 또는 MID에 대응하는 N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 판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소리 신호로부터 검출되어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와 무선단말(100)의 위치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 판별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위치 측위모듈(11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하며(400),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한다(4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특정 위치 카테고리에 속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된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위치정보를 1차 결정하기 위해 특정 위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목록을 표시하거나,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가 표시되는 지도 상에 표시 가능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n 위치정보를 선택하는 위치 선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특정 위치 카테고리에 속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1차 결정한 후, 상기 1차 결정된 위치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n 위치정보가 선택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식을 설정(예컨대, 위치 카테고리 선택, 검색어 입력 등)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건식을 조합하는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후, 상기 조건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되는 조건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n 위치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기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고(410), 상가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한다(415).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 판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연관위치를 제n 위치정보로 대체하여 무선단말(100)의 위치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 판별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무선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115)은 위치 측위모듈(11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하며(500),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N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연관위치를 확인하여 제n 위치정보를 대체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505).
만약 상기 연관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제n 위치정보를 대체한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연관위치정보를 확인한다(5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카테고리를 판별하고, 지정된 관리서버(185)로부터 상기 위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관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메모리부(111)에 연관위치정보로 이용 가능한 위치정보목록이 저장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저장된 위치정보목록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연관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카테고리 중에서 연관위치를 확인할 특정 위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연관위치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115)은 상기 확인된 연관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대체하고(515),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와 상기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하고(520), 상가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한다(525).
100 : 무선단말 105 : 소리 입력부
110 : 위치 측위모듈 115 : 애플리케이션
120 : 포맷 설정부 125 : 규칙 설정부
130 : 버퍼 설정부 135 : 버퍼링 처리부
140 : 데이터 검출부 145 : 포맷 매칭부
150 : 위치정보 등록부 155 : 위치정보 결정부
160 : 위치관계 판별부 165 : 연관위치 확인부
170 : 위치정보 대체부 175 : 위치관계 출력부

Claims (7)

  1. 소리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위치측위모듈을 구비한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위치를 식별하는 LID(Location ID) 포맷과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가 상기 LID 포맷과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N(N≥1)개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위치측위모듈을 통해 측위되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상기 저장된 N개의 위치정보 중 제n(1≤n≤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를 판별한 결과가 확인되는 단계; 및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의 판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위치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상관관계를 판별할 제n 위치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N개의 위치정보와 연관된 연관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연관위치정보를 상기 제n 위치정보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ID 포맷은,
    N개의 위치정보, N개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서버 정보, N개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특정 상품에 대한 PID(Product ID) 또는 MID(Merchan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위치정보는,
    상기 LID 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터로부터 추출되거나,
    상기 LID 포맷에 대응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LID 포맷에 포함된 PID(Product ID) 또는 MID(Merchant ID)를 근거로 지정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로부터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경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거리,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까지의 이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와 제n 위치정보 간 상관관계는,
    상기 무선단말에서 판별되거나, 또는
    상기 LID 포맷에 포함된 PID(Product ID) 또는 MID(Merchant ID)를 근거로 지정된 서버에서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68985A 2012-06-27 2012-06-27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1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985A KR101316616B1 (ko) 2012-06-27 2012-06-27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985A KR101316616B1 (ko) 2012-06-27 2012-06-27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616B1 true KR101316616B1 (ko) 2013-10-15

Family

ID=4963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985A KR101316616B1 (ko) 2012-06-27 2012-06-27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971B1 (ko) * 2014-05-14 2015-11-25 주식회사 카카오 도메인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도메인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932A (ko) * 2008-06-23 2009-12-31 주식회사 케이티 가입자 음성과 위치에 근거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20009131A (ko) * 2010-07-22 2012-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운드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932A (ko) * 2008-06-23 2009-12-31 주식회사 케이티 가입자 음성과 위치에 근거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20009131A (ko) * 2010-07-22 2012-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운드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971B1 (ko) * 2014-05-14 2015-11-25 주식회사 카카오 도메인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도메인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77462A1 (en) Wireless terminals, language translation servers, and methods for translating speech between languages
US20140108780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 sound signal
KR20080075698A (ko) 사용자 단말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3098629B (zh) 配网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86808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16616B1 (ko) 소리 신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85664B1 (ko) 휴대단말기에서 신용카드결제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2010000746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9001522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7425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대중 교통 수단의 정류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23659B1 (ko) 소리를 이용한 방송 시청 패턴 분석 방법
KR101352695B1 (ko) 소리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US7668553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information of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1422479B1 (ko) 소리 신호를 이용한 채널 연결 방법
KR101487207B1 (ko) 소리를 이용한 컨텐츠 운영 방법
KR101357725B1 (ko) 소리를 이용한 컨텐츠 이어보기 제공 방법
KR20180137086A (ko) 음파 기반 대화형 차량장치
KR10068951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39361B1 (ko) 컨텐츠 운영 방법
KR101374115B1 (ko) 소리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운영 방법
KR101790413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246201A (ja) 無線端末、管理サーバおよびpttシステム
KR20130097382A (ko) 소리를 이용한 자동 접속 방법
KR101642918B1 (ko)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523130B1 (ko) 사운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