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629B1 -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629B1
KR101313629B1 KR1020100104400A KR20100104400A KR101313629B1 KR 101313629 B1 KR101313629 B1 KR 101313629B1 KR 1020100104400 A KR1020100104400 A KR 1020100104400A KR 20100104400 A KR20100104400 A KR 20100104400A KR 101313629 B1 KR101313629 B1 KR 10131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coupon
point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043A (ko
Inventor
최창호
정윤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Priority to KR102010010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6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쿠폰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응하는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를 조회/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이 적용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정보 산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Method for Processing Settlement by Point/Coupon using Distributor's Smartphone, Smartphone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쿠폰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응하는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를 조회/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이 적용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정보 산출부를 구비하는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가맹점 등의 오프라인 매장 또는 시장 등의 노점상 또는 대리운전 등의 결제단말(예를들어, POS(Point of Sales) 등)이 구비되지 않은 가맹점 또는 이동 중에 POS의 사용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이러한 방법을 제공하기에는 난해한 상황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수한 상황으로 인하여, 판매자의 무선단말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일부 존재하기는 하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고객에게 제공된 포인트/스탬프/쿠폰/상품권 등의 이용아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고객의 유치 등을 위한 마케팅 방안으로 이용되지 못하는 불편한 상황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쿠폰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응하는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를 조회/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이 적용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정보 산출부를 구비하는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은,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쿠폰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응하는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를 조회/확인하는 정보 확인부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이 적용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정보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쿠폰에 대한 사용승인을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무선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판매자용 스마트폰과 동일한 AP(Access Point)상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자동 승인 처리하는 승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은, 결제서버와 통신하는 판매자용 스마트폰의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에 있어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쿠폰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판매자용 스마트폰에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응하는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A)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 판매자용 스마트폰에서 상기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보유 포인트(또는 스탬프) 정보와, 사용가능 포인트(또는 스탬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를 조회/확인하는 단계와 판매자용 스마트폰에서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B)를 재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결제금액 정보(B)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전술한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측 스마트폰 상에 결제기능이 구비된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언제 어디서나 결제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포인트/스탬프/쿠폰/상품권에 대한 이용시, 미리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인증과정을 거쳐 제3자의 불법 사용 차단 및 포인트(또는 스탬프)의 사용 부인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판매자측 스마트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판매자측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판매자측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가맹점 등의 오프라인 매장 또는 시장 등의 노점상 또는 대리운전 등의 결제단말(예를들어, POS(Point of Sales) 등)이 구비되지 않은 가맹점 또는 이동 중에 POS의 사용이 필요한 업소에서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100) 프로그램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구성은 현재/향후 출시되는 스마트폰(100)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 방법을 참조하여, 판매자용 스마트폰(100)의 일부 기능이 가맹점 등에 구비된 메인 POS 등의 결제단말에 구비되고, 상기 판매자용 스마트폰(100)은 중계역활을 제공하는 허브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제어부(135)와 메모리부(199)와 화면 출력부(105)와 키 입력부(110)와 사운드 출력부(115)와 사운드 입력부(120)와 카메라부(125)와 무선망 통신모듈(185)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90)과 USIM 리더부(195) 및 USIM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기능 구성부를 본 도면1의 제어부(13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99)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3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99)는 기본적으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199)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99)는 지정된 위치(예컨대, 매장, 가맹점, 결제단말 등)에서 카드를 이용한 멤버쉽 서비스(또는 결제 서비스)에 필요한 카드정보와, 화면 상에 표시될 카드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이 결합된 전자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카드 저장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5)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5)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3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105)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5)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35)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35)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15)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5)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3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120)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35)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125)는 상기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35)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3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35)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은 IEEE 802.16x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과 통합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195)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 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95)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 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 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입출력(I/O)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점을 통해 상기 USIM 리더부(195)와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IC칩 메모리는 상기 IC칩의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보안모듈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고정된 저장영역에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무선 통신망 접속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에서 제작한 프로그램 코드(=애플릿)와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릿 발급사 별 저장영역(예컨대, SD(Security Domai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IM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발급사(예컨대, 신용카드사, 은행, 선불카드 발급사 등)에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사용자에게 발급한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전자통장, 고객계좌, 선불카드 등)에 대응하는 결제수단 정보와, 상기 결제수단을 운영하는 애플릿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품(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발생된 요금에 대한 결제처리를 위해, 상기 키 입력부(110)를 통해 소정의 키 입력장치를 통해 고객이 결제에 이용하고자 하는 카드정보를 입력 받거나, 및/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로부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자카드 데이터에 포함된 카드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140)와, 상기 입력된 카드정보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부여된 가맹점 정보, 결제금액 정보(또는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는 전문 생성부(145)와, 상기 생성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을 통해 결제 네트워크 상의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전문 전송부(150)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을 통해 상기 결제 네트워크 상의 결제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대응하는 결제처리 내역을 포함하는 결제승인 전문을 수신하고, 상기 결제승인 전문에 포함된 결제처리 내역을 상기 화면 출력부(105)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연결된 인쇄 출력모듈을 통해 인쇄 출력하는 전문 처리부(155)를 구비한다.
상기 정보 입력부(140)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키 입력부(110)를 통해 소정의 키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카드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입력된 카드정보는 상기 전문 생성부(145)로 제공된다.
또는, 상기 정보 입력부(140)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로부터 전자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자카드 데이터에 포함된 카드정보를 추출하여 입력하며, 상기 입력된 카드정보는 상기 전문 생성부(145)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카드 데이터는, 범핑(Bumping)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슬라이딩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쉐이킹(즉,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 흔들기), 또는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 조작에 의해 근거리 무선통신(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자카드 데이터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서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과 연결된 통신망(예를들어,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전자카드 데이터는, 수신된 전자카드 데이터에 대한 인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65)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전문 생성부(145)는 상기 정보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카드정보와, 상기 판매자에게 부여된 가맹점 정보 및 상기 상품(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발생된 요금에 대응하는 결제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상기 전문 전송부(15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 등의 인식장치를 통해 고객이 구매하거나 이용한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 등의 인식장치를 통해 고객이 구매하거나 이용한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문 전송부(150)는 상기 전문 생성부(145)에 의해 상기 생성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을 통해 결제 네트워크 상의 결제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제서버는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통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결제처리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결제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결제승인 내역 또는 결제오류 내역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결제처리 내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결제처리 내역을 포함하는 결제승인 전문을 생성하여 상기 결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전문 전송부(150)는 상기 결제 네트워크를 통해 결제서버로 상기 생성된 결제승인요청 전문이 전송된 후, 상기 전문 처리부(155)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을 통해 상기 결제 네트워크 상의 결제서버로부터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대응하는 결제처리 내역을 포함하는 결제승인 전문이 수신되는지 주기적으로(또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에서 전문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전문 수신 이벤트에 반응하여) 확인한다.
만약,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을 통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대응하는 결제처리 내역을 포함하는 결제승인 전문이 수신되면, 상기 전문 처리부(155)는 상기 결제승인 전문에 포함된 결제처리 내역(예를들어, 결제승인 내역, 또는 결제오류 내역)을 상기 화면 출력부(105)를 통해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연결된 인쇄 출력모듈을 통해 인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을 통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대응하는 결제처리 내역을 포함하는 결제승인 전문이 수신되면, 상기 전문 처리부(155)는 상기 결제승인 전문에 포함된 결제처리 내역(예를들어, 결제승인 내역, 또는 결제오류 내역)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인쇄 출력모듈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해 연결 가능한 인쇄장치(예를들어, 프린터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전문 생성부(145)를 통해 결제승인요청 전문 생성시,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60)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당업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가맹점 정보를 대신하여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 확인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상에 상기 스마트폰(100) 프로그램 다운로드시(또는 다운로드후), 가맹점 가입(또는 등록) 등의 과정에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185)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99) 상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199) 상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 확인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예를들어, 전화번호,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고유정보 등)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요청인 경우, 고객 식별정보,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 결제정보,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65)와,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결제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조회/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60)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실제 결제할 결제정보를 재 생성하는 정보 산출부(170)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산출부(170)를 통해 산출되는 결제정보를 상기 전문 생성부(145), 전문 전송부(150), 전문 처리부(155) 중 하나 이상과 연동하여 처리한다.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요청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65)는 고객 식별정보,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 결제정보,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결제요청 정보는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응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에 이용하고자 하는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하는 결제수단을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또는 직불카드 등의 카드로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든 결제수단(예를들어, 전자화폐 결제수단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력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160)는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또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응하는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을 통해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조회/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는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이 보유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각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별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 중 어느 하나(또는 두개 이상)에 대한 이용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 산출부(170)는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재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재 생성되는 결제정보는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에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결제할 실 결제금액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통해 결제할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결제금액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만약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이 일정기준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적용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재 생성되는 결제정보는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구매한 하나 이상의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품목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품목정보를 확인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정보 확인부(160)를 통해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가 확인되면,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으로 고객 식별정보,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 사용예정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고객 식별정보,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승인 처리부(17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보유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동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동의를 포함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전송하면,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은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선 승인 내역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 승인 내역을 확인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상기 결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선 승인 내역을 선 수신하여 저장/등록한 후, 상기 저장/등록된 선 승인 내역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결제요청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동의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을 확인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무선단말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무선단말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고객이 결제를 위해 이용한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Wi-Fi를 통해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AP(Access Point)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AP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탑재된 멤버쉽 카드 프로그램 등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에서 자체적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고객이 결제를 위해 이용한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Wi-Fi를 통해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AP(Access Point)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AP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탑재된 멤버쉽 카드 프로그램 등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에서 고객이 선 등록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 식별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65)와, 상기 제공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되는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6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65)는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출력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입력(또는 선택)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160)는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이하 도면2 내지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와 연계하여 조회/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는, 상기 가맹점에서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는,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객정보를 근거로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맞춤형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즉, 가맹점의 매출 내지 마케팅 방식에 따라 고객별 차별화된 쿠폰(또는 상품권)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는, 상기 가맹점에서 임의로 제공하는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정보 확인부(16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고객에게 발급할 대상 쿠폰(또는 상품권) 입력(선택)을 위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65)와, 상기 제공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의 발급을 이하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발급 요청부(18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상에 저장된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와, 상기 확인된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중 상기 고객에게 발급하고자 하는 쿠폰(또는 상품권)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요청시, 쿠폰(또는 상품권)의 인증 방식을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의 인증 방식은, 인증이 필요 없거나, 또는 가맹점에서 기 설정(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요청시 설정 또는 이하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비밀번호(또는 PIN)을 이용하거나,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받는 고객의 무선단말 상에 구비된 VM(Virtual Machine)비밀번호를 통해 인증하거나, 또는 이하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고객의 무선단말로 제공한 무선 메시지 상에 포함된 Callback URL 또는 고객의 무선단말 조작에 의해 접속하는 무선 페이지를 통해 쿠폰(또는 상품권)을 인증받거나,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인증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의 인증 방식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연결된 AP(Access Point)와 동일한 AP에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이 연결된 경우, 인증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연동하여,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한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에 대한 조회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또는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대상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이 포함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를들어,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단은 그 자체가 하나의 개별적인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부는 서버 형태로 구현되고 나머지 일부는 특정 서버에 구비된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 수단이 특정 서버에 모두 구비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포인트(또는 스탬프)를 보유한 고객이 포인트(또는 스탬프)를 이용한 결제 요청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기반 결제처리를 위해,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연계하여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요청에 따라 결제요청 고객이 제공한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서버 및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를 관리/운용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를 제공하는 기관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를 구비한다.
본 도면2에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포인트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상의 하나 이상의 수단을 결제서버(또는 결제시스템)과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방법일 뿐이면, 상기 결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기능 구성부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별도 서버(또는 장치)를 통해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에 대한 조회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200)과,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또는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대상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205)과,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포함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210)을 구비한다.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한 이용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정보 수신수단(200)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는 상기 정보 확인수단(205)으로 제공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205)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결제고객이 보유한 하나 이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확인은,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휴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와 연계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확인은,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 외 포인트(또는 스탬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와 연계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확인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205)을 통해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수단(210)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을 포함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전송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조회요청 정보를 전송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200)과,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205)과, 상기 확인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으로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메시지를 구성하는 메시지 구성수단(215)과, 상기 구성된 무선 메시지를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수단(2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은, 휴대폰 통신수단, 스마트폰(100) 통신수단, PDA 통신수단 등의 모든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포인트(또는 스탬프)를 이용한 결제처리를 위해,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수단(200)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정보 확인수단(205)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는, 고객 식별정보, 포인트(또는 스탬프) 식별정보, 사용예정 포인트(또는 스탬프)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 수신수단(200)에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확인수단(205)은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로 전송하고,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로부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205)을 통해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메시지 구성수단(215)은 상기 확인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정보로 전송할 무선 메시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성되는 무선 메시지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예정 포인트(또는 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연동하여 결제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메시지는 Callback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수단의 요청에 따라 Callback URL에 대응하는 무선 페이지 요청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예정 포인트(또는 스탬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페이지를 구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시지 구성수단(215)을 통해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으로 전송할 무선 메시지가 구성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수단(220)은 상기 구성된 무선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는 상기 메시지 전송수단(220)은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 중 Push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인 경우, 상기 구성된 무선 메시지를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으로 Push 기능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 상에 Push 기능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등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되도록 처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으로 무선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으로부터 상기 전송된 무선 메시지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동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200)과,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동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동의 정보를 포함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210)을 구비한다.
만약, 상기 정보 전송수단(210)은 상기 결제 시스템 상에 구비된 저장매체(230) 상에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선 승인 내역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하기 이전에, 선 승인 내역 등록여부를 우선 확인하며, 상기 저장매체(230) 상에 선 승인 내역이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선 등록되어 있는 경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을 통한 승인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동의 정보는 상기 통신수단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고객 비밀번호(또는 OTP(One-Time Password)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사용동의 정보는 상기 전송된 무선 메시지 상에 포함된 Callback URL을 통해 접속/제공되는 무선 페이지를 통해 고객 비밀번호(또는 OTP(One-Time Password)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연동하여,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통해 고객을 대상으로 쿠폰(또는 상품권)의 발급 처리 및/또는 결제요청 고객의 요청에 따라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조회 및/또는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요청에 따라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를들어,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결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단은 그 자체가 하나의 개별적인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부는 서버 형태로 구현되고 나머지 일부는 특정 서버에 구비된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 수단이 특정 서버에 모두 구비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쿠폰(또는 상품권)를 보유한 고객이 쿠폰(또는 상품권)를 이용한 결제 요청시,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기반 결제처리를 위해,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조회를 요청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의 요청에 따라 결제요청 고객이 제공한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서버 및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를 관리/운용하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기관의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를 구비한다.
본 도면3에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포인트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 상의 하나 이상의 수단을 결제서버(또는 결제시스템)과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방법일 뿐이면, 상기 결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기능 구성부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별도 서버(또는 장치)를 통해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로부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300)과,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305)과, 상기 확인된 통신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으로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을 확인하는 인증 처리수단(310)과, 상기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고객에게 제공된 쿠폰(또는 상품권)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활성화 처리하는 쿠폰(도는 상품권) 운영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처리를 위해,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수단(300)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구비된 가맹점 식별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수단(300)을 통해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로 전송하고,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로부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을 통해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처리수단(310)은, 상기 확인된 통신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으로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전송된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과정이 없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에 부여된 비밀번호(PIN)을 인증하여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비밀번호는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을 요청하는 가맹점에서 설정하거나,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에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받을 고객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VM(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비밀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운영수단(315)은 상기 고객에게 제공한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활성화 처리(즉, 사용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로부터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에 대한 조회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300)과,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또는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을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305)과, 상기 확인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을 포함하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320)을 구비한다.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조회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정보 수신수단(300)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는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으로 제공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로부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결제고객이 보유한 하나 이상의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휴된 하나 이상의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와 연계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 외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에 포함된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와 연계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을 확인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을 통해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이용한 고객이 보유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이 확인되면, 상기 정보 전송수단(320)은 상기 확인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을 포함하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전송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조회요청 정보를 전송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300)과,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305)과, 상기 확인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으로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메시지를 구성하는 메시지 구성수단(325)과, 상기 구성된 무선 메시지를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수단(3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은, 휴대폰 통신수단, 스마트폰(100) 통신수단, PDA 통신수단 등의 모든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쿠폰(또는 상품권)를 이용한 결제처리를 위해,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정보 수신수단(300)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는, 고객 식별정보,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 사용예정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보 수신수단(300)에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로 전송하고,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로부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305)을 통해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메시지 구성수단(325)은 상기 확인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 정보로 전송할 무선 메시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르면, 상기 구성되는 무선 메시지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예정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과 연동하여 결제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메시지는 Callback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무선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수단의 요청에 따라 Callback URL에 대응하는 무선 페이지 요청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전송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예정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페이지를 구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시지 구성수단(325)을 통해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으로 전송할 무선 메시지가 구성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수단(330)은 상기 구성된 무선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는 상기 메시지 전송수단(330)은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 중 Push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인 경우, 상기 구성된 무선 메시지를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으로 Push 기능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 상에 Push 기능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등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되도록 처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으로 무선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으로부터 상기 전송된 무선 메시지에 대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300)과,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으로부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포함하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320)을 구비한다.
만약, 상기 정보 전송수단(320)은 상기 결제 시스템 상에 구비된 저장매체(335) 상에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선 승인 내역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하기 이전에, 선 승인 내역 등록여부를 우선 확인하며, 상기 저장매체(335) 상에 선 승인 내역이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선 등록되어 있는 경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을 통한 승인처리 과정을 생략하고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는 상기 통신수단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고객 비밀번호(또는 OTP(One-Time Password)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는 상기 전송된 무선 메시지 상에 포함된 Callback URL을 통해 접속/제공되는 무선 페이지를 통해 고객 비밀번호(또는 OTP(One-Time Password)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가맹점 등의 오프라인 매장 또는 시장 등의 노점상 또는 대리운전 등의 결제단말(예를들어, POS(Point of Sales) 등)이 구비되지 않은 가맹점 또는 이동 중에 POS의 사용이 필요한 업소에서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본 도면4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 방법을 참조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이외에,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실시 방법을 쉽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제요청 정보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청하고(400), 이에 대응하여 고객 식별정보와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와 결제정보와 결제 수단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결제요청 정보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4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결제요청 정보는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응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에 이용하고자 하는 결제수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하는 결제수단을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또는 직불카드 등의 카드로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든 결제수단(예를들어, 전자화폐 결제수단 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통한 요청에 따라 결제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410),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출력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한다(4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용 스마트폰(100)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키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카드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로부터 전자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자카드 데이터에 포함된 카드정보를 추출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카드 데이터는, 범핑(Bumping)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슬라이딩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쉐이크(즉,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을 흔들기)를 통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전자카드 데이터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서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과 연결된 통신망(예를들어,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전자카드 데이터는, 수신된 전자카드 데이터에 대한 인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출력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420),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응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확인한다(425).
여기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는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이 보유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각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별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 중 어느 하나(또는 두개 이상)에 대한 이용 선택이 가능하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통해 출력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결제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정보를 재 생성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본 도면5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근거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응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는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원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식별정보가 생략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이 보유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각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별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제공사 중 어느 하나(또는 두개 이상)에 대한 이용 선택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500),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결제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고(505), 상기 생성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상기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서버로 전송하여 결제요청 및 결제서버로부터 결제승인결과 전문을 수신하고(520), 상기 수신된 결제승인결과 전문을 판독하여 결제승인내역 정보 추출 및 출력한다(525).
반면,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가 확인되면(500),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입력(또는 선택)된 결제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정보를 재 생성하고(510), 상기 재 생성된 결제정보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한다(5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재 생성되는 결제정보는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정보에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결제할 실 결제금액과,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통해 결제할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결제금액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만약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이 일정기준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적용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재 생성되는 결제정보는 상기 수신된 결제요청 정보에 구매한 하나 이상의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품목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의 적용이 가능한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품목정보를 확인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 확인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상에 상기 스마트폰(100) 프로그램 다운로드시(또는 다운로드후), 가맹점 가입(또는 등록) 등의 과정에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 상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 상에 저장된 가맹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 확인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예를들어, 전화번호,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고유정보 등)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한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될 가맹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되는 카드정보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전자카드 데이터를 범핑(Bumping)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슬라이딩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쉐이크(즉,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을 흔들기)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전자카드 데이터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서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과 연결된 통신망(예를들어,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의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전자카드 데이터는, 수신된 전자카드 데이터에 대한 인증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승인요청 전문에 포함되는 결제정보는 상기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 등의 인식장치를 통해 고객이 구매하거나 이용한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 등의 인식장치를 통해 고객이 구매하거나 이용한 상품(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4 내지 도면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통해 출력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결제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정보를 재 생성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본 도면6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 내지 도면5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이 확인된 후,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상기 도면2 내지 도면3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이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6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수신 및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승인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이용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605).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에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보유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동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동의를 포함하는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는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선 승인 내역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 승인 내역을 확인하여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결제단말이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관리서버(235)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로부터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에 대한 선 승인 내역을 선 수신하여 저장/등록한 후, 상기 저장/등록된 선 승인 내역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결제요청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에 대한 승인동의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을 확인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무선단말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무선단말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고객이 결제를 위해 이용한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Wi-Fi를 통해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AP(Access Point)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AP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탑재된 멤버쉽 카드 프로그램 등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에서 자체적으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보유내역 정보에 대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 확인은, 상기 고객이 결제를 위해 이용한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과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Wi-Fi를 통해 연결된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AP(Access Point)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AP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에 탑재된 멤버쉽 카드 프로그램 등의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에서 고객이 선 등록한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결과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고객 식별정보를 이용한 통신수단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610), 상기 서버는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을 위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 오류정보 생성(또는 추출) 및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한다(615).
반면, 상기 고객 식별정보를 이용한 통신수단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610), 상기 서버는 상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승인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메시지를 구성 및 상기 구성된 무선 메시지를 통신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으로 전송하고(620),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240, 345)으로부터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사용동의 정보 수신 및 포인트(또는 스탬프)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사용동의 여부를 확인한다(625).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본 도면7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청하고(700), 이에 대응하여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705).
만약,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통한 요청에 따라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710),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출력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또는 선택)한다(715).
만약, 상기 출력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입력(또는 선택)되면(720),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고객 식별정보, 가맹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제공할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확인한다(7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는, 상기 가맹점에서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는,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객정보를 근거로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맞춤형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즉, 가맹점의 매출 내지 마케팅 방식에 따라 고객별 차별화된 쿠폰(또는 상품권)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는, 상기 가맹점에서 임의로 제공하는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730),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 확인 오류정보를 생성(또는 추출) 및 출력되도록 처리한다(735).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 이후의 과정으로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모드 및 쿠폰(또는 상품권) 결제모드를 구비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 기능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본 도면8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 중 고객에게 발급 처리할 쿠폰(또는 상품권)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8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와, 상기 확인된 발급가능 쿠폰(또는 상품권) 중 상기 고객에게 발급하고자 하는 쿠폰(또는 상품권) 입력(또는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요청시, 쿠폰(또는 상품권)의 인증 방식을 입력(또는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의 인증 방식은, 인증이 필요 없거나, 또는 가맹점에서 기 설정(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 요청시 설정 또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비밀번호(또는 PIN)을 이용하거나,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받는 고객의 무선단말 상에 구비된 VM(Virtual Machine)비밀번호를 통해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고객의 무선단말로 제공한 무선 메시지 상에 포함된 Callback URL 또는 고객의 무선단말 조작에 의해 접속하는 무선 페이지를 통해 쿠폰(또는 상품권)을 인증받거나,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인증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의 인증 방식은,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이 연결된 AP(Access Point)와 동일한 AP에 고객측 스마트폰(100) 등의 무선단말이 연결된 경우, 인증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을 통해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805),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출력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에게 발급할 하나 이상의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이 입력(또는 선택)한다(810).
만약, 상기 출력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대상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이 입력(또는 선택)되면(815),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은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결제 시스템에 대응하는 서버로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발급을 요청하고(8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할 고객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8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을 요청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통신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은, 상기 수신된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포함된 고객 식별정보를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로 전송하고,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로부터 고객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수단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할 고객의 통신수단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다면(830), 상기 서버는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을 발급할 대상 고객에 대한 통신수단 정보 확인 오류정보를 생성(또는 추출) 및 상기 판매자측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한다(835).
반면, 상기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할 고객의 통신수단 정보가 확인되면(830),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통신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으로 쿠폰(또는 상품권) 정보를 전송한다(840).
여기서, 상기 확인된 통신수단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요청 고객의 통신수단(345)으로 전송하는 쿠폰(또는 상품권)은 인증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전송된 발급대상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과정이 없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에 부여된 비밀번호(PIN)을 인증하여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비밀번호는 쿠폰(또는 상품권) 발급을 요청하는 가맹점에서 설정하거나, 또는 쿠폰(또는 상품권) 관리서버(340)에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 처리는, 상기 쿠폰(또는 상품권)을 제공받을 고객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VM(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비밀번호를 인증하여 상기 제공되는 쿠폰(또는 상품권)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 스마트폰
105 : 화면 출력부
110 : 키 입력부
115 : 사운드 출력부
120 : 사운드 입력부
125 : 카메라부
130 : 배터리
135 : 제어부
140 : 정보 입력부
145 : 전문 생성부
150 : 전문 전송부
155 : 전문 처리부
160 : 정보 확인부
165 : 인터페이스 제공부
170 : 정보 산출부
175 : 승인 처리부
180 : 발급 요청부
185 : 무선망 통신모듈
190 :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195 : USIM 리더부
199 : 메모리부

Claims (8)

  1.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쿠폰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응하는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를 조회/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이 적용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결제금액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정보 산출부;를 구비하는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포인트/쿠폰에 대한 사용승인을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무선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판매자용 스마트폰과 동일한 AP(Access Point)상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자동 승인 처리하는 승인 처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5. 결제서버와 통신하는 판매자용 스마트폰의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에 있어서,
    결제요청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쿠폰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판매자용 스마트폰에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이용을 요청하는 모바일 포인트(또는 스탬프)에 대응하는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A)를 입력(또는 선택)하기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요청 정보가 입력(또는 선택)되면, 판매자용 스마트폰에서 상기 포인트/쿠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결제요청 고객의 포인트/쿠폰 보유내역 정보-보유 포인트(또는 스탬프) 정보와, 사용가능 포인트(또는 스탬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를 조회/확인하는 단계;
    판매자용 스마트폰에서 상기 확인된 포인트(또는 스탬프) 보유내역 정보를 근거로 상기 결제요청 고객이 결제할 결제금액 정보(B)를 재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결제금액 정보(B)를 기반으로 결제승인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104400A 2010-10-26 2010-10-26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31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00A KR101313629B1 (ko) 2010-10-26 2010-10-26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400A KR101313629B1 (ko) 2010-10-26 2010-10-26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43A KR20120088043A (ko) 2012-08-08
KR101313629B1 true KR101313629B1 (ko) 2013-10-02

Family

ID=4687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400A KR101313629B1 (ko) 2010-10-26 2010-10-26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07B1 (ko) * 2015-05-20 2016-09-21 김종각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포인트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포인트 데이터 처리방법.
KR101719450B1 (ko) * 2016-03-10 2017-04-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51514B1 (ko) * 2020-06-22 2021-05-13 (주)쿠프마케팅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074Y1 (ko) 2002-10-10 2003-04-10 안지영 신용카드결제용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38099A (ko) * 2003-10-21 2005-04-27 주식회사 엘디에이치텔레콤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9471A (ko) * 2006-06-14 2007-12-2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통합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4419A (ko) * 2009-01-28 2009-02-10 한국정보통신서비스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통한 이동 가맹점 결제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074Y1 (ko) 2002-10-10 2003-04-10 안지영 신용카드결제용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38099A (ko) * 2003-10-21 2005-04-27 주식회사 엘디에이치텔레콤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금융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9471A (ko) * 2006-06-14 2007-12-2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통합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4419A (ko) * 2009-01-28 2009-02-10 한국정보통신서비스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통한 이동 가맹점 결제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43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637B2 (ja) 近距離通信(nfc)が有効なモバイル機器の間で無線(ota)仮想カードを転送するための方法、otaプロビジョニング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媒体
GB2605892A (en) A payment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based on storage
KR101663168B1 (ko) 멀티 카드 생성 방법, 멀티 카드 사용 방법 및 멀티 카드 시스템
KR20120112927A (ko) Nfc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1719B1 (ko) 단골 고객 확인을 통한 쿠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13629B1 (ko)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250387B1 (ko) 결제단말을 이용한 포인트 사용방법과 결제단말
KR20110129330A (ko) 매장 주문 처리 시스템 및 pos 단말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101187932B1 (ko) 대리인 무선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KR101230452B1 (ko) 실물카드의 실시간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모바일 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323655B1 (ko) 쿠폰 운용 방법
KR20200070561A (ko)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90015454A (ko) 토큰 코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70118005A (ko) 앱 기반 카드 발급 유도 방법
KR20170092144A (ko)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00126065A (ko) 결제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EP2881908A1 (en) NFC top-up
KR20090091893A (ko) 가맹점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밴사 서버, 결제처리 서버및 기록매체
KR20120112341A (ko) 바코드 표시 방법
KR20120112340A (ko) 토큰 코드를 이용한 무선 상품권 결제 방법
KR20120112339A (ko) 무선 상품권 결제 방법
KR20120112342A (ko) 토큰 코드 출력 방법
KR20170118007A (ko) 앱 기반 카드 발급 유도 방법
KR20190132964A (ko) 토큰 코드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20170118008A (ko) 앱 기반 카드 발급 유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