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599B1 -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599B1
KR101313599B1 KR1020110132689A KR20110132689A KR101313599B1 KR 101313599 B1 KR101313599 B1 KR 101313599B1 KR 1020110132689 A KR1020110132689 A KR 1020110132689A KR 20110132689 A KR20110132689 A KR 20110132689A KR 101313599 B1 KR101313599 B1 KR 10131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lass fiber
fuel
ligh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030A (ko
Inventor
정승택
김현기
김성찬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5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7/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for power plant
    • B64D37/34Conditioning fuel, e.g.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셀의 파손 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적층소재 사이에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파손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연료셀 감시시스템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연료셀 감시시스템은, 연료차폐층, 내부고무스컷, 자기밀폐층 및 외부고무스컷의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연료차폐층과 상기 외부고무스컷 사이에 포설된 유리섬유 및 상기 유리섬유의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을 구비하는 연료셀, 상기 유리섬유의 다른 일 단자로 일정한 파장의 빛을 입사하는 광원 및 상기 유리섬유의 다른 일 단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Fuel-cell including glass fiber and monitoring system of the fuel-cell}
본 발명은 연료셀의 파손여부를 감시하는 연료셀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셀 적층소재 사이에 유리섬유를 포설하여, 연료셀 내부의 연료에 의해서 또는 외력에 의해서 적층소재의 밴딩 또는 파손을 감시할 수 있는 연료셀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셀에 포함된 연료는 필요한 연소에만 사용되어야 하는데, 연료셀의 파손에 의한 누설은 연료셀을 사용하는 교통수단에 큰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항공기에 장착되는 연료셀의 누설은 대형사고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연료셀의 밴딩(vending) 또는 절단 등을 검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항공기 사고 후 연료셀에서 연료의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회전익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인명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연료 누설에 의한 화재사고이다.
현재 연료셀 검사는 항공기 기동 전단계에서만 하고 있으며, 그 검사방법은 연료셀을 기체로부터 떼어 검사장소로 옮긴 후, 연료셀 전체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부분에 대한 정밀검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만일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연료셀을 분해해야 하는데, 분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다절개로 인한 정상부분의 손상을 추가로 발생하게 하거나 절개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부분의 이상발생원인이 소멸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장시간에 걸친 검사 시간과 인력의 소요 등의 낭비요소가 너무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료셀의 파손 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적층소재 사이에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적층소재들 사이에 포함된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연료셀의 파손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연료셀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은, 연료차폐층, 내부고무스컷, 자기밀폐층 및 외부고무스컷의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연료차폐층과 상기 외부고무스컷 사이에 포설된 유리섬유 및 상기 유리섬유의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을 더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료셀 감시시스템은, 연료차폐층, 내부고무스컷, 자기밀폐층 및 외부고무스컷의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연료차폐층과 상기 외부고무스컷 사이에 포설된 유리섬유 및 상기 유리섬유의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을 구비하는 연료셀, 상기 유리섬유의 다른 일 단자로 일정한 파장의 빛을 입사하는 광원 및 상기 유리섬유의 다른 일 단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 및 연료셀 감시시스템은,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의 낭비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검사 시에도 연료셀을 손상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그리고 단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리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항공기의 기동 중의 항공기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이나 전자장비의 사용으로 인한 전자기파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연료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 감시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을 구성하는 유리섬유이다.
도 3은 유리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유리섬유에서의 빛의 진행을 나타낸다.
도 5는 밴딩된 유리섬유에서의 빛의 진행을 나타낸다.
도 6은 파손된 유리섬유에서의 빛의 진행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 감시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 감시시스템(100)은, 연료셀(1), 광원(2) 및 수광장치(8)를 구비한다.
연료셀(1)은 연료차폐층(12), 내부고무스컷(11), 유리섬유(5), 자기밀폐층(10) 및 외부고무스컷(9)의 순서로 적층된다. 유리섬유(5)의 일 단자에는 산란판(6)이 설치되어 있다. 광원(2)은 유리섬유(5)의 다른 일 단자로 일정한 파장의 빛을 입사한다. 광원(2)에서 생성되는 빛은 펄스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장치(8)는 유리섬유(5)의 다른 일 단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신한다.
유리섬유(5)를 제외한 연료셀(1)의 적층구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의 물리적인 특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1에는 유리섬유(5)가 내부고무스컷(11) 및 자기밀폐층(10) 사이에 포설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유리섬유(5)가 연료차폐층(12)과 센서(1) 사이 어느 곳에 포설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1)의 경우, 연료 자체에 의해 또는 외력에 의해 연료셀(1)의 적층소재가 밴딩 또는 파손될 때, 유리섬유(5)도 동시에 밴딩되고 파손되게 된다.
유리섬유(5)의 내부에 입사된 빛(3)은, 유리섬유(5)의 진동이나 외부의 전자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유리섬유(5)의 내면을 전반사 하면서 진행한다. 연료셀(1)에 밴딩이나 절단이 없는 경우 유리섬유(5)의 일 단자로 유입된 빛은 다른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6)에서 산란되어 반사되어 되돌아 가지 않는다.
그러나, 유리섬유(5)가 밴딩, 꼬임 및 절단되는 경우, 유리섬유(5)를 진행하던 일부의 빛은 밴딩 된 면 및 절단면에 반사되어 진행을 거슬러 되돌아 간다(7). 본 발명에서는 유리섬유(5)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데, 연료셀(1)의 밴딩 되거나 절단된 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하고, 반사시간 등을 측정하여 밴딩되거나 절단된 부위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을 구성하는 유리섬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1)을 구성하는 유리섬유(5)는 나선형으로 연료셀(1)을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일 단자로는 빛이 입사되고 다른 일 단자에는 산란판이 형성된다.
도 3은 유리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리섬유(5)는 실제로 빛이 진행하는 코어(13)를 클래딩(14), 아마리디얀층(15) 및 피복층(16)의 순서로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유리섬유에서의 빛의 진행을 나타낸다.
도 5는 밴딩된 유리섬유에서의 빛의 진행을 나타낸다.
도 6은 파손된 유리섬유에서의 빛의 진행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리섬유(5)가 파손되지 않은 경우 유리섬유(5)에 입사된 빛은 코어(3)의 내면을 따라 전반사하면서 진행한다. 연료셀(1)의 밴딩 및 절단에 의해 유리섬유(5)가 밴딩되거나(도 5) 유리섬유(5)가 절단된 경우(도 6), 유리섬유(5)를 진행하던 빛의 일부는 밴딩되거나 절단된 부분을 투과(17)하지만, 나머지 빛의 일부(7)는 해당 부분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간다.
현재도 연료셀의 파손 여부를 감시하기 위해서, 연료셀의 전체 표면에 현재 상용화된 센서를 부착하여 연료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복수의 센서를 부착하여야 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획득하여야 하는데, 센서와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 및 신호 획득 및 신호처리수단 때문에 감시시스템이 복잡해지고 부피도 상당히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센서류는 연료와 적층소재를 접착하는 접착제의 화학반응 물질과 접촉하게 되면 손상을 입게 되어 성능의 저하는 물론이고 수명도 짧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셀 및 연료셀 감시시스템의 경우, 자동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연료셀의 이상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유리섬유는 아라미드얀 수지가 유리로 구현된 코어를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인장력이 우수하며, 외피는 화학물질에 강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셀 적층소재 사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유리섬유는 심한 밴딩이나 절단 시 접속장비를 이용하여 다시 접속시킬 수 있으므로, 연료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연료셀 2: 광원
3: 입사광 5: 유리섬유
6: 산란판 7: 반사광
8: 수광장치 9: 외부고무스컷
10: 자기밀폐층 11: 내부고무스컷
12: 연료차폐층 13: 코어
14: 클래딩 15: 아라미디얀 수지
16: 피복층 17, 18: 투과광

Claims (5)

  1. 연료차폐층(12), 내부고무스컷(11), 자기밀폐층(10) 및 외부고무스컷(9)의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연료차폐층(12)과 상기 외부고무스컷(9) 사이에 포설된 유리섬유(5); 및
    상기 유리섬유(5)의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5)는,
    상기 내부고무스컷(11) 및 상기 자기밀폐층(10) 사이에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셀.
  3. 연료차폐층(12), 내부고무스컷(11), 자기밀폐층(10) 및 외부고무스컷(9)의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연료차폐층(12)과 상기 외부고무스컷(9) 사이에 포설된 유리섬유(5) 및 상기 유리섬유(5)의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6)을 구비하는 연료셀(1);
    상기 유리섬유(5)의 다른 일 단자로 일정한 파장의 빛을 입사하는 광원(2); 및
    상기 유리섬유(5)의 다른 일 단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신하는 수광장치(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셀 감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5)는,
    상기 내부고무스컷(11) 및 상기 자기밀폐층(10) 사이에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셀 감시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파장의 빛은,
    펄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셀 감시시스템.
KR1020110132689A 2011-12-12 2011-12-12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KR10131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89A KR101313599B1 (ko) 2011-12-12 2011-12-12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89A KR101313599B1 (ko) 2011-12-12 2011-12-12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030A KR20130066030A (ko) 2013-06-20
KR101313599B1 true KR101313599B1 (ko) 2013-10-02

Family

ID=4886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89A KR101313599B1 (ko) 2011-12-12 2011-12-12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5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397A (ja) 2001-04-16 2002-10-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セル焼損検出装置
KR100767535B1 (ko) 2006-09-04 200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광섬유 수소센서
JP2008292412A (ja) 2007-05-28 2008-12-04 Toyota Motor Corp 多孔体拡散測定装置および多孔体拡散測定方法
JP2009026494A (ja) 2007-07-17 2009-02-05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劣化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397A (ja) 2001-04-16 2002-10-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セル焼損検出装置
KR100767535B1 (ko) 2006-09-04 200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광섬유 수소센서
JP2008292412A (ja) 2007-05-28 2008-12-04 Toyota Motor Corp 多孔体拡散測定装置および多孔体拡散測定方法
JP2009026494A (ja) 2007-07-17 2009-02-05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劣化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030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4175C2 (ru) Лента из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кабель, в котором заключена лента из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US8953915B2 (en) Electric cable with strain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rain in at least one electric cable
US9032809B2 (en) Electric cable with bending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ending in at least one electric cable
BR112018013034B1 (pt) Encaixe de extremidade de conexão de uma linha flexível, dispositivo para medir a integridade de um elemento alongado em uma linha flexível e método para medir a integridade de pelo menos uma linha flexível
KR102022728B1 (ko) 내장형 감지 시스템을 갖는 복합 구조
EP2604991A1 (en) Liquid detector and liquid identifying system
US20050244116A1 (en) Cables and cable installations
KR101313599B1 (ko)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CN108461206B (zh) 电力传导元件和用于绝缘监测的系统
EP3173753B1 (en) Optical power monitor device and optical power monitor method
CN108801597A (zh) 一种光纤通信管道的故障报警方法
CN106990072A (zh) 一种开放式气体浓度检测装置
EP2144207A1 (en) Optical fiber anti-intrusion system
KR100872718B1 (ko) 자동차의 스마트 연료저장탱크
CN106408822A (zh) 用于周界表面的振动传感光缆以及周界安防系统
JP2023062748A (ja) センシングケーブルおよびセンシングシステム
WO2013112730A1 (en) Monitoring power combines
JP6942969B2 (ja) 光ファイバ測定用コネクタ
CN104410448A (zh) 一种辅助otdr的增强型辅助尾纤装置
JP2006126159A (ja) センサ装置および検知方法
KR20160036175A (ko) 광전케이블집합체의 장애감시시스템 및 장애감시방법
CN109725242B (zh) 单芯电缆局部放电传感器及局部放电传感器阵列
WO2007019158A2 (en) Intrusion resistant passive fiber optic components
Sjogren et al. Connection of optical fibers embedded in aircraft composite components
JP2022063039A (ja) 漏油センサー用光導波路および漏油セ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