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099B1 -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 Google Patents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099B1
KR101313099B1 KR1020110101122A KR20110101122A KR101313099B1 KR 101313099 B1 KR101313099 B1 KR 101313099B1 KR 1020110101122 A KR1020110101122 A KR 1020110101122A KR 20110101122 A KR20110101122 A KR 20110101122A KR 101313099 B1 KR101313099 B1 KR 101313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temperature control
control function
compresso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897A (ko
Inventor
김창식
송미영
김태현
김은혜
전용복
전은재
전희재
전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냐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냐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냐엘에스
Priority to KR1020110101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0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제어에 의하여 각종 식품의 발효숙성을 최적으로 관리하거나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내측항아리, 외측항아리, 뚜껑, 냉동장치, 컨트롤러와 역류방지기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항아리는 식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와, 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저장실을 구비한다. 외측항아리 안에는 내측항아리가 입구를 통하여 수용되어 있다. 뚜껑은 외측항아리의 상부에 외측항아리의 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냉동장치는 저장실에 수용되어 있는 식품의 냉장을 위하여 내측항아리와 외측항아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증발튜브, 압축기, 응축기와 팽창밸브를 구비하며, 응축기는 내측항아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냉동장치와; 냉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측항아리와 외측항아리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역류방지기는 외측항아리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때 압축기로부터 증발튜브로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POT WITH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항아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제어에 의하여 각종 식품의 발효숙성을 최적으로 관리하거나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에 관한 것이다.
항아리는 물건이나 각종 식품을 담아 두는 데에 사용되는 오지그릇이나 질그릇의 한 종류로 입구가 좁고 배가 불룩한 원통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항아리보다 큰 것은 독이라 부르고, 작은 것은 단지라 부르고 있다. 항아리는 주로 흙으로 만들지만 지역과 민족에 따라 나무, 금속, 유리 등 여러 가지 재료로도 만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고추장, 된장, 간장 등의 장류, 김치, 젓갈류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장독, 김장독이라 부르고도 있다. 하지만, 생활환경의 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항아리의 사용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항아리에 저장되는 장류, 김치, 젓갈류 등과 같은 식품의 발효숙성은 통풍과 일조량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아파트(Apartment house), 오피스텔(Officetel), 연립주택 등 한 건물 안에서 여러 세대가 독립된 생활을 영위하는 공동주택에서는 항아리를 놓아둘 수 있는 마땅한 장소가 없는 실정이다. 예컨대, 아파트 베란다는 일반적으로 유리문으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통풍이 잘 안되고, 일조량을 확보하기 어려워 항아리에 식품을 보관하기 부적합하다. 특히, 여름철에는 아파트 베란다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되면서 식품, 특히 장류의 변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아파트 베란다에서는 항아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항아리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제어에 의하여 각종 식품의 발효숙성을 최적으로 관리하거나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아리가 기울어지거나 눕혀질 때 압축기로부터 오일의 역류를 차단하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동장치의 구성이 단순하여 생산비가 절감되고, 소비전력이 최소화되어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는, 식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와, 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내측항아리와; 내측항아리가 입구를 통하여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외측항아리와; 외측항아리의 상부에 외측항아리의 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뚜껑과; 저장실에 수용되어 있는 식품의 냉장을 위하여 내측항아리와 외측항아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증발튜브, 압축기, 응축기와 팽창밸브를 구비하며, 응축기는 내측항아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는 냉동장치와; 냉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내측항아리와 외측항아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컨트롤러와; 외측항아리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때 압축기로부터 증발튜브로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는 온도제어에 의하여 각종 식품의 발효숙성을 최적으로 관리하거나 장기간 저장할 수 있고, 아파트 베란다 등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아리의 자세가 기울어지거나 눕혀질 때 역류방지기가 작동되어 냉동장치의 압축기로부터 오일의 역류를 차단하여 압축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냉동장치의 증발기가 공기냉각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생산비가 절감되고, 소비전력이 최소화되어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일반 가정에서 항아리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의 자세가 정상상태에서 기울기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냉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의 냉동장치에서 증발튜브와 응축튜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역류방지기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에서 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에서 오일의 역류가 차단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역류방지기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에서 오일의 역류가 차단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역류방지기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에서 오일의 역류가 차단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역류방지기의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예의 역류방지기에서 오일의 역류가 차단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역류방지기의 제5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에서 역류방지기의 제6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10)는 식품을 저장하는 내측항아리(Inner pot: 20)와 내측항아리(20)를 수용하고 있는 외측항아리(Outer pot: 30)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항아리(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항아리(20)는 식품의 투입과 저장을 위하여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22), 입구(22)와 연통되어 있는 저장실(24)을 갖는다. 외측항아리(30)는 배가 불룩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항아리(20)는 외측항아리(30)의 입구(32)를 통하여 외측항아리(30) 안에 수용되어 있다. 외측항아리(30)는 지면(2)에 수평하게 놓일 때 지면(2)에 대하여 수직한 수직선(L1)과 평행 또는 정렬되도록 배치되는 수직중심축선(L2)을 갖는다. 외측항아리(30)는 정상상태(Normal condition)에서 수직중심축선(L2)이 지면(2)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내측항아리(20)의 외주면과 외측항아리(30)의 내주면 사이에 체임버(Chamber: 34)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장치실(36)이 내측항아리(20)의 하면과 외측항아리(3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개방단부(38)가 전기장치실(36)과 연통되도록 외측항아리(30)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뚜껑(40)이 외측항아리(30)의 입구(32)를 여닫을 수 있도록 외측항아리(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실(Seal: 50)이 내측항아리(20)의 테두리와 외측항아리(30)의 테두리 사이에 밀봉을 위하여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실(50)은 내측 및 외측항아리(20, 30)의 테두리를 접합할 수 있는 접합제, 예를 들면 에폭시수지(Epoxy resin), 폴리우레탄수지(Polyurethane resin), 퍼티(Putt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기성 물질층(60)이 내측항아리(20)와 외측항아리(30) 사이의 통기를 위하여 공간(34)에 구비되어 있다. 통기성 물질층(60)은 우수한 통기성을 보유하는 물질, 예를 들어 황토, 모래, 톱밥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혼합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전도성 분체(62)가 내측항아리(20)와 외측항아리(30) 사이의 열전달을 위하여 통기성 물질층(60)에 혼합되어 있다. 열전도성 분체(62)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분말, 구리 분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도성 분체(62)는 유약에 함유되어 내측항아리(20)의 외주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항아리(20)의 하면과 외측항아리(30)의 바닥면 사이에 전기장치실(36)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항아리(20)를 받쳐주는 받침대(70)가 장착되어 있다. 받침대(70)의 한쪽에 전기장치실(36)과 개방단부(38)를 연결하는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10)는 내측항아리(20)의 저장실(22)에 수용되어 있는 식품의 냉장을 위한 냉동장치(100)를 구비한다. 냉동장치(100)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튜브(Evaporation tube: 110), 압축기(120), 응축기(Condensing tube: 130)와 팽창밸브(Expansion valve: 140)를 구비한다.
증발튜브(110)는 내측항아리(2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체임버(30)에 장착되어 있다. 증발튜브(110)는 냉매의 유입을 위한 입구(112)와 냉매의 배출을 위한 출구(114)를 갖는다. 압축기(120)는 전기장치실(36)에 장착되어 있다. 압축기(120)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실(122), 냉매의 유입을 위한 입구(124)와 냉매의 배출을 위한 출구(126)를 갖는다. 압축기(120)의 입구(124)는 증발튜브(110)의 출구(114)와 파이프라인(Pipe line: 15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120)는 밀폐형 압축기, 왕복동식 압축기, 회전식 압축기 등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응축기(130)는 냉매의 유입을 위한 입구(132)와 냉매의 배출을 위한 출구(134)를 가지며, 지그재그 형태(Zigzag shape)로 절곡(Bending)되어 있는 응축튜브(136)로 구성되어 있다. 응축기(130)는 공기냉각을 위하여 외측항아리(30)의 개방단부(38)에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응축기(130)는 외측항아리(30)의 외주면 한쪽을 제거하여 노출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130)는 외측항아리(30)의 외주면 한쪽에 리세스(Recess)를 형성하고, 리세스 안에 장착할 수 있다. 응축기(130)의 입구(132)는 파이프라인(152)에 의하여 압축기(120)의 출구(126)에 연결되어 있고, 출구(134)는 파이프라인(154)에 의하여 증발튜브(110)의 입구(112)에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응축튜브(136)의 내경(D1)은 증발튜브(110)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냉각판(Cooling plate: 138)이 응축기(130)의 자연냉각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응축기(13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냉각판(138)은 응축기(130)를 가리도록 개방단부(24)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냉각판(138)이 개방단부(38)를 막아 전기장치실(36)에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면서도 응축기(130)의 공기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된다. 복수의 통풍구멍(138a)들이 냉각판(138)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가 외부로부터 통풍구멍(138a)들을 통하여 전기장치실(36)에 통풍되어 전기장치실(36)을 공기냉각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풍구멍들은 외측항아리(30)의 외주면에 전기장치실(36)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팽창밸브(140)는 증발튜브(110)와 응축기(130) 사이의 파이프라인(154)에 장착되어 있다. 증발튜브(110)와 팽창밸브(140) 사이의 파이프라인(154)에는 수분을 제거하는 필터드라이어(Filter dryer: 160), 냉매의 흐름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창(Sight glass: 162)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 16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10)는 저장실(24)에 수용되어 있는 식품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저장실(24)의 승온시키는 히터(Heater: 170)를 추가로 구비한다. 히터(170)는 내측항아리(20)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공간(34)에 장착되어 있다. 히터(170)는 전열선(Electrothermal: 1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축튜브(130)와 전열선(172) 각각은 간격을 두고 내측항아리(20)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10)는 냉동장치(100)의 압축기(120)와 솔레노이드밸브(164), 히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180)를 구비한다. 컨트롤러(180)는 전기장치실(36)에 장착되어 있다. 컨트롤러(180)는 컨트롤패널(Control panel: 182)과 온도센서(1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축기(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동장치 구동부(184)와 히터(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히터 구동부(186)를 갖는다. 파워코드(Power cord: 188)가 외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위하여 컨트롤러(180)에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180)는 압축기(120), 솔레노이드밸브(164), 컨트롤패널(182)과 온도센서(190)에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패널(182)은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외측항아리(30)의 외주면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온도센서(190)는 저장실(24)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저장실(24)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냉동장치 구동부(174)는 온도센서(19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축기(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4,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항아리(10)는 압축기(120)로부터 증발튜브(110)로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제1 실시예의 역류방지기(200)를 구비한다. 제1 실시예의 역류방지기(200)는 압축기(120)의 외부에서 입구(124)와 연결되어 있는 케이싱(Casing: 210)과, 케이싱(210) 안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체(22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10)은 제1 포트(Port: 212), 제2 포트(214), 제1 포트(212)와 제2 포트(214)가 연통되어 있는 테이퍼보어(Taper bore: 216)를 구비하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포트(212)는 압축기(120)의 입구(124)와 연통되어 있다. 제2 포트(214)는 증발튜브(110)의 출구(114)와 연통되어 있다. 테이퍼보어(216)의 단면적은 제1 포트(212)로부터 제2 포트(214)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Stopper: 218)가 밸브체(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포트(212)와 이웃하는 케이싱(210)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218)는 케이싱(210)의 말단에 톱니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복수의 편(218a)들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218)는 케이싱(210)의 외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Slit: 218b)들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후, 슬릿(218b)들 사이의 편(218a)들을 케이싱(210)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하여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퍼(218)는 제1 포트(212)에 결합되는 링(Ring), 핀(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는 제1 포트(212)와 이웃하여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위치(P1)와 제2 포트(214)를 폐쇄하여 오일의 역류를 차단하는 폐쇄위치(P2) 사이를 자중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테이퍼보어(216)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체(220)는 개방위치(P1)와 폐쇄위치(P2) 사이를 자중에 의하여 운동하는 볼(Ball: 222)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는 외측항아리(30)의 정상상태에서 개방위치(P1)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허용한다.
도 2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체(220)는 외측항아리(30)의 자세가 정상상태에서 기울기상태(Gradient condition)로 전환될 때 폐쇄위치(P2)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10)에 있어서 외측항아리(30)의 기울기상태는 외측항아리(30)의 수직중심축선(L2)이 수직선(L1)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일정 각도(θ), 예를 들면 약 40도(Degree) 이상으로 기울어져 오일이 압축기(120)로부터 증발튜브(110)로 역류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항아리(10)의 기울기상태, 예를 들면 항아리(10)가 기울어지거나 눕혀진 상태에서 저장실(24)의 세척이나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측항아리(30)의 정상상태에서 사용자는 뚜껑(50)을 열고, 식품을 저장실(24)에 수용한다. 내측 및 외측항아리(20, 30)는 특유의 통기성으로 인하여 고추장, 간장, 된장 등의 발효숙성을 유도한다. 내측 및 외측항아리(20, 30) 사이의 공간(34)에 충전되어 있는 통기성 물질층(60)은 내측 및 외측항아리(20, 30) 사이의 통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기성 물질층(60)에 혼합되어 있는 열전도성 분체(62)는 외측항아리(30)가 받는 태양열을 내측항아리(20)에 전달하여 식품의 발효숙성을 유도한다.
한편, 컨트롤러(18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압축기(120)는 저온저압의 냉매증기를 고온고압의 냉매증기로 만들어서 응축튜브(130)로 보낸다. 응축튜브(130)는 고온고압의 냉매증기를 고열원으로 열을 방출하도록 냉각시켜서 고온고압의 냉매액으로 응축시킨다. 팽창밸브(140)는 고온고압의 냉매액을 저온저압의 냉매액으로 만들어 증발이 쉽도록 한다. 증발튜브(110)는 팽창밸브(140)를 통과한 저온저압의 냉매액(습증기)이 증발하면서 저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온저압의 냉매증기가 되도록 한다. 증발튜브(110)에서 증발된 냉매증기는 다시 압축기(120)로 보내져서 순환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동장치(100)의 작동 시 볼(222)은 개방위치(P1)에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냉동장치(100)의 작동에 의하여 저장실(24)의 온도가 저온으로 제어되므로,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도 저장실(24)에 수용되어 있는 식품의 저온저장(Low temperature storage)이 가능해져 식품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응축튜브(136)의 내경(D1)은 증발튜브(110)의 내경(D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액의 응축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응축기(130)에서 발생되는 열은 냉각판(138)에 전달된다. 냉각판(138)은 공기 중에 노출되어 공기냉각되고, 냉각판(138)과 함께 증발튜브(110)가 냉각된다. 이와 같은 냉각판(138)의 공기냉각에 의하여 증발튜브(110)의 냉각을 위한 공지의 전기블로워팬(Electric blower fan)이 불필요해져 냉동장치(100)의 구성이 단순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항아리(10)의 생산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전기블로워팬의 작동을 위한 전력이 불필요하므로, 소비전력이 최소화되어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항아리(20)의 세척이나 식품을 꺼내기 위하여 항아리(10)를 기울이거나 눕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컨트롤패널(182)의 조작에 의하여 냉동장치(10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외측항아리(30)의 자세가 정상상태에서 기울기상태로 전환될 때, 볼(22)은 자중에 의하여 개방위치(P1)로부터 폐쇄위치(P2)로 이동되어 제2 포트(214)를 막는다. 따라서 압축기(120)의 오일이 증발튜브(110)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되어 압축기(12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항아리(10)에 있어서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컨트롤러(180)의 제어에 의하여 냉동장치(100)의 작동이 정지되고, 히터(170)가 작동된다. 히터(170)의 작동에 의하여 저장실(24)의 온도가 제어되어 식품의 동결을 방지하거나 저장조건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아리(10)에 있어서 오일의 역류방지수단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역류방지기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역류방지기(30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역류방지기(200)와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역류방지기(300)는 케이싱(310)과 밸브체(32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310)은 제1 포트(312), 제2 포트(314), 테이퍼보어(316), 스토퍼(318)를 구비한다. 밸브체(320)는 테이퍼 보어(316)를 따라 개방위치(P1)와 폐쇄위치(P2) 사이를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는 테이퍼 플러그(Taper plug: 322)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퍼 플러그(322)는 외측항아리(30)의 자세가 정상상태에서 기울기상태로 전환될 때, 개방위치(P1)로부터 폐쇄위치(P2)로 이동되어 제2 포트(314)를 폐쇄함으로써, 오일의 역류를 차단한다.
도 14와 도 15에 역류방지기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역류방지기(400)는 압축기(120)의 입구(124)에 구성되어 있다. 입구(124)의 내면은 테이퍼보어(416)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보어(416)는 압축기(120) 안과 이웃하는 제1 포트(412), 증발튜브(110)의 출구(114)와 연통되어 있는 제2 포트(414)를 갖는다. 밸브체(420)로 볼(422)이 제1 포트(412)와 이웃하여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위치(P1)와 제2 포트(414)를 폐쇄하여 오일의 역류를 차단하는 폐쇄위치(P2) 사이를 자중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테이퍼보어(416)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체(4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포트(212)의 내면에 스톱링(Stop ring: 418)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역류방지기(400)가 압축기(120)의 입구(124)에 구비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이 간단해지므로, 제조비를 낮출 수 있다. 도 14와 도 15에 제3 실시예의 역류방지기(400)가 압축기(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입구(124)에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3 실시예의 역류방지기(400)는 압축기(120)의 내측에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역류방지기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역류방지기(500)는 케이싱(510)은 압축기(120)의 내부에서 입구(124)와 연결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테이퍼보어(516)는 압축기(120)의 입구(124)와 연결되어 있다. 테이퍼보어(516)는 압축기(120)의 중앙과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포트(512), 제1 포트(512)와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포트(514)를 갖는다. 밸브체(520)로 볼(522)이 제1 포트(512)와 이웃하여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위치(P1)와 제2 포트(514)를 폐쇄하여 오일(4)의 역류를 차단하는 폐쇄위치(P2) 사이를 자중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테이퍼보어(516)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518)가 밸브체(5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포트(512)와 이웃하는 케이싱(510)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의 역류방지기(500)는 외측항아리(30)의 정상상태에서 오일(4)의 액면보다 높게 압축실(122)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퍼보어(516)의 중심축선(L3)은 외측항아리(30)의 정상상태에서 오일(4)의 액면에 대하여 각도(θ1)를 이루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도 2와 도 17을 참조하면, 외측항아리(30)가 정상상태에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테이퍼보어(516)의 하부 내면이 오일(4)의 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테이퍼보어(516)가 오일(4)의 액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오일(4)의 역류가 방지된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일(4)이 제1 포트(512)를 통하여 테이퍼보어(516)에 유입되는 경우, 볼(522)이 테이퍼보어(516)를 따라 개방위치(P1)로로부터 폐쇄위치(P2)로 이동되어 제2 포트(514)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테이퍼보어(516)의 중심축선(L3)이 오일(4)의 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외측항아리(30)의 자세가 저장실(24)의 청소 등을 위하여 정상상태에서 기울기상태로 전환될 때, 밸브체(520)가 자중에 의하여 개방위치(P1)로부터 폐쇄위치(P2)로 이동되어 제2 포트(214)를 막는다. 따라서 압축기(120)의 오일(4)이 증발튜브(110)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되어 압축기(12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예의 역류방지기(500)의 테이퍼보어(516)가 외측항아리(30)의 정상상태에서 오일(4)의 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역류방지(200, 300, 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9에 역류방지기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역류방지기(600)는 압축기(120)의 입구(124)에 연결되어 있는 트랩(Trap: 61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랩(610)은 파이프가 한 바퀴 감겨져 있는 형태의 피트랩(P trap: 612)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트랩(612)은 외측항아리(30)의 자세가 정상상태에서 기울기상태로 전환될 때 압축실(122)로부터 역류하는 오일의 흐름을 체류시킴으로써 오일의 역류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트랩(612)은 유트랩(U trap), 에스트랩(S trap), 엔트랩(N trap)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0에 역류방지기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의 역류방지기(700)는 압축기(120)의 입구(124)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710)로 구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밸브(710)는 컨트롤러(180)에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Battery: 720)와 기울기센서(730)가 컨트롤러(180)에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720)는 파워코드(188)를 통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컨트롤러(180)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710)와 기울기센서(7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기울기센서(730)는 외측항아리(30)의 한쪽에 장착되어 외측항아리(3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컨트롤러(180)는 기울기센서(730)로부터 입력되는 외측항아리(30)의 기울기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710)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일과 냉매의 역류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밸브(710)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수동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수동밸브는 외측항아리(30) 밖으로 파이프라인(150)을 노출되도록 배관하고, 노출되어 있는 파이프라인(15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항아리 20: 내측항아리
24: 저장실 30: 외측항아리
34: 체임버 36: 전기장치실
38: 개방단부 40: 뚜껑
50: 실 60: 통기성 물질층
62: 열전도성 분체 70: 받침대
100: 냉동장치 110: 증발튜브
120: 압축기 130: 응축튜브
140: 팽창밸브 170: 히터
180: 컨트롤러 190: 온도센서
200, 300, 400, 500, 600, 700: 역류방지기
210, 310, 410, 510: 케이싱 212, 312, 412, 512: 제1 포트
214, 314, 414, 514: 제2 포트 216, 316, 416, 516: 테이퍼 보어
220, 320, 420, 520: 밸브체 222, 422, 522: 볼
322: 테이퍼 플러그 610: 트랩
710: 솔레노이드밸브 720: 배터리
730: 기울기센서

Claims (17)

  1. 식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통되어 있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내측항아리와;
    상기 내측항아리가 입구를 통하여 그 안에 수용되어 있는 외측항아리와;
    상기 외측항아리의 상부에 상기 외측항아리의 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뚜껑과;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어 있는 식품의 냉장을 위하여 상기 내측항아리와 상기 외측항아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증발튜브, 압축기, 응축기와 팽창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기는 상기 내측항아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는 냉동장치와;
    상기 냉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항아리와 상기 외측항아리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컨트롤러와;
    상기 외측항아리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증발튜브로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항아리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항아리의 내주면 사이에 체임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임버에 상기 내측항아리와 상기 외측항아리 사이의 통기를 위하여 통기성 물질층이 형성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물질층에 상기 내측항아리와 상기 외측항아리 사이의 열전달을 위하여 열전도성 분체가 혼합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튜브는 상기 내측항아리를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체임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외측항아리의 외주면 한쪽은 상기 응축기의 노출을 위하여 제거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튜브의 외면에 공기냉각을 위하여 냉각판이 밀착되어 있고, 상기 증발튜브는 상기 냉각판에 의하여 가려져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항아리의 하면과 상기 외측항아리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전기장치실이 형성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항아리의 하면과 상기 외측항아리의 바닥면 사이에 상기 전기장치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항아리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의 한쪽에 상기 전기장치실과 개방단부를 연결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승온을 위하여 상기 내측항아리를 나선형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체임버에 히터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항아리의 테두리와 상기 외측항아리의 테두리 사이에 밀봉을 위한 실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응축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응축튜브의 내경은 상기 증발튜브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압축기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증발튜브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있는 테이퍼보어를 구비하는 케이싱과;
    상기 테이퍼보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항아리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질 때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는 개방위치로부터 오일의 역류를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자중에 의하여 이동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말단에 구비되어 있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압축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압축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항아리의 정상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오일의 액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보어의 중심축선은 상기 오일의 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케이싱의 말단에 톱니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복수의 편들로 이루어지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볼 또는 테이퍼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6.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압축기의 입구에 역류되는 상기 오일의 흐름을 체류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트랩으로 이루어지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1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압축기의 입구에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항아리에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기울기센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KR1020110101122A 2011-10-05 2011-10-05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KR10131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22A KR101313099B1 (ko) 2011-10-05 2011-10-05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22A KR101313099B1 (ko) 2011-10-05 2011-10-05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97A KR20130036897A (ko) 2013-04-15
KR101313099B1 true KR101313099B1 (ko) 2013-09-30

Family

ID=4843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122A KR101313099B1 (ko) 2011-10-05 2011-10-05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626A (ko) 2022-05-03 2023-11-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전통장 발효온도 제어를 위한 스마트 발효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9316B2 (en) 2017-05-22 2023-04-18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er
KR102223911B1 (ko) * 2017-05-22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853A (ko) * 2005-01-06 2006-07-11 문인술 온도조절이 가능한 이중장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853A (ko) * 2005-01-06 2006-07-11 문인술 온도조절이 가능한 이중장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626A (ko) 2022-05-03 2023-11-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전통장 발효온도 제어를 위한 스마트 발효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97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27133U (zh) 一种具有风直冷双系统的对开门电冰箱
CN2488020Y (zh) 带干燥间室的电冰箱
KR101313099B1 (ko)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항아리
CN103453710B (zh) 墙中冰箱及其控温方法
KR102014233B1 (ko) 드레스룸용 제습기
KR101140727B1 (ko)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CN108106338A (zh) 一种谷物冷冻干燥装置
KR101313854B1 (ko) 온도제어 기능을 구비한 용기 받침대
CN202853228U (zh) 墙中冰箱
CN210316706U (zh) 一种节能型种质资源库
CN104180598B (zh) 冰箱
CN205316776U (zh) 一种多功能环保冰箱
CN205860653U (zh) 一种全自动加热冷藏一体化的厨房设备
CN206609200U (zh) 空气源冷藏室热交换冰箱热水一体机
CN202476387U (zh) 一种下置结构蒸发器的风干烘箱
KR200210899Y1 (ko) 냉각장치가 부설된 저온 옹기쌀통
CN109751814A (zh)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304856B1 (ko) 실내분수대
RU2732582C1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холодильная камера для хранения сельхозпродук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иродного холода
CN220931453U (zh) 冷藏设备
RU11059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продуктов на балконах и лоджиях городских квартир
CN202476386U (zh) 一种上下结构积水器的风干烘箱
CN205825269U (zh) 空气源热泵烘烤装置
CN206269284U (zh) 智能型冷暖空调系统结构
CN202476410U (zh) 风干烘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