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535B1 - 컷팅기 작업대 - Google Patents

컷팅기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535B1
KR101312535B1 KR1020100083093A KR20100083093A KR101312535B1 KR 101312535 B1 KR101312535 B1 KR 101312535B1 KR 1020100083093 A KR1020100083093 A KR 1020100083093A KR 20100083093 A KR20100083093 A KR 20100083093A KR 101312535 B1 KR101312535 B1 KR 101312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achine
bar
main frame
cutt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715A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10008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5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53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aw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팅기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개의 가로바아(22)에 복수개의 세로바아(24)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20)과, 상기 메인 프레임(20)을 수평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60A,60B)와, 수평 방향의 서포팅부(32) 양단부에 직립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직립부(34)에는 수평 방향의 거치편(36)을 갖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와,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상기 거치편(36)이 걸쳐져서 컷팅기(40)를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장착하기 위한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컷팅기 작업대{Work talbe for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컷팅기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컷팅기를 손쉽고 신속하게 달아서 사용할 수 있고, 절단 작업 후에는 컷팅기를 다시 떼어내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으므로, 절단 작업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취급성이 우수하며, 피절단물 절단 작업시에는 피절단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강하게 잡아주는 구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피절단물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보조적으로 받쳐주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절단 작업 신뢰성 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컷팅기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 환봉이나 각 파이프 등은 각종 물품을 만들기 위하여 컷팅기를 이용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며, 목재 패널은 가구와 같은 여러 가지 물품 제작을 위해 역시 적절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건물의 천정과 벽체 사이의 장식이나 마감 또는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체 사이의 장식이나 마감을 위하여 합성수지재 또는 MDF와 같은 재질로 된 몰딩재도 필요 개소에 설치하기 위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피절단물의 컷팅을 위해서는 컷팅기 몸체에 고속회전하는 원형의 컷팅날을 장착한 구조의 컷팅기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고려해야 될 것은 컷팅은 손쉽고 신속하면서도 현장 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하냐의 여부이다. 다시 말해, 필요한 경우에 컷팅기를 신속 용이하게 장착하여 피절단물의 절단 작업을 시행할 수 있고, 피절단물 절단 작업 완료 후에는 컷팅기를 다시 분리하여 취급성 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컷팅기 작업대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피절단물의 컷팅기에 의해 절단할 때에 가급적 심플한 구조에 의해 피절단물을 강하게 잡아줌으로써 절단 작업의 신뢰성 등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며, 피절단물이 길 경우에는 피절단물이 아래로 처질 우려가 있으므로, 피절단물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받쳐줄 수 있는 수단도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다양한 피절단물의 길이를 셋팅하는 기구를 달아서 피절단물을 필요한 길이로 손쉬우면서도 신속하게 컷팅할 수 있으면 작업성 등의 여러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에 컷팅기 장착 서포터를 이용하여 컷팅기를 달아주고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신속 용이하게 컷팅기를 달아서 절단 작업하고, 절단 작업 완료 이후에는 컷팅기를 다시 떼어내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시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취급성이 우수하며, 피절단물 절단 작업 수행중에는 피절단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구성은 물론 피절단물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보조적으로 받쳐주는 구성도 아울러 가지고 있으므로, 절단 작업 신뢰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컷팅기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절단물의 길이를 셋팅할 수 있는 기구를 달아줌으로써 금속재 파이프나 몰딩재 또는 목재 패널과 같은 다양한 피절단물의 길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측정할 필요없이 길이 셋팅 기구를 이용하여 피절단물의 길이를 쉽게 맞추어서 컷팅할 수 있으므로 컷팅 작업이 보다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컷팅기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가로바아(22)에 복수개의 세로바아(24)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20)과, 상기 메인 프레임(20)을 수평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60A,60B)와, 수평 방향의 서포팅부(32) 양단부에 직립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직립부(34)에는 수평 방향의 거치편(36)을 갖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와,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상기 거치편(36)이 걸쳐져서 컷팅기(40)를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장착하기 위한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에 컷팅기 장착 서포터를 이용하여 컷팅기를 편리하게 장착하여 피절단물의 절단 작업을 수행하고, 절단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를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컷팅기를 떼어내거나 컷팅기 장착 서포터에서 컷팅기를 분리하여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면 되므로, 필요한 때에 언제든지 컷팅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된 컷팅기 장착 서포터를 매개로 컷팅기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컷팅기 사용 후에는 컷팅기를 메인 프레임에서 분해한 다음, 메인 프레임의 레그를 힌지장치를 매개로 메인 프레임 안쪽으로 접어서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만들어 줄 수 있으므로, 절단 작업이 필요한 현장에서 컷팅기를 신속 용이하게 달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컷팅기의 용이한 탈부착에 의해 각종 현장에서의 사용상 편리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컷팅기를 지지하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에 별도의 보강비드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컷팅기 장착 서포터 위에 장착된 컷팅기의 하중에 의해 컷팅기를 받쳐주는 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컷팅기의 처짐으로 인해 절단 작업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절단 작업 신뢰성을 보다 높여주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과 컷팅기의 턴테이블 위에 피절단물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피절단물의 셋터와 접촉되는 단부와 반대되는 부분을 보조 연장바아에 결합된 결합블록 위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지면에 하단부가 지지된 보조 레그에 의해 받쳐서 지지함으로써 피절단물이 아래로 처지거나 하는 등의 경우가 생기지 않으므로, 피절단물의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경우에도 절단 작업의 편리성과 안정성 등을 보장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조 레그는 하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바아에 의해 자체의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보조 레그가 지지되는 지면의 높이가 위치에 따라서 균일하지 않더라도 보조 레그 하단부의 승강바아를 인출 또는 수납시켜서 보조 레그의 자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절단물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추어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피절단물의 절단 작업 용이성도 더욱 높이고 절단 정밀도 역시 더욱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필요시에는 컷팅기가 장착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미터 바아와 셋터를 설치하여, 현장 절단 작업시에 작업자가 일일이 피절단물의 길이를 맞출 필요 없이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미터 바아와 셋터를 이용하여 피절단물의 절단 길이를 미리 맞추어 놓은 다음, 메인 프레임 위에 피절단물을 올려서 셋터에 피절단물의 일단부를 맞추어서 컷팅 작업만 수행하면 자동적으로 다량의 피절단물을 원하는 길이에 맞게 절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절단물의 길이를 맞추어 컷팅하는 작업이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컷팅기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에 컷팅기를 장착하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의 상면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의 일측부와 컷팅기 장착 서포터의 일부 확대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레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 레그의 사용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미터 바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일측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타측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일측부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도 1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몰딩재를 절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컷팅기 작업대의 사시도
도 20은 19에 도시된 컷팅기 작업대의 메인 프레임 길이를 늘려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컷팅기 작업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컷팅기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에 컷팅기를 장착하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의 상면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의 일측부와 컷팅기 장착 서포터의 일부 확대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레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조 레그의 사용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보조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메인 프레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미터 바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일측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타측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일측부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도 1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몰딩재를 절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에 복수개의 세로바아(24)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20)과,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을 수평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60A,60B)와, 수평 방향의 서포팅부(32)의 양단부에 직립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직립부(34)의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의 거치편(36)을 갖도록 구성된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와, 메인 프레임(20)에 거치편(36)이 걸쳐져서 컷팅기(40)를 메인 프레(20)에 장착 지지하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셋팅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컷팅기 작업대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전후 두 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에 복수개의 세로바아(24)가 접합된 대략 직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가로바아(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바아(22)는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로바아(22)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단면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메인 프레임(20)은 컷팅기(40)의 컷팅날(44)의 절단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와, 이러한 가로바아(22)의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세로바아(24)에 의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부 상면에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매개로 컷팅기(40)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는 서포팅부(32)의 양단부에 직립부(34)가 구비되고, 직립부(34)의 상단부에는 서포팅부(32)와 나란한 거치편(36)을 갖는 구조이다. 서포팅부(32)의 전후단부에는 컷팅기(40)의 하중을 받쳐주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비드(32a)가 구비된다.
상기 컷팅기(40)는 구동모터(42)를 갖는 컷팅기 본체가 구비되고, 컷팅기 본체에는 구동모터(42)의 회전축에 축결합된 원형 칼날 구조의 컷팅날(44)이 구비되고, 상기 컷팅기 본체는 베이스(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턴테이블(48) 상면에 구비되고, 베이스(46) 상면에는 받침부(41)가 구비되며, 받침부(41)에는 컷팅기(40)의 컷팅날(44)이 진입하는 슬롯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컷팅기(40)의 베이스(46) 부분이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 위에 얹혀져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메인 프레임(20)의 일측부 상면 위치에 컷팅기(40)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컷팅기(40)는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 위에 컷팅기(40)의 베이스(46)를 얹어서 볼트(360)를 베이스(46)에 형성된 통공(46a)을 관통시켜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에 형성된 체결공(32h)에 끼운 다음, 너트블록(362)에 인서트되어 있는 금속재 너트(364)를 조여줌으로써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에 컷팅기(40)를 고정한다.
이때, 컷팅기(40)를 컷팅기 장착 서포트(30)에 고정하기 위해 조여주는 수단으로 너트블록(362)과 이에 인서트된 금속재 너트(364)를 채용함으로써 컷팅기(40)를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에 고정하는 과정은 보다 쉽고 컷팅기(40)의 지지 구조는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컷팅기(40)를 이용한 절단 작업시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메인 프레임(20)에 걸쳐 놓은 상태에서 컷팅기(40)를 서포팅부(32) 위에 올려놓고 체결공(32h)과 컷팅기(40)의 베이스(46)의 통공(46a)에 볼트(360)를 관통시켜 결합하고,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 아래에서 상기 너트블록(362)의 인서트 너트(364)를 볼트(360)에 조여주는 방식으로 메인 프레임(20)에 컷팅기(40)를 장착하는 것이 설치상의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각 직립부(34)에 구비된 거치편(36)을 메인 프레임(20)의 일측부 위치에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 한 쌍의 세로바아(24) 위에 걸쳐놓고 상기 거치편(36)에 형성된 체결공(36a)을 통과한 볼트(31a 및 301)을 각각의 세로바아(24)에 인서트된 너트(332)에 조여줌으로써 메인 프레임(20)의 일측부 위치에 컷팅기(40)를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매개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는 전후단 위치에 강도 보강을 위하여 폴딩한 형태의 보강비드(32a)가 구비됨으로써, 컷팅기(40)의 하중을 보다 확실하게 견디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가 컷팅기(40)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휘어지지 않도록 보강비드(32a)가 강하게 지지하므로, 컷팅기(40)가 정위치에서 아래로 처지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 것이다.
이때, 컷팅기(40)를 지지한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양측 직립부(34)에 구비된 좌우 양측의 거치편(36) 중에서 한쪽 거치편(36)에 결합되는 볼트(31)와 다른 거치편(36)에 결합되는 볼트(301)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일측 거치편(36)에 형성된 체결공(36a)을 관통하여 메인 프레임(20), 구체적으로,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세로바아(24) 중에서 하나의 세로바아(24)의 인서트 너트(332)에 체결되는 제1볼트(31)와,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타측 거치편(36)에 형성된 체결공(36a)을 관통하여 다른 세로바아(24)의 인서트 너트(332)에 체결되는 제2볼트(301)로 구성되어, 이러한 제1볼트(31)와 제2볼트(301) 및 인서트 너트(332)에 의해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매개로 컷팅기(40)를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상면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부호 31a와 301a는 각각 볼트(31 및 301)를 돌리기 용이하도록 손을 잡고 돌릴 수 있는 레버블록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 프레임(20)의 각 세로바아(24)에는 금속제의 인서트 너트(3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인서트 너트(332)에 볼트(31 및 301)를 체결함으로써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와 컷팅기(40)를 보다 안정적으로 메인 프레임(2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컷팅기(40)는 메인 프레임(20)에서 상향으로 직립 연장된 받침부(41)가 구비되고, 이러한 받침부(41)에는 컷팅기(40)의 컷팅날(44)이 진입하는 슬릿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에는 컷팅기(40)의 받침부(41)와 마주하는 위치에 전후진 가능하게 그립핑 푸셔(50)가 구비되어, 컷팅기(40)의 받침부(41)에 그립핑 푸셔(50)에 의해 피절단물(1)을 가압하여 고정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그립핑 푸셔(50)는 컷팅기(40)의 받침부(41)와 마주하도록 메인 프레임(20)에 고정판(53)과 체결구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고정관체(52)와, 이러한 고정관체(5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컷팅기(40)의 받침부(41)와 마주하는 방향에서 전후진 작동되는 그립핑 관체(54)와, 이러한 그립핑 관체(5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55)를 갖는 구조이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는 메인 프레임(20)의 세로바아(24)에 인서트된 너트(152)와 고정판(53)의 구멍을 관통하여 너트(152)에 체결되는 볼트(150)로 이루어져서, 그립핑 푸셔(50)의 설치는 비교적 용이하고 그립핑 푸셔(50)의 고정 구조상의 강도는 보다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립핑 관체(54)의 선단부에는 피절단물(1)에 접촉되는 가압편(54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볼트(55)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레버 블록(55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좌우 양측 위치에는 힌지기구(69)를 매개로 두 개의 레그(60A,60B)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레그(60A,60B)는 두 개의 나란한 종바아(61)에 복수개의 횡바아(63)가 결합된 사다리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힌지기구(69)는 축부재를 중심으로 한 쌍의 회동편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이러한 힌지기구(69)의 각 회동편이 레그(60A,60B)와 메인 프레임(20)에 각각 결합되어, 두 개의 레그(60A,60B)가 메인 프레임(20)의 전후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힌지기구(69)에 의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20)의 두 개의 가로바아(22)는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가로바아(22)의 컷팅기(40)와 인접된 일단부측 내부에는 힌지기구(69)의 한 쪽 회동편이 끼워지고, 이러한 힌지기구(69)의 다른 쪽 회동편은 레그(60A,60B)를 구성하는 종바아(61)의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메인 프레임(20)의 일측부 위치(즉, 컷팅기(40)가 장착된 일측부 위치)에 한 개의 레그(60B)가 구비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20)의 두 개의 가로바아(22) 저면에는 결합블록(21)(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대략 단면 사각 블록 형태)이 구비되고, 이러한 가로바아(22) 저면의 결합블록(21)에 힌지기구(69)의 한 쪽 회동편이 끼워지고, 다른 레그(60A)의 종바아(63) 상단부에는 힌지기구(69)의 다른 쪽 회동편이 끼워짐으로써 메인 프레임(20)의 타측부 위치에 다른 레그(60A)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된 각 레그(60A,60B)는 힌지기구(69)(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각 회동편)에 의해 메인 프레임(20)의 밑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 중에서 하나의 가로바아(22)에는 컷팅기(40)가 장착된 일측 방향과 반대되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미터 바아(7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미터 바아(70)는 바깥면(즉,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 바깥면과 마주하는 안쪽면과 반대되는 면)이 개방된 단면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미터 바아(70)의 상면에는 피절단물(1)의 길이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또한, 미터 바아(70)의 안쪽면에는 대경부(71)와 소경부(72)로 이루어진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결구 결합홀은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에 구비된 체결홀(미도시)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형태의 체결구(72)를 미터 바아(70)의 바깥면 개구부를 통해 삽입하여 체결구 결합홀의 대경홀(71)과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의 체결홀에 예비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미터 바아(70)를 밀어서 상기 체결구 결합홀의 소경홀(72)을 체결구(73)의 헤드부(73a)에 만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구(73)를 가로바아(22)의 체결홀에 완전히 조여주면 체결구(73)의 헤드부(73a) 직경이 체결구 결합홀의 소경부(72) 직경보다 크므로 체결구(73)의 헤드부(73a)가 미터 바아(70)를 잡아주는 방식으로 메인 프레임(20)의 한 쪽 가로바아(22)와 나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터 바아(70)를 메인 프레임(20)의 한 쪽 가로바아(22)와 나란하게 설치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터 바아(70)의 영점 기준점(즉, 숫자 0으로 표시된 눈금)이 컷팅기(40)의 받침편(41) 일끝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이러한 미터 바아(70)의 영점 기준점과 컷팅기(40)의 컷터날(44)과의 거리가 25mm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컷팅기(40)의 컷터날(44)과 미터 바아(70)의 영점 눈금 사이의 거리가 25mm가 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얹혀진 피절단물(1)의 길이를 미터 바아(70)의 설정치(눈금에 맞춘 값)에 대응하도록 피절단물(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셋터(80)가 구비된다. 이러한 셋터(80)는 미터 바아(70)와 보조바아(93) 위에 얹혀지는 서포팅부(32)와, 이 서포팅부(32)에서 상향으로 직각 연장된 셋팅 서포팅부(32)로 구성된다. 또한, 셋터(80)는 일측단에 구비된 록커(90)를 매개로 미터 바아(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셋터(80)의 전면(즉, 컷팅기(40)와 피절단물(1)의 단부를 향하는 면)에는 보조 패널(81)이 볼트 등의 고정구를 매개로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절단물(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셋터(80)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커(90)가 구비된다. 미터 바아(70)에는 바깥면의 개구부에 의해 록커(9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다.
상기 록커(90)는 레버(9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고 레버(91)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킹 상태로 절환되는 구조를 갖다. 즉, 록커(90)의 록킹 작동부는 미터 바아(70)의 바깥면 개구부를 통해 미터 바아(70)의 내부에 수용되어 레버(91)의 회동 작동에 따라 록킹 또는 록킹 해제 상태로 절환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록커(90)의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일측 위치에 컷팅기(40)가 탑재되는 메인 프레임(20)의 좌우 양측 위치에 각각 한 쌍의 레그(60A,60B)가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20)의 타측 위치에는 미터 바아(70)와 셋터(80) 및 이러한 셋터(80)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커(90)가 구비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미터 바아(70)와 나란하도록 메인 프레임(20)의 다른 가로바아(22)에는 보조바아(93)(도 1 참조)가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보조바아(93)가 다른 가로바아(22)의 내부, 다시 말해, 미터 바아(70)가 결합되어 있는 않는 다른 가로바아(22)의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미터 바아(70)와 나란한 보조바아(93)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바아(93)는 미터 바아(70)에 일단부측이 결합된 셋터(80)의 타단부측 저면을 받쳐주어 셋터(8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셋터(80)가 미터 바아(70)에서 아래로 처지면 안되므로 보조바아(93)가 셋터(80)를 밑에서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바아(9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에는 고정볼트(도 1에 도시됨)가 구비되어, 고정볼트를 조여줌에 따라 보조바아(93)를 가로바아(22)에 가압 고정하게 된다. 즉, 보조바아(93)가 가로바아(22)에서 인출되거나 수납된 상태를 고정볼트가 유지하는 것이다. 이 고정볼트에는 손으로 돌리기 용이하도록 레버 블록(93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바아(93)는 가로바아(22)에 수용되는 단부에 걸림편(93b)이 구비되고, 가로바아(22)의 내부에는 걸림블록(221)이 더 구비되어, 보조바아(93)의 걸림편(93b)이 가로바아(22) 내부의 걸림블록(221)에 걸려지는 스톱핑 역할을 하므로, 보조바아(93)가 가로바아(22)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컷팅기(40)의 컷팅날(44)의 절단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에 복수개의 가로바아(22)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로바아(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바아(22)에는 미터 바아(70)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출되는 보조 프레임(110)이 구비되고, 보조 프레임(110)은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연장바아(112)가 구비되며, 보조 연장바아(112)에는 도 11에 도시된 보조 레그(12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110)은 가로바아(22)에 고정된 가이드 관체(26)(도 12에 도시됨)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관체(26)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고, 보조 프레임(110)도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프레임(110)은 가이드 관체(26)를 따라 가로바아(22)의 길이 방향으로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 프레임(110)에는 직교하는 방향(즉, 가로바아(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 연장바아(112)가 구비되어, 메인 프레임(20)의 상측에서 볼 때에 보조 프레임(110)과 보조 연장바아(112)가 기역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가이드 관체(26)와 보조 프레임(110)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은 보조 프레임(110)과 보조 연장바아(112) 및 보조 레그(122)가 메인 프레임(20)에서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9는 보조 프레임(110)이 메인 프레임(20)의 가이드 관체(26)에 완전 수납되어 보조 연장바아(112) 및 보조 레그(122)가 메인 프레임(20)에 콤팩트하게 근접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중간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판스프링(2a,2b) 중에서 하나의 판스프링(2b)에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의 걸림볼(2c)을 갖는 형상의 록킹 스프링(2)이 내장되고, 록킹 스프링(2)의 걸림볼(2c)은 보조 프레임(110)의 구멍(110h)과 가이드 관체(26)의 구멍(26h)에 동시에 걸려짐으로써, 보조 프레임(110)과 보조 연장바아(112)가 완전히 메인 프레임(2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110)을 가이드 관체(26) 안으로 밀어넣어서 보조 연장바아(112) 및 보조 레그(122)가 메인 프레임(20)에 콤팩트하게 근접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관체(26)의 안쪽면 위치에 구비된 고정볼트를 조여서 보조 프레임(110)을 가압함으로써 보조 프레임(110)을 가이드 관체(26)에서 인출하거나 가이드 관체(26) 내부로 수납한 상태를 더욱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 레그(120)의 상단부에는 보조 프레임(110)과 직교하는 보조 연장바아(112)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블록(122)이 구비되고, 이러한 결합블록(122)은 고정볼트(124)에 의해 보조 연장바아(112)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부호 124a는 손으로 잡아서 돌리기 용이하도록 하는 레버 블록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블록(122)을 보조 연장바아(112)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보조 레그(120)를 메인 프레임(20)의 가로 바아(22) 사이의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보조 레그(120)를 적정 위치에 이동시킨 다음에 고정볼트(124)를 조여주면 고정볼트(124)가 보조 연장바아(112)에 가압됨으로써 보조 레그(120)를 제위치에 더욱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보조 레그(120)의 하단부에는 승강바아(126)가 더 구비되어, 이러한 보조 레그(120)의 상하 길이를 승강바아(126)에 의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승강바아(126)를 보조 레그(120)에 대해 상대 승강시켜서 고정볼트(124)를 조여주면 고정볼트(124)가 보조 레그(120)에 가압되면서 승강바아(126)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보조 레그(120)의 상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게 된다. 부호 127a는 손으로 잡아 돌리기 위한 레버 블록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위치에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이용하여 컷팅기(40)를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에 컷팅기(40)를 미리 결합하여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메인 프레임(20)에 고정할 수도 있고,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미리 메인 프레임(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컷팅기(40)를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에 올려서 고정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에 신속 용이하게 컷팅기(4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 위에 컷팅기(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컷팅기(40)의 턴테이블(48) 위에 절단이 필요한 피절단물(1)(예를 들어, 건축용 몰딩재나 환봉 또는 파이프 등)을 올려놓는다.
상기 피절단물(1)의 절단 길이를 셋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에 미터 바아(7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컷팅기(40)가 장착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미터 바아(70)를 설치하고, 이러한 미터 바아(70)에 록커(90)를 매개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셋터(80)를 전후진시켜서 피절단물(1)의 절단 길이를 설정한다. 물론, 셋터(80)의 전후진 작동시에는 록커(90)의 레버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록킹 해제된 상태임은 당연하다. 이처럼 미터 바아(70)의 상면 눈금에 맞추어 셋터(80)를 이동시킴으로써 피절단물(1)의 길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셋터(80)를 미터 바아(70)를 따라 전후진시켜서 피절단물(1)의 길이에 맞게 셋터(80)의 위치를 잡은 다음, 록커(90)의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시켜 록킹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셋터(80)를 설정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다음으로, 컷팅기(40)의 턴테이블(48)과 메인 프레임(20) 위에 올려진 피절단물(1)을 셋터(80) 방향으로 전진시켜 피절단물(1)의 단부를 셋터(80)에 맞닿도록 하면 피절단물(1)의 절단 길이가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 컷팅기(40)의 컷팅날(44)의 위치에서 셋터(80) 사이의 거리가 1m로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피절단물(1)의 단부를 셋터(80)에 접촉시키면 피절단물(1)의 절단될 길이가 1m로 자동적으로 맞춰지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컷팅기(40)의 원형 컷팅날(44)에 의해 피절단물(1)을 절단하면 피절단물(1)이 1m 길이로 절단되는 것이다. 물론, 피절단물(1)의 길이를 1m보다 길게 하거나 1m보다 작게 하려면 상기와 같이 셋터(8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킨 다음 록커(90)를 조작하여 셋터(80)를 그러한 위치에 맞춰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20)에 고정된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매개로 컷팅기(40)를 분리하고 메인 프레임(20)의 레그(60A,60B)를 힌지기구(69)를 매개로 메인 프레임(20) 안쪽으로 접어서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만든 다음, 절단 작업이 필요한 현장에 신속 용이하게 가지고 가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요한 것은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이용하여 컷팅기(40)를 본 발명의 컷팅기 작업대,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20)에 편리하게 장착하여 피절단물의 절단 작업을 수행하고, 절단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메인 프레임(20)에서 분리함으로써 컷팅기(4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현장에서 얼마든지 컷팅기(40)를 신속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자체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접어서 사용 현장에 직접 들고가서 컷팅기(40)를 손쉽게 장착하여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미터 바아(70)를 달아서 다양한 피절단물(1)을 필요한 길이로 컷팅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성 컷팅기 작업대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미터 바아(70)와 셋터(80)를 달아서 사용하는 경우, 현장 작업시에 작업자가 일일이 자를 이용하여 피절단물(1)의 길이를 맞출 필요 없이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 미터 바아(70)와 셋터(80)를 컷팅기(40)가 장착된 위치의 반대 위치에 달아서 피절단물(1)의 절단 길이를 맞추어 놓은 다음, 작업자가 메인 프레임(20) 위에 피절단물(1)을 올려서 셋터(80)에 피절단물(1)의 일단부를 맞닿도록 하여서 컷팅기(40)의 컷팅날(44)에 의해 절단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다량의 피절단물(1)이 원하는 길이에 맞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피절단물(1)의 컷팅 작업은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현장 작업성 등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메인 프레임(20)은 컷팅기(40)의 컷팅날(44)의 절단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에 복수개의 세로바아(24)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로바아(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바아(22)에는 미터 바아(70)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관체(26)가 구비되고, 이러한 가로바아(22)에 고정된 가이드 관체(26)에 파이프 형상의 보조 프레임(110)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조 프레임(110)은 메인 프레임(20)의 가로바아(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연장바아(112)가 구비되며, 보조 연장바아(112)에는 보조 레그(120) 상단부의 결합블록(12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블록(122)은 고정볼트(124)에 의해 보조 연장바아(112)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20)과 컷팅기(40)의 턴테이블(48) 위에 피절단물(1)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피절단물(1)의 셋터(80)와 접촉되는 단부와 반대되는 부분을 보조 연장바아(112)에 결합된 결합블록(122) 위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지면에 하단부가 지지된 보조 레그(120)에 의해 받쳐서 지지함으로써 피절단물(1)을 컷팅기(40)에 의해 절단 작업할 때에 피절단물(1)이 아래로 처지거나 하는 등의 경우가 생기지 않으므로, 절단 작업시의 편리성과 안정성 등을 보다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레그(120)는 하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바아(126)에 의해 자체의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보조 레그(120)가 지지되는 지면의 높이가 위치에 따라서 균일하지 않더라도 보조 레그(120) 하단부의 승강바아(126)를 인출하거나 상대적으로 더 수납시켜서 고정볼트(127)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보조 레그(120)의 자체 길이와 이에 상응하여 결합블록(122)의 상면 높이를 컷팅기(40)의 턴테이블(48) 높이 및 메인 프레임(20)의 높이와 균일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피절단물(1)의 절단 작업 용이성도 더욱 높이고 절단 정밀도 역시 더욱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피절단물의 하나인 몰딩재(1)를 절단할 때에 그립핑 푸셔(50)를 이용하여 몰딩재(1)의 절단면을 경사진 각도(대략 45° 각도)로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몰딩재(1)의 경우 배면 상하단이 45° 각도로 절취되어 있어서, 이러한 몰딩재(1)를 경사진 상태(즉, 비스듬한 상태)로 고정해 놓고 절단해야 몰딩재(1)의 절단면을 경사진 45° 각도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컷팅기(40)의 받침부(41)와 마주하는 위치에 그립핑 푸셔(50)가 구비되어 있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재(1) 배면 상하단의 45°면 부분을 각각 컷팅기(40)의 받침부(41)와 베이스(48) 위에 지지한 상태에서 그립핑 푸셔(50)의 그립핑 관체(54)에 의해 몰딩재(1)의 하측부를 지지함으로써 몰딩재(1)를 경사진 45° 각도로 세워놓은 상태에서 몰딩재(1)를 절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몰딩재(1)의 절단면이 45° 각도로 나오도록 절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컷팅기 작업대의 사시도, 도 20은 19에 도시된 컷팅기 작업대의 메인 프레임 길이를 늘려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컷팅기 작업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0)은 컷팅기(40)의 컷팅날(44)의 절단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와, 이러한 가로바아(22)에 연결된 복수개의 세로바아(24)에 의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로바아(22)는 적어도 두 개 유닛의 상대 슬라이드 가능한 가로바아(22S)군으로 구성된다. 즉, 가로바아(22)는 텔리스코프식으로 복수개의 바아(22,22S)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가로바아(22)에는 복수개의 세로바아(2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바아(22) 그룹 중에서 최끝단 한 쌍의 가로바아(22)에 각각 레그(60A,60B)가 각각 구비되며, 축부재를 중심으로 한 쌍의 회동편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기구(69)의 각 회동편은 레그(60A,60B)와 메인 프레임(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레그(60A,60B)가 메인 프레임(20)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메인 프레임(20)이 양측 방향의 폭을 보다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피절단물(1)의 절단시에는 메인 프레임(20)의 양측 방향 길이를 최대한 늘려줌으로써 절단 길이 범위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절첩시에는 메인 프레임(20)의 양측 방향의 폭을 최대한 줄여서 최대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절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피절단물(1)의 절단 길이 범위는 최대화시켜서 절단 작업성 등을 극대화시키면서도 최대한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줄 수 있어서 이동시에 있어서의 편리성 등은 최대한 높여주는 바람직한 효과를 낳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0. 메인 프레임 30. 컷팅기 장착 서포터
42. 구동모터 44. 컷팅날
50. 그립핑 푸셔 60A,60B. 레그
70. 미터 바아 80. 셋터
90. 록커

Claims (16)

  1. 컷팅기(40)의 컷팅날(44)의 절단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에 복수개의 세로바아(2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20)과;
    상기 메인 프레임(20)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60A,60B)와;
    서포팅부(32)의 양단부에 직립부(34)가 구비되고 상기 직립부(34)에는 각각 거치편(36)을 구비하여, 상기 서포팅부(32)는 상기 컷팅기(40)가 장착되고 상기 거치편(36)은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기 복수개의 세로 바아(24)에 걸쳐져 설치되는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와;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기 세로 바아(24)에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상기 거치편(36)을 걸쳐진 상태로 고정하여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와 상기 컷팅기(40)를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셋팅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기 가로바아(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바아(22)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 관체(26)와;
    상기 가이드 관체(2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보조 프레임(110)과;
    상기 보조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기 가로바아(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연장바아(112)와;
    상기 보조 연장바아(112)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블록(122)과;
    상기 결합블록(122)에 구비된 보조 레그(120)와;
    상기 결합블록(122)을 상기 보조 연장바아(112)에 고정하여 상기 보조 레그(12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상기 서포팅부(32)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컷팅기(40)의 하중을 받쳐주는 힘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비드(3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에는 상기 컷팅기(40)의 받침부(41)와 마주하는 위치에 전후진 가능하게 그립핑 푸셔(50)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핑 푸셔(50)는 상기 컷팅기(40)의 상기 받침부(41)와 마주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설치된 고정관체(52)와, 상기 고정관체(52)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컷팅기(40)의 상기 받침부(41)와 마주하는 방향에서 전후진 작동되는 그립핑 관체(54)와, 상기 그립핑 관체(5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55)를 포함하며, 상기 컷팅기(40)에 구비된 받침부(41)와 상기 그립핑 푸셔(50)의 상기 그립핑 관체(54)에 의해 피절단물(1)을 가압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컷팅기(40)의 상기 받침부(41)에 구비된 슬릿으로 컷팅날(44)이 진입하여 상기 피절단물(1)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인서트된 너트(152)와, 상기 고정관체(52)에 구비된 고정판(53)의 구멍을 관통하여 너트(152)에 체결되는 볼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중간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판스프링(2a,2b) 중에서 하나의 판스프링(2b)에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의 걸림볼(2c)을 갖는 형상의 록킹 스프링(2)이 내장되고, 상기 록킹 스프링(2)의 걸림볼(2c)은 보조 프레임(110)의 구멍(110h)과 가이드 관체(26)의 구멍(26h)에 동시에 걸려져서 스톱퍼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그(120)의 하단부에는 승강바아(126)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조 레그(120)의 상하 길이를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상기 컷팅기(40)의 컷팅날(44)의 절단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두 개의 나란한 가로바아(22)와, 상기 가로바아(22)에 연결된 세로바아(24)에 의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바아(22)는 적어도 두 개의 상대 슬라이드 가능한 바아(22,22S) 그룹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바아(22,22S) 그룹 중에서 최끝단 한 쌍의 가로바아(22)에 상기 레그(60A,60B)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레그(60A,60B)는 축부재를 중심으로 한 쌍의 회동편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기구(69)의 각 회동편 중에서 한 쪽의 회동편에 결합되고 다른 회동편은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상기 레그(60A,60B)가 상기 힌지기구(69)를 중심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타측 위치에 수평 배치되어 상기 컷팅기(40)의 컷팅날(44)에 의해 절단되는 피절단물(1)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미터 바아(70)와,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얹혀진 피절단물(1)의 길이를 상기 미터 바아(70)의 설정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피절단물(1)의 일단부를 지지하여 피절단물(1)이 정해진 길이로 절단되도록 지지하는 셋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기 가로바아(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로바아(22)에는 상기 컷팅기(40)가 장착된 일측 방향과 반대되는 타측 방향에 상기 미터 바아(70)가 결합되고, 상기 미터 바아(7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셋터(80)가 구비되며, 상기 미터 바아(70)와 나란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다른 가로바아(22)에는 보조바아(93)가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아(9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기 가로바아(22)에는 고정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바아(93)를 상기 가로바아(22)에 가압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에 결합되는 볼트(31,301)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인서트된 너트(332)에 체결되어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를 매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컷팅기(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 위에 얹혀진 컷팅기(40)의 베이스(46)와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서포팅부(32)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360)와, 상기 컷팅기 장착 서포터(30)의 상기 서포팅부(32) 저면에서 상기 볼트(360)에 결합되는 금속재 너트(364)가 구비된 너트블록(36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한 쌍의 가로바아(22) 중에서 미터 바아(70)가 결합되는 가로바아(22)와 나란한 가로바아(22)에는 보조바아(9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바아(93)는 상기 가로바아(22)에 수용되는 단부에 걸림편(93b)이 구비되고, 상기 가로바아(22)의 내부에는 걸림블록(22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팅기 작업대.
KR1020100083093A 2010-08-26 2010-08-26 컷팅기 작업대 KR101312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93A KR101312535B1 (ko) 2010-08-26 2010-08-26 컷팅기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93A KR101312535B1 (ko) 2010-08-26 2010-08-26 컷팅기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15A KR20120019715A (ko) 2012-03-07
KR101312535B1 true KR101312535B1 (ko) 2013-10-14

Family

ID=4612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093A KR101312535B1 (ko) 2010-08-26 2010-08-26 컷팅기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6617A (zh) * 2016-10-21 2017-01-25 钟立朋 一种多功能大理石切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784A (en) * 1977-07-21 1980-02-05 Atlantic Container Corporation Tool table construction
KR840001984Y1 (en) * 1983-03-25 1984-10-06 Dae Yael Ind Machine Co Ltd Multi-purpose work table
KR20060104365A (ko) * 2005-03-30 2006-10-09 이상규 이동식 공구 테이블
KR100795170B1 (ko) * 2006-07-27 2008-01-16 원욱성 슬라이딩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784A (en) * 1977-07-21 1980-02-05 Atlantic Container Corporation Tool table construction
KR840001984Y1 (en) * 1983-03-25 1984-10-06 Dae Yael Ind Machine Co Ltd Multi-purpose work table
KR20060104365A (ko) * 2005-03-30 2006-10-09 이상규 이동식 공구 테이블
KR100795170B1 (ko) * 2006-07-27 2008-01-16 원욱성 슬라이딩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6617A (zh) * 2016-10-21 2017-01-25 钟立朋 一种多功能大理石切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15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82801B (zh) 工作台
US8418591B2 (en) Power table saw with extension table
EP2767369B1 (en) Work bench frame
US20100001450A1 (en) Workbench with saw horse
US20110198477A1 (en) Machine Stand
EP2103397B1 (en) Fold out sawhorse with pivotable, cantilevered support members
US20040250901A1 (en) Collapsible stand
US20100139809A1 (en) Tool support structure with adjustable end assembly
US20110227271A1 (en) Height-adjustable out-feed table for table saw
US20060266189A1 (en) Saw blade angular adjustment device for a metal and wood cutting machine
EP3291949B1 (en) Workbench support system
KR101312535B1 (ko) 컷팅기 작업대
CN201291480Y (zh) 工作台的快速夹紧系统
NZ531574A (en) table with platforms projecting from at least three sides, each being adjustable longitudinally and vertically
GB2470454A (en) Work bench assembly
KR20110008510U (ko) 작업대용 스토퍼
US7147083B1 (en) Support apparatus
CN101664942B (zh) 工作台的快速夹紧系统
KR20180125203A (ko) 수직거치형 패널재단기
CN201572934U (zh) 辅助支撑装置及应用该辅助支撑装置的钻床
CN201264270Y (zh) 工作台
EP1574298A1 (en) Worksite support table
EP2301701B1 (en) Manual tile cutter for large sized tiles and accessory thereof
KR20100095711A (ko) 다목적 판재 가공장치
CA2492948A1 (en) Foldable work 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