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409B1 -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409B1
KR101314409B1 KR1020070037516A KR20070037516A KR101314409B1 KR 101314409 B1 KR101314409 B1 KR 101314409B1 KR 1020070037516 A KR1020070037516 A KR 1020070037516A KR 20070037516 A KR20070037516 A KR 20070037516A KR 101314409 B1 KR101314409 B1 KR 10131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link
user
input
nam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601A (ko
Inventor
이해성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003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40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이퍼링크 이름 및 그 하이퍼링크 이름과 짝을 이루는 하이퍼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요소가 포함된 마크업 페이지를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 요소를 기초로 한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키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에 포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동일한 것을 첫 번째 문자로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등을 브라우징하는 사용자는 그 웹페이지 등에 포함된 다수의 하이퍼링크 중 원하는 것을 쉽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ERFORMING HYPERLINK BASED ON CHARACTER INPUTTED BY USER AND METHOD THEROF}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화면과 해당 웹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어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웹페이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a에 표시되는 팝업창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입력부 20 : 제어부
30 : 저장부 40 : 디스플레이부
41 : 팝업창 42 : 팝업 입력창
43 : 팝업표시창 50 : 이동통신 모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마크업 페이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무선통신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적인 기능들이 많이 추가되어 왔다.
그 중에서 유선망을 통한 인터넷의 활성화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의 이용에 대한 욕구가 있어왔고, 이에 통신회사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인터넷(INTERNET)은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한 알파넷(ARPANET)에서 시작된 세계 최대 규모의 컴퓨터 통신망으로서, TCP/IP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 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 검 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 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데, 요즘에 와서는 웹 사이트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웹 페이지 열람이 인터넷의 주 이용 분야가 되고 있다.
이처럼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웹 페이지를 열람하는 것을 웹 브라우징이라고 하는데, 유선 인터넷 상에서 즐기던 웹 브라우징이 즉 웹페이지 열람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환경 하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웹페이지의 데이터들은 하이퍼링크 요소에 의해 복수의 페이지 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작성된 경우 <a href="http://aaa.bbb">test</a> 와 같이 <a> 태그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웹페이지와 링크 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하이퍼링크 요소는 'test'라는 하이퍼링크 이름과 'http://aaa.bbb' 인 하이퍼링크 주소를 포함한다. 즉, 하이퍼링크 이름은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때 보이는 부분이고, 하이퍼링크 주소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이퍼링크 이름을 선택할 때 웹브라우저 등이 연결 요청을 할 주소이다. 이렇게 하이퍼링크 이름과 하이퍼링크 주소는 짝을 이루어 하이퍼링크 요소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이퍼링크 이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하이퍼링크 주소에 의해 연결된 페이지로 이동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웹페이지에는 상기와 같은 하이퍼링크 요소가 다수 포함되는데 도 1a 내지 도 1c에 이러한 예를 나타내었다.
도 1a는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의 일 예이고, 도 1b는 도 1a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이름들의 일 예이고, 도 1c는 각각의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의 일 예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된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선택하여야 하는데, 이처럼 하나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요소들이 다수 있으면 그 선택이 쉽지 않다. 즉, 컴퓨터와 같이 마우스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원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종래에는 각각의 하이퍼링크 이름 앞에 0에서 9까지의 번호를 추가로 붙여, 사용자가 번호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해당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이 선택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방향키를 연속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원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하이퍼링크 이름 앞에 번호를 붙이는 것은 하이퍼링크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적절치 않고, 또한 방향키를 연속으로 눌러 원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원하는 하이퍼링크가 아래쪽에 있을 경우에는 방향키를 수차례 눌러야 함으로써 시간도 많이 걸리고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여 사용자 불만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웹페이지 등의 마크업데이터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브라우징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 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이퍼링크 이름 및 그 하이퍼링크 이름과 짝을 이루는 하이퍼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요소가 포함된 마크업 페이지를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 요소를 기초로 한 브라우징을 수행하고, 키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에 포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첫 번째 문자로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하이퍼링크 이름 및 그 하이퍼링크 이름과 짝을 이루는 하이퍼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요소가 포함된 마크업 페이지를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 요소를 기초로 한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마크업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에 포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첫 번째 문자로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0), 디스플레이부(40), 저장부(30), 이동통신 모듈(50), 제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 입력부(10)는 숫자 키, 문자 키, 메뉴 선택 키 등 복수개의 키 버튼(미 도시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키 버튼을 누르면 각 키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함으로써 어떤 키가 눌러졌는지를 제어부(20)가 알도록 한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10)는 저주파군과 고주파군의 2개의 주파수를 하나의 키 버튼에 대응시키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10)의 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해당하는 숫자, 문자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서,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상의 마크업 데이터 제공서버(미 도시함)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데이터 및 그 마크업 데이터를 파싱/렌더링하는 프로그램과 디스플레이부(40) 상의 팝업창(41)에 포함시킬 하이퍼링크 이름이 저장부(30)에 저장된다. 여기서, 마크업 데이터를 파싱/렌더링하는 프로그램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그리고 마크업 데이터와 팝업창(41)에 포함시킬 하이퍼링크 이름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마크업 데이터 제공서버는 마크업언어(예를 들어 html, xml, wml 등)로 작성된 마크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웹서버일 수 있다. 팝업창(41) 및 하이퍼링크 이름 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모듈(50)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미 도시함) 등과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에 의해 이동통신 패킷 망을 거쳐 인터넷 망의 마크업 데이터 제공서버(예를 들어 웹서버)와 통신함으로써, 그 마크업 데이터 제공서버에 마크업 데이터를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마크업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파싱/렌더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0)는 이동통신 모듈(50)을 통해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마크업 페이지가 수신되면 그 마크업 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키 입력부(10)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그 입력되는 문자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에 포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비교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동일한 문자를 첫 번째 문자로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추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이 디스플레이부(40) 상의 팝업창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팝업창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 중 어느 하나를 키 입력부(10) 조작에 따라 선택하면 그 선택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여 새로운 마크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웹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부(20)는 웹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수신하면(단계 S1) 웹페이지에 포함된 태그를 파싱하고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한다(단계 S2). 이때 표시되는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이름이 나타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예가 도 5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0) 화면에는'농업 VS 車..','화마와 싸우는 소방관..', '한낮 기온 올라..', '2008 대입..' '朴李..', '퇴직 앞둔..', '현대 캐피탈..'등으로 시작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이 표시되었다.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된 하이퍼링크 이름을 확인한 사용자가 키 입력 부(10)를 조작하면 제어부(20)는 해당하는 키 신호를 감지한다(단계 S3).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가 문자키인 경우(단계 S4) 제어부(20)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변수 n 을 1로 설정한다(단계 S5). 여기서 n은 후술하겠지만 하이퍼링크 이름 중 몇 번째 음절 또는 철자를 입력되는 문자와 비교할지를 결정하는 변수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는 한글 자음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우선, n이 1로 설정되었으므로 제어부(20)는 첫 번째 음절의 초성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동일한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한다(단계 S6). 그리고, 제어부(20)는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을 작성하고(단계 S7), 작성된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한다(단계 S9). 이때,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40)에 새로운 팝업창(41)을 띄워 그 창 안에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도 6a에 도시되었다. 즉, 사용자가 한글 자음 'ㅎ'을 입력하면 제어부(20)는 첫 번째 음절의 초성이 'ㅎ'인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을 추출하는데, '화마와 싸우는 소방관..', '한낮 기온 올라..', ''현대 캐피탈..'등으로 시작하는 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어부(20)는 팝업창(41)을 띄워 그 안에 해당하는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을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0)는 팝업창(41)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 중 첫 번째에 위치한 것을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원래의 웹페이지 화면상의 하이퍼링크 이름에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데, 도 6a에서는 밑줄로 표시하였 다.
팝업창의 상세한 구조는 도 7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창은 팝업 입력창(42)과 팝업 표시창(43)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자음은 팝업 입력창(42)에 표시되고, 입력되는 자음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은 팝업 표시창(43)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가 문자키가 아니라(단계 S10) 방향키인 경우에는(단계 S12) 팝업창(41)에 표시되는 하이라이트 표시를 이동한다(단계 S13). 예를 들어 아래쪽 방향키를 한 번 누르면 도 6b와 같이 두 번째 하이퍼링크 이름을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이때 원래의 웹페이지 화면상에도 해당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에 밑줄 표시를 한다.
이렇게 방향키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표시를 이동하다가 사용자로부터 선택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단계 S14) 제어부(20)는 하이라이트 표시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 예를 들어 해당하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연결 요청한다(단계 S15).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웹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새로운 웹페이지를 수신하여(단계 S16) 해당 웹페이지에 포함된 태그를 파싱/렌더링하여 도 6c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한다(단계 S17).
한편, S10 단계에서 문자키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0)는 변수 n을 1만큼 증가시켜(단계 S11) 두 번째 음절의 초성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자음과 동일한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여(단계 S6) 목록을 작성하고(단계 S7) 그 작성된 하이퍼 링크 이름 목록을 팝업창(41)에 표시한다(단계 S9). 이러한 과정은 문자 키를 수신할 때마다 반복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ㅎ', 'ㅁ', 'ㅇ'을 순서대로 입력한다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퍼링크 이름 중 첫 음절의 초성이 'ㅎ'이고, 두 번째 음절의 초성이 'ㅁ'이며, 세 번째 음절의 초성이 'ㅇ'인 '화마와 싸우는 소방관..'으로 시작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팝업창(41)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선택키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14) 제어부(20)는 해당하는 URI로 연결하여(단계 S15) 도 6e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한다(단계 S16, S17).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흐름이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나, 입력된 문자와 비교한 후에 추출되고(단계 S6) 작성되는(단계 S7)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의 개수가 1개인지를 비교하는 단계(단계 S8)가 추가된 점이 다르다.
즉, 제어부(20)는 S7 단계에서 작성된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의 개수가 1개인 경우에는(단계 S8), 하이퍼링크 이름이 표시되는 팝업창(41)을 띄울 필요도 없이 작성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URI로 곧바로 연결 요청하여(단계 S15) 연결된 웹페이지를 수신하고(단계 S16) 태그 파싱/렌더링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한다(단계 S17).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수개의 하이퍼링크 이름이 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0) 화면을 확인하며 자음 몇 개만을 입력함으로써, 하이퍼링크 이름의 목록을 간추릴 수 있고, 따라서 원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이에 하이퍼링크를 이용한 웹브라우징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한글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영문 웹페이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영어 알파벳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철자 순서에 맞춰 하이퍼링크 이름을 비교하여 해당하는 하이퍼링크 이름 목록을 추출하여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웹서버와 통신하여 웹페이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무선인터넷을 통해 하이퍼링크 요소가 포함된 마크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브라우징을 시도하는 사용자는 웹페이지 등의 마크업 데이터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요소 중 원하는 것을 쉽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하이퍼링크 요소를 이용한 브라우징의 전체적인 속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하이퍼링크 이름 및 그 하이퍼링크 이름과 짝을 이루는 하이퍼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요소가 포함된 마크업 페이지를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 요소를 기초로 한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에 포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동일한 것을 첫 번째 문자로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을 포함하는 팝업창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어느 하나의 한글 자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퍼링크 이름 중 한글로 된 것의 첫음절의 초성이 상기 입력되는 한글 자음과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동일한 첫음절의 초성을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에 포함되어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이 적어도 두 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그 중에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상기 입력부의 방향키 조작에 따라 선택되면 그 선택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두 개의 한글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첫음절의 초성이 상기 입력되는 자음 중 첫 번째 것과 동일하고 두 번째 음절의 초성이 상기 입력되는 자음 중 두 번째 것과 동일한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여, 그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이 상기 팝업창에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하이퍼링크 이름 및 그 하이퍼링크 이름과 짝을 이루는 하이퍼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요소가 포함된 마크업 페이지를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하이퍼링크 요소를 기초로 한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마크업 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상기 마크업 페이지에 포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와 동일한 것을 첫 번째 문자로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을 포함하는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팝업창에 표시된 하이퍼링크 이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어느 하나의 한글 자음인 경우에는,
    상기 하이퍼링크 이름 중 한글로 된 것의 첫음절의 초성이 상기 입력되는 한글 자음과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동일한 첫음절의 초성을 갖는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에 포함되어 표시되는 하이퍼링크 이름이 적어도 두 개인 경우, 그 중에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상기 입력부의 방향키 조작에 따라 선택되면 그 선택된 하이퍼링크 이름에 대응되는 하이퍼링크 주소로 연결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두 개의 한글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첫음절의 초성이 상기 입력되는 자음 중 첫 번째 것과 동일하고 두 번째 음절의 초성이 상기 입력되는 자음 중 두 번째 것과 동일한 하이퍼링크 이름을 추출하는 단계와;
    그 추출된 하이퍼링크 이름이 상기 팝업창에 포함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37516A 2007-04-17 2007-04-17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16A KR101314409B1 (ko) 2007-04-17 2007-04-17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16A KR101314409B1 (ko) 2007-04-17 2007-04-17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01A KR20080093601A (ko) 2008-10-22
KR101314409B1 true KR101314409B1 (ko) 2013-10-04

Family

ID=4015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516A KR101314409B1 (ko) 2007-04-17 2007-04-17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955A (ko) * 2003-04-02 200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html문서 표시방법
KR20060032500A (ko) * 2004-10-12 2006-04-17 김봉균 뉴스 콘텐츠 정보처리 시스템
KR20060092495A (ko) * 2005-02-18 2006-08-23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전화 번호 검색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4547B1 (ko) 2005-11-03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하이퍼텍스트 데이터 캐싱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955A (ko) * 2003-04-02 200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html문서 표시방법
KR20060032500A (ko) * 2004-10-12 2006-04-17 김봉균 뉴스 콘텐츠 정보처리 시스템
KR20060092495A (ko) * 2005-02-18 2006-08-23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전화 번호 검색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44547B1 (ko) 2005-11-03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하이퍼텍스트 데이터 캐싱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01A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6137B2 (en) Providing a search service convertible between a search window and an image display window
KR1004595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html문서 표시방법
CN101636733A (zh) 使用明显突出区的网页输入区的联机编辑
CN105488051B (zh) 网页处理方法及装置
CN103384244A (zh) 针对网络浏览器配置键盘的方法和装置
JP2010020770A (ja) ウェブページ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08013128A1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JP2010152797A (ja) 表示ウインドウ選択方法、表示ウインドウ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WO2008013127A1 (fr) Dispositif terminal, méthode d&#39;affichage du contenu et programme d&#39;affichage du contenu
JP2005513647A (ja) ハイパーメディアにおけるアクセス機能
CN104699407B (zh) 一种字符输入方法及装置
JP4938589B2 (ja) ウェブページ閲覧装置およびウェブページ閲覧サーバ
CN105868245A (zh) 基于链接标识的网页展示方法、移动终端及智能终端
KR101314409B1 (ko)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기초로 하여 하이퍼링크 연결을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01512B1 (ko) 인터넷 페이지에 링크 구조로 연결된 콘텐츠 파일의 송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브라우징장치
KR20010068739A (ko) 웹 기반의 데스크탑 환경이 구축된 웹 서버 운영시스템
KR20130092262A (ko)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웹페이지 접근 경로 제공방법
KR100976042B1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웹 브라우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sco Using Design Studio to Transform Web Applications for IP Phones
JP2005165872A (ja) 携帯端末向けコンテンツの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707749B1 (ko) 웹브라우저에서 탭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34896B1 (ko) 포털 페이지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004575A (ja) 表示処理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マークアップ言語処理装置
KR100443774B1 (ko) 다국어 화상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위한 컴퓨터 장치
KR101359821B1 (ko)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브라우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