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978B1 - Bipolar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Bipolar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3978B1 KR101313978B1 KR1020110087495A KR20110087495A KR101313978B1 KR 101313978 B1 KR101313978 B1 KR 101313978B1 KR 1020110087495 A KR1020110087495 A KR 1020110087495A KR 20110087495 A KR20110087495 A KR 20110087495A KR 101313978 B1 KR101313978 B1 KR 1013139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unit cell
- current
- active material
- electrode activ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05 metal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1 conductive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5 gel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01M10/0418—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with bipolar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01M10/044—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with bipolar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9—Bipolar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단전지층을 한번에 방전시킬 수 있는 쌍극형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집전체(4)의 한쪽의 면에 정극 활물질층(5)을, 다른 쪽의 면에 부극 활물질층(6)을 형성한 쌍극형 전극(3)과, 그 내부를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층(7)을, 이웃하는 당해 쌍극형 전극의 정극 활물질층과 부극 활물질층이 당해 전해질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 향하도록 적층함으로써 복수의 단전지층(15)이 적층된 발전 요소(2)를 갖고, 각 단전지층(15)에 대해 스위칭 수단[25a 내지(25d)] 및 방전 저항[24a 내지(24d)]을 연결한 방전 회로[20a 내지(20d)]를 독립으로 접속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polar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discharging a plurality of unit cell layers at one time.
The bipolar electrode 3 hav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5 on one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4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6 on the other side thereof, and an electrolyte layer through which ions move. 7) the power generation element 2 in which the plurality of unit cell layers 15 are laminated by laminat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adjacent bipolar electrode facing each other with the electrolyt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Discharge circuits 20a to 20d that connect the switching means 25a to 25d and the discharge resistors 24a to 24d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unit cell layer 15.
Description
본 발명은 쌍극형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polar secondary battery.
복수의 2차 전지를 시분할로 충방전하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Some secondary batteries are charged and discharged by time division (see Patent Document 1).
그런데, 복수의 단전지층을 적층한 쌍극형 2차 전지를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지의 자기 방전에 의해 발생한 단전지층 사이의 전압 편차를 해소하기 위해, 각 집전체에 전위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용 단자를 설치하고, 이 전압 검출용 단자에 의해 검출되는 각 집전체의 전위로부터 각 단전지층의 전압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각 단전지층의 전압이 균일화되도록 전압 검출용 단자로부터 흘리는 밸런스 전류(방전 전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밸런스 전류의 제어는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종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way, when a bipolar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plurality of single cell layers are stacked is used in a vehicle,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potential at each current collector in order to solve the voltage deviation between the single cell layers caused by the self discharge of the battery. The voltage detection terminal is provided, the voltage of each unit cell layer is calculated from the potential of each current collector detected by this voltage detection terminal, and the balance which flows from the voltage detection terminal so that the calculated voltage of each unit cell layer becomes uniform.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current (discharge curr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of the balance current can be completed 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의 기술과 같이, 복수의 2차 전지를 시분할로 방전하는 것에는, 시간이 걸려 버린다.However, as in the technique of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단전지층을 한번에 방전시킬 수 있는 쌍극형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polar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discharging a plurality of unit cell layers at one time.
본 발명의 쌍극형 2차 전지는 집전체의 한쪽의 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다른 쪽의 면에 부극 활물질층을 형성한 쌍극형 전극과, 그 내부를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층을, 이웃하는 당해 쌍극형 전극의 정극 활물질층과 부극 활물질층이 당해 전해질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 향하도록 적층함으로써 복수의 단전지층이 적층된 발전 요소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전지층에 대해 스위칭 수단 및 방전 저항을 연결한 방전 회로를 독립으로 접속하고 있다.The bipolar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polar electrod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an electrolyte layer in which ions move t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bipolar electrode are laminat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lyt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have a power generation element in which a plurality of single cell layers are stacked. The discharge circuits connecting the switching means and the discharge resistors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unit cell layers.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하는 독립된 방전 회로 사이에 고저항의 집전체 및 고저항의 전극 활물질층이 개재 장착된 회로가 구성된다. 이로 인해, 이웃하는 스위칭 수단을 모두 폐쇄해도 고저항의 집전체나 고저항의 전극 활물질층을 대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으므로, 복수의 단전지층으로부터 한번에 방전시킬 수 있어, 전압 밸런스 제어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it in which a high resistance current collector and a high resistanc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re interposed between neighboring independent discharge circuits is constructed. For this reason, even if all the adjacent switching means are closed, since a high electric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high-resistance electrical power collector or the high-resistanc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t can discharge from a plurality of unit cell layers at once, and until voltage balance control is complete | finished. Can shorten th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집전체 및 부극 활물질층의 부분의 개략 평면도를 세로로 배열한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5는 제1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6은 제1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7은 제1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8은 제1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9는 제2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집전체 및 부극 활물질층의 부분의 개략 평면도를 세로로 배열한 도면.1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vertically arranged portions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5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first comparative example.
6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first comparative example.
7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first comparative example.
8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first comparative example.
9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of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10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vertically arranged portions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적층형 전지를 구성하는 요소 등의 각 층의 두께나 형상을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In the following drawings, in order to make understanding of an invention easy, the thickness and shape of each layer, such as an element which comprises a laminated battery, may be exaggerated and show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스택(1)에 대해 전압 밸런스 제어를 행하게 하기 위한 전기 회로도(이하, 단순히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라고 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전압 밸런스 제어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전에 의해 4개의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전압을 균일화하는 제어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4개의 스택(1)을 적층한 상태에서 금속제의 상자에 수납하여 1개의 모듈을 구성하고, 복수의 모듈로 이루어지는 조전지로, 쌍극형 2차 전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택(1)은 쌍극형 2차 전지를 구성하는 1단위이다. 이 쌍극형 2차 전지는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된다. 도 1에는 스택(1)의 개략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상방을 연직 상방, 하방을 연직 하방으로 한다.FIG. 1 shows an electric circuit diagram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for causing voltage balance control to be performed on the
스택(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을 외장재로서 피복하고, 그 내부에 발전 요소(2)를 수납하고 있다. 발전 요소(2)는 집전체의 한쪽의 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다른 쪽의 면에 부극 활물질층을 형성한 쌍극형 전극과, 그 내부를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을, 이웃하는 당해 쌍극형 전극의 정극 활물질층과 부극 활물질층이 당해 전해질을 사이에 두고 마주 향하도록 적층함으로써 복수의 단전지층을 적층한 것이다. 이하, 발전 요소(2)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The
단변측과 장변측을 갖는 편평한 직사각 형상의 집전체(4)는 도전성 고분자 재료 또는 비도전성 고분자 재료에 도전성 필러가 첨가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집전체(4)는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여기서의 집전체(4)로서는, 집전체의 면 내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내부 저항이 상대적으로 크고(예를 들어, 저항률이 0.01Ω㎝ 이상), 단전지층의 방전 시에 정극 활물질층이나 부극 활물질층과 접하는 부위에 일정하지 않은 전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큰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크롬이 들어간 합금, 스테인리스(SUS)를 들 수 있다.The flat rectangular
스택(1)은, 도 1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놓인 집전체(4)의 연직 하면에 정극 활물질층(5)(정극)이, 집전체(4)의 연직 상면에 부극 활물질층(6)(부극)이 각각 형성된 쌍극형 전극(3)을 5개(복수) 갖고 있다. 또한, 부극 활물질층(6)의 쪽이 정극 활물질층(5)보다 표면적이 넓게 되어 있다. 각 쌍극형 전극(3)은 연직 방향으로 전해질층(7)을 통해 적층되어(직렬로 접속되어) 1개의 스택(1)을 형성하고 있다.In the
여기서,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쌍극형 전극을 각각 상단 쌍극형 전극, 하단 쌍극형 전극으로 했을 때, 하단 쌍극형 전극의 상면에 위치하는 부극 활물질층(6)과, 상단 쌍극형 전극의 하면에 위치하는 정극 활물질층(5)이 전해질층(7)을 통해 서로 마주 향하도록, 하단, 상단의 각 쌍극형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Here, when the two bipolar electrodes neighboring in the up-down direction are respectively the upper bipolar electrode and the lower bipolar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정극, 부극의 2개의 전극 활물질층(5, 6)의 수평 방향의 외주는 집전체(4)의 수평 방향의 외주보다도 한층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전극 활물질층(5, 6)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집전체(4)의 주연부(수평 방향의 전체 둘레)에, 소정 폭을 갖는 시일재(11)를 사이에 둠으로써, 정극 활물질층(5)과 부극 활물질층(6)을 절연하는 동시에, 도 1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전극 활물질층(5, 6) 사이에 소정의 공간(8)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시일재(11)는 2개의 각 활물질층(5, 6)의 수평 방향의 단부보다도 여유를 갖고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horizontal periphery of the two electrode
상기한 공간(8)에는 액체상 또는 겔상의 전해질(9)이 충전됨으로써, 전해질층(7)을 형성하고 있다.The
전해질(9)이 충전되어 있는 공간(8)에는 다공질막으로 형성되는 세퍼레이터(12)가 설치되고, 이 세퍼레이터(12)에 의해서도 대향하는 2개의 전극 활물질층(5, 6)이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전해질(9)은 이 세퍼레이터(12)를 통과할 수 있다.In the space 8 filled with the electrolyte 9, a
발전 요소(2)의 적층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집전체에는 발전 요소(2)를 충방전시키기 위한 강전 탭(16, 17)이 접속된다. 즉, 최상단의 부극 활물질층(6)에 한쪽의 강전 탭(16)이, 최하단의 정극 활물질층(5)에 다른 쪽의 강전 탭(17)이 각각 접속된다. 쌍극형 2차 전지의 충전 후에 플러스 단자로서 기능하는 것이 한쪽의 강전 탭(16), 충전 후에 마이너스 단자로서 기능하는 것이 다른 쪽의 강전 탭(17)이다.Strong
전해질층(7)을 사이에 둔 정극 활물질층(5) 및 부극 활물질층(6)으로부터 하나의 단전지층(15)(단전지)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스택(1)은 4개의 단전지층(15)을 직렬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 4개의 단전지층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상방으로부터 제1 단전지층(15a), 제2 단전지층(15b), 제3 단전지층(15c), 제4 단전지층(15d)으로서 구별한다. 또한, 도 2는 도 1과 동일한 제1 실시 형태의 스택(1)의 개략 종단면도이다.One unit cell layer 15 (single cell) is form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도시하지 않지만, 강전 탭(16, 17)을 포함하는 발전 요소(2)의 전체는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을 외장재로서 사용하여, 그 주변부를 열융착으로 접합함으로써, 발전 요소(2)를 수납하고 진공으로 하여 밀봉하고 있다.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에는, 강전 탭(16, 17)과 후술하는 5개의 방전용 단자(21a 내지 21e) 및 5개의 전압 검출용 단자(27a 내지 27e)가 인출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ntirety of the
단전지층(15)을 직렬로 접속한 수는 도 1, 도 2에서는 4개이지만, 단전지층(15)을 직렬로 접속하는 수나 후술하는 스택을 직렬로 접속하는 수는 실제로는 원하는 전압에 따라서 조절하면 된다.Although the number of the unit cell layers 15 connected in series is four in FIG. 1 and FIG. 2, the number of the unit cell layers 15 connected in series and the number of the series of stacks described later connected in series are actually adjusted according to a desired voltage. Just do it.
직렬로 접속하는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에서 부담하는 각 전압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택(1) 전체적으로 원하는 전지 전압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각 전압이 일치하도록 각 집전체(4a 내지 4e)로부터의 밸런스 전류(방전 전류)를 제어한다. 여기서, 밸런스 전류라 함은, 복수(여기서는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을 대상으로 하여, 4개의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 사이의 전압을 균일화하기 위해 방전시키는 전류이다. 또한, 밸런스 전류의 제어는, 「전압 밸런스 제어」라고도 불린다. 즉, 전압 밸런스 제어라 함은, 복수(여기서는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을 대상으로 하여, 이 4개의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전압을 방전에 의해 균일화하는 제어이다. 이하, 밸런스 전류, 전압 밸런스 제어라고 하는 용어를 적절하게 사용한다.If the respective voltages charged by the four unit cell layers 15a to 15d connected in series are not the same, the desired battery voltage is not obtained as a whole of the
그리고, 차량에 탑재된 스택(1)에 대해서는 충방전이 행해지지만,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자기 방전에 의해 발생한 단전지층 사이의 전압 편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압 밸런스 제어는 가능한 한 짧은 시간에 종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While the charge and discharge of the
그러나, 후술하는 제1 비교예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시분할로 적어도 2단계의 방전을 행할 필요가 있어, 전압 밸런스 제어의 종료까지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described later,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at least two stages by time division, and it took time until the end of the voltage balance control.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에 대해 스위칭 수단 및 방전 저항을 연결한 방전 회로를 독립으로 접속한다.Therefore, in 1st Embodiment, the discharge circuit which connected the switching means and the discharge resistor wa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압 밸런스 회로(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전지층(15a)용 방전 회로(20a), 제2 단전지층(15b)용 방전 회로(20b), 제3 단전지층(15c)용 방전 회로(20c), 제4 단전지층(15d)용 방전 회로(20d)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4개의 방전 회로를 제1 방전 회로(20a), 제2 방전 회로(20b), 제3 방전 회로(20c), 제4 방전 회로(20d)로서 구별한다.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2, the
4개의 각 방전 회로(20a 내지 20d)의 구성은 동일하다. 우선, 제1 방전 회로(20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방전용 단자(31a, 31b), 2개의 방전용 배선(32a, 32b), 1개의 방전용 저항(24a), 1개의 스위칭 수단(25a)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단전지층(15a)으로부터 방전 전류(밸런스 전류)를 흘리기 위해, 집전체(4a, 4b)의 주연부의 소정의 개소(도 2에서는 우측 단부)에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a, 31b)를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로 취출한다. 그리고,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a, 31b)에 방전용 배선(32a, 32b)의 일단부(좌측 단부)를 접속하고, 방전용 배선(32a, 32b)의 타단부(우측 단부)는 항시 개방의 스위칭 수단(25a)(예를 들어, 릴레이 등)에 접속한다. 방전용 배선(32b)에는 방전용 저항(24a)을 개재 장착한다.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four
마찬가지로, 제2 단전지층(15b)으로부터 방전 전류(밸런스 전류)를 흘리기 위해, 집전체(4b, 4c)의 주연부의 소정의 개소(도 2에서는 좌측 단부)에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c, 31d)를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로 취출한다. 그리고,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c, 31d)에 방전용 배선(32c, 32d)의 일단부(우측 단부)를 접속하고, 방전용 배선(32c, 32d)의 타단부(좌측 단부)는 항시 개방의 스위칭 수단(25b)(예를 들어, 릴레이 등)에 접속한다. 방전용 배선(32d)에는 방전용 저항(24b)을 개재 장착한다.Similarly, in order to flow the discharge current (balance current) from the second
마찬가지로, 제3 단전지층(15c)으로부터 방전 전류(밸런스 전류)를 흘리기 위해, 집전체(4c, 4d)의 주연부의 소정의 개소(도 2에서는 우측 단부)에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e, 31f)를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로 취출한다. 그리고,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e, 31f)에 방전용 배선(32e, 32f)의 일단부(좌측 단부)를 접속하고, 방전용 배선(32e, 32f)의 타단부(우측 단부)는 항시 개방의 스위칭 수단(25c)(예를 들어, 릴레이 등)에 접속한다. 방전용 배선(32f)에는 방전용 저항(24c)을 개재 장착한다.Similarly, in order to flow a discharge current (balance current) from the third
마찬가지로, 제4 단전지층(15d)으로부터 방전 전류(밸런스 전류)를 흘리기 위해, 집전체(4d, 4e)의 주연부의 소정의 개소(도 2에서는 좌측 단부)에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g, 31h)를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로 취출한다. 그리고, 한 쌍의 방전용 단자(31g, 31h)에 방전용 배선(32g, 32h)의 일단부(우측 단부)를 접속하고, 방전용 배선(32g, 32h)의 타단부(좌측 단부)는 항시 개방의 스위칭 수단(25d)(예를 들어, 릴레이 등)에 접속한다. 방전용 배선(32h)에는 방전용 저항(24d)을 개재 장착한다.Similarly, in order to flow the discharge current (balance current) from the fourth
여기서, 5개의 집전체를 제1 집전체(4a), 제2 집전체(4b), 제3 집전체(4c), 제4 집전체(4d), 제5 집전체(4e)로 하고, 8개의 방전용 단자를 제1 방전용 단자(31a), 제2 방전용 단자(31b), 제3 방전용 단자(31c), 제4 방전용 단자(31d), 제5 방전용 단자(31e), 제6 방전용 단자(31f), 제7 방전용 단자(31g), 제8 방전용 단자(31h)로 하고, 8개의 방전용 배선을 제1 방전용 배선(32a), 제2 방전용 배선(32b), 제3 방전용 배선(32c), 제4 방전용 배선(32d), 제5 방전용 배선(32e), 제6 방전용 배선(32f), 제7 방전용 배선(32g), 제8 방전용 배선(32h)으로 하고, 4개의 방전용 저항을 제1 방전용 저항(24a), 제2 방전용 저항(24b), 제3 방전용 저항(24c), 제4 방전용 저항(24d)으로 하고, 4개의 스위칭 수단을 제1 스위칭 수단(25a), 제2 스위칭 수단(25b), 제3 스위칭 수단(25c), 제4 스위칭 수단(25d)으로 하여 구별한다.Here, the five current collectors are the first
이와 같이,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에 대해 스위칭 수단 및 방전 저항을 연결(직렬 접속)한 방전 회로(20a 내지 20d)가 독립으로 접속되면, 제1 방전 회로(20a)는 제1 단전지층(15a)의 방전 시에만, 제2 방전 회로(20b)는 제2 단전지층(15b)의 방전 시에만, 제3 방전 회로(20c)는 제3 단전지층(15c)의 방전 시에만, 제4 방전 회로(20d)는 제4 단전지층(15d)의 방전 시에만 사용된다. 또한, 제1, 제3, 제5, 제7 방전용 단자(31a, 31c, 31e, 31g)는 방전 전류가 흘러나가는 측의 단자로 된다. 한편, 제2, 제4, 제6, 제8 방전용 단자(31b, 31d, 31f, 31h)는 방전 전류가 흘러오는 측의 단자로 된다.In this manner, when the
이와 같이 하여 4개의 방전 회로(20a 내지 20d)로 이루어지는 전압 밸런스 회로(20)가 구성되지만, 4개의 각 방전 회로(20a 내지 20d)의 스위칭 수단(25a 내지 25d)의 개폐는 제어 회로(29)에 의해 제어한다.Although the
한편,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각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제1, 제3, 제5, 제7의 4개의 방전용 배선(32a, 32c, 32e, 32g)으로부터 각각 전압 검출용 배선(28a, 28c, 28b, 28d)을 분기하여, 분기한 전압 검출용 배선(28a 내지 28d)을 제어 회로(29)와 접속한다. 또한, 제5 집전체(4e)의 주연부의 소정의 개소(도 2에서는 우측 단부)에 전압 검출용 단자(31i)를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로 취출한다. 그리고, 전압 검출용 단자(31i)에 전압 검출용 배선(28e)의 일단부(좌측 단부)를 접속하고, 타단부(우측 단부)를 제어 회로(29)와 접속한다. 여기서, 5개의 전압 검출용 배선을 제1 전압 검출용 배선(28a), 제2 전압 검출용 배선(28b), 제3 전압 검출용 배선(28c), 제4 전압 검출용 배선(28d), 제5 전압 검출용 배선(28e)으로서 구별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asure the respective voltages of the four unit cell layers 15a to 15d, voltage detection is performed from the first, third, fifth, and
또한, 각 방전 회로(20a 내지 20d)에 사용하는 부품은 4개의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에서 동일한 사양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8개의 각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 및 1개의 전압 검출용 단자(31i)는 모두 동일 사양, 4개의 각 스위칭 수단(25a 내지 25d)도 모두 동일한 사양으로 한다. 8개의 각 방전용 배선(32a 내지 32h)은 모두 동일한 재질, 동일한 길이로 하고, 4개의 각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의 저항값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5개의 각 전압 검출용 배선(28a 내지 28e)은 모두 동일한 사양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used for each
제2 내지 제4의 3개의 집전체(4b 내지 4d)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방전용 단자를 설치하지만, 1개의 집전체에 설치하는 2개의 방전용 단자의 위치 관계는 동일하다. 여기서, 도 3은 5개의 각 집전체(4a 내지 4e) 및 각 집전체(4a 내지 4e)의 연직 상방에 형성되는 부극 활물질층(6)의 부분의 개략 평면도를 세로로 배열한 것이다.The second to fourth three
도 3에 있어서, 단변측(도 3에서 좌우에 있는 변의 측)과 장변측(도 3에서 상하에 있는 변의 측)을 갖는 편평한 직사각 형상의 각 집전체(4a 내지 4e)에는 주연부에 소정 폭의 열 융착부를 남기고, 부극 활물질층(6)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부극 활물질층(6)도 편평한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단변측과 장변측을 갖는 편평한 직사각 형상의 제2 내지 제4 집전체(4b 내지 4d)의 면 상에 있어서, 제2, 제3 방전용 단자(31b, 31c)를, 제4, 제5 방전용 단자(31d, 31e)를, 제6, 제7 방전용 단자(31f, 31g)를 점대칭의 위치의 주연부이고 또한 단변측의 주연부에 설치하고 있다. 즉, 부극 활물질층(6)의 4개 있는 코너 중 하나, 도 3에서 우측 하방에 있는 코너 근처의 집전체 주연부에, 제2, 제5, 제6 방전용 단자(31b, 31e, 31f)를 부극 활물질층(6)의 장변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한편, 부극 활물질층(6)의 4개 있는 코너 중 하나, 도 3에서 좌측 상부에 있는 코너 근처의 집전체 주연부에, 제3, 제4, 제7 방전용 단자(31c, 31d, 31g)를 부극 활물질층(6)의 장변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방전용 단자(31b, 31e, 31f)와, 다른 쪽의 방전용 단자(31c, 31d, 31g)가 서로 이격된 위치의 집전체 주연부에 설치되게 된다.In Fig. 3, each of the
마찬가지로 하여, 제5 집전체(4e)의 면 상에 있어서, 전압 검출용 단자(31i)와 제8 방전용 단자(31h)를 점대칭의 위치의 주연부이고 또한 단변측의 주연부에 설치하고 있다. 즉, 부극 활물질층(6)의 4개 있는 코너 중 하나, 도 3에서 우측 하방에 있는 코너 근처의 집전체 주연부에, 전압 검출용 단자(31i)를 부극 활물질층(6)의 장변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한편, 부극 활물질층(6)의 4개 있는 코너 중 하나, 도 3에서 좌측 상부에 있는 코너 근처의 집전체 주연부에, 제8 방전용 단자(31h)를 부극 활물질층(6)의 장변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압 검출용 단자(31i)와 제8 방전용 단자(31h)가 서로 이격된 위치의 집전체 주연부에 설치되게 된다.Similarly, on the surface of the fifth
도 2로 돌아가, 제1 방전용 단자(31a)에 의해 검출되는 제1 집전체(4a)의 전위를 제1 전위(V1), 제3 방전용 단자(31c)에 의해 검출되는 제2 집전체(4b)의 전위를 제2 전위(V2), 제5 방전용 단자(31e)에 의해 검출되는 제3 집전체(4c)의 전위를 제3 전위(V3), 제7 방전용 단자(31g)에 의해 검출되는 제4 집전체(4d)의 전위를 제4 전위(V4), 전압 검출용 단자(31i)에 의해 검출되는 제5 집전체(4e)의 전위를 제5 전위(V5)로 하면, 제1 단전지층(15a)의 전압(ΔV1)은 제1 전위(V1)와 제2 전위(V2)의 전위차로, 제2 단전지층(15b)의 전압(ΔV2)은 제2 전위(V2)와 제3 전위(V3)의 전위차로, 제3 단전지층(15c)의 전압(ΔV3)은 제3 전위(V3)와 제4 전위(V4)의 전위차로, 제4 단전지층(15d)의 전압(ΔV4)은 제4 전위(V4)와 제5 전위(V5)의 전위차로 나타낼 수 있다.Returning to FIG. 2, the electric potential of the 1st
4개의 각 방전용 단자(31a, 31c, 31e, 31g) 및 1개의 전압 검출용 단자(31i)로부터의 전위(V1 내지 V5)를 입력하는 제어 회로(29)에서는, 이들 5개의 전위(V1 내지 V5)에 기초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4개의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전압(ΔV1 내지 ΔV4)을 산출한다. 그리고, 4개의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전압(ΔV1 내지 ΔV4)이 균일화되도록, 4개의 스위칭 수단(25a 내지 25d)을 개폐 제어함으로써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에 밸런스 전류(방전 전류)를 흘린다. 상세하게는,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 중 최저의 전압을 갖는 단전지층의 전압을 목표 전압으로 하고, 남은 단전지층을 방전시켜 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4개 전체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전압을 목표 전압으로 균일화한다.In the
다음에,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을 대상으로 하는 이 전압 밸런스 제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령, 제3 단전지층(15c)의 전압(ΔV3)만이 나머지 제1, 제2, 제4의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의 전압(ΔV1, ΔV2, ΔV4)보다 낮았던 것으로 한다. 이때에는, 제3 단전지층(15c)의 전압을 목표 전압[ΔVm(=ΔV3)]으로 하고, 남은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의 전압(ΔV1, ΔV2, ΔV4)이 목표 전압(ΔVm)과 일치할 때까지 남은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으로부터 방전시킬 필요가 있다.Next, this voltage balance control for the four unit cell layers 15a to 15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only the voltage ΔV3 of the third
이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4 스위칭 수단(25a, 25b, 25d)을 모두 폐쇄하고, 제1, 제2, 제4의 3개의 방전용 저항(24a, 24b, 24d)에 도시한 방향의 밸런스 전류(방전 전류)를 한번에 흘리면 된다. 이에 의해, 제1 전위(V1), 제2 전위(V2) 및 제4 전위(V4)가 저하되지만, 이 저하되는 전위는 5개의 전압 검출용 배선(28a 내지 28e)을 통해 모니터하고 있다. 따라서, 모니터하고 있는 전위로부터 산출되는 제1, 제2, 제4 단전지층의 전압(ΔV1, ΔV2, ΔV4)이 저하되어 목표 전압(ΔVm)과 동등해진 타이밍에서 방전을 중지한다. 즉, 남은 3개의 단전지층의 전압이 목표 전압과 동등해진 타이밍에서 제1, 제2, 제4 스위칭 수단(25a, 25b, 25d)을 모두 개방하여, 방전(전압 밸런스 제어)을 중지한다.In order to comply with this deman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all the 1st, 2nd, 4th switching means 25a, 25b, 25d are closed, and the 1st, 2nd, 4th 3rd The balance currents (discharge currents) in the directions shown by the two
제1 실시 형태와의 비교를 위해, 도 5에 제1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1 비교예는 종래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다.For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is shown in FIG. 5. In FIG. 5,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FIG. 2 of 1st Embodiment.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corresponds to a conventional apparatus.
제1 비교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으로부터 방전 전류(밸런스 전류)를 흘리기 위해, 각 집전체(4a 내지 4e)의 주연부의 소정의 개소(도 5에서는 우측 단부)에 방전용 단자(21a 내지 21e)를 접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수지-금속 복합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로 취출하고 있다. 그리고, 각 방전용 단자(21a 내지 21e)에 방전용 배선(22a 내지 22e)의 일단부(좌측 단부)를 접속한다. 여기서, 5개의 방전용 단자를 제1 방전용 단자(21a), 제2 방전용 단자(21b), 제3 방전용 단자(21c), 제4 방전용 단자(21d), 제5 방전용 단자(21e)로서, 5개의 방전용 배선을 제1 방전용 배선(22a), 제2 방전용 배선(22b), 제3 방전용 배선(22c), 제4 방전용 배선(22d), 제5 방전용 배선(22e)으로서 구별한다.In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flow the discharge current (balance current) from each of the unit cell layers 15a to 15d,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peripheral part of each of the
제1 방전용 배선(22a)의 타단부(우측 단부)와 제2 방전용 배선(22b)의 타단부(우측 단부)를 제1 스위칭 수단(25a)에, 제2 방전용 배선(22b)의 타단부(우측 단부)와 제3 방전용 배선(22c)의 타단부(우측 단부)를 제2 스위칭 수단(25b)에, 제3 방전용 배선(22c)의 타단부(우측 단부)와 제4 방전용 배선(22d)의 타단부(우측 단부)를 제3 스위칭 수단(25c)에, 제4 방전용 배선(22d)의 타단부(우측 단부)와 제5 방전용 배선(22e)의 타단부(우측 단부)를 제4 스위칭 수단(25d)에 접속한다. 5개의 각 방전용 배선(22a 내지 22e)에는 각각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e)을 개재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회로(20)가 구성되지만, 전압 밸런스 회로(20)의 스위칭 수단(25a 내지 25d)의 개폐는 제어 회로(29)에 의해 제어한다.The other end (right end) of the
한편, 4개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각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방전용 배선(22a 내지 22e)으로부터 전압 검출용 배선(28a 내지 28e)을 각각 분기하여, 5개의 전압 검출용 배선(28a 내지 28e)의 타단부(좌측 단부)를 제어 회로(29)에 접속한다. 여기서, 5개의 전압 검출용 배선을 제1 전압 검출용 배선(28a), 제2 전압 검출용 배선(28b), 제3 전압 검출용 배선(28c), 제4 전압 검출용 배선(28d), 제5 전압 검출용 배선(28e)으로서 구별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ct the respective voltages of the four unit cell layers 15a to 15d, the
제1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비교예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케이스). 즉, 이 제3 단전지층(15c)의 전압(ΔV3)만이 나머지 제1, 제2, 제4의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의 전압(ΔV1, ΔV2, ΔV4)보다 낮았던 것으로 한다. 이때에는, 제3 단전지층(15c)의 전압을 목표 전압(ΔVm)(=ΔV3)으로 하고, 남은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의 전압(ΔV1, ΔV2, ΔV4)이 목표 전압(ΔVm)과 일치할 때까지 남은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으로부터 방전시켜야만 한다.The voltage balance control of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It is assumed that the same situ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occurs in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the same cas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it is assumed that only the voltage ΔV3 of the third
이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는, 제1 비교예에서는, 이웃하는 단전지층을 한번에 방전시키는 일이 없도록, 시분할로 어긋나게 하여 방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케이스에서는, 이웃하는 제1 단전지층(15a)과 제2 단전지층(15b)을 한번에 방전시킬 수 없으므로, 우선 제1 단계로서 제2 단전지층(15b)과 제4 단전지층(15d)을 방전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4 스위칭 수단(25b, 25d)을 미리 정해 놓은 일정 기간만큼 같이 폐쇄한다. 제2 스위칭 수단(25b)의 폐쇄에 의해 제2, 제3 방전용 저항(24b, 24c)에 도시한 방향의 밸런스 전류(방전 전류)를, 제4 스위칭 수단(25d)의 폐쇄에 의해 제4, 제5 방전용 저항(24d, 24e)에 도시한 방향의 밸런스 전류(방전 전류)를 흘려 제2 전위(V2)와 제4 전위(V4)를 내린다. 다음에, 제2, 제4 스위칭 수단(25b, 25d)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개방한) 후에, 제2 단계로서 제1 단전지층(15a)을 방전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칭 수단(25a)을 미리 정해 놓은 일정 기간만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제1, 제2 방전용 저항(24a, 24b)에 도시한 방향의 밸런스 전류(방전 전류)를 흘려 제1 전위(V1)를 내린다. 이후에는, 제1 스위칭 수단(25a)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개방한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단전지층을 방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시분할로 2단계의 방전을 실행함으로써, 나머지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의 전압(ΔV1, ΔV2, ΔV4)을 내려서 균일화한다.In order to comply with this requirement, in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by shifting by time division so as not to discharge the adjacent unit cell layers at once. In this case, since the adjacent first
여기서, 제1 비교예에 있어서, 이웃하는 단전지층을 한번에 방전시키는 일이 없도록 시분할로 어긋나게 하여 방전시키는 이유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와 같이, 제3 단전지층(15c)의 전압(ΔV3)만이 나머지 3개의 단전지층(15a, 15b, 15d)의 전압(ΔV1, ΔV2, ΔV4)보다 낮았던 것으로 한 경우에는, 제1, 제2, 제4의 3개의 스위칭 수단(25a, 25b, 25d)을 한번에 폐쇄하면 된다.Here, in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the reason for discharging by shifting by time division so as not to discharge the adjacent unit cell layers at o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when only the voltage ΔV3 of the third
그러나, 이웃하는 제1, 제2 단전지층(15a, 15b)을 한번에 방전시키기 위해 제1, 제2 스위칭 수단(25a, 25b)을 모두 폐쇄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3 방전용 저항(24a, 24c)에 상정 외의 큰 전류가 흘러 버린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집전체(4a)와 제2 집전체(4b) 사이의 전위차와, 제2 집전체(4b)와 제3 집전체(4c) 사이의 전위차가 동등하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1 스위칭 수단(25a)의 폐쇄에 의해 제1 집전체(4a)와 제2 집전체(4b) 사이의 전위차(전압)에 따른 제1 전류(전류값을 I1로 함)가 제1, 제2 방전용 저항(24a, 24b)을 도시한 화살표(실선 참조)의 방향으로 흐른다. 마찬가지로, 제2 스위칭 수단(25b)의 폐쇄에 의해 제2 집전체(4b)와 제3 집전체(4c) 사이의 전위차(전압)에 따른 제2 전류(전류값을 I2로 하면, I2=I1임)가 제2, 제3 방전용 저항(24b, 24c)을 도시한 화살표(실선 참조)의 방향으로 흐른다. 방전 전류의 흐름은 이에 그치지 않고, 제1, 제2 스위칭 수단(25a, 25b)의 폐쇄에 의해 제1 집전체(4a)와 제3 집전체(4c) 사이의 전위차(전압)에 따른 제3 전류(전류값을 I3으로 하면, I3=2×I1=2×I2로 됨)가 제1, 제3 방전용 저항(24a, 24c)을 도시한 화살표(실선 참조)의 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제1 방전용 저항(24a)에 흐르는 합계의 전류값은 I1+I3=I1+2×I1=3×I1로 되어, 당초 예정하고 있던 전류값 I1의 3배나 전류가 흘러 버린다. 마찬가지로, 제3 방전용 저항(24c)에 흐르는 합계의 전류값은 I2+I3=I2+2×I2=3×I2로 되어, 당초 예정하고 있던 전류값 I2의 3배의 전류가 흐른다.However, when all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means 25a and 25b are closed to discharge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unit cell layers 15a and 15b at once, the first and the third, as shown in FIG. Unexpected l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이와 같이 방전용 저항에 상정 외의 큰 전류가 흐른다고 한다면, 이 상정 외의 큰 전류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큰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e)을 채용하면 된다고는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e)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해 버린다. 따라서, 제1 비교예에서는 전압 밸런스 회로(20)를 도 5에 도시한 구성인 채로 하여, 이웃하는 단전지층을 한번에 방전시키는 일이 없도록, 도 6, 도 7과 같이 시분할로 2단계의 방전을 행하게 함으로써, 상정 외의 큰 전류가 방전용 저항을 흐르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압 밸런스 회로(20)의 비용이 상승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If a large current other than the assumed current flows in the discharge resistor in this manner, it can be considered that a
그러나, 제1 비교예에서는 시분할로 2단계의 방전을 행하여 전압 밸런스 제어를 종료시키는 것이므로, 1단계의 방전으로 전압 밸런스 제어를 종료시키는 경우보다도 2배의 시간이 필요해진다. 즉, 전압 밸런스 제어의 종료까지 시간이 길게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voltage balance control is terminated by discharging in two stages by time division, twice as much time is required as when the voltage balance control is terminated by discharge in one stage.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until the end of the voltage balance control.
제1 비교예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각된 제2 비교예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9에 있어서 제1 비교예의 도 5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9 show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contemplated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9,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FIG. 5 of a 1st comparative example.
제2 비교예는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e)에 흐르는 전류값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단전지층의 방전을 한번에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수단 대신에, 제어 회로(29)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29a 내지 29d)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에 전압 검출용 저항(30a 내지 30e)을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제어 회로(29)에서는, 전압 검출용 저항(30a 내지 30e)에 의해 각 집전체(15a 내지 15e)의 전위를 검출하고, 이 전위한 전위로부터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전압을 산출하고,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전압이 균일화되도록 트랜지스터(29a 내지 29d)를 사용하여 각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e)을 흐르는 방전 전류를 동시에 제어한다.In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the plurality of unit cell layers can be discharged at one time by variably controlling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제2 비교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경우에 제1, 제2, 제4 단전지층(15a, 15b, 15d)으로부터 한번에 방전 전류를 흘릴 수 있으므로, 전압 밸런스 제어의 종료까지 시간이 길게 걸린다고 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제2 비교예에서는, 제어 회로(29)로부터 각 트랜지스터(29a 내지 29d)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무부하 시에 각 트랜지스터(29a 내지 29d)를 암전류가 흐른다. 이 암전류는 미소해도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으로부터 흘러오는 전류이므로, 암전류가 흐르는 대로 놔두면, 불필요하게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이 갖는 전기 용량이 소비되어 버린다. 따라서, 각 트랜지스터(29a 내지 29d)에 암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트랜지스터(29a 내지 29d)와 직렬로 항시 개방의 릴레이를 접속하는 것이 별도로 필요해진다.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in the case of the case, since a discharge current can flow from the first, second, and fourth
그리고, 제1 비교예에서 방전용 저항을 상정 외의 큰 전류가 흘러 버리는 원인은, 이웃하는 단전지층 사이에서, 방전용 저항이나 방전용 배선 등의 부품을 공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전용 저항(24b)은 제1 단전지층(15a)의 방전에도, 또한 제2 단전지층(15b)의 방전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2 방전용 배선(22b)에는, 제1 단전지층(15a)의 방전 시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전류가 흐르고, 제2 단전지층(15b)의 방전 시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전류가 흐른다.In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the reason why a large current other than the assumption of the discharge resistance flows is because components such as the discharge resistor and the discharge wiring are shared between adjacent unit cell lay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따라서 제1 실시 형태는 이웃하는 단전지층 사이에서 방전용 저항이나 방전용 배선 등의 부품을 공용하는 일이 없도록, 바꾸어 말하면 각 단전지층마다 방전 회로를 독립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독립으로 접속한다」라고 함은, 이웃하는 단전지층 사이에서 방전용 저항이나 방전용 배선 등의 부품을 공용하지 않는다고 하는 의미이다. 즉, 제1 방전 회로(20a)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은 제1 단전지층(15a)의 방전을 위해서만, 제2 방전 회로(20b)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은 제2 단전지층(15b)의 방전을 위해서만, 제3 방전 회로(20c)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은 제3 단전지층(15c)의 방전을 위해서만, 제4 방전 회로(20d)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은 제4 단전지층(15d)의 방전을 위해서만 사용된다.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ischarge circuit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f the unit cell layers so as not to share components such as the discharge resistor and the discharge wiring line between the adjacent unit cell layers. Here, "connecting independently" means not sharing components, such as a discharge resistance and a discharge wiring, between adjacent unit cell layers. That is,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이 결과,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비교예와 같이 트랜지스터와 같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복수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으로부터 한번에 방전을 행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As a result,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from the plurality of unit cell layers 15a to 15d at one time without using expensive components such as transistors as in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한편, 제2 방전용 단자(31b)와 제3 방전용 단자(31c) 사이는 제2 집전체(4b) 및 전극 활물질층(5, 6)을 통하고, 제4 방전용 단자(31d)와 제5 방전용 단자(31e) 사이는 제3 집전체(4c) 및 전극 활물질층(5, 6)을 통하고, 제6 방전용 단자(31f)와 제7 방전용 단자(31g) 사이는 제4 집전체(4d) 및 전극 활물질층(5, 6)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제3, 제4 집전체(4b, 4c, 4d)의 면 내 및 전극 활물질층(5, 6)의 면 내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저항값이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의 저항값과 동일한 정도로 하면, 상기한 케이스에서는, 전압 밸런스 제어 시에, 제1 방전용 저항(24a)을 흐른 후의 전류가 제2 집전체(4b) 및 정극 활물질층(5)을 통과하여 제2 방전용 저항(24b)도 흐르는 사태가 생각된다. 이때 흐르는 전류는 원래 제2 단전지층(15b)으로부터 나온 방전 전류가 아니라, 제2 방전용 저항(24b)을 흐르는 방전 전류를 증가시켜 버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그러나, 실제로는, 제2, 제3, 제4 집전체(4b, 4c, 4d)의 면 내 및 전극 활물질층(5, 6)의 면 내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저항값은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의 저항값과 비교하여 적어도 1자릿수 이상 높게 되어 있다. 즉, 제2 방전용 단자(31b)와 제3 방전용 단자(31c) 사이, 제4 방전용 단자(31d)와 제5 방전용 단자(31e) 사이, 제6 방전용 단자(31f)와 제7 방전용 단자(31g) 사이에는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의 저항값보다도 큰 고저항체[집전체(4b, 4c, 4d) 및 전극 활물질층(5, 6)]가 개재된다.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4 단전지층(15a, 15b, 15d)으로부터 방전시키는 경우에, 제1 방전용 저항(24a)을 흐른 후의 방전 전류가 다시 제2 집전체(4b)나 정극 활물질층(5)을 통해 제2 방전용 저항(24b)을 흐르는[제2 방전용 저항(24b)을 흐르는 방전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단전지층(15a)을 방전시킬 때에는, 제1 단전지층(15a)으로부터 흘러나가는 방전 전류는 제1 단전지층(15a)에 대해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 방전용 저항(24a)을 흐를 뿐이고, 제1 단전지층(15a)과 이웃하는 제2 단전지층(15b)에 대해 전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2 방전용 저항(24b)까지 흐르는 경우는 없는 것이다.However, in practice, the resistance valu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in the in-plane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Here,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집전체(4)의 한쪽의 면에 정극 활물질층(5)을 다른 쪽의 면에 부극 활물질층(6)을 형성한 쌍극형 전극(3)과, 그 내부를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층(7)을, 이웃하는 당해 쌍극형 전극(3)의 정극 활물질층(5)과 부극 활물질층(6)이 당해 전해질층(7)을 사이에 두고 마주 향하도록 적층함으로써 복수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이 적층된 발전 요소(2)를 갖고, 각 단전지층(15a 내지 15d)에 대해 스위칭 수단(25a 내지 25d) 및 방전 저항(24a 내지 24d)을 연결(직렬 접속)한 방전 회로(20a 내지 20d)를 독립으로 접속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웃하는 독립된 방전 회로(20a 내지 20d) 사이에 고저항의 집전체(4b, 4c, 4d) 및 고저항의 전극 활물질층(5, 6)이 개재 장착된 회로가 구성된다. 이로 인해, 이웃하는 스위칭 수단(25a 내지 25d)을 모두 폐쇄해도 고저항의 집전체(4b, 4c, 4d)나 고저항의 전극 활물질층(5, 6)을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없으므로, 복수의 단전지층(15a 내지 15d)으로부터 한번에 방전시킬 수 있어, 전압 밸런스 제어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bipolar electrode 3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제1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집전체의 면 상에 있어서 방전 전류가 흘러나가는 측의 방전용 단자(31a, 31c, 31e, 31g)와 방전 전류가 흘러오는 측의 방전용 단자(31b, 31d, 31f, 31h)를 점대칭의 위치의 주연부이고 또한 단변측의 주연부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전 전류가 흘러나가는 측의 방전용 단자와 방전 전류가 흘러오는 측의 방전용 단자의 설치 위치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방전 전류가 흘러나가는 측의 방전용 단자와 방전 전류가 흘러오는 측의 방전용 단자 사이의 집전체 및 전극 활물질층이 보다 고저항화되어, 이웃하는 스위칭 수단을 모두 폐쇄했을 때의 방전 전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discharging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전지층(15a 내지 15d)의 방전 시(전압 밸런스 제어 시)에 집전체(4a 내지 4e)의 면 내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저항값은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의 저항값과 비교하여 적어도 1자릿수 이상 높아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집전체(4a 내지 4e)가 더욱 고저항화되어, 이웃하는 스위칭 수단을 모두 폐쇄했을 때의 방전 전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resistance valu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in the surface of the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전압 밸런스 제어 회로도로, 제1 실시 형태의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집전체 및 부극 활물질층의 부분의 개략 평면도를 세로로 배열한 도면으로, 제1 실시 형태의 도 3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FIG. 10 is a voltage balance control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herein lik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as FIG. 2 in the first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vertically arranged portions of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FIG. 3 of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변측과 장변측을 갖는 편평한 직사각 형상의 집전체(4a 내지 4e)의 면 상에 있어서 단변측의 주연부에 8개의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를 설치한 것이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각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가 설치되는 단변측의 주연부에 소정의 폭으로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양도체(41a 내지 41h)를 배치한 것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eight
면 내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내부 저항이 상대적으로 큰(예를 들어, 저항률이 0.01Ω㎝ 이상) 집전체(4a 내지 4e)의 주연부에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를 설치하고, 이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로부터 방전시켰을 때, 정극 활물질층(5)이나 부극 활물질층(6)과 접하는 부위의 집전체 전체에 일정하지 않은 전위 분포가 발생한다. 방전용 단자에 가까운 부위일수록 방전용 단자보다 먼 부위보다도 상대적으로 많은 방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방전용 단자에 가까운 부위의 전위의 저하가 방전용 단자보다 먼 부위보다도 상대적으로 커진다.
이에 대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가 설치되는 단변측의 주연부에 소정의 폭으로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양도체(41a 내지 41h)를 배치함으로써,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를 향해 방전 전류가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폭이 있는 양도체(41a 내지 41h)를 향해 방전 전류가 균등하게 흐른다. 즉, 집전체의 면 내를 방전 전류가 1개소에 집중하여 흐르는 경우가 없으므로, 양도체(41a 내지 41h)를 배치하고 있지 않은 집전체의 경우와 비교하여, 전압 밸런스 제어 시에 발생하는 집전체의 전위 분포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또한, 전압 검출용 단자(31i)가 설치되는 제5 집전체(41a)의 단변측의 주연부에는 양도체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이는, 집전체의 면 내에 전위 분포가 발생하는 것은 집전체로부터 방전시키기 위해서인 바, 전압 검출용 단자(31i)를 통해 방전시키는 일이 없으므로, 전압 검출용 단자(31i)의 근방의 집전체의 면 내에 전위 분포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양도체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a good conductor is not provided in the peripheral part of the short side of the 5th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가 설치되는 단변측의 주연부에 양도체(41a 내지 41h)를 배치하고, 이 양도체(41a 내지 41h)에 방전용 단자(31a 내지 31h)를 설치하므로, 방전용 단자를 단변측의 주연부에 그대로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집전체(15a 내지 15d)의 면 내의 전압 분포를 완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을 한쪽의 방전용 배선(32b, 32d, 32f, 32h)에 개재 장착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쪽의 방전용 배선(32a, 32c, 32e, 32g)에 방전용 저항(24a 내지 24d)을 개재 장착해도 상관없다.In the embodiment, the
실시 형태에서는, 집전체는 단변측과 장변측을 갖는 편평한 직사각 형상인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4개의 동일한 길이의 변을 갖는 편평한 정사각 형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있다.In the embodiment, the current collector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a flat rectangular shape having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but there is an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flat square shape having four equal length sides.
1 : 스택(쌍극형 2차 전지)
2 : 전지 요소
3 : 쌍극형 전극
4 : 집전체
5 : 정극 활물질층
6 : 부극 활물질층
7 : 전해질층
15 : 단전지층
20 : 전압 밸런스 회로
20a, 20b, 20c, 20d : 방전 회로
24a 내지 24d : 방전용 저항
25a 내지 25d : 스위칭 수단
31a 내지 31h : 방전용 단자
32a 내지 32h : 방전용 배선
29 : 제어 회로1: stack (bipolar secondary battery)
2: battery element
3: bipolar electrode
4: current collector
5: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6: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7: electrolyte layer
15: single cell layer
20: voltage balance circuit
20a, 20b, 20c, 20d: discharge circuit
24a to 24d: resistance for discharge
25a to 25d: switching means
31a to 31h: terminal for discharge
32a to 32h: wiring for discharge
29: control circuit
Claims (5)
상기 각 단전지층에 대해 스위칭 수단 및 방전 저항을 연결한 방전 회로를 독립으로 접속하고,
상기 방전 회로는 상기 스위칭 수단 및 방전 저항의 직렬 접속의 양 단부에 한 쌍의 방전용 단자를 구비하고, 이 한 쌍의 방전용 단자를 1개의 단전지층에 포함되는 2개의 집전체의 주연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극형 2차 전지.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of the said bipolar electrode which adjoins the bipolar electrode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electrical power collecto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formed in the other surface, and the electrolyte layer which an ion moves to its insid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laminat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electrolyt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have a power generation element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 layers are stacked.
A discharge circuit connecting a switching means and a discharge resistor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f the unit cell layers,
The discharge circuit includes a pair of discharge terminals at both ends of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switching means and the discharge resistor, and the pair of discharge terminals ar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wo current collectors included in one unit cell layer. The bipolar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96869A JP5664032B2 (en) | 2010-09-02 | 2010-09-02 | Bipolar secondary battery |
JPJP-P-2010-196869 | 2010-09-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5412A KR20120025412A (en) | 2012-03-15 |
KR101313978B1 true KR101313978B1 (en) | 2013-10-01 |
Family
ID=4590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7495A KR101313978B1 (en) | 2010-09-02 | 2011-08-31 | Bipolar secondary battery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664032B2 (en) |
KR (1) | KR101313978B1 (en) |
CN (1) | CN202363543U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002077B3 (en) * | 2015-02-18 | 2016-06-09 | Audi Ag | Battery cell for a battery of a motor vehicle, battery,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cell |
CN106099169B (en) | 2015-04-27 | 2020-10-27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Battery with a battery cell |
US10886576B2 (en) * | 2018-04-12 | 2021-01-05 | Volkswagen Ag | 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with sense tabs |
JP7505182B2 (en) | 2019-12-12 | 2024-06-25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2733A (en) | 1998-09-17 | 2000-03-31 | Denso Corp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charge state of battery pack |
KR20030096978A (en) * | 2002-06-18 | 2003-12-31 | 오세광 | A Management System for the Rechargeable Battery |
JP2005197015A (en) | 2003-12-26 | 2005-07-21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pack |
KR20100033509A (en) * | 2007-06-08 | 2010-03-30 | 파나소닉 주식회사 | Power system and assembled battery controll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55953A (en) * | 2003-05-29 | 2004-12-16 | Nissan Motor Co Ltd | Bipolar secondary battery and bipolar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gulating system |
JP5092387B2 (en) * | 2006-03-09 | 2012-12-0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battery |
JP2008130455A (en) * | 2006-11-22 | 2008-06-05 | Nissan Motor Co Ltd | Bipolar type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of bipolar type battery, battery pack, and vehicle |
JPWO2010010717A1 (en) * | 2008-07-25 | 2012-01-0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Bipolar battery |
JP2010086900A (en) * | 2008-10-02 | 2010-04-15 | Nissan Motor Co Ltd | Current collector, bipolar type electrode, bipolar cell, battery pack, and vehicle |
-
2010
- 2010-09-02 JP JP2010196869A patent/JP5664032B2/en active Active
-
2011
- 2011-08-31 KR KR1020110087495A patent/KR10131397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01 CN CN2011203290169U patent/CN202363543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2733A (en) | 1998-09-17 | 2000-03-31 | Denso Corp |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charge state of battery pack |
KR20030096978A (en) * | 2002-06-18 | 2003-12-31 | 오세광 | A Management System for the Rechargeable Battery |
JP2005197015A (en) | 2003-12-26 | 2005-07-21 | Nissan Motor Co Ltd | Battery pack |
KR20100033509A (en) * | 2007-06-08 | 2010-03-30 | 파나소닉 주식회사 | Power system and assembled battery controll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664032B2 (en) | 2015-02-04 |
CN202363543U (en) | 2012-08-01 |
JP2012054152A (en) | 2012-03-15 |
KR20120025412A (en) | 2012-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3545B1 (en) | Bipolar battery | |
EP3236512B1 (en) | Method for welding electrode leads of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mpact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
RU2490755C1 (en) | Battery package and method for battery package manufacturing | |
JP7519597B2 (en) | Battery Stack | |
CN107123837B (en) | Battery module | |
KR101313978B1 (en) | Bipolar secondary battery | |
EP3182483A1 (en) | Battery pack | |
CN110291660B (en) | Energy storage module, energy storage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measuring battery voltage | |
US9088033B2 (en) | Battery pack containing battery cell array arranged in lateral direction | |
CN209447876U (en) | A kind of battery modules | |
CN102906903A (en) | Battery pack with compact structure | |
CN110506354B (en) | 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with internal series stack | |
JP2012028186A (en) | Battery module, battery system, and electric vehicle | |
CN112368787B (en) | Flexible flat cable with protection element mounted thereo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flat cable with protection element mounted thereon | |
EP2874204B1 (en) | Battery assembly | |
CN103594674B (en) |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 |
US20130252047A1 (en) | Battery module | |
CN111106296A (en) | Bus bar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 |
EP2763205A1 (en) | Cap cov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CN110337736A (en) | Battery pack, bracket | |
CN108886176A (en) | Low section sensor and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it | |
JP2012100411A (en) | Battery pack device and storage method thereof | |
CN107851857A (en) | The method of battery unit and the electric current for determining to flow through battery unit | |
CN221596510U (en) | Battery cell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20230147648A1 (en) | Voltage variable battery cell module and series output connector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