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60B1 -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 Google Patents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60B1
KR101311860B1 KR1020120039677A KR20120039677A KR101311860B1 KR 101311860 B1 KR101311860 B1 KR 101311860B1 KR 1020120039677 A KR1020120039677 A KR 1020120039677A KR 20120039677 A KR20120039677 A KR 20120039677A KR 101311860 B1 KR101311860 B1 KR 10131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ead portion
water
hea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현
Original Assignee
김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현 filed Critical 김서현
Priority to KR102012003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세정수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수단에 의해 세정된 물기가 모이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모인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바닥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헤드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유출되는 물기를 수용 보관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창에 생기는 습기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결로 등의 물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물기로 인해 발생되는 곰팡이나 진드기 등에 의한 실내 오염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무 부재 및 스폰지 부재 등의 세정수단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교체가 편리하고 비용이 크게 절감됨은 물론,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헤드부에 수용된 후 손잡이부를 거쳐 저수부에 저장된 후 분리해 버림으로써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재활용 페트병을 마개에 끼워 저수부로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이며, 손잡이부 하단에 역류방지관이 설치되어 저수부에 저장된 물기가 역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APPARATUS FOR CLEANING MOISTURE ON WINDOWS}
본 발명은 유리창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에 생기는 습기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결로 등의 물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서 사용되는 창호는 창틀에 복수의 창문이 구비되어 창문이 슬라이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이러한 건물에 구비된 창문의 유리창을 세척함에 있어서 유리창에 세척제가 함유된 물을 뿌리고, 천이나 스폰지 등의 세정도구를 이용하여 세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유리창은 표면에 먼지 등 이물질이 부착될 뿐만 아니라,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습기나 결로가 생겨 곰팡이나 진드기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바,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매우 심하여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047호에는 전반부 및 후반부에 설치된 와이퍼 부재를 이용하여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청소 과정에서 뿌려진 물도 함께 제거하기 위한 유리창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 과정에서 유리창 세척을 위해 뿌려진 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생긴 습기나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기구는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자는 유리창에 습기나 결로가 생길 때마다 천이나 스폰지를 이용하여 직접 물기를 닦아 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때에 물기를 제거하지 못하여 곰팡이나 진드기가 발생하여 실내를 오염시키며, 이로 인하여 거주자의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리창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존의 유리창 청소기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창에 생기는 습기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결로 등의 물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물기로 인해 발생되는 곰팡이나 진드기 등에 의한 실내 오염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무 부재 및 스폰지 부재 등의 세정수단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교체가 편리하고 비용이 크게 절감됨은 물론,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헤드부에 수용된 후 손잡이부를 거쳐 저수부에 저장된 후 분리해 버림으로써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재활용 페트병을 마개에 끼워 저수부로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이며, 손잡이부 하단에 역류방지관이 설치되어 저수부에 저장된 물기가 역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정수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수단에 의해 세정된 물기가 모이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모인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바닥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헤드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유출되는 물기를 수용 보관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정수단은 고무 부재와 스폰지 부재이되,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폰지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고무 부재와 스폰지 부재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유리창과 접촉되는 돌기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스폰지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헤드부는 천장면의 전방측에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바닥면이 상기 유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와 연결된 제1봉; 상기 제1봉이 내부로 슬라이드 인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봉; 상기 제1봉과 제2봉의 사이에 길이 조절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봉 형상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손잡이부는 하단이 상기 저수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역류방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는 하단에 마개가 형성되되, 상기 마개는, 상기 역류방지관의 상단이 결합되는 내측의 내홈과, 상기 저수부의 입구가 결합되는 상기 내홈의 외측에 형성된 외홈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창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존의 유리창 청소기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창에 생기는 습기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결로 등의 물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물기로 인해 발생되는 곰팡이나 진드기 등에 의한 실내 오염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무 부재 및 스폰지 부재 등의 세정수단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교체가 편리하고 비용이 크게 절감됨은 물론,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헤드부에 수용된 후 손잡이부를 거쳐 저수부에 저장된 후 분리해 버림으로써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재활용 페트병을 마개에 끼워 저수부로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이며, 손잡이부 하단에 역류방지관이 설치되어 저수부에 저장된 물기가 역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유리창에 생긴 습기나 결로를 천이나 스폰지를 이용하여 닦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의 헤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의 손잡이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의 저수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도 5(b)는 도 5(a)를 뒤집은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자는 종래의 유리창 청소기가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 과정에서 유리창 세척을 위해 뿌려진 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생긴 습기나 결로를 제거하기 위한 기구는 존재하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거주자는 유리창에 습기나 결로가 생길 때마다 천이나 스폰지를 이용하여 직접 물기를 닦아 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때에 물기를 제거하지 못하여 곰팡이나 진드기가 발생하여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유리창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존의 유리창 청소기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창에 생기는 습기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결로 등의 물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물기로 인해 발생되는 곰팡이나 진드기 등에 의한 실내 오염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정수단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교체가 편리하고 비용이 크게 절감됨은 물론,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헤드부에 수용된 후 손잡이부를 거쳐 저수부에 저장된 후 분리해 버림으로써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재활용 페트병을 마개에 끼워 저수부로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이며, 손잡이부 하단에 역류방지관이 설치되어 저수부에 저장된 물기가 역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1)는 크게 상측의 헤드부(100), 중간에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200) 및 하측의 저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100)는 유리창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고무 부재(120)와 스폰지 부재(130) 등의 세정수단이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수단에 의하여 세정 제거된 물기가 모이게 되는 수용공간(110)을 구비하며, 그 바닥면(140)의 중앙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모아진 물기를 상기 저수부(300)로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14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출구(145)는 바닥면(140)이 그 중앙에 형성된 유출구(145)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된 물기가 상기 유출구(145)를 향해 용이하게 흘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0)에 모아진 물기는 곧 상기 유출구(145)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부(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 없이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b)와 같이, 천장면(150)의 전방측에 유입홀(155)이 형성됨으로써, 세정수단에 의해 세정 제거된 물기가 곧 상기 유입홀(155)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단은 고무 부재(120)와 스폰지 부재(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 부재(120)는 상기 헤드부(1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105)에 슬라이드 연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교체가 편리하고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 부재(120)는 상기 헤드부(1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105)에 연결되는 몸체(121)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유리창과 직접 접촉되는 돌기(12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부(100)의 전면에 설치된 고무 부재(120)가 유리창에 직접 접촉되면서, 유리창에 생기는 습기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결로 등의 물기를 세정하여 제거하고, 제거된 물기는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모아진 후에 곧 상기 유출구(145)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부(200)를 거쳐 저수부(300)로 저장되므로, 유리창(W)에 자연 발생하는 물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스폰지 부재(130)는 상기 헤드부(100)의 후면에 접착부재(135)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바, 세정 작업 초기에는 상기 고무 부재(120)에 의해 물기를 세정 제거하고, 그 이후에는 상기 스폰지 부재(130)를 유리창에 직접 접촉시켜 남은 물기를 제거하거나, 유리창에 물기외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곰팡이나 진드기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하여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상기 스폰지 부재(130)에 비누 등의 세척제를 훔쳐 이물질이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존의 유리창 청소기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135)는 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헤드부(100)의 후면과 상기 스폰지 부재(130)의 일면에 각각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진 벨크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폰지 부재(130)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세정 후에 사용된 스폰지 부재(130)를 세척 후 다시 사용할 수 있고, 오염이나 손상이 심한 경우에만 새로운 스폰지 부재(130)를 새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부재(120)에 의하여 유리창으로부터 세정 제거된 물기가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경로 상에 있는 상기 헤드부(100)의 전방측 상면은 하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이룸으로써, 상기 고무 부재(120)로부터 세정 제거된 물기가 외부로 새지 않고 모두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더불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면(150)의 전방측에 유입홀(155)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홀(155)에는 슬로프가 형성됨으로써, 고무 부재(120)에 의해 세정 제거된 물기가 외부로 새지 않고 상기 유입홀(155)을 통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헤드부(100)의 바닥면(140)과 결합되되, 내부가 중공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된 내부가 상기 헤드부(100)의 바닥면(140)의 중앙에 형성된 유출구(145)와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세정수단에 의해 세정 제거된 물기가 상기 수용공간(110)에 모아진 후 곧 상기 유출구(145)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200) 쪽으로 배출되며, 그 다음에 상기 손잡이부(200)의 중공된 내부를 통해 관류되어 상기 저수부(300)에 저장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헤드부(100)와 연결된 제1봉과(210), 상기 제1봉(210)이 내부로 슬라이드 인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봉(2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봉(210)과 제2봉(220)의 사이에는 그 길이 조절을 단속할 수 있도록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230)가 상기 제2봉(220)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바, 즉, 상기 제1봉(210)이 상기 제2봉(22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봉(220)의 전단부에 위치한 스토퍼(230)를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200)를 구성하는 2개의 봉 간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는 하단에 상기 저수부(300)의 입구보다 내경이 더 크도록 형성된 마개(240)가 형성되고,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240)의 내부에는 내홈(241)과 외홈(242)의 2중홈이 형성되는 바, 마개의 내측에 형성된 내홈(241)에는 역류방지관(250)의 상단이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내홈(241)의 외측에 형성된 외홈(242)에는 상기 저수부(300)의 입구(310)가 착탈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이로써, 저수부(300)의 입구(310)가 상기 마개(240)의 외홈(242)과 나사결합되어 장착되고, 세정수단에 의하여 세정 제거된 물기가 상기 저수부(300)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더불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0)는 그 하측에 역류방지관(250)이 더 결합 설치되는 바, 이로써 유리창 물기 제거를 위하여 세정 작업을 할 때에 도 5(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1)가 기울어지거나 심지어는 뒤집어 지는 경우에도, 상기 저수부(300)에 저장된 물기가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로 역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수부(30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하측, 즉 상기 제2봉(220)과 마개(24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100)를 거쳐 상기 손잡이부(200)을 통과하여 유출되는 물기(H)를 수용 보관한다.
이때, 상기 저수부(300)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생수나 음료수의 페트병(P)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 및 유지 비용이 절감되고, 이러한 페트병(P)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된 입구가 상기 마개(240)의 내측과 나사결합되며, 물기(H)가 일정량 모여 저장된 경우 상기 페트병(P)을 상기 마개(240)에서 분리하여 저장된 물기를 버리고 다시 장착하거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새로운 페트병(P)으로 교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페트병(P)은 쉽게 착탈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던 유리창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일반적인 유리창 청소기로도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창에 생기는 습기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결로 등의 물기를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실내외 온도차가 심한 추운 지방이라던가 시기적으론 겨울철에 큰 효용성이 있다.
더불어, 물기로 인해 발생되는 곰팡이나 진드기 등에 의한 실내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거주자의 건강을 보호하며, 고무 부재 및 스폰지 부재 등의 세정수단을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교체가 편리하고 비용이 크게 절감됨은 물론, 세정수단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헤드부에 수용된 후 손잡이부를 거쳐 저수부에 저장된 후 분리해 버림으로써 깨끗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재활용 페트병을 마개에 끼워 저수부로 이용하는 경우 비용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이며, 손잡이부 하단에 역류방지관이 설치되어 저수부에 저장된 물기가 역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100. 헤드부 105. 끼움홈
110. 수용공간 120. 고무 부재
121. 몸체 122. 돌기
130. 스폰지 부재 135. 접착 부재
140. 바닥면 145. 유출구
150. 천장면 155. 유입홀
200. 손잡이부 210. 제1봉
220. 제2봉 230. 스토퍼
240. 마개 241. 내홈
242. 외홈 250. 역류방지관
300. 저수부 310. 입구
P. 페트병 W. 유리창
H. 물기

Claims (10)

  1. 세정수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수단에 의해 세정된 물기가 모이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모인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바닥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헤드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유출되는 물기를 수용 보관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수단은 고무 부재와 스폰지 부재이되,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폰지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고무 부재와 스폰지 부재는 상기 헤드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결합되어 유리창과 접촉되는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접착 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4. 세정수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수단에 의해 세정된 물기가 모이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모인 물기가 빠져나가도록 바닥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헤드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내부가 중공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유출되는 물기를 수용 보관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하단이 상기 저수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역류방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단에 마개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는, 상기 역류방지관의 상단이 결합되는 내측의 내홈과, 상기 저수부의 입구가 결합되는 상기 내홈의 외측에 형성된 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천장면의 전방측에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바닥면이 상기 유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헤드부와 연결된 제1봉과, 상기 제1봉이 내부로 슬라이드 인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봉 및 상기 제1봉과 제2봉의 사이에 길이 조절을 단속하도록 설치된 봉 형상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39677A 2012-04-17 2012-04-17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KR10131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77A KR101311860B1 (ko) 2012-04-17 2012-04-17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77A KR101311860B1 (ko) 2012-04-17 2012-04-17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860B1 true KR101311860B1 (ko) 2013-10-02

Family

ID=4963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77A KR101311860B1 (ko) 2012-04-17 2012-04-17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288U (ja) * 1996-08-01 1997-02-14 小林製薬株式会社 結露取り具
JPH10151096A (ja) * 1996-11-21 1998-06-09 Tokuyama Corp 結露払拭用具
JP2004249044A (ja) * 2003-02-19 2004-09-09 Takanori Yoneda 浴室天井用伸縮水滴取り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288U (ja) * 1996-08-01 1997-02-14 小林製薬株式会社 結露取り具
JPH10151096A (ja) * 1996-11-21 1998-06-09 Tokuyama Corp 結露払拭用具
JP2004249044A (ja) * 2003-02-19 2004-09-09 Takanori Yoneda 浴室天井用伸縮水滴取り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33049A (zh) 一种可自动清洗的摄像头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WO2003055372A3 (de) Wischvorrichtung zum wischen von zu reinigenden flächen
CN108309203A (zh) 一种计算机显示器清洁装置
KR200476875Y1 (ko) 전기 청소 및 세척 장치
KR101188424B1 (ko) 유리창 청소 장치
KR101311860B1 (ko) 유리창 물기 제거 기구
KR200484056Y1 (ko) 유리창 청소도구
KR100775597B1 (ko) 닦음부재가 마련된 고정홀더가 착탈이 가능한 유리창청소기구
CN207507113U (zh) 一种厨房洗涤污水处理装置
CN108402985B (zh) 一种玻璃两侧清洁装置
CN108209699B (zh) 一种玻璃除尘清洁系统
JP5697653B2 (ja) スポンジモップ絞り器
CN105193341A (zh) 一种带水箱自清洁功能的擦窗机器人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KR200342658Y1 (ko) 유리창 닦이구
KR101036841B1 (ko) 조립식 유리창닦이
KR20130042684A (ko) 아파트 베란다 유리창 양면 청소구 및 그를 이용한 청소방법
CN208403581U (zh) 一种窗玻璃清洁海绵刷
CN208371765U (zh) 一种计算机显示器清洁装置
KR200419331Y1 (ko) 양면 유리창 청소구
CN109028242A (zh) 一种油烟机清洗器
CN220089117U (zh) 一种耐清洗的装饰镜
CN215878878U (zh) 一种电脑外壳表面清洗装置
CN208583678U (zh) 计算机屏幕清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