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425B1 - 디밍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디밍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4425B1 KR101314425B1 KR1020120035167A KR20120035167A KR101314425B1 KR 101314425 B1 KR101314425 B1 KR 101314425B1 KR 1020120035167 A KR1020120035167 A KR 1020120035167A KR 20120035167 A KR20120035167 A KR 20120035167A KR 101314425 B1 KR101314425 B1 KR 1013144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 phase
- dimming
- light emitting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밍가능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의 정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 1개 이상의 LED 로 구성되는 LED 발광블럭;
상기 LED 발광블럭이 n 개 직렬로 연결된 부하(n≥1 자연수); 상기 부하의 각 발광블럭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 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치 블럭; 상기 LED 발광블럭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장치; 상기 스위치 블럭과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교류전압이 위상제어기에 의하여 일부분이 제거(Phase cut)되어 공급될 때 제거된 위상량 (Delta phase)를 측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위상량(Delta Phase)를 사용하여 전류제한장치의 전류량을 감쇄하여; 디밍을 50% 이상 하여도 각 정류싸이클에서 모든 LED 발광블럭이 점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 발광블럭이 n 개 직렬로 연결된 부하(n≥1 자연수); 상기 부하의 각 발광블럭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 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치 블럭; 상기 LED 발광블럭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장치; 상기 스위치 블럭과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교류전압이 위상제어기에 의하여 일부분이 제거(Phase cut)되어 공급될 때 제거된 위상량 (Delta phase)를 측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위상량(Delta Phase)를 사용하여 전류제한장치의 전류량을 감쇄하여; 디밍을 50% 이상 하여도 각 정류싸이클에서 모든 LED 발광블럭이 점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ED(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밍(Dimming)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전광변환 반도체소자로서, 표시기 백라이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로 전광변환 효율이 기존의 백열등 및 형광등보다 높아져서 현재는 일반 조명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LED를 구동하는 방법 중에서, 교류전압으로 LED램프를 구동하는 방법(이하, "LED 교류 직구동 방법")들이 본 발명인의 특허 제 10-1110380 호를 비롯하여 다수 개 소개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를 사용하여 종래의 기술로 디밍 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 예 1>
도 1에 따른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교류전원(910), 상기 교류전원(910)으로부터 공급받은 교류전압을 직류의 정류전압(Vrect)로 변환하는 정류회로(940), 상기 정류회로(940)의 출력인 정류전압 (Vrect)으로 구동되는 제1 발광블럭(871), 제2 발광블럭(872), 제3 발광블럭 (873) 및 제4 발광블럭(87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상기 교류전원의 순시전압에 맞추어서 전류 경로를 변경하여 점등된 발광블럭의 개수를 조정하는 병렬 스위치블럭 [제1 스위치 (SW1), 제2 스위치(SW2), 제3 스위치(SW3) 및 제4 스위치(SW4)] 및 제어기(942)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1 발광블럭 내지 제4 발광블럭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원(또는, "전류제한장치" 로 칭함)인 제1 전류원(I1), 제2 전류원(I2), 제3 전류원(I3) 및 제4 전류원(I4)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대표적인 예로는 특허 제 10-0942234호 및 특허 제 10-0997050호 를 들 수 있으며, 그 작동 방법은 상기 특허들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도 1의 종래회로에서 제어기(942)는 제1 스위치(SW1) 내지 제4 스위치(SW4) 중에서 하나의 스위치만 도통되고 나머지는 항상 차단되도록 상기 병렬 스위치블럭을 제어한다.
제1 스위치(SW1)이 도통되어 제1 발광블럭이 점등되는 경우에 전원전류는 전류제한장치(I1)에 의하여 제한되어 (5mA) 가 된다. 또한, 제2 스위치(SW1)이 도통되어 제1 발광블럭(871) 및 제2 발광블럭(872)가 점등되는 경우에 전원전류는 전류제한장치(I2)에 의하여 제한되어 (10mA) 가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3 스위치 (SW3)이 도통 될 경우 제1 발광블럭(871) 내지 제3 발광블럭(873)이 점등되고 전원전류는 (15mA)가 된다. 그리고, 제 스위치(SW4)가 도통 될 경우는 제1 발광블럭 (871) 내지 제4 발광블럭(874)이 점등되고 전원전류는 (20mA)가 된다. 이것을 정류전압 1주기에 대하여 도시하면 도 2의 전류파형(710)이 된다. 즉, 계단파 형태의 전원전류가 나타난다.
도 3은 본 발명인의 특허 제 10-1110380호 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주요 항목은, 제어기(942)가 교류전압(910)과 동위상이고, 형태는 정현파인 제어신호(Csin)로 전류원(CS)를 제어하여 전원전류가 도 2의 파형(710)과 같이 정현파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때 제어기(942)가 어떠한 동작원리로 스위치(S11) 내지 스위치(S14)를 제어하는 지는 상기 특허 제 10-1110380호 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종래의 LED 조명장치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전압파형(310)은 교류전원 위상제어소자[일 예를 들면, 트라이악 (Triac)]를 사용하여 교류전압 위상 일부를 제거(Phase cut)한 교류전원 전압을 도시한 것이다.
교류전압의 위상이 0 도 ~ 90 도 사이의 량이 제거될 때는 도 5의 계단파 파형(311) 또는 정현파 파형(311A) 와 같이 전원전류가 나타난다. 이때는 모든 발광블럭이 각 정류싸이클에서 1번 이상은 점등된다.
그리고, 교류전압의 제거량이 90 도 일 경우는 도 6의 계단파 파형(312) 또는 정현파 파형(312A) 와 같이 전원전류가 나타난다. 이때에도 모든 발광블럭이 각 정류싸이클에서 1 번 이상은 점등된다.
그런데 교류전압의 위상이 90 도 ~ 180 도 사이의 량이 제거될 때는 도 7의 계단파 파형(313) 또는 정현파 파형(313A) 와 같이 전원전류가 나타난다. 이때에는 각 정류싸이클에서 1 번도 점등되지 않는 발광블럭이 생긴다. 즉, 종래의 기술로 만든 LED 조명장치에서 디밍을 50 % 이상 실시하면 정류전압 1 싸이클(one cycle)내에서 점등되지 않는 발광블럭이 존재하여 LED 조명장치 내에서 밝기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여기서, 디밍 50%는 LED 조명장치의 밝기가 1/2로 되는 것을 의미함.)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한 것으로서, 교류전원 위상제어소자를 사용하여 교류전원 위상 일부를 제거(Phase cut)하는 디밍 방식에 있어서, 디밍을 50% 이상 실시하여도 정류전압 1 싸이클(one cycle)내에서 모든 발광블럭이 점등되어 종래기술보다 보다 밝기 편차가 작은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의 정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 1개 이상의 LED 로 구성되는 LED 발광블럭; 상기 LED 발광블럭이 n 개 직렬로 연결된 부하(n≥1 자연수); 상기 부하의 각 발광블럭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 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치 블럭; 상기 LED 발광블럭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장치; 상기 스위치 블럭과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교류전압이 위상제어기에 의하여 일부분이 제거(Phase cut)되어 공급될 때 제거된 위상량(Delta phase)를 측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며;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위상량(Delta Phase)를 사용하여 전류제한장치의 전류량을 조절하여; 디밍을 50 % 이상 하여도 각 정류싸이클에서 모든 LED 발광블럭이 점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교류전압 위상과 동위상의 정현파 신호로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계단파 형태로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디밍 전 전류파형에 대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를 부가하여, PWM 1 싸이클(one cycle) 의 평균전류값들이 이루는 파형이 디밍 전류파형이 되도록 PWM 제어기능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
종래의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교류전원 위상제어소자를 사용하여 교류전원 위상 일부를 제거(Phase cut)하는 디밍 방식에 있어서, 디밍을 50% 이상 실시하면, 정류전압 1 싸이클 (one cycle)내에서 점등되지 않는 발광블럭이 존재하여 LED 조명장치의 내부에서 밝기 편차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디밍 가능한 조명장치는 모든 발광블럭이 점등되어 종래기술보다 보다 밝기 편차가 작은 LED 조명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LED 조명장치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3은 또다른 종래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디밍을 위상제거방식으로 한 경우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5는 디밍을 위상 제거량 0 도 ~ 90 도로 수행할 때 전원전류 파형의 일 예이다.
도 6은 디밍을 위상 제거량 90도 로 수행할 때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7은 디밍을 위상 제거량 90도 ~ 80도 로 수행할 때 전원전류 파형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 회로이다.
도 9는 디밍 가속계수=1 인 경우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10은 디밍 가속계수=1 인 경우의 위상 제거량과 디밍량 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는 디밍 가속계수=3 인 경우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11은 디밍 가속계수=3 인 경우의 위상 제거량과 디밍량 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LED 조명장치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3은 또다른 종래의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디밍을 위상제거방식으로 한 경우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5는 디밍을 위상 제거량 0 도 ~ 90 도로 수행할 때 전원전류 파형의 일 예이다.
도 6은 디밍을 위상 제거량 90도 로 수행할 때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7은 디밍을 위상 제거량 90도 ~ 80도 로 수행할 때 전원전류 파형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 회로이다.
도 9는 디밍 가속계수=1 인 경우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10은 디밍 가속계수=1 인 경우의 위상 제거량과 디밍량 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는 디밍 가속계수=3 인 경우의 전원전류 파형이다.
도 11은 디밍 가속계수=3 인 경우의 위상 제거량과 디밍량 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전원전압위상을 제거하는 방식의 LED 조명장치는 LED에 흐르는 전류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단지 제거된 전원전압 위상만으로 디밍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디밍 가속계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디밍을 실시한다. 즉, 제거된 위상량을 측정하고, 제거된 위상량에 비례하여 LED 조명장치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쇄하여 종래보다 적극적으로 디밍을 실시한다.
< 본 발명에 바람직한 회로예>
이하 도 8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회로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의 회로구성을 서술하여보면, 교류전원(1),교류입력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의 정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2), 복수개의 LED로 이루어진 제1 LED 발광블럭(11), 제2 LED 발광블럭(12), 제3 발광블럭(13) 및 제4 발광블럭(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LED 발광블럭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원(또는 "전류제한장치"라 칭함)(CS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류제한장치에 의한 전원전류 파형은 계단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원전류 파형이 정현파인 것은 더욱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서브 발광블럭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변경하여 점등블럭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스위치 블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기(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위치 블럭은 앞에서 뒤로 순서대로 점등하는 순방향 점등 스위치 블럭(SA)는 제1 순방향 스위치(SA_1), 제2 순방향 스위치(SA_2) 및 제3 순방향 스위치(SA_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뒤에서 앞으로 순서대로 점등하는 역방향 점등 스위치 블럭(SB)는 제1 역방향 스위치(SB_1), 제2 역방향 스위치(SB_2), 및 제3 역방향 스위치(SB_3)로 구성될 수 있다.
순방향 점등 스위치 블럭(SA) 또는 역방향 점등 스위치 블럭(SB)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블럭 만을 구비하고, 점등을 실시할 경우에 각 스위치는 도 1 또는 도 3 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면 된다.
스위치 블럭 2개를 모두 구비하고, 점등을 실시할 경우에 각 스위치 블럭 내부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원리로 동작한다. 이때, 제어기(4)가 순방향 점등 스위치 블럭(SA) 와 역방향 점등 스위치 블럭(SB)가 번갈아 가면서 활성회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위치 블럭 활성화의 첫번째 예로는, 입력전압위상 0 도 ~ 180 도 사이는 스위치블럭(SA)가 작동하고, 입력전압위상 180 도 ~ 360 도 사이는 스위치 블럭(SB)가 작동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스위치 블럭 활성화의 두번째 예로는, 스위치 블럭(SA) 와 스위치 블럭(SB) 활성화를 정류싸이클 보다 짧은 소정의 주기로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블럭 2 개를 사용하는 점등방법은 본 발명인의 특허 제 10-1110380 호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한 형태이므로 동작방법에 대한 기술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그리고 LED 발광블럭의 구성방법 및 스위치 블럭의 구성방법 또한 상기 특허 제 10-1110380 및 선행기술문헌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공지기술 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또 8 회로를 본 발명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1) 제어기는 교류입력전압에서 위상이 제거(Phase cut)된 것이 있는지, 있다면 제거된 위상량(Delta phase)이 얼마인지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트라이악(TRIAC) 등과 같은 교류위상제어 소자를 활용하여 교류전압의 위상이 일부분 제거된 경우 그 제거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2)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위상 제거량(Delta phase)를 기초로 전류제한장치(CS2)의 전류조절 제어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류조절 제어량으로 전류원(CS2)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 디밍 가속계수 = 1.0>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어기(4)가 측정한 제거위상량(Delta phase)를 기초로 전류제한장치 (CS2)의 제어량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필요한 용어를 정의하면 아래와 같다.
1) Im : 디밍(Dimming) 하지 않을 경우 순시최대 전류원(CS2) 전류.
2) Idim : 디밍Dimming)시 순시최대 전류원(CS2) 전류.
3) alpha : 디밍 가속계수(실수).
4) dPhase : 교류입력전압 위상 제거량(Delta phase).
전류제한장치(CS2)의 제어입력신호(Csin)은 (수식1) 과 같이 계산한다.
Csin = Idim x sin(전원전압위상) ---(수식1)
그리고, 디밍(Dimming)시 순시최대전류 Idim 은 (수식2)로 계산한다.
Idim = [ ( 90 - dPhase x alpha ) / 90 ] x Im ---(수식2)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디밍 가속계수가 1.0 인 경우이다.
먼저, 제거위상량 dPhase 가 0 도 인 경우, 상기 (수식2)는 Idim = Im 으로 된다. 즉 디밍 0 % 인 경우는 순시최대 전류원전류 Idim 은 디밍하지 않을 경우의 순시최대 전류원전류 Im 과 같다.
그리고, 제거위상량 dPhase 가 89.9 도 인 경우 상기 (수식2)는 Idim = 0.1 / 90 x Im 으로, 디밍시 순시최대 전유원전류 Idim 은 디밍하지 않을경우 순시최대전류 Im 의 1 / 900 이 된다. LED 발광블럭의 직렬개수를 결정하는 스위치가 디밍전과 동일한 시각(전원전압 위상)에서 변경되었다고 가정하고, LED 의 밝기는 전류에 비례한다고 가정하면, LED 조명장치의 밝기는 전원전류량에 비례하게 된다. 즉 "디밍전 밝기의 900 분의 1 밝기는 100 % 디밍이 되었다"라고 말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100 % 디밍을 하고 싶으면 전원스위치를 차단하면 되므로, 실제 상용제품의 관점에서 최대 디밍은 80 % 에서 95 % 사이가 적당할 것이다.
제거위상량 dPhase 가 45 도인 경우(예를들면, 교류위상제어 소자가 전압위상 135도에서 180도를 제거) (수식2)는 Idim = 1/2 x Im 이 된다. 전원전압 위상에 대한 순시전류값을 전압위상에 대하여 도시하여 보면 도 9의 파형(45A) 로 나타날 수 있다. 즉, 전압위상 0 도에서 135 도 까지는 Idim = 1/2 x Im 인 정현파로 전류제한장치(CS2)에서 전류를 제한하고, 135 도에서 180 도 까지는 교류위상제어 소자에 의하여 전류가 제거된 파형(45A)이다.
도 9에서 디밍전류파형(15A)는 입력전압을 위상 15 도 만큼 제거된 경우를 나타낸 경우이고, 디밍전류파형(75A)는 위상 75 도, 디밍전류파형(85A)는 위상 85 도를 각각 제거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전류감쇄곡선(A1)은, 1)제거위상량을 0 도에서 85 도 까지 5 도 단계로 변경하면서 앞서 설명한 방법대로 정류전압 한 싸이클의 총 디밍 전원전류량을 구하고, 2)제거위상량 0 도인 경우의 총 전류원전류(정류전압 한싸이클)로 나누고, 3) 90 을 곱하여 정규화(즉, 90으로 정규화) 시켜서 구한 것이다(수평축은 제거위상량이고, 수직축은 정규화된 전류원 전류량임).
그리고, 도 10의 디밍량(DS1)은 (수식3)으로 구한 것이다. (수평축은 제거위상량이고, 수직축은 % 임).
디밍량 = [ (90- 정규화전류량) / 90 ] x 100 ---(수식3)
여기서, 상기 정규화된 전류량(A1)의 선형 회귀식을 구하여 상관계수(R제곱값)을 계산하면 0.995 가 된다. 즉, 실용상 제거위상량과 디밍량은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관계로 보아도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관점에서 상기 도 10을 살펴보면, 교류전원 위상제어소자를 사용하여 교류전원 위상 일부를 제거(Phase cut)하는 디밍 방식에 있어서, 디밍을 50 % 이상 실시하여도 정류전압 1 싸이클(one cycle)내에서 모든 발광블럭이 점등되어 종래기술보다 보다 밝기 편차가 작은 LED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밍을 50 % 실시한 디밍전류파형(45A)에서 전압위상 0 도 부근에서도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관점에서 설명의 편의상 정현파로 도시한 것이다. 실제 회로에서는 제일 처음 점등되는 발광블럭(예를들면 제1 발광블럭)의 문턱전압 이하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제거를 90 도 이후에서 실시(Tailing edge cut)한 경우이고, 위상제거를 90도 이전에 실시(Leading edge cut)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디밍 전 전류파형이 정현파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계단파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디밍 전류파형(15A)(45A)(75A)(85A)은 제어기(4)가 전류제한장치(CS2)를 제어하여 구현되는 순시전류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 전류파형(15A) 내지 전류파형(85A)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이라 칭함)에 의한 평균전류파형으로도 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디밍 전 전류파형에 대하여 PWM 제어를 부가하여, PWM 1 싸이클 (one cycle)의 평균전류값들이 이루는 파형이 상기 디밍 전류파형(15A) 내지 디밍 전류파형(85A)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PWM 듀티는 (수식4)로 계산될 수 있다.
Iduty = [ ( 90 - dPhase x alpha ) / 90 ] x 100 ---(수식4)
여기서, Iduty 는 정류전압 1 주기에 적용되는 PWM 제어신호의 듀티이며 단위는 % 이다. dPhase 는 교류입력전압의 제거위상량이며, alpha 는 디밍가속계수 이다. 이때, PWM 주파수는 전원주파수의 2 배인 정류주파수보다 높아야 함은 당연하다.
구체적인 PWM 구현 방법으로는, 전류제한장치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직렬 스위치의 제어단자에 PWM 제어신호를 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 방법으로는, 전류제한장치(CS2)에 출력 Enable / Disable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Enable / Disable 단자에 PWM 제어신호를 가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디밍 가속계수를 1.0 으로 한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실시예 2: 디밍 가속계수 = 3.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공식을 사용하고, 디밍 가속계수를 3.0 으로 한 경우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인 도 9에 대응하는 도면이다(수평축은 제거위상량 이고, 수직축은 정규화된 전원전류량임). 여기서 전류파형(0B)는 제거위상량이 0 인 경우이고, 전류파형(10B)는 제거위상량 10 도, 전류파형(28B)는 제거위상량 28 도인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2는 제1 실시예인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먼저 전류감쇠곡선(A3)를 살펴보면 제거위상량 30 도 이전에 최대 디밍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수평축은 제거위상량이고, 수직축은 정규화된 전원전류량임). 그리고,디밍량은 곡선(DS3)로 나타난다(이때, 수직축은 % 임).
상기 정규화된 전류량(A3)의 선형 회귀식을 구하여 상관계수(R제곱값)을 계산하면 0.999 이다. 즉, 실용상 제거위상량과 디밍량을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관계로 보아도 된다.
본 발명의 관점에서 상기 도 12을 살펴보면, 교류전원 위상제어소자를 사용하여 교류전원 위상 일부를 제거(Phase cut)하는 디밍 방식에 있어서, 디밍을 50% 이상 실시하여도 정류전압 1 싸이클(one cycle)내에서 모든 발광블럭이 점등되어 종래기술보다 보다 밝기 편차가 작은 LED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이상, 전류제한장치가 정현파로 전류를 제한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계단파 형태로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여도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을 벗어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910 교류전원 2, 940 정류회로
I1, I2, I3, I4 전류원 CS2 전류원
710 계단파 전원전류파형 710A 정현파 전원전류파형
310 위상제어 디밍에 의한 전원전류파형
311,321,331 위상제어 디밍에의한 LED 발광블럭 전류파형(계단파)
311A, 321A, 331A 위상제어 디밍에 의한 LED 발광블럭 전류파형(정현파)
SA, SB 스위치 블럭
I1, I2, I3, I4 전류원 CS2 전류원
710 계단파 전원전류파형 710A 정현파 전원전류파형
310 위상제어 디밍에 의한 전원전류파형
311,321,331 위상제어 디밍에의한 LED 발광블럭 전류파형(계단파)
311A, 321A, 331A 위상제어 디밍에 의한 LED 발광블럭 전류파형(정현파)
SA, SB 스위치 블럭
Claims (4)
-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의 정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
1개 이상의 LED 로 구성되는 LED 발광블럭;
상기 LED 발광블럭이 n 개 직렬로 연결된 부하(n≥1 자연수);
상기 부하의 각 발광블럭에 흐르는 전류를 바이패스 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치 블럭;
상기 LED 발광블럭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장치;
상기 스위치 블럭과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교류전압이 위상제어기에 의하여 일부분이 제거(Phase cut)되어 공급될 때 제거된 위상량(Delta phase)를 측정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제거위상량(Delta Phase)를 사용하여 전류제한장치의 전류량을 조절하여;
디밍을 50% 이상 하여도 각 정류싸이클에서 모든 LED 발광블럭이 점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교류전압 위상과 동위상의 정현파 신호로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계단파 형태로 상기 전류제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 -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밍 전 전류파형에 대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를 부가하여, PWM 1 싸이클 (one cycle)의 평균전류값들이 이루는 파형이 디밍 전류파형이 되도록 PWM 제어기능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밍 가능한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24272 | 2012-03-09 | ||
KR1020120024272 | 2012-03-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263A KR20130103263A (ko) | 2013-09-23 |
KR101314425B1 true KR101314425B1 (ko) | 2013-10-04 |
Family
ID=494527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5167A KR101314425B1 (ko) | 2012-03-09 | 2012-04-04 | 디밍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
KR1020120037606A KR20130103264A (ko) | 2012-03-09 | 2012-04-10 | 디밍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7606A KR20130103264A (ko) | 2012-03-09 | 2012-04-10 | 디밍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31442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6896B1 (ko) * | 2014-09-15 | 2017-03-16 | 고관수 | Ac 직결구동 led 플리커 개선 회로 |
WO2016209025A2 (ko) * | 2015-06-26 | 2016-12-29 |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 멀티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JP2018528598A (ja) | 2015-06-26 | 2018-09-27 |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マルチセル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8488A (ja) | 2008-07-16 | 2011-11-17 | アイワット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Ledランプ |
KR20120019372A (ko) * | 2010-08-24 | 2012-03-06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Led 구동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led 조명등 기구 |
-
2012
- 2012-04-04 KR KR1020120035167A patent/KR1013144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4-10 KR KR1020120037606A patent/KR201301032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8488A (ja) | 2008-07-16 | 2011-11-17 | アイワット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Ledランプ |
KR20120019372A (ko) * | 2010-08-24 | 2012-03-06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Led 구동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led 조명등 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263A (ko) | 2013-09-23 |
KR20130103264A (ko) | 2013-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3820B1 (ko) | 발광소자 구동회로 및 조명장치 | |
JP6143786B2 (ja) | Led発光装置 | |
US9775201B2 (en) | Dim range enhancement for LED driver connected to phase-cut dimmer | |
KR101397953B1 (ko) | 상용전원 2 종류를 지원하는 교류구동 엘이디 조명장치 | |
CN106465519B (zh) | 交流电驱动发光元件照明装置 | |
WO2011049976A1 (en) | Led emulation of incandescent bulb brightness and color response to varying power input and dimmer circuit therefor | |
KR101353218B1 (ko) | 조명 장치 | |
US9743479B2 (en) | LED lighting apparatus with improved flicker index | |
KR101314425B1 (ko) | 디밍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 |
US9345088B2 (en) | LED control circuits and methods | |
KR101160154B1 (ko) | 고조파 감쇄 기능을 갖는 단방향 led모듈 장치 | |
KR20130003388A (ko) | Led 조명 장치 | |
KR20150017442A (ko) | Led 조명기구 | |
US11445586B2 (en) | Adaptive power balancing in LED lamps | |
KR20170058097A (ko) | 발광부 색온도 통합 제어 회로 | |
US9271358B2 (en) |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flicker performance | |
KR101205121B1 (ko) | 플리커가 개선된 엘이디 조명장치 | |
KR101964443B1 (ko) | Led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 |
KR101473917B1 (ko) | Led 조명기구 | |
US12058788B2 (en) | AC LED circuit with standard dimmer compatibility | |
KR102392256B1 (ko) | Led 구동 회로 | |
TW201519692A (zh) | 利用多相位交流電源的發光二極體之照明裝置 | |
JP5295329B2 (ja) | 照明装置及び調光装置 | |
KR20150026349A (ko)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
KR20140102421A (ko) | 발광다이오드 구동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