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649B1 -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649B1
KR101312649B1 KR1020130044938A KR20130044938A KR101312649B1 KR 101312649 B1 KR101312649 B1 KR 101312649B1 KR 1020130044938 A KR1020130044938 A KR 1020130044938A KR 20130044938 A KR20130044938 A KR 20130044938A KR 101312649 B1 KR101312649 B1 KR 10131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ouch screen
image
touch
surve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식
조지현
유연화
Original Assignee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가이드바(110a1)가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상의 수집장치본체(110a)와,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110b)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며 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도화원도를 저장하는 도화원도DB(110c)와, 도화원도를 재생하는 도화원도재생모듈(110n)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설치되며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지피에스모듈(110d)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지피에스모듈(110d)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변화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좌표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하는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모듈(110e)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상기 변경지형지물좌표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과, 수집장치본체(110a)의 후방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변화가 발생한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촬영기기(110g)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변화 지형지물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하는 변경지형지물이미지출력모듈(110h)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이미지 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변경지형지물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를 불러오고 터치스크린(110b)으로부터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 좌표를 변경지형지물 이미지에 대한 좌표로 저장하며 변경지형지물 이미지가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변경지형지물 이미지에 이용불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이용가능확인모듈(110j)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현지조사자료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에 대한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하는 추가현지조사자료입력모듈(110l)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송출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현지조사자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모듈(110m)을 갖춘 현지조사자료수집장치(110);
후면에 구비되며 외측방으로 개구되어 수집장치본체(110a)의 가이드바(110a1)에 슬라이드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21)과, 상면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부가 라운드 진 삽입홈(122)과,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3)과, 상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주입구(124)와, 삽입홈(122)의 하부에 구비되며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125)과, 주입구(124)를 개폐하는 개폐구(126)을 구비한 세척제수용기구(120);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펜수용홀(131a1)을 구비하며 하면이 라운드 져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삽입홈(12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펜수용체(131a), 펜수용체(131a)의 하면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연통홀(125)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체(131b)를 갖춘 터치기구본체(131)와, 펜수용체(131a)의 펜수용홀(13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터치스크린 터치용의 터치펜(132)과, 터치기구본체(131)의 좌측면과 맞닿으며 터치펜(132)과 체결되어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1고정체(133a), 터치기구본체(131)의 우측면과 맞닿으며 터치펜(132)과 체결되어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2고정체(133b)를 구비한 고정기구(133)와, 고정기구(133)의 제2고정체(133b)에 설치되는 브리쉬바(134a), 브러쉬바(134a)에 설치되는 브러쉬(134b)를 구비한 먼지제거기구(134)와, 터치기구본체(131)의 상부에 터치기구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문지름체(135)를 갖춘 터치기구(130);
를 갖춘 현지조사장치(100)와:
현지조사장치(100)의 송신모듈(110m)부터 송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하는 수신기(210);
도화원도를 저장하는 도화원도DB(220);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DB(230);
수신기(210)에서 수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중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하는 정위치편집기기(240);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을 편집하는 구조화편집기기(250);
를 갖춘 수치지도 제작센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현지조사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고, 현지조사자료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신속하게 이용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Digital Map Precision Improvement System}
본 발명은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촬영을 통해 수집된 항공사진을 이용해 도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제작된 도화 원도를 이용해 현지조사가 이루어지며, 현지조사를 통해 현지조사자료가 수집된다.
그리고 도화 원도 및 현지조사자료에 의해 수치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수치지도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현지조사는 수치지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현지 조사를 실시할 시, 현지 조사자는 도화 원도를 출력하여 현지조사지역으로 이동하고, 도화 원도와 현지조사지역을 비교하여 현지조사자료를 취득한다. 이때 현지 조사자는 도화 원도에 표시되지 않은 지형자료를 수작업으로 취득한다.
따라서 상기 취득된 현지조사자료를 신속하게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없으며, 현지조사자료 취득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로워 작업의 능률이 낮아져 현지조사자료를 누락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139473 등록특허 10-122829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현지조사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고, 현지조사자료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신속하게 이용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가이드바(110a1)가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상의 수집장치본체(110a)와,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110b)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며 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도화원도를 저장하는 도화원도DB(110c)와, 도화원도를 재생하는 도화원도재생모듈(110n)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설치되며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지피에스모듈(110d)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지피에스모듈(110d)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변화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좌표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하는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모듈(110e)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상기 변경지형지물좌표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과, 수집장치본체(110a)의 후방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변화가 발생한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촬영기기(110g)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변화 지형지물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하는 변경지형지물이미지출력모듈(110h)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이미지 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변경지형지물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를 불러오고 터치스크린(110b)으로부터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 좌표를 변경지형지물 이미지에 대한 좌표로 저장하며 변경지형지물 이미지가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변경지형지물 이미지에 이용불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이용가능확인모듈(110j)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현지조사자료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에 대한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하는 추가현지조사자료입력모듈(110l)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송출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현지조사자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모듈(110m)을 갖춘 현지조사자료수집장치(110);
후면에 구비되며 외측방으로 개구되어 수집장치본체(110a)의 가이드바(110a1)에 슬라이드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21)과, 상면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부가 라운드 진 삽입홈(122)과,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3)과, 상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주입구(124)와, 삽입홈(122)의 하부에 구비되며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125)과, 주입구(124)를 개폐하는 개폐구(126)을 구비한 세척제수용기구(120);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펜수용홀(131a1)을 구비하며 하면이 라운드 져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삽입홈(12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펜수용체(131a), 펜수용체(131a)의 하면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연통홀(125)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체(131b)를 갖춘 터치기구본체(131)와, 펜수용체(131a)의 펜수용홀(13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터치스크린 터치용의 터치펜(132)과, 터치기구본체(131)의 좌측면과 맞닿으며 터치펜(132)과 체결되어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1고정체(133a), 터치기구본체(131)의 우측면과 맞닿으며 터치펜(132)과 체결되어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2고정체(133b)를 구비한 고정기구(133)와, 고정기구(133)의 제2고정체(133b)에 설치되는 브리쉬바(134a), 브러쉬바(134a)에 설치되는 브러쉬(134b)를 구비한 먼지제거기구(134)와, 터치기구본체(131)의 상부에 터치기구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문지름체(135)를 갖춘 터치기구(130);
를 갖춘 현지조사장치(100)와:
현지조사장치(100)의 송신모듈(110m)부터 송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하는 수신기(210);
도화원도를 저장하는 도화원도DB(220);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DB(230);
수신기(210)에서 수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중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하는 정위치편집기기(240);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을 편집하는 구조화편집기기(250);
를 갖춘 수치지도 제작센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현지조사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고, 현지조사자료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신속하게 이용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지조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지조사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제수용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제수용기구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지조사장치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방법을 나타낸 방법도이고,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지조사장치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은 현지조사장치(100)와, 수치지도 제작센터(200)를 통해 이루어진다.
현지조사장치(100)는 현지조사자료수집장치(110)와, 세척제수용기구(120)와, 터치기구(130)를 갖춘다.
현지조사자료수집장치(110)는 수집장치본체(110a)와, 터치스크린(110b)과, 도화원도DB(110c)와, 도화원도재생모듈(110n)과, 지피에스모듈(110d)과,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모듈(110e)과,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과, 촬영기기(110g)와, 변경지형지물이미지출력모듈(110h)과,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과, 현지조사자료이용가능확인모듈(110j)과, 추가현지조사자료입력모듈(110i)과, 송출모듈(110m)를 갖춘다.
수집장치본체(110a)는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상을 이루며,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가이드바(110a1)가 구비된다.
터치스크린(110b)은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에 의해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즉 터치스크린(110b)은 입력장치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도화원도DB(110c)는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며 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도화원도를 저장한다.
도화원도재생모듈(110n)은 도화원도DB(110c)에 저정된 도화원도를 터치스크린(110b)에 재생한다.
지피에스모듈(110d)은 수집장치본체(110a)에 설치되며, 현지조사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모듈(110e)은 수집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지피에스모듈(110d)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변화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좌표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한다.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는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상기 변경지형지물좌표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촬영기기(110g)는 수집장치본체(110a)의 후방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변화가 확인된 지형지물을 촬영한다.
변경지형지물이미지출력모듈(110h)은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한다.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은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이미지 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현지조사자료이용가능확인모듈(110j)은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변경지형지물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이미지 일련번호를 불러오고, 터치스크린(110b)으로부터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 좌표를 변경지형지물이미지에 대한 좌표로 저장하며, 변경지형지물이미지가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변경지형지물이미지에 이용불가 데이터를 저장한다.
추가현지조사자료입력모듈(110l)은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현지조사자료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에 대한 추가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현지조사자료는 촬영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의 자연, 인문, 사회, 행정, 경제,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정보가 될 수 있다.
송출모듈(110m)은 수집장치본체(110a)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송출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외부로 송출한다.
세척제수용기구(120)는 후면에 구비되며 외측방으로 개구되어 수집장치본체(110a)의 가이드바(110a1)에 슬라이드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21)과, 상면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부가 라운드 진 삽입홈(122)과,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3)과, 상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주입구(124)와, 삽입홈(122)의 하부에 구비되며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125)과, 주입구(124)를 개폐하는 개폐구(126)을 갖춘다. 여기서 상기 세척제는 알콜 성분을 갖추며, 일정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기구(130)는 터치기구본체(131)와, 터치펜(132)과, 고정기구(133)과, 먼지제거기구(134)와, 문지름체(135)를 갖춘다.
터치기구본체(131)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펜수용홀(131a1)을 구비하며 하면이 라운드 져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삽입홈(12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펜수용체(131a)와, 펜수용체(131a)의 하면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연통홀(125)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체(131b)를 갖춘다.
터치펜(132)은 펜수용체(131a)의 펜수용홀(13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터치펜(132)의 단부인 펜 촉은 터치스크린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터치펜(132)의 펜 촉은 정전식 터치펜에 적용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기구(133)는 터치기구본체(131)의 좌측면과 맞닿아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1고정체(133a)와, 터치기구본체(131)의 우측면과 맞닿으며 터치펜(132)과 체결되어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2고정체(133b)를 갖춘다. 이때 고정기구(133)의 체결방식은 나사산 방식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지제거기구(134)는 고정기구(133)의 제2고정체(133b)에 설치되는 브리쉬바(134a)와, 브러쉬바(134a)에 설치되는 브러쉬(134b)를 갖춘다.
문지름체(135)는 터치기구본체(131)의 상부에 터치기구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문지름체(135)의 표면은 천 또는 스펀지 재질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세척제수용기구(120) 및 터치기구(130)을 이용한 현지조사장치(100)의 터치스크린(110b)의 청결유지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터치기구(130)를 세척제수용기구(120)로부터 분리하면, 세척제수용기구(120)에 수용된 세척제는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연통홀(125)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세척제를 일정 점성을 갖기 때문에 천천히 방출된다. 이후 터치기구(130)의 문지름체(135)에 세척제를 묻히고, 문지름체(135)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10b)를 닦으면 터치스크린(110b)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치지도 제작센터(200)는 수신기(210)와, 도화원도DB(220)와, 현지조사자료DB(230)와, 정위치편집기기(240)와, 구조화편집기기(250)를 갖춘다.
수신기(210)는 현지조사장치(100)의 송신모듈(110m)부터 송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한다.
도화원도DB(220)는 도화단계에서 도화기에 의해 도화된 도화원도를 저장한다.
현지조사자료DB(230)는 수신기(210)로부터의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한다.
정위치편집기기(240)는 수신기(210)에서 수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중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도화성과 또는 지도자료 성과를 수정 및 보완한다.
상기 구조화편집기기(250)는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이 편집되어, 인공지물 및 지형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가 파악된다.
도 7 내지 14를 참 조하여 본 발명의 현지조사장치(100)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방법은 현지조사 단계(S1)와,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수신 단계(S2)와, 정위치 편집 단계(S3)와, 구조화 편집 단계(S4)를 포함한다.
(S1) 현지조사단계
현지조사 단계(S1)는 도화원도 표시 단계(S1a)와, 변경지형지물 좌표 확인 단계(S1b)와, 변경지형지물 좌표 일련번호 부여 단계(S1c)와, 변경지형지물 촬영 단계(S1d)와,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 부여 단계(S1e)와, 현지조사자료 이용가능 확인 단계(S1f)와, 추가현지조사자료 입력 단계(S1g)와,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송출 단계(S1h)를 갖춘다.
(S1a) 도화원도 표시 단계
현지조사를 위해 현장에 도착한 현지조사자는 현지조사장치(100)의 터치스크린(110b)에 현장 주변을 나타내는 도화원도를 출력한다.
즉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현지조사를 나온 현지조사자는 현지조사장치(100)를 온(ON) 한다. 그리고 현지조사자는 터치펜(132)을 통해 터치스크린(110b)를 조작하여, 현재위치 주변의 도화원도를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도화원도재생모듈(110n)은 지피에스모듈(110d)이 수신하는 현재 위치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화원도를 도 8과 같이 도화원도DB(110c)로부터 재생한다. 이때 현지조사자의 위치는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도화원도에는 현재위치(a)가 나타난다.
(S1b) 변경지형지물 좌표 확인 단계;
현지조사자는 지형지물을 육안으로 확인 후, 지형지물과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도화원도 간에 차이가 있으면, 도화원도에 해당 위치의 좌표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현지조사자는 상기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도화원도에서 차이가 발생한 변경 지형지물의 위치를 터치하면,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모듈(110e)은 도 9와 같이 상기 위치의 좌표를 터치스크린(110b) 상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변경 지형지물이 건물일 경우 현지조사자는 건물 주변에 위치하거나 건물에 진입하여 상기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S1c) 변경지형지물 좌표 일련번호 부여 단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변경지형지물좌표를 터치한 후, 해당 좌표에 대한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현지조사자는 터치펜(132)를 이용하여 상기 변경지형지물좌표를 터치하면,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은 도 10과 같이 상기 변경지형지물좌표의 상부에 '일련번호를 선택하세요' 라는 문구와 함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한다. 그러면 현지조사자는 터치펜(132)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일련번호를 터치하고, 선택된 일련번호를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에 저장된다.
(S1d) 변경지형지물 촬영 단계
현지조사장치(100)를 이용하여, 변경지형지물을 촬영한다.
현지조사자는 현지조사장치(100)의 촬영기기(110g)을 이용하여 도화원도에는 없는 변경 지형지물을 촬영한다. 이때 현지조사자는 촬영기기(110g)가 상기 지형지물을 향하도록 한 후, 터치스크린(110b) 상에 표시된 촬영준비버튼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110b) 상에는 주변 지형지물이 표시되며, 현지조사는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촬영버튼을 터치하여 촬영작업을 수행한다.
(S1e)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 부여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 일련번호를 부여한다.
촬영이 이루어지면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은 터치스크린(110b)에 도 9와 같이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고, 터치스크린(110b) 상에는 '일련번호를 선택하세요' 라는 문구와 함께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한다. 그러면 현지조사자는 터치펜(132)를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일련번호를 터치하고, 선택된 일련번호는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에 저장된다.
이때 도 11과 같이 상기 변경지형지물에 대한 또 다른 위치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며, 촬영된 이미지는 동일한 일련번호가 부여된다.
(S1f) 현지조사자료 이용가능 확인 단계
변경지형지물이미지를 불러와 이용가능한 자료인지를 확인한다.
현지조사자는 터치스크린(110b)의 선택메뉴화면에서 변경지형지물이미지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좌표일련번호 메뉴를 터치한다. 그러면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 및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는 도 12와 같이 해당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변경지형지물좌표를 터치스크린(110b)에 불러온다. 이때 변경지형지물이미지는 촬영한 이미지가 다수일 수도 있다. 그리고 현지조사자는 변경지형지물이미지를 확인하여, 변경지형지물이미지가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때 변경지형지물이미지가 이용가능한 이미지일 경우, 현지조사자는 터치스크린(110b)의 이용가능 메뉴를 터치하여 좌표저장신호를 입력하고, 현지조사자료이용가능확인모듈(110j)은 변경지형지물 좌표를 변경지형지물 이미지에 대한 좌표로 저장한다. 한편 상기 변경지형지물이미지가 군사시설물 또는 기타 지도화가 허락되지 않은 지형지물일 경우, 현지조사자는 터치스크린(110b)의 이용불가 메뉴를 터치하고, 현지조사자료이용가능확인모듈(110j)은 해당 변경지형지물이미지에 이용불가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터치스크린(110b)에는 이용불가 이유 메뉴가 표시되고, 현지조사자는 이용불가 이유를 텨치스크린(110b)를 통해 입력하여 이용불가데이터에 이용불가 이유가 저장된다.
(S1g) 현지조사자료 입력 단계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에 대한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한다.
현지조사자는 도 13과 같이 터치스크린(110b)에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이미지를 불러온 후, 변경지형지물에 대한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한다. 이때 추가현지조사자료입력모듈(110l)에 의해 터치스크린(110b)에는 추가현지조사자료에 대한 다양한 메뉴가 표시되며, 상기 메뉴의 터치를 통해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할 수 있다.
(S1h)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송출 단계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변경지형지물에 따른 추가현지조사자료는 수치지도 제작센터로 송출된다.
현지조사자는 터치스크린(110b)를 통해 송출신호를 입력하고, 송출모듈(110m)은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변경지형지물에 따른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외부로 송출한다.
(S2)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수신 단계
수치지도 제작센터(200)의 수신기(210)는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변경지형지물에 따른 추가현지조사자료를 현지조사장치(100)로부터 수신된다.
(S3) 정위치 편집 단계
현장조사 단계를 통해 수집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중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한다.
이때 정위치 편집은 수치지도 제작센터(200)의 정위치편집기기(240)를 통해 이루어진다.
(S4) 구조화 편집 단계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을 편집한다. 이때 구조화 편집은 수치지도 제작센터(200)의 구조화편집기기(250)를 통해 이루어진다.
100; 현지조사장치 110; 현지조사자료수집장치
120; 세척제수용기구 130; 터치기구
200; 수치지도 제작센터 210; 수신기
220; 도화원도DB 230; 현지조사자료DB
240; 정위치편집기기 250; 구조화편집기기

Claims (1)

  1. 전면에 가이드바(110a1)가 형성되는 사각 박스 형상의 수집장치본체(110a)와,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110b)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며 좌표가 포함되어 있는 도화원도를 저장하는 도화원도DB(110c)와, 도화원도를 재생하는 도화원도재생모듈(110n)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설치되며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지피에스모듈(110d)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지피에스모듈(110d)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변화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좌표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하는 변경지형지물좌표출력모듈(110e)과, 수집장치본체(110a)에 내설되고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상기 변경지형지물좌표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좌표일련번호부여모듈(110f)과, 수집장치본체(110a)의 후방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촬영신호가 입력되면 변화가 발생한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촬영기기(110g)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변경지형지물출력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변화 지형지물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10b)에 출력하는 변경지형지물이미지출력모듈(110h)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이미지 일련번호부여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표시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이미지일련번호부여모듈(110i)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터치스크린(110b)에 변경지형지물 좌표 일련번호 및 변경지형지물 이미지 일련번호를 불러오고 터치스크린(110b)으로부터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 좌표를 변경지형지물 이미지에 대한 좌표로 저장하며 변경지형지물 이미지가 현지조사자료로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변경지형지물 이미지에 이용불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이용가능확인모듈(110j)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현지조사자료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에 대한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하는 추가현지조사자료입력모듈(110l)과, 터치스크린(110b)을 통해 송출신호가 입력되면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현지조사자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모듈(110m)을 갖춘 현지조사자료수집장치(110);
    후면에 구비되며 외측방으로 개구되어 수집장치본체(110a)의 가이드바(110a1)에 슬라이드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121)과, 상면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하부가 라운드 진 삽입홈(122)과,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3)과, 상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주입구(124)와, 삽입홈(122)의 하부에 구비되며 수용공간(123)과 연통되는 다수의 연통홀(125)과, 주입구(124)를 개폐하는 개폐구(126)을 구비한 세척제수용기구(120);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펜수용홀(131a1)을 구비하며 하면이 라운드 져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삽입홈(122)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펜수용체(131a), 펜수용체(131a)의 하면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세척제수용기구(120)의 연통홀(125)을 개폐하는 다수의 개폐체(131b)를 갖춘 터치기구본체(131)와, 펜수용체(131a)의 펜수용홀(131a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터치스크린 터치용의 터치펜(132)과, 터치기구본체(131)의 좌측면과 맞닿으며 터치펜(132)과 체결되어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1고정체(133a), 터치기구본체(131)의 우측면과 맞닿으며 터치펜(132)과 체결되어 터치펜(132)을 고정하는 제2고정체(133b)를 구비한 고정기구(133)와, 고정기구(133)의 제2고정체(133b)에 설치되는 브리쉬바(134a), 브러쉬바(134a)에 설치되는 브러쉬(134b)를 구비한 먼지제거기구(134)와, 터치기구본체(131)의 상부에 터치기구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문지름체(135)를 갖춘 터치기구(130);
    를 갖춘 현지조사장치(100)와:
    현지조사장치(100)의 송신모듈(110m)부터 송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하는 수신기(210);
    도화원도를 저장하는 도화원도DB(220);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DB(230);
    수신기(210)에서 수신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 중 이용가능한 변경지형지물이미지 및 추가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하는 정위치편집기기(240);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을 편집하는 구조화편집기기(250);
    를 갖춘 수치지도 제작센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KR1020130044938A 2013-04-23 2013-04-23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KR101312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938A KR101312649B1 (ko) 2013-04-23 2013-04-23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938A KR101312649B1 (ko) 2013-04-23 2013-04-23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649B1 true KR101312649B1 (ko) 2013-09-27

Family

ID=4945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938A KR101312649B1 (ko) 2013-04-23 2013-04-23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90B1 (ko) 2013-11-13 2014-03-06 (주)대한지적기술단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CN109410736A (zh) * 2018-09-14 2019-03-01 广州海洋地质调查局 一种多源dem数据无缝融合方法及处理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70B1 (ko) 2010-08-05 2011-03-08 동국지리정보(주) 수치지도 생성을 위한 현장조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5254B1 (ko) 2011-04-21 2011-10-19 동아항업주식회사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8306B1 (ko)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KR101239931B1 (ko) 2012-10-31 2013-03-18 네이버시스템(주) 지피에스 좌표 및 도화이미지의 지리정보 기반 지역별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70B1 (ko) 2010-08-05 2011-03-08 동국지리정보(주) 수치지도 생성을 위한 현장조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5254B1 (ko) 2011-04-21 2011-10-19 동아항업주식회사 출력도면과의 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오차수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9931B1 (ko) 2012-10-31 2013-03-18 네이버시스템(주) 지피에스 좌표 및 도화이미지의 지리정보 기반 지역별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238306B1 (ko) 2012-11-06 2013-03-11 서광항업 주식회사 영상도화이미지의 비교 판단을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 업데이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90B1 (ko) 2013-11-13 2014-03-06 (주)대한지적기술단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CN109410736A (zh) * 2018-09-14 2019-03-01 广州海洋地质调查局 一种多源dem数据无缝融合方法及处理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66250B (zh) 基于三维实景数据的市容环境检测方法及系统
Apollonio et al. 3D reality-based artefact models for the management of archaeological sites using 3D Gis: a framework starting from the case study of the Pompeii Archaeological area
CN105389375B (zh) 一种基于可视域的图像索引设置方法、系统及检索方法
Zollmann et al. Interactive 4D overview and detail visua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CN106997613A (zh) 根据2d图像的3d模型生成
Barrile et al. Geomatics and augmented reality experiments for the cultural heritage
Cosso et al. Surveying and mapping a cave using 3d laser scanner: the open challenge with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CN105005580B (zh) 一种用于显示水库地形的方法及其装置
Maietti et al. Digital memory and integrated data capturing: Innovations for an inclusive cultural heritage in Europe through 3D semantic modelling
CN112489513A (zh) 一种用于变电行业设备虚拟培训的系统及方法
CN114372107A (zh) 一种基于gis的国土整治与生态修复数据可视化方法和系统
KR101312649B1 (ko) 지형지물의 데이터 비교에 따른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KR101312652B1 (ko) 지형변화에 따른 현지조사자료를 획득하여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331174B1 (ko) 정확한 현지조사작업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Burigat et al. Mobile three-dimensional maps for wayfinding in large and complex buildings: Empirical comparison of first-person versus third-person perspective
Crandall et al. Networks of photos, landmarks, and people
Niebling et al. Accessing urban history using spatial historical photographs
Isler et al. Building a 3D virtual museum of native american baskets
Capolupo et al. Integration of terrestrial laser scanning and UAV-SFM technique to generate a detailed 3D textured model of a heritage building
Adamczyk et al.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for crime scene documentation
Münster et al. URBAN HISTORY IN 4 DIMENSIONS–SUPPORTING RESEARCH AND EDUCATION
KR101369490B1 (ko)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한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시스템
Kumar et al. A comparison of open source libraries ready for 3D reconstruction of wounds
Magrini et al. Marine virtual environment to access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Ceconello et al. Virtual reality for enhanced urban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