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047B1 -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 Google Patents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047B1
KR101312047B1 KR1020120014082A KR20120014082A KR101312047B1 KR 101312047 B1 KR101312047 B1 KR 101312047B1 KR 1020120014082 A KR1020120014082 A KR 1020120014082A KR 20120014082 A KR20120014082 A KR 20120014082A KR 101312047 B1 KR101312047 B1 KR 10131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heat
head pipe
cooling tow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676A (ko
Inventor
허주현
Original Assignee
(주)에코타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타워 filed Critical (주)에코타워
Priority to KR102012001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0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precipitation or mist formation, outside th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3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와 열교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백연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영역과 급기영역 및 배기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배기영역과 면하게 케이싱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구비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배기구 측부에 설치되어 구성하는 흡입팬부와, 상기 급기영역과 면하게 상기 케이싱의 상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급기구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개방식 열교환부, 밀폐식 열교환부 또는, 하이브리드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살수부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케이싱 하부에 배치되며 냉각탑 기초에 고정되는 집수조를 갖는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배기구 상부로 토출안내부가 더 연장되어 상기 토출안내부 상단부에 백연절감장치가 설치하되, 상기 백연절감장치는 일측에 헤드파이프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파이프의 외주면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측이 헤드파이프로 내통된 다수의 히트파이프가 사행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전열핀이 설치되고, 상기 헤드파이프 일측단 내부로 가열식 히터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Description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Equipment of plume abatement using forced heating of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와 열교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백연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기와 같은 열교환기나 공기조화설비에는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콘덴서로부터 보내진 온수의 열을 냉각하여 저온의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재순환 공급하기 위한 냉각탑이 제공된다.
이러한, 냉각탑은 열교환 방식에 따라 향류형(counter flow type), 직교류형(cross flow type) 및 하이브리드형(hybrid type)으로 대별된다. 상기 향류형 냉각탑은 흘러내리는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서로 역방향으로 마주치면서 고온의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직교류형 냉각탑은 흘러내리는 고온의 냉각수와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직교하도록 교차하면서 고온의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하는 방식이고, 하이브리드형은 직교류형과 향류형을 복합시킨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냉각탑은 고온이 된 냉각수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와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온의 냉각수를 공기에 의하여 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대기속에서 고온의 냉각수를 분무하거나 물방울 지어 떨어지게 하고 자연 송풍 또는 송풍기 등에 의해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고온의 냉각수의 열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는 냉각탑의 외부로 방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종래의 냉각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는 냉각탑 외부의 주변 공기보다 고온 다습한 공기로써 냉각탑의 외부로 방출시 냉각탑 외부의 찬 공기와 부딪히면서 과포화된 수증기가 연기처럼 보이는 백연(白煙)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냉각탑의 백연 현상은 냉각탑의 상부에 흰 연기가 나타나는 것을 유해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오인하여 외관상 좋지 못하다.
둘째, 냉각탑의 백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습한 공기가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기전에 별도의 가열장치에 통해 공기의 습도를 감소시켜 백연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으나 냉각탑의 작동과 함께 가열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냉각탑내에 별도의 가열장치가 구비되어 백연 현상을 방지함에 있어 냉각탑내의 가열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기에 냉각탑의 구조가 복잡하며 장비의 이상이 발생될 시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발생된다.
이에, 냉각탑의 백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백연 방지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각수와 열교환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공기의 백연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열교환영역과 급기영역 및 배기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배기영역과 면하게 케이싱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에 구비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배기구 측부에 설치되어 구성하는 흡입팬부와, 상기 급기영역과 면하게 상기 케이싱의 상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급기구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개방식 열교환부, 밀폐식 열교환부 또는, 하이브리드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로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살수부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케이싱 하부에 배치되며 냉각탑 기초에 고정되는 집수조를 갖는 냉각탑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배기구 상부로 토출안내부가 더 연장되어 상기 토출안내부 상단부에 백연절감장치가 설치하되,
상기 백연절감장치는 일측에 헤드파이프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파이프의 외주면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측이 헤드파이프로 내통된 다수의 히트파이프가 사행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히트파이프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전열핀이 설치되고,
상기 헤드파이프 일측단 내부로 가열식 히터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백연절감장치에서 히터부가 형성된 헤드파이프 일측에 헤드파이프 내부와 내통된 열매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열매출구를 통해 헤드파이프 열매가 제1이동파이프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이동파이프 일단에 내통되도록 하부에 연결되는 팽창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팽창탱크의 상부에 내통된 일단의 제2이동파이프를 통해 열매가 이동되어 상기 제2이동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된 순환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열매가 강제 이송되도록 일단의 제3이동파이프가 연결되어 상기 제3이동파이프의 타단이 헤드파이프 타측에 형성되는 헤드파이프와 내통된 열매입구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제공된다.
한편, 상기 팽창탱크 내부에 수용된 열매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팽창탱크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한편, 상기 히터부가 형성된 헤드파이프의 타측단에 과열센서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한편, 상기 히터부, 과열센서, 순환펌프, 수위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하되, 상기 제어부 일측에 외기온도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백연절감장치가 토출안내부 상단부에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열 혹은 공정수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대기로 토출되는 공기를 충분히 가열하지 못하는 기존의 백연절감장치에 비해 본 발명의 백연절감장치는 대기의 온도조건에 따라 적합한 가열조건을 즉, 토출되는 공기와 대기 온도에 의해 발생되는 백연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기 조건에 의해 헤드파이프 내에 유입된 열매의 온도를 빠르게 가열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수분을 빠르게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게 되며, 이에 적은 에너지소모로 극대화된 효율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가 설치된 냉각탑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이 냉각탑 상부 설치된 부분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서 헤드파이프-히트파이프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서 “A”부위의 구조도.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서 “B”부위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서 히트파이프-전열핀 설치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의 동작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에서 제어부의 개략적인 동작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 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영역과 급기영역 및 배기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100)과; 상기 배기영역과 면하게 케이싱(1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110)와, 상기 배기구(110)에 구비되는 흡입팬(121)과 상기 흡입팬(121)을 구동하는 모터(122)가 배기구(110) 측부에 설치되어 구성하는 흡입팬부(120)와, 상기 급기영역과 면하게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급기구(130)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개방식 열교환부, 밀폐식 열교환부 또는, 하이브리드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140)와, 상기 열교환부(14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140)로 살수하는 살수부(150)와, 상기 살수부(150)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160)와, 상기 케이싱(100) 하부에 배치되며 냉각탑(10) 기초에 고정되는 집수조(170)를 갖는 냉각탑(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의 배기구(110) 상부로 토출안내부(111)가 더 연장되어 상기 토출안내부(111) 상단부에 백연절감장치(200)가 설치하되, 상기 백연절감장치(200)는 일측에 헤드파이프(210)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파이프(210)의 외주면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측이 헤드파이프(210)로 내통된 다수의 히트파이프(220)가 사행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히트파이프(22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전열핀(221)이 설치되고, 상기 헤드파이프(210) 일측단 내부로 가열식 히터부(211)가 형성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100)의 배기구(110) 상부로 토출안내부(111)가 더 연장됨에 있어,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서 상부로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흡입팬(121)에 의해 케이싱(100) 내부의 상향으로 빠르게 상승됨에 이렇게 빠르게 상승되는 토출공기의 속도를 완화하는 동시에 체류시간을 연장하도록 케이싱(100) 배기구(110)의 상부로 토출안내부(111)를 더 연장하여 토출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상기 토출안내부(111)로 상승되는 토출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자 상기 토출안내부(111) 상단부에 백연절감장치(2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백연절감장치(200)의 기술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백연절감장치(200)에서 히터부(211)가 형성된 헤드파이프(210) 일측에 헤드파이프(210) 내부와 내통된 열매출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열매출구(212)를 통해 헤드파이프(210) 열매가 제1이동파이프(250a)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이동파이프(250a) 일단에 내통되도록 하부에 연결되며, 상단부에 내부와 내통된 에어홀(232)이 형성된 팽창탱크(230)가 설치되고, 상기 팽창탱크(230)의 상부에 내통된 일단의 제2이동파이프(250b)를 통해 열매가 이동되어 상기 제2이동파이프(250b)의 타단과 연결된 순환펌프(240)가 설치되고, 상기 순환펌프(240)에 의해 열매가 강제 이송되도록 일단의 제3이동파이프(250c)가 연결되어 상기 제3이동파이프(250c)의 타단이 헤드파이프(210) 타측에 형성되는 헤드파이프(210)와 내통된 열매입구(213)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헤드파이프(210) 내에 수용된 열매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헤드파이프(210) 일측단에서 내부로 내통된 가열식 히터부(211)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된 열매는 헤드파이프(210)의 일측에서 내통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히트파이프(220)가 등간격으로 히트파이프(220) 외주면에 다수개 설치되어 히트파이프(220) 내부로 열매가 순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된 열매는 히트파이프(220)를 순환하면서 히트파이프(22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전열핀(221)을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헤드파이프(210)의 히터부(211)에 의해 열매를 가열하여 다수의 히트파이프(220) 내부로 열매를 순화하면서 전열핀(221)을 가열함에 상기 헤드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20) 내부로 상호 순환되는 열매의 가열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거나 적절한 가열온도로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 순환펌프(240)를 통해 열매의 이동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열매의 이동을 위해 순환펌프(240)가 작동하여 히터부(211)가 형성된 헤드파이프(210) 일측에 헤드파이프(210) 내부와 내통된 열매출구(212)를 통해 열매가 이동되어 상기 열매출구(212)를 통해 헤드파이프(210) 열매가 제1이동파이프(250a)를 통해 이동되며, 상기 제1이동파이프(250a) 일단에 내통되도록 하부에 연결되는 팽창탱크(230)로 열매가 유입되고, 상기 팽창탱크(230)의 상부에 내통된 일단의 제2이동파이프(250b)를 통해 열매가 배출되어 상기 제2이동파이프(250b)의 타단과 연결된 순환펌프(240)에 의해 열매가 강제 이송되어 상기 순환펌프(240)에 일단의 제3이동파이프(250c)가 연결되어 상기 제3이동파이프(250c)의 타단이 헤드파이프(210) 타측에 형성되는 헤드파이프(210)에 내통된 열매입구(213)를 통해 열매가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순환펌프(240)를 통해 열매가 강제이동되어 상기 헤드파이프(210)에 설치된 히터부(211)에 의해 열매를 가열하여 빠르게 히트파이프(220) 내부로 가열된 열매가 순환하여 전열핀(221)를 가열하게 되며, 또는 반대로 냉각탑(10) 외부의 대기온도조건에 의해 열매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히터부(211)의 제어에 의해 열매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열매의 가열온도를 조절하거나 순간 가열온도를 상승토록 하기 위해 순환펌프(240)에 의한 열매의 강제이송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매의 이송과정 중 팽창탱크(230)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히터부(211)에 의해 열매의 과도하게 가열된 열매와 순환펌프(24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팽창탱크(230)에 열매를 일정 시간동안 체류토록 하여 열매의 온도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팽창탱크(230)의 상단부에 설치된 에어홀(232)을 통해 과열에 의한 압력조절을 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탱크(230) 내부로 유입된 열매의 수위를 조절하여 열매의 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팽창탱크(230) 내부에 수용된 열매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팽창탱크(230)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수위센서(231)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헤드파이프(210) 내부에서 가열되는 열매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부(211)가 형성된 헤드파이프(210)의 타측단에 과열센서(214)가 설치되어 히터부(211)의 열매 가열온도를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한편,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헤드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20)를 상호 순화되는 열매의 온도와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히터부(211), 과열센서(214), 순환펌프(240), 수위센서(231)를 제어하는 제어부(260)가 형성하게 되며, 상기 히터부(211)의 작동에 의해 헤드파이프(210) 내에 수용된 열매를 가열하여 히트파이프(220) 내부로 순환하도록 히터부(211)의 작동제어와, 상기 히트파이프(220) 내부로 열매가 순환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가열온도를 조절하도록 순환펌프(240)가 작동하게 되는 데, 이때 헤드파이프(210) 내부에서 가열된 열매가 제1, 2, 3이동파이프(250a, 250b, 250c)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이동되는 열매의 가열조건 또는 가열수단에 의해 열매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제1, 2이동파이프(250a, 250b) 사이에 팽창탱크(230)를 설치하여 상기 팽창탱크(230) 내부의 열매수위를 감지하며, 이에 순환펌프(240)의 작동제어와 팽창탱크(230) 내의 열매수위감지를 제어하는 제어부(260)가 설치하게 되는 데, 이러한 히터부(211)와 순환펌프(240)의 작동을 좌우하는 냉각탑(10) 외부의 대기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감지센서(261)가 더 설치됨으로서, 상기 외기온도감지센서(261)를 통해 대기온도에 따라 히트파이프(220) 내로 유입되는 열매에 의해 전열핀(221)의 적절히 가열하도록 열매의 가열온도를 조절하게 되는 데, 이때 제어부(260)에 의해 외기온도감지센서(261)에 의해 측정된 대기온도에 의해 히터부(211)와 순환펌프(24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는 대기온도에 의해 냉각탑(10) 내부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충돌하면서 온도차에 의해 백연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대기온도에 따라 가열되는 열매의 온도를 조절하여 토출공기가 백연절감장치(200)를 통과시 토출공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백연을 감쇄하게 된다.
대기온도가 낮으면 열매의 가열온도를 높여 토출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게 되며, 반대로 대기온도가 높으면 열매의 가열온도를 낮추어 토출공기의 수분 즉, 습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백연을 감쇄하게 된다.
만약, 대기온도가 낮을시 열매의 가열온도를 낮게 하면 백연절감장치(200)의 히트파이프(220)에 형성된 전열핀(221)에 토출공기가 면접하더라도 토출공기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채 대기로 방출되면서 대기온도와 충돌로 인해 백연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무조건 열매의 온도를 높게 가열하면 백연절감장치(200)의 히트파이프(220)에 형성된 전열핀(221)에 토출공기가 면접하여 대기로 방출되는데 이때 토출공기의 온도가 높아 대기온도와 충돌하여 대기온도와 토출공기의 온도차가 커져 백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온도에 따라서 열매의 온도를 적절히 가열하기 위해 제어부(260)에 연계된 외기온도감지센서(261)를 통해 대기온도를 감지하여 대기온도에 따른 열매의 가열온도를 프로그램화된 연산부(262)에 의해 히터부(211), 순환펌프(240), 수위센서(231) 그리고 과열센서(214)를 통제하게 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백연절감장치(200)가 토출안내부(111) 상단부에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됨은 냉각탑(10) 내부에서 상승하는 토출공기가 백연절감장치(200)의 히트파이프(220)에 형성된 전열핀(221)에 토출공기가 면접되는 체류시간의 연장과 토출공기의 상승속도를 제어하여 백연절감장치(200)의 외부로 토출공기의 수분이 건조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되는 토출공기의 손실량을 줄여 완전한 토출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백연절감장치(200)가 토출안내부(111) 상단부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냉각탑(10) 내부에서 상승하는 토출공기의 유속이 9m/s에서 12m/s로 고온다습한 토출공기 중의 수분을 충분히 건조 시키지 못하고 대기로 방출되는 데, 본 발명은 대기온도의 조건에 따라 조절되는 열매의 가열온도에 의해 헤드파이프(210) 내의 열매를 최고 85℃까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열매는 히트파이프(220)를 통하여 전열핀(221)의 전면을 약 15초 이내에 75℃까지 가열합니다.
이에, 상기 빠른 유속을 가진 토출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열매의 빠른 가열과 빠른 순환으로 전열핀(221)의 온도를 상승하게 되어 상기 전열핀(221)을 통과하는 토출공기는 적은 수분을 함유함으로써 습도가 절감되어 백연을 감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냉각탑 : 10, 케이싱 : 100, 배기구 : 110, 토출안내부 : 111, 흡입팬부 : 120, 흡입팬 : 121, 모터 : 122, 급기구 : 130, 열교환부 : 140, 살수부 : 150, 엘리미네이터 : 160, 집수조 : 170, 백연절감장치 : 200, 헤드파이프 : 210, 히터부 : 211, 열매출구 : 212, 열매입구 : 213, 과열센서 :214, 히트파이프 : 220, 전열핀 : 221, 팽창탱크 : 230, 수위센서 : 231, 에어홀 : 232, 순환펌프 : 240, 제1, 2, 3이동파이프 : 250a, 250b, 250c, 제어부 : 260, 외기온도감지센서 : 261, 연산부 : 262

Claims (4)

  1. 열교환영역과 급기영역 및 배기영역을 형성하는 케이싱(100)과; 상기 배기영역과 면하게 케이싱(1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는 배기구(110)와, 상기 배기구(110)에 구비되는 흡입팬(121)과 상기 흡입팬(121)을 구동하는 모터(122)가 배기구(110) 측부에 설치되어 구성하는 흡입팬부(120)와, 상기 급기영역과 면하게 상기 케이싱(100)의 상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급기구(130)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개방식 열교환부, 밀폐식 열교환부 또는, 하이브리드식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열교환부(140)와, 상기 열교환부(14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부(140)로 살수하는 살수부(150)와, 상기 살수부(150) 상부에 배치되는 엘리미네이터(160)와, 상기 케이싱(100) 하부에 배치되며 냉각탑(10) 기초에 고정되는 집수조(170)를 갖는 냉각탑(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의 배기구(110) 상부로 토출안내부(111)가 더 연장되어 상기 토출안내부(111) 상단부에 소정의 기울기로 설치되는 백연절감장치(200)는,
    일측에 헤드파이프(210)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파이프(210)의 외주면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측이 헤드파이프(210)로 내통된 다수의 히트파이프(220)가 사행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히트파이프(22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전열핀(221)이 설치되고,
    상기 헤드파이프(210) 일측단 내부로 가열식 히터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백연절감장치(200)에서 히터부(211)가 형성된 헤드파이프(210) 일측에 헤드파이프(210) 내부와 내통된 열매출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열매출구(212)를 통해 헤드파이프(210) 열매가 제1이동파이프(250a)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이동파이프(250a) 일단에 내통되도록 하부에 연결되며, 상단부에 내부와 내통된 에어홀(232)이 형성된 팽창탱크(230)가 설치되고,
    상기 팽창탱크(230)의 상부에 내통된 일단의 제2이동파이프(250b)를 통해 열매가 이동되어 상기 제2이동파이프(250b)의 타단과 연결된 순환펌프(240)가 설치되고,
    상기 순환펌프(240)에 의해 열매가 강제 이송되도록 일단의 제3이동파이프(250c)가 연결되어 상기 제3이동파이프(250c)의 타단이 헤드파이프(210) 타측에 형성되는 헤드파이프(210)와 내통된 열매입구(213)가 형성되고,
    상기 팽창탱크(230) 내부에 수용된 열매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팽창탱크(230)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수위센서(231)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부(211)가 형성된 헤드파이프(210)의 타측단에 과열센서(2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211), 과열센서(214), 순환펌프(240), 수위센서(231)를 제어하는 제어부(260)가 형성하되, 상기 제어부(260) 일측에 외기온도감지센서(261)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4. 삭제
KR1020120014082A 2012-02-13 2012-02-13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KR10131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82A KR101312047B1 (ko) 2012-02-13 2012-02-13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082A KR101312047B1 (ko) 2012-02-13 2012-02-13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76A KR20130092676A (ko) 2013-08-21
KR101312047B1 true KR101312047B1 (ko) 2013-09-25

Family

ID=4921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082A KR101312047B1 (ko) 2012-02-13 2012-02-13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884B1 (ko) * 2014-04-14 2014-08-01 (주)와이엠테크 열풍형 백연 방지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부식방지 냉각탑
CN112304110A (zh) * 2020-09-23 2021-02-02 山东中威空调设备集团暖通有限公司 一种智能自控式冷却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761A (ja) * 1993-05-17 1994-11-25 Tada Denki Kk 密閉形冷却塔
KR100691257B1 (ko) 2006-12-15 2007-03-12 박운섭 난방 및 온수공급용 수관 보일러
KR100834903B1 (ko) 2007-10-29 2008-06-03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백연감쇄 흡입통풍식냉각탑
KR101102827B1 (ko) * 2011-08-08 2012-01-05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승온식 백연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761A (ja) * 1993-05-17 1994-11-25 Tada Denki Kk 密閉形冷却塔
KR100691257B1 (ko) 2006-12-15 2007-03-12 박운섭 난방 및 온수공급용 수관 보일러
KR100834903B1 (ko) 2007-10-29 2008-06-03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백연감쇄 흡입통풍식냉각탑
KR101102827B1 (ko) * 2011-08-08 2012-01-05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승온식 백연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676A (ko)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8036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rying of water damaged buildings
KR101102827B1 (ko) 승온식 백연방지시스템
CN103422332A (zh) 干衣机
KR101713145B1 (ko) 백연저감형 냉각탑
CN106568317A (zh) 一种带式变温型谷物热泵干燥装置
US20130125841A1 (en) Device for recovering residual heat from exhaust gas
CN206410466U (zh) 制膜用热风循环装置
JP4317195B2 (ja) 乾燥機
KR20180137660A (ko) 백연 저감 냉각탑
CN108758882A (zh) 一种半导体制冷除湿机及其除湿方法
CN103968658B (zh) 一种空气源热泵水循环加热及水循环冷凝除湿烘干装置
CN106594975A (zh) 一种除霜方法、装置及空调系统
KR101312047B1 (ko) 냉각탑의 강제히팅에 의한 백연절감장치
CN103471374A (zh) 太阳能辅助热泵干燥系统
CN104848679A (zh) 一种烘房余热回收装置及其温度控制方法
CN103940203B (zh) 一种微波热泵低氧干燥设备及其操作方法
CN208566926U (zh) 一种半导体制冷除湿机
KR20160074734A (ko) 건공기 유로를 구비한 백연저감 냉각탑
KR100964015B1 (ko) 김 건조장치
CN204268614U (zh) 无菌粉分装机层流罩除湿装置
CN210154208U (zh) 智能空气能烘干系统
CN106847427B (zh) 烤漆炉热风交换式自动降温系统
CN201772719U (zh) 用冷壁把蒸汽凝结成水排走的新型烘箱
CN104197747A (zh) 一种玻璃钢闭式冷却塔
CN211601537U (zh) 全自动双层电加热辊道窑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