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995B1 -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 - Google Patents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995B1
KR101313995B1 KR1020110061426A KR20110061426A KR101313995B1 KR 101313995 B1 KR101313995 B1 KR 101313995B1 KR 1020110061426 A KR1020110061426 A KR 1020110061426A KR 20110061426 A KR20110061426 A KR 20110061426A KR 101313995 B1 KR101313995 B1 KR 101313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present
sea
farm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24A (ko
Inventor
박송범
Original Assignee
박송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송범 filed Critical 박송범
Priority to KR102011006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9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은, 바깥 둘레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망부재(240); 및 상기 지지망부재(240)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석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에 의한 이동 및 양식장에서의 투하가 용이하고, 양식장 내부의 바닷물에 의하여 유실되지 않으며, 장시간 경과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바닥과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해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Structure for cultivating sea cucumber}
본 발명은, 바지선(Barge) 등과 같은 운반선으로 이동시켜 양식장 바닥면에 투하되어, 해삼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물형태의 지지망부재 내측의 공간에 다수개의 석재를 채우되, 석재 내측에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틈새부재를 배치시켜, 해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해삼 등과 같은 식용 해상생물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이에 따라 어민들의 소득도 크게 증대되고 있는데, 이들 중에서 특히 해삼은 중국사람이 선호하는 수산물로써 국내보다 중국에서 가격이 훨씬 높은 편이다.
해삼은, 극피동물 스티코프스과에 속하며 얕은 바다에 널리 서식한다. 낮에는 바위 같은 곳에 숨어 있다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바닷쥐라는 의미로 해서(海鼠)라고도 불리며 오이같이 생겼다 해서 서양에서는 바다오이(sea cucumber)라고 한다.
운동은, 20개의 촉수와 관족(管足)과 우족으로 한다. 바다깊이 10~30m되는 곳에 살다가 수온이 20℃ 이상 되면 깊은 바다 속으로 가거나 해저로 깊이 파고 들어가 그 속에서 여름잠을 잔다. 해삼에는 푸른색을 띤 청해삼과 붉은 빛이 도는 적해삼 두 종류가 있으며 맛의 차이는 별로 없으나 적해삼이 시장성이 높다.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산란하는데 산란 후에는 여름잠에 들어간다.
일반적으로, 해삼은 4 ~ 6월경에 집중적으로 생산되는데, 거의 중국에서 소비되며, 전반적인 현상인 수자원의 고갈에 있어서 해삼도 예외일 수는 없어, 자연에서의 생산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공 종묘의 살포가 절실한 실정이며 서해안의 축제식 양식장에서 고소득 양식으로 주목받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석재(石材)(20)를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10)으로 이동시켜 양식장(100) 바닥면(G)에 투하시켜, 해삼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석재투하에 의한 해삼양식 방식은, 도 1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같이 비교적 커다란 석재는 무겁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유속에도 유실의 염려는 없으나, 오히려 해삼 등의 서식공간이 협소하여 부족하고, 반면 도 1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같이 비교적 작은 석재는 오히려 해삼 등의 서식공간은 많으나, 느린 유속에도 불구하고 유실의 염려가 많다.
따라서, 장시간 흐른 다음에는 최초 투하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장 내부의 빠른 바닷물의 흐름에 의하여 유실(遺失)됨으로써, 해삼의 서식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반 어초는 바닥조건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경과 후에는 개펄 또는 갯벌 속에 묻힘에 따라 더 이상 해삼의 서식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에 의한 이동 및 양식장에서의 투하가 용이하고, 양식장 내부의 빠른 바닷물의 흐름에 의하여 유실되지 않으면서, 바닥과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해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이 많은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가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에 의한 이동 및 양식장에서의 투하가 용이하고, 양식장 내부의 바닷물에 의하여 유실되지 않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경과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바닥과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해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은, 바깥 둘레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망부재(240); 및 상기 지지망부재(240)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석재(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망부재(240)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polyetylene)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은, 상기 다수개의 석재(210) 내측에 설치되어,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서식할 수 있는 틈새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틈새부재(230)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틈새부재(2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며,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새부재(2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타원형의 관체 또는 다수개의 타원형의 관체의 결합체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3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231)과 통하는 또 다른 다수개의 관통공(2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틈새부재(2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관체 또는 다수개의 다각형의 관체의 결합체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33)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233)과 통하는 또 다른 다수개의 관통공(2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틈새부재(230)는, 다수개의 날개형부재(235)가 교차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23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체는, 바깥 둘레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망부재(240); 및 상기 지지망부재(240)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석재(210);를 가지는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을 포함하는 해상양식용 구조체로서, 양식장(100) 내의 바닥면(G)에 설정된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해삼양식용 구조물(200); 및 양단부가 지지줄(F')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한쌍의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에 묶여지는 인공어초(F);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석재와 같은 서식부재를 그물망형태의 지지망부재 내측에 배치시킴으로써,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에 의한 이동 및 양식장에서의 투하가 용이하고, 양식장 내부의 바닷물에 의하여 유실되지 않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경과 후 개펄 또는 갯벌 속에 묻히더라도, 밧줄 등에 묶어서 들어올려서 위치를 옮긴 상태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바닥과 친화적인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수개의 서식부재 내측에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틈새부재를 배치시킴으로써, 해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양식장 내의 바닥면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지지줄에 의하여 지지되는 또 다른 각종 인공어초 등이 상기 한쌍의 해삼양식용 구조물에 묶여져서 지지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양식장 내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어초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석재를 양식장에 투하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양식장 바닥면에 석재가 투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이 양식장 바닥면에 투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해삼양식용 구조물 내측에 구비되는 해삼서식용 틈새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다수개의 날개부재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의 해삼서식용 틈새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을 양식장 바닥면에 투하시키는 것을 나타낸 작업상태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이 양식장 바닥면에 투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은,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10)으로 이동시켜 양식장(100) 바닥면에 투하시켜, 해삼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조물로서, 바깥 둘레에는 그물망 형태의 지지망부재(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망부재(240) 내측에는 다양한 크기의 다수개의 석재(2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석재(210) 내측에는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틈새부재(2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에 있어서, 상기 지지망부재(240)는 전체적으로 그물망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내측에 형성된 저장공간에 다양한 크기의 다수개의 석재(210)가 배치되어 이동 후,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10)에 설치되어 있는 크래인에 의하여 양식장 내측에 달려진 상태로 투척이 가능할 정도의 인장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성능이 요구된다.
또한, 기계적 성능과 더불어 양식장에서의 바닷물 등에 의하여서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화학적 성능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재료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망부재(240) 내측의 저장공간에 담겨지는 것들은,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석재(210)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돌(石)이 사용되지만, 양식장(100) 내측의 바닷물 등의 유속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하중을 가질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것이라면, 인조석 등과 같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에 있어서, 상기 틈새부재(230)는 상기 다수개의 석재(210) 내측에 길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4의 (a)와 도 4의(b)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비교적 큰 석재(210)라고 하더라도 겹겹이 쌓이게 되는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가 거의 없어지게 되어 해삼 등의 서식공간이 매우 협소해 지지만, 다수개의 큰 석재(210) 사이에 틈새부재(23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삼 등의 이동공간 및 서식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틈새부재(230)의 형상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5의 (a)에 도시된 것(230a)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며,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것(230b)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타원형의 관체 또는 다수개의 타원형의 관체의 결합체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3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231)과 통하는 또 다른 다수개의 관통공(232)이 구비되어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틈새부재(230)의 형상은, 도 5의 (c)에 도시된 것(230c)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관체 또는 다수개의 다각형의 관체의 결합체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33)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233)과 통하는 또 다른 다수개의 관통공(234)이 구비되어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것(230d)과 같이 다수개의 날개형부재(235)가 교차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236)이 형성되어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접하는 관통공(232,234,236)사이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을 구비함으로써, 다수개 칸으로 분리되어 구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틈새부재(230a,230b,230 c,230d)에 따르면, 상기 다수개의 서식부재(210)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서식할 수 있음으로써, 해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 및 하면공간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음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장(100) 내의 목표지점까지 바지선 등과 같은 운반선(10)으로 이동시켜 양식장(100) 바닥면에 투하시켜 설치됨은 물론, 장시간 경과 후 개펄 또는 갯벌 속에 묻히더라도, 밧줄 등에 묶어서 들어올려서 위치를 옮긴 상태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장(100) 내의 바닥면(G)에 설정된 거리만큼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지지줄(F')에 의하여 지지되는 또 다른 각종 인공어초(F) 등이 상기 한쌍의 해삼양식용 구조물(200)에 묶여져서 지지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양식장(100) 내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어초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운반선 20 : 석재
100 : 양식장 200 : 해삼양식용 구조물
210 : 서식부재 230 : 틈새부재
240 : 지지망부재 300 : 양식장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바깥 둘레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망부재(240);
    상기 지지망부재(240)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석재(210); 및
    상기 다수개의 석재(210) 내측에 설치되어,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서식할 수 있는 틈새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부재(2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다각형의 관체 또는 다수개의 다각형의 관체의 결합체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33)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를 따라 상기 관통공(233)과 통하는 또 다른 다수개의 관통공(23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8. 바깥 둘레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망부재(240);
    상기 지지망부재(240)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석재(210); 및
    상기 다수개의 석재(210) 내측에 설치되어, 해삼이 이동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서식할 수 있는 틈새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틈새부재(230)는,
    다수개의 날개형부재(235)가 교차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2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양식용 구조물.
  9. 삭제
KR1020110061426A 2011-06-24 2011-06-24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 KR10131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26A KR101313995B1 (ko) 2011-06-24 2011-06-24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26A KR101313995B1 (ko) 2011-06-24 2011-06-24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24A KR20130000724A (ko) 2013-01-03
KR101313995B1 true KR101313995B1 (ko) 2013-10-01

Family

ID=4783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26A KR101313995B1 (ko) 2011-06-24 2011-06-24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9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454U (ko) * 1987-09-25 1989-03-31
JP2002320425A (ja) * 2001-04-26 2002-11-05 Kokoku Kousensaku Kk 人工漁礁
KR100582278B1 (ko) 2004-08-19 2006-05-26 백상천 통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2465U (ko) * 2007-09-07 2009-03-11 이재우 전복 및 해삼 가두리 양식용 어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454U (ko) * 1987-09-25 1989-03-31
JP2002320425A (ja) * 2001-04-26 2002-11-05 Kokoku Kousensaku Kk 人工漁礁
KR100582278B1 (ko) 2004-08-19 2006-05-26 백상천 통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2465U (ko) * 2007-09-07 2009-03-11 이재우 전복 및 해삼 가두리 양식용 어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24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619B1 (ko) 바다숲 조성용 터널형 다기능 인공어초
CN102972318B (zh) 一种适合于软质海底的海参底播养殖设施
US8020515B2 (en) Fish habitat
NZ73546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AU2016229172B2 (en) Ephemeral substrates for oyster aquaculture
KR101211564B1 (ko) 해삼 양식용 인공 어초
KR101002567B1 (ko) 해삼 양식용 인공 어초
KR101216298B1 (ko) 투하고정식 양식용 구조물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100885681B1 (ko) 연안성 다기능 인공어초
KR200419146Y1 (ko) 육상 및 해상양식 겸용 해삼,전복양식용 쉘터.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KR101103328B1 (ko) 거북형 인공어초
KR101261121B1 (ko) 해삼양식용 주름막조립체
KR101489428B1 (ko) 전복 가두리 양식장
KR101313995B1 (ko) 해삼양식용 구조물 및 구조체
CN102150634A (zh) 一种海参养殖笼
KR101748240B1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CN108112521A (zh) 一种多层式人工鱼礁
CN104756901B (zh) 生态型人工鱼礁
JP2004222650A (ja) 養殖施設
CN204232100U (zh) 一种用网笼在海底生态暂养海参幼苗的装置
CN204232101U (zh) 一种框架式海参养殖网笼
KR100353083B1 (ko) 부어초
KR100494224B1 (ko) 전복양식을 위한 부표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