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918B1 -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918B1
KR101642918B1 KR1020150109525A KR20150109525A KR101642918B1 KR 101642918 B1 KR101642918 B1 KR 101642918B1 KR 1020150109525 A KR1020150109525 A KR 1020150109525A KR 20150109525 A KR20150109525 A KR 20150109525A KR 101642918 B1 KR101642918 B1 KR 10164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unit
user terminal
keyword data
cod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인섭
노윤근
Original Assignee
서치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치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치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918B1/ko
Priority to PCT/KR2015/011827 priority patent/WO20170228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04L6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키워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언어의 기초단위에 따라 단위 문자로 분할하고, 상기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을 기초로 상기 기기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NECTION USING CODENAME PROTOCOL, NETWORK CONNECTION CONTROL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키워드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해당 키워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해당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된 특정 기기에 접속하여 특정 기기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에 음성 인식을 하여 웹페이지상에서 특정 검색어를 검색하도록 하거나 특정 정보가 검색되도록 할 수 있고, 전화를 걸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기기에 음성을 인식하여 해당 기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오디오를 켜거나 컴퓨터를 작동시킬수도 있다.
그러나, 음성 인식을 통하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되어오고 있지만, 기기 또는 기기의 기능마다 음성을 인식하는 방법의 차이 및 음성을 인식하여 처리하는 방식의 차이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 기기 또는 특정 기기의 기능별로 기 설정되어있는 방식에 맞추어서 음성을 인식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음성 인식을 통하여, 핸드폰에서 전화를 걸기 위하여는 통화 버튼을 누르고 음성을 인식하여야 하고, 오디오를 켜기 위해서는 오디오에 근접하여 음성을 인식하거나, 또는 핸드폰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음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음성 인식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는 기기들 및 기능들이 서로 별개로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기기별 또는 기능별 설정된 방식에 따라 음성 인식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25230호는 음성도메인에 의한 인터넷 접속 매개장치와 매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하여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지 않고 음성인식을 통하여 인터넷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에 키보드를 이용하여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해결되었으나, 단순히 도메인 주소를 발성하여 음성으로 이를 인식한다는 것이므로, 인식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것에 불과하여, 상기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25230호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 정보를 기초로, 해당 기기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해당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 및 기기의 기능에 대한 제한 없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만 있다면, 사용자가 특정 기기의 특정 기능에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지정한 다음, 사용자가 지정한 코드네임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키워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해당 기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언어의 기초 단위에 따른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한 코드를 설정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키워드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자동으로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키워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언어의 기초단위에 따라 단위 문자로 분할하고, 상기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을 기초로 상기 기기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이전에 특정 언어별 기초단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언어의 생성 가능한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특정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시켜 저장할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 상기 키워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언어의 기초단위에 따라 단위 문자로 분할하고, 상기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 및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을 기초로 상기 기기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특정 언어별 기초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특정 언어의 생성 가능한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코드를 설정하는 코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특정 언어를 결정하는 언어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입력한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 정보를 기초로, 해당 기기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해당 기기에 대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코드네임 프로토콜에 대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통하여 기기의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언어의 기초 단위에 따른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한 코드를 설정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키워드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자동으로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언어의 종류에 상관없이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생성 가능한 코드네임 프로토콜에 제한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및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110) 및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area network, LAN) 또는 광역 통신망일 수 있고,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이때, 인터넷(Internet)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후술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 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기기(110) 및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기(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해당하며, 기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기기(110)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기기(110)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110)는 사용자 단말, 컴퓨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텔레비전, 오디오, 또는 냉장고 등), 등에 해당할 수 있고, 기기(110)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에 접속하여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부 등을 구비하고, 부가적으로 카메라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는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사운드 모듈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사운드 모듈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광학부를 통해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 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기기(110)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기(110)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키워드 데이터를 코드네임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기기(110)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100)은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특정 기기 및 특정 기기의 기능을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와 연결되는 별도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로 구현됨 없이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의 기능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키워드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하여 특정 언어로 된 음성을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키입력부를 통하여 특정 언어로 된 텍스트를 타이핑하여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또는 음성에 대한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언어 결정부를 더 포함할수 있고, 언어 결정부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특정 언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어 결정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해당 위치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키워드 데이터의 언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로 결정된 경우에, 언어 결정부는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한국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키워드 데이터의 언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는 언어 결정부를 통하여 결정된 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언어에 대한 키워드 데이터가 수신되어, 해당 키워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 언어 결정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언어 결정부를 통하여 “한국어”가 결정되었으나, 사용자가 “영어” 또는 한국어 이외의 다른 언어로 키워드 데이터를 입력하여 해당 키워드 데이터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 {현재 사용 언어는 “한국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사용 언어를 변경하시겠습니까? - [예] / [아니오]} 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 언어를 변경하거나 또는 키워드 데이터를 재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는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한 키워드 데이터를 특정 언어의 기초 단위에 따라 단위 문자로 분할하고,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코드네임(code name)은 네트워크 상에서 숫자로 된 접속/관리 주소를 특정 언어로 표현한 것이고, 코드네임 프로토콜(code name protocol)은 코드네임을 숫자로 체계화하여 기기(110) 및 기기의 기능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코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코드 설정부는 언어별 기초 단위를 설정하고, 특정 언어의 생성 가능한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언어가 한국어인 경우에는, 기초 단위를 음절로 설정할 수 있고, 한국어의 생성 가능한 단위문자, 즉, 한국어의 생성 가능한 11,172개의 음절 각각에 대하여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코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진수 또는 10진수와 같은 숫자로 형성될 수 있다.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를 통하여 생성된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을 기초로 해당 기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은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기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기기(110)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고, 기기의 기능은 해당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코드네임 프로토콜에는 특정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이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은 {전화기-특정 번호로 전화 걸기, 컴퓨터-웹페이지 접속, 핸드폰-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실행, 텔레비전-전원 끄기}에 해당할 수 있고, 각각은 특정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시켜 저장할 기기 및 기기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에 해당 코드네임 프로토콜에 대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 음성에 대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지금 설정하시겠습니까? - [예] / [아니오]}와 같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음성: XXX, 기능 설정: 기기 - / 기능 - } 과 같은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기 및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새롭게 특정 음성에 대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기초로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을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 및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310).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는 수신한 키워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한다(단계 S320). 보다 구체적으로,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는 키워드 데이터를 해당 언어의 기초 단위에 따라 단위 문자로 분할하고,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키워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한 코드는 코드 설정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을 기초로 해당 기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한다(단계 S330). 여기에서,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은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410). 특정 언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언어 결정부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정된 언어와 상이한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 키워드 데이터의 재입력 또는 설정된 언어 변경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는 수신한 키워드 데이터를 단위 문자로 분할한다(단계 S420). 키워드 데이터가 한국어인 경우에는 음절 단위로 분할하고, 키워드 데이터가 영어인 경우에는 알파벳 단위로 분할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한국어” -> “한”, “국”, “어”} 또는 {“korean” -> “k”, “o”, “r”, “e”, “a”, “n”}과 같이 언어별로 기 설정된 단위문자로 분할 될 수 있다.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220)는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한 코드를 조합하여(단계 S430), 키워드 데이터에 대한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한다(단계 S440). 여기에서,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한 코드는 코드 설정부를 통하여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의 예를 계속해서 보면, {“한”-001, “국”-010, “어”-011}와 같이 단위 문자(음절) 각각에 설정되어 있는 코드를 기초로 {“한국어”-001010011}에 해당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고, {“k”-001, “o”-010, “r”-011, “e”-100, “a”-101, “n”-110}와 같이 단위 문자(알파벳) 각각에 설정되어 있는 코드를 기초로 {“korean”-001010011100101110}에 해당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생성된 코드네임 프로토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450).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생성된 코드네임 프로토콜이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드네임 프로토콜이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코드네임 프로토콜에 대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을 새롭게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코드네임 프로토콜에 연관시켜 저장할 기기 및 기능의 정보를 수신하여(단계 S460),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에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 시켜 저장한다(단계 S470).
일 실시예에서, 코드네임 프로토콜이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에 존재하거나, 또는 단계 S460 및 S470을 통하여 새롭게 코드네임 프로토콜에 대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을 연관시켜 저장한 경우에는, 해당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기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한다(단계 S480).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단계 S480을 통하여 특정 기기의 기능 수행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에 기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언어가 한국어로 결정되고 사용자가 한국어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핸드폰의 자판을 통해 “아버지”를 타이핑하거나, 사용자는 핸드폰의 마이크에 “아버지”라고 말을 한다. “아버지”가 핸드폰에 텍스트 형태로 입력된 경우에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아버지”에 해당하는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버지”가 핸드폰에 음성 형태로 입력된 경우에는 음성 형태의 데이터를 문자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아버지”를 음절 단위인 “아”, “버”, “지” 로 분할한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에는 음절 단위인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한 코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아”, “버”, “지” 각각에 해당하는 코드는 {“아”-001001001, “버”-000010110, “지”-001100110} 와 같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아”, “버”, “지” 각각에 해당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아버지”에 대한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고, 생성된 코드네임 프로토콜은 {“아버지”-001001001000010110001100110} 과 같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 또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와 연결된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에는 코드네임 프로토콜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이 연관되어 관리될 수 있고,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코드네임 프로토콜 “001001001000010110001100110”과 연관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을 검출한다. 코드네임 프로토콜 “001001001000010110001100110”과 연관된 기기 및 기기의 기능은 {핸드폰, 02-123-4567로 전화하기}와 같다.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120)는 해당 기기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핸드폰”이 “02-123-4567” 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 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110: 기기
120: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210: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
220: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
230: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
240: 제어부

Claims (8)

  1.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키워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언어의 기초단위에 따라 단위 문자로 분할하고, 상기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을 기초로 상기 기기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 이전에,
    특정 언어별 기초단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언어의 생성 가능한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특정 언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시켜 저장할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5.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언어의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키워드 데이터 수신부;
    상기 키워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언어의 기초단위에 따라 단위 문자로 분할하고, 상기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의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 생성부;
    상기 코드네임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저장된 기기 및 상기 기기의 기능을 기초로 상기 기기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부; 및
    특정 언어별 기초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특정 언어의 생성 가능한 단위 문자 각각에 대하여 코드를 설정하는 코드 설정부를 포함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특정 언어를 결정하는 언어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09525A 2015-08-03 2015-08-03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64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25A KR101642918B1 (ko) 2015-08-03 2015-08-03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CT/KR2015/011827 WO2017022886A1 (ko) 2015-08-03 2015-11-05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525A KR101642918B1 (ko) 2015-08-03 2015-08-03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918B1 true KR101642918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525A KR101642918B1 (ko) 2015-08-03 2015-08-03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2918B1 (ko)
WO (1) WO201702288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230A (ko) 2000-11-09 2001-04-06 차정만 음성도메인에 의한 인터넷접속 매개장치와 매개방법 및음성도메인의 데이터 베이스 생성방법
US6760705B2 (en) * 2001-05-31 2004-07-06 Motorola, Inc. Virtual speech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819928B1 (ko) * 2007-04-26 2008-04-08 (주)부성큐 휴대 단말기의 음성 인식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71203A1 (en) * 2008-04-25 2009-10-29 Keith Resch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service
CN101599270A (zh) * 2008-06-02 2009-12-09 海尔集团公司 语音服务器及语音控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446B1 (en) * 1999-11-24 2003-03-11 Openwave Systems Inc. Server based speech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wireless devices
US20130238332A1 (en) * 2012-03-06 2013-09-12 Apple Inc. Automatic input signal recognition using location based language modeling
US8831957B2 (en) * 2012-08-01 2014-09-09 Google Inc. Speech recognition models based on location indicia
KR101330671B1 (ko) * 2012-09-28 201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1456974B1 (ko) * 2013-05-21 2014-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음성인식 서버 및 음성인식 가이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230A (ko) 2000-11-09 2001-04-06 차정만 음성도메인에 의한 인터넷접속 매개장치와 매개방법 및음성도메인의 데이터 베이스 생성방법
US6760705B2 (en) * 2001-05-31 2004-07-06 Motorola, Inc. Virtual speech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819928B1 (ko) * 2007-04-26 2008-04-08 (주)부성큐 휴대 단말기의 음성 인식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71203A1 (en) * 2008-04-25 2009-10-29 Keith Resch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service
CN101599270A (zh) * 2008-06-02 2009-12-09 海尔集团公司 语音服务器及语音控制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2886A1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1250B (zh) 具有活动语音识别的移动电子设备
EP3029889B1 (en) Method for instant messaging and device thereof
EP2955941B1 (en) Method for sharing terminal location and terminal device
US9886952B2 (en) Interactive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782923B1 (ko) 유사성 확정 방법, 장치, 단말,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216143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32114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4145304A (zh) 用于多个装置语音控制的设备和方法
EP3713327B1 (en) Method for indicating frequency-domain information of common control resource set of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KR20140120192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601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hone call content
CN105739819A (zh) 光标定位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5010591A1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adding contacts
US20170118586A1 (en) Voice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436552B1 (ko) 셀 타입 지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50090357A (ko) 실시간 다국어 번역 서비스 시스템
US108203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pplication-controlled multiple Wi-Fi connections
KR102170508B1 (ko) 특정 위치에서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642918B1 (ko) 코드네임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접속 제어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201302189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843325B1 (ko) 휴대 단말기의 텍스트 표시방법
CN106383871A (zh) 一种移动终端及应用程序的搜索方法
US20080233887A1 (en) Classmark Change Message System and Method
KR102510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이동 통신 시스템
WO2018168460A1 (ja) 管理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