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36B1 - 수상 레저용 카약 - Google Patents

수상 레저용 카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236B1
KR101315236B1 KR1020110131139A KR20110131139A KR101315236B1 KR 101315236 B1 KR101315236 B1 KR 101315236B1 KR 1020110131139 A KR1020110131139 A KR 1020110131139A KR 20110131139 A KR20110131139 A KR 20110131139A KR 101315236 B1 KR101315236 B1 KR 10131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upport frame
sides
kayak
lei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499A (ko
Inventor
방부현
Original Assignee
방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부현 filed Critical 방부현
Priority to KR102011013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수상 레저용 카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상 레저용 카약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자 공간이 형성된 선체; 상기 선체의 양측면에 연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부착되며 부력을 갖는 부구;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선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거치대; 거치대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패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약 선체의 양측에 형성된 부구에 의해 전복이 방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여름철은 물론 겨울철에도 즐길 수 있으며, 수영 미숙자도 안심하고 즐길 수 있고, 분리된 패들을 이용하여 신속한 회전이 가능하고, 노젓기가 용이하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상 레저용 카약{A KAYAK}
본 발명은 수상 레저용 카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복이 방지될 수 있고, 방향 전환이 신속하며, 속력을 내기가 용이하여 겨울철에도 수상에서 즐길 수 있는 수상 레저용 카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약은 에스키모인이 사용하던 소형 배로써 1인승으로 이루어지며, 노를 좌우로 번갈아 저어 전진하게 된다.
근래들어 수상 레저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재질도 에어를 주입하는 튜브 형태 또는 합성수지나 나무로 제작된 형태 등 다양한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카약은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즐겨야 하며, 배가 뒤집히는 전복 상황이 자주 발생되므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과 체력을 길러야 안전한 레저 활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물에 빠질 경우가 많으므로 주로 여름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카약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42259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공기가 주입되면 복수 개로 구획된 공기 수용부들이 팽창하여 탑승자 공간을 형성하는 튜브형 선체; 및 상기 공기 수용부들 사이에서 상기 튜브형 선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튜브형 선체를 지지하는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인플래터블 카약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비롯한 종래 카약은 길이에 비해 폭이 좁아 쉽게 뒤집히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렇게 뒤집힐 경우 수영 미숙자는 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수영을 잘하더라도 겨울철에는 카약이 뒤집힐 경우 몸이 젖게 되고 저체온으로 인한 체력 손실이나 감기가 걸리는 위험성과 같은 문제점이 많아 겨울철에는 카약 레포츠를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약 선체의 양측에 보조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부력부재를 부착하여 뒤집힘을 방지함으로써 수영 미숙자도 안심하고 즐길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물에 젖을 염려가 없어 재미있게 즐길 수 있고, 패들을 선체에 마련된 거치대에 장착하여 노젓기를 하도록 하여 선체 회전 및 속도를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는 수상 레저용 카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자 공간이 형성된 선체; 상기 선체의 양측면에 연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부착되며 부력을 갖는 부구;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선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거치대; 거치대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용 카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의 금속파이프를 연결하여 장변부와 단변부를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변부는 중앙부위가 선체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간에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대구경의 제1관체와, 이에 끼워지는 소구경의 제2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관체에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고정공에 끼워지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되 경사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패들이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들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하단에 판재가 부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와 체결되는 링크로 구성되어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약 선체의 양측에 형성된 부구에 의해 전복이 방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여름철은 물론 겨울철에도 즐길 수 있으며, 수영 미숙자도 안심하고 즐길 수 있고, 분리된 패들을 이용하여 신속한 회전이 가능하고, 노젓기가 용이하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용 카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용 카약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용 카약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용 카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용 카약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용 카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레저용 카약(A)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자 공간이 형성된 선체(1); 선체(1)의 양측면에 연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 지지프레임(2)의 끝단에 부착되며 부력을 갖는 부구(3); 지지프레임(2)에 연결되며, 상기 선체(1)의 상부에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거치대(4); 거치대(4)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체(1)의 좌,우측에 각기 배치되는 패들(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체(1)는 통상의 카약을 적용한 것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튜브 타입이거나 또는 합성수지나 나무로 제작된 고체 타입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프레임(2)을 선체(1)에 장착시켜야 하므로 선체(1)가 적정한 강도를 갖는 제품을 선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합한 선체(1)는 합성수지 또는 나무로 제작된 고체 타입이다.
물론 튜브 형태라도 일정한 강도를 갖는 경성 재질이라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지지프레임(2)은 복수의 금속파이프를 용접시켜 연결하여 사각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장변부(22)와 단변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의 중간에 복수의 보조지지대(26)가 단변부(24)와 평행되게 배치된 후 용접되어 휘어짐과 같은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력이 제공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프레임(2)의 중간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의 중간부위는 선체(1)의 상면에 안착되어 양쪽에 균형이 맞도록 유지되어야 하며, 연결수단(J)을 이용하여 선체(1)와 지지프레임(2)의 중간부위가 일체가 되도록 연결된다.
연결수단(J)으로는 지지프레임(2)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고무밴드가 적당하다.
물론 체결과정을 좀 더 신속하게 단축시키고, 장시간 지지프레임(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선체에 브라켓(미도시)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을 이 브라켓에 볼트로 체결시켜 영구적인 고정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2)의 장변부(22)는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간에 조절부(6)가 형성된다.
조절부(6)는 장변부(22)의 금속파이프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켜 선체에 가장 적합한 지지력을 설정하기 위해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선체(1)의 높이가 높고 길이가 긴 경우는 장변부(22)의 길이를 더 길게 연장시켜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경사각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조절부(6)의 일 예로는, 도 3의 확대 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의 제1관체(61)와, 이에 끼워지는 소구경의 제2관체(62)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관체(61,62)에 다수의 고정공(63)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고정공(63)에 끼워지는 핀(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조절부(6)의 실시 예는 반드시 상술한 예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길이조절수단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조절수단도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부구(3)는 물에 뜨는 부력을 얻기 위한 것이므로 스티로폼 또는 중공을 갖는 합성수지 통체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에어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튜브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구(3)는 전진시 추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후단부가 뾰족한 유선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선체(1)의 길이와 비례하여 충분한 부력을 얻을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된 바디로 이루어진다.
거치대(4)는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되되 경사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패들(5)이 연결되는 연결고리(7)가 다수개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거치대(4)는 보조지지대(26)에 하단이 용접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의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그 상단에는 연결바(42)가 용접된다.
연결고리(7)는 사용자의 노젓는 힘의 강약에 적합하도록 힘을 조절하기 위해 다단계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결고리(7)를 높이를 상이하게 설치함으로써 3단계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가장 하부의 연결고리(7)는 힘이 많이 소요되지만 속도가 가장 빨라질 수 있고, 가장 상부의 연결고리(7)는 힘이 적게 소요되지만 속도는 느린 단계이다.
패들(5)은 양손으로 노젓기 위해 각기 선체(1)의 좌,우측에 각기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들(5)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하단에 판재(51)가 부착된 샤프트(52); 샤프트(52)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53); 샤프트(5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7)와 체결되는 링크(54)로 구성되며, 링크(54)와 연결고리(7)의 결합구조에 의해 360°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프레임(2)의 양측 단변부에 각기 부구(3)를 장착하고, 지지프레임(2)의 중간부위에 거치대(4) 및 연결바(42)를 용접시켜 지지프레임(2)의 조립이 완성된다.
각 지지프레임(2)에는 다수개의 연결고리(7)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부구(3)가 장착된 지지프레임(2)을 선체(1)의 상부에 장착한다. 즉 지지프레임(2)의 장변부(22)의 중앙부위를 얹은 후 연결수단(J)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후 지지프레임(2)의 장변부(22)에 마련된 조절부(6)를 조절하여 적정한 길이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선체(1)에 가장 적절한 부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선체(1)에 탑승한 후 패들(5)의 상단 링크(54)를 자신에게 적합한 단계에 해당되는 연결고리(7)에 걸어 연결시킨다.
이후 패들(5)을 저어서 추력을 얻거나 회전시켜 방향 조절이 가능해진다.
즉 좌우 방향 변경은 좌,우측의 패들(5) 중 어느 하나만 젓는 방법으로 가능해지고, 전진 및 후진은 좌,우측의 패들(5)을 동시에 저어 가능해진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선체 2 : 지지프레임
3 : 부구 4 : 거치대
5 : 패들 6 : 조절부
7 : 연결고리

Claims (6)

  1.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자 공간이 형성된 선체;
    상기 선체의 양측면에 연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에 부착되며 부력을 갖는 부구;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선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체의 양측에 배치되는 패들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되 경사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연결바가 형성되고,
    상기 패들이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다수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연결고리는 3개로 이루어지고, 3개의 연결고리는 높이가 상이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용 카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의 금속파이프를 연결하여 장변부와 단변부를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변부는 중앙부위가 선체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중간에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용 카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대구경의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에 끼워지는 소구경의 제2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관체에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고정공에 끼워지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용 카약.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은 양손에 각기 파지할 수 있도록 선체의 좌,우측에 각기 배치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하단에 판재가 부착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와 체결되는 링크로 구성되어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용 카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유선형의 선,후단부와, 일정 길이로 된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레저용 카약.

KR1020110131139A 2011-12-08 2011-12-08 수상 레저용 카약 KR10131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139A KR101315236B1 (ko) 2011-12-08 2011-12-08 수상 레저용 카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139A KR101315236B1 (ko) 2011-12-08 2011-12-08 수상 레저용 카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99A KR20130064499A (ko) 2013-06-18
KR101315236B1 true KR101315236B1 (ko) 2013-10-08

Family

ID=4886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139A KR101315236B1 (ko) 2011-12-08 2011-12-08 수상 레저용 카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61A (ko) 2018-11-22 2020-05-29 박대광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
KR20200060163A (ko) 2018-11-22 2020-05-29 박대광 카약의 조향 장치
KR20210025883A (ko) 2019-08-28 2021-03-10 이승호 스태빌라이저 아우트리거 기능을 겸하는 보트용 접이식 이송 바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710U (ko) * 2015-06-12 2015-07-08 송태복 선박 전복 방지 장치
CN112606956B (zh) * 2020-12-02 2022-04-08 速力复材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水上站立式滑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103U (ko) * 1997-09-19 1999-04-15 전병묘 레져용 에어 보우트
KR20060014965A (ko) * 2004-08-13 2006-02-16 박진현 낚시용 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103U (ko) * 1997-09-19 1999-04-15 전병묘 레져용 에어 보우트
KR20060014965A (ko) * 2004-08-13 2006-02-16 박진현 낚시용 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161A (ko) 2018-11-22 2020-05-29 박대광 카약의 아웃리거 접이 장치
KR20200060163A (ko) 2018-11-22 2020-05-29 박대광 카약의 조향 장치
KR20210025883A (ko) 2019-08-28 2021-03-10 이승호 스태빌라이저 아우트리거 기능을 겸하는 보트용 접이식 이송 바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499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236B1 (ko) 수상 레저용 카약
US7530321B2 (en) Frameless pontoon boat
US6595813B1 (en) Feet-propelled water vehicle
KR20150002472U (ko) 레저용 카약
US8696396B1 (en) Water sport training device
US9061557B1 (en) Amphibious bicycle float attachment and lift system
HRP20161486T1 (hr) Vodeno plovilo
US6539889B2 (en) Frame, inflatable skin and watercraft formed from same
US11401008B2 (en) Inflatable watercraft
US4214547A (en) Rider propelled boat
US3626428A (en) Surf boards
KR200452872Y1 (ko) 수상자전거
EP1500587A1 (en) Muscle propelled boat-like construction
KR102390764B1 (ko) 공기주입식 카약
CN101844608A (zh) 水蜘蛛
US3727251A (en) Boat for use as a lifeboat and for other purposes
US20200277037A1 (en) Aquatic towable device
CN109153435A (zh) 变形的多模式个人船只
US6945836B1 (en) Towable nautical device for leisure sport
KR20210056888A (ko) 조립식 레저용 보트
EP3623275B1 (en) Portable foldable aquaplane
US6938567B1 (en) Multi-functional sailboard
CN103192820A (zh) 一种通过划水蹼提供动力的脚踏式气垫船
KR101203604B1 (ko) 패들링 스포츠용 보트
KR102454537B1 (ko) 스컬 겸용 카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