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14B1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214B1
KR101315214B1 KR1020060135615A KR20060135615A KR101315214B1 KR 101315214 B1 KR101315214 B1 KR 101315214B1 KR 1020060135615 A KR1020060135615 A KR 1020060135615A KR 20060135615 A KR20060135615 A KR 20060135615A KR 101315214 B1 KR101315214 B1 KR 101315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ground portion
switch
terminal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958A (ko
Inventor
오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7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그라운드부가 형성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그라운드부가 형성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에 설치되어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차단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단말기의 사용모드에 따라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연결하여 정전기 방전 성능을 확보하고 안테나의 무선감도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시 발생되는 누설전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단말기, 그라운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바디 20 : 제2바디
40 : 제1그라운드부 42 : 제2그라운드부
44 : 그라운드 연결라인 46 :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차단하여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 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폴더 타입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케이싱 내면에 제1그라운드 층이 도포되는 제1바디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되고 내부에 제2그라운드층이 도포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연결되어 제1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연결부에는 제1그라운드층과 제2그라운드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시피비가 통과한다.
이와 같이, 제1바디의 제1그라운드층과 제2바디의 제2그라운드층이 에프피시비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정전기 성능을 향상시키고 무선감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그라운드층과 제2그라운드층이 항상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단말기에 충전단자를 연결할 경우 단말기 케이스의 기구 구조물 누설전류가 발생되고, 이 누설전류가 제1바디와 제2바디가 그라운드 연결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단말기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감전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이 다중 대역을 사용하게 되는 데, 각 주파수 대역은 그라운드의 면적에 따라 무선감도 성능이 달라지는 데,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그라운드층과 제2그라운드층이 항상 연결된 상태로 되어 그라운드 면적을 가변시킬 수 없어 무선감 도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사용모드에 따라 제1바디의 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연결하여 정전기 방전 성능을 확보하고 안테나의 무선감도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시 발생되는 누설전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그라운드부가 형성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그라운드부가 형성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에 설치되어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차단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연결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제어방법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충전 중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제1바디에 형성되는 제1그라운드부와 제2바디에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부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단말기의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안테나의 무선감도 편차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안테나의 무선감도 편차가 설정치 이상 발생되면 제1바디의 제1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제2그라운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시켜서 무선감도 편차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가 구비되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2)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가 구비되는 제2바디(20)와, 상기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힌지 연결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10)는 외관을 이루는 제1케이싱(14)과, 상기 제1케이싱(14)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디스플레이(12)와, 상기 제1케이싱(14)의 일단에 장착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1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케이싱(14)의 내면에는 전자파를 차폐함과 아울러 그라운드 역할을 하는 제1그라운드부(40)가 도포된다.
상기 제2바디(20)는 외관을 이루는 제2케이싱(26)과, 상기 제2케이싱(26)의 내부에 장착되고 그 표면에 방열 작용 및 그라운드 역할을 하는 제2그라운드부(42)가 도포되고 각종 회로부품들 및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8)과, 제2케이싱(26)의 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입력장치(22)와, 상기 제2케이싱(26)의 후면에 장착되는 배터리(24)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연결부(30)는 그 일단이 제1바디(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바디(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1바디(10)가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힌지 연결부(30)에는 상기 제1바디(10)에 형성되는 제1그라운드부(40)와, 제2바디(26)에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부(4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그라운드 연결라인(44)이 통과하고, 상기 연결라인(44)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차단하는 스위치(46)가 장착된다.
상기 스위치(46)는 단말기의 각종 센싱부(52)로부터 전기신호를 받는 제어유닛(5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릴레이 등과 같은 전기적인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되는 기구적인 스위치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한 스위치(46)는 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른 연결라인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스위치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그라운드 연결라인(44)은 플랙시블한 형태의 에프피시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 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안테나의 무선감도에 따른 제어공정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말기를 통신모드로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안테나의 무선감도 편차를 설정범위와 비교하여 무선감도 편차가 설정범위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유닛(50)은 스위치(46)를 오프(OFF)시킨다. 그러면 제1바디에 형성된 제1그라운드부와 제2바디에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부 사이가 차단되어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의 그라운드 연결이 차단된다.(S10,S20)
그리고, 그라운드 연결이 차단된 상태에서 무선감도를 확인하여 무선감도 편가가 설정범위보다 작으면 그라운드 연결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한다.(S30)
그리고, 무선감도 편차가 설정 범위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면 제어유닛(50)은 스위치(46)를 온(ON)시켜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를 그라운드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1바디(10)가 열린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파악하여 제1바디(10)의 개방여부에 따른 무선감도를 확인하여 무선감도에 편차가 발생되면 무선감도 성능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스위치(46)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킨다.
이와 같이, 단말기가 통신모드로 사용될 때 무선감도를 확인하여 무선감도에 편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46)를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켜서 무선감도 성능을 확인하여 무선감도 성능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스위치(46)의 온(ON)상태 또는 오프(OFF)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의 그라운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여 안테나의 무선감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 중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여부를 파악한다.(S100) 만일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46)를 오프(OFF)시켜서 누설전류가 단말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킨다.(S200,S300) 즉, 제어유닛(50)은 배터리 충전 중 누설전류의 발생 여부를 파악하여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면 스위치(46)를 오프(OFF)시켜서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의 그라운드 연결을 차단한다. 그리고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스위치(46)를 온상태를 유지시켜 제1바디(10)와 제2바디(20)의 그라운드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S40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힌지 연결부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단말기의 사용되는 각종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바디의 제1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제2그라운드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모드에 따라 그라운드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어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단말기 배터리를 충전할 때 누설전류가 발생되면 그라운드를 차단하여 누설전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테나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라운드를 차단하거나 연결하여 무선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제1그라운드부가 형성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그라운드부가 형성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에 설치되어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 사이를 연결시키거나 연결을 차단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운드부는 제1바디의 제1케이싱의 내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바디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도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연결 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충전 중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파악되면 제1바디에 형성되는 제1그라운드부와 제2바디에 형성되는 제2그라운드부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는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어 스위치가 온/오프에 따라 제1그라운드부와 제2그라운드부가 연결되거나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8. 단말기의 안테나에 의해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안테나의 무선감도 편차가 발생되는 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안테나의 무선감도 편차가 설정치 이상 발생되면 제1바디의 제1그라운드와 제2바디의 제2그라운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시켜서 무선감도 편차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감도 편차를 최소화하는 단계는 무선감도 편차가 발생되면 제어유닛이 스위치를 온시켜 제1그라운드와 제2그라운드를 연결시키고, 그라운드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감도 편차를 파악하여 무선감도 편차가 줄어들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무선감도 편차가 유지되면 그라운드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60135615A 2006-12-27 2006-12-27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5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615A KR101315214B1 (ko) 2006-12-27 2006-12-27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615A KR101315214B1 (ko) 2006-12-27 2006-12-27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958A KR20080060958A (ko) 2008-07-02
KR101315214B1 true KR101315214B1 (ko) 2013-10-08

Family

ID=3981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615A KR101315214B1 (ko) 2006-12-27 2006-12-27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741A (ko) * 2003-04-10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도성 외장물을 갖는 전화기에서의 이에스디 방지 장치
KR20050055116A (ko) * 2003-12-05 2005-06-13 주식회사 팬택 정전기 전하 방지 및 누설 전류 차단용 케이스를 구비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5825B1 (ko) * 2005-10-19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Esd 및 누설전류 방지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741A (ko) * 2003-04-10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도성 외장물을 갖는 전화기에서의 이에스디 방지 장치
KR20050055116A (ko) * 2003-12-05 2005-06-13 주식회사 팬택 정전기 전하 방지 및 누설 전류 차단용 케이스를 구비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5825B1 (ko) * 2005-10-19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Esd 및 누설전류 방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958A (ko)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90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internal antennas
US6914570B2 (en) Antenna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EP1538694B1 (en) Portable wireless machine
KR100908188B1 (ko)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JP4096294B2 (ja) 携帯電話装置
US7787915B2 (en) Folding type portable wireless unit
US8060167B2 (en) Portable wireless machine
EP148264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EP1292042A2 (en) Foldable portable phone with metal casing, shieldings and second antenna to control radiation
US7602344B2 (en) Portable terminal with variable ground unit
JPH0897617A (ja) 可動ハウジング要素に内蔵されたrf回路を有する電子装置
WO2005114779A1 (ja)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WO2006071534A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antenna
EP188155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8004479A1 (fr) dispositif terminal sans fil portable
KR20070082308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가변형 안테나 장치
WO2006109764A1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13152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157787A (ja) 折畳式携帯無線装置
JP2006166260A (ja) 折畳式携帯無線機
KR10058431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646600B1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
JP2006135720A (ja) 折畳式携帯無線機
KR101144374B1 (ko) 휴대 단말기
KR20080054514A (ko) 가변형 접지 장치를 갖는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