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445B1 -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445B1
KR101311445B1 KR1020060137573A KR20060137573A KR101311445B1 KR 101311445 B1 KR101311445 B1 KR 101311445B1 KR 1020060137573 A KR1020060137573 A KR 1020060137573A KR 20060137573 A KR20060137573 A KR 20060137573A KR 101311445 B1 KR101311445 B1 KR 10131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reen
file
sig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2146A (ko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4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6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 H04N7/0885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for the transmission of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중에 원하는 화면 정보 데이터를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방송 중에 현재 표시 중인 영상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화면 캡쳐하여 별도의 파일로 구성해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현재 화면을 캡쳐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화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그림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로 전환해서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제어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문자를 파일로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여 원하는 곳에 이용 가능한 효과를 얻게 된다.
데이터 방송, 화면, 캡쳐, 영상, 데이터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e screen in dat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에서 비디오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에서 데이터신호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너부 12 : 디먹스
16 : 비디오 디코더 22 : 오디오 디코더
24 : 데이터 디코더 28 : 오디오 신호처리부
30 : 비디오 신호처리부 32 : 데이터 신호처리부
34 : MCU 36 : 하드 디스크
14,18,22,26 : 메모리 17 : 디코더부
29 : 신호처리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방송 중에 원하는 화면 정보 데이터를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방송은 디지털화된 비디오, 오디오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전송스트림(TS) 형식으로 만들어 이를 전송하고, 수신 시스템에서 수신된 전송스트림을 비디오, 오디오,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분리하여 처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때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전송스트림(TS)을 비디오, 오디오,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분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송스트림(TS)에 이들 각각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함께 보내주어야 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전파를 통해 음성(Audio)과 영상(Video)이 아닌 JaVa application, HTML application 또는 XML data를 이진데이터로 코딩한 데이터 형태로 다양한 콘텐츠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이 실시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방송은,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영역을 좀 더 확대한 방송구조로, 소정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방송할 그 영상신호의 화면에 표시되는 등장인물, 소품 및 줄거리 등의 각종 개체들에 관련된 개체정보와, 상기 각종 개체들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주소, 전자상거래 및 전자쇼핑 등의 부가서비스 정보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에 삽입하여 함께 방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하는 소정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시청하면서 데이터 방송을 통해 영상신호의 화면에 표시되는 등장인물, 소품 및 줄거리 등의 각종 개체들에 관련된 각종 정보와 그 외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정보들을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방송은, 일반적인 방송에서 제공하는 영상 및 음성 외에 각종 다양한 데이터 컨텐츠 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데이터 방송 시청 중에 원하는 화면 정보 데이터에 대해 저장할 욕구를 느끼게 되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데이터를 파일로 변환해서 저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데이터 방송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데이터를 캡쳐해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방법은, 데이터 방송 시청 중에, 화면 캡쳐신호를 감지하는 제 1 단계; 현재 표시 중인 비디오 프레임을 임시 저장하는 제 2 단계; 상기 임시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 을 그림 파일로 변환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그림 파일을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방법은, 데이터 방송 시청 중에, 화면 캡쳐신호를 감지하는 제 5 단계;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 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제 6 단계;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시키는 제 7 단계; 및 상기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4 단계 또는(및) 제 8 단계는, 파일명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4 단계 또는(및) 제 8 단계는,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단계는, 데이터 방송신호를 복호한 신호 중에서 영상에 해당하는 부분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6 단계는, 데이터 방송신호를 복호한 신호 중에서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6 단계는,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에 대한 신호는, 표시데이터에 대한 인덱스 번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인덱스번호를 아스키 코드로 변환해서 텍스트 파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는, 데이터 방송 시청 중에, 현재 표시 중인 화면 신호를 임시 저장하는 제 1 저장수단; 상기 임시 저장된 화면 데이터를 파일로 변환해서 저장하는 제 2 저장수단; 데이터 방송 시청 중에, 화면 캡쳐신호를 감지하고, 표시 중인 화면 데이터의 파일 변환을 제어하고 제 2 저장수단에 저장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된 파일은, 데이터 방송신호를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그림 파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된 파일은, 데이터 방송신호를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텍스트 파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저장수단은, 하드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에서 화면 캡쳐를 위한 전체적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는,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들 중에서 데이터 방송이 포함된 방송채널을 수신하고 복조해서 출력하는 튜너부(10)와, 상기 튜너부(10)에서 출력하는 방송채널의 전송스트림(TS)을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오디오/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 정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디먹스(12), 상기 디먹스(12)에서 출력한 비디오 스트림을 원래의 신호로 복호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16), 상기 디먹스(12)에서 출력한 오디오 스트림을 원래의 신호로 복호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더(20), 상기 디먹스(12)에서 출력한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하는 데이터 디코더(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16)와 오디오 디코더(20)는, 디지털 방송에서 표준화된 엠펙(MPEG 2)를 기반으로 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신호처리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디램(DRAM : 14), 에스디램(SDRAM : 18,22,26)은 각각의 연결 장치들의 신호처리 과정에서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이다. 일 예로 디램(14)은 튜너(10)에서 출력되어 디먹스(12)에서 신호처리될 방송채널 스트림을 임시 저장하고, 에스디램(18)은 비디오 디코더(16)에서 신호처리될 비디오 스트림을 임시 저장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디코더(24)의 출력은 다시 비디오신호/오디오신호/데이터신호로 구분되어져서 비디오신호는 비디오 신호처리부(30)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지고,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신호처리부(28)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지며, 데이터신호는 데이터 신호처리부(32)에서 신호처리가 이루어져서 출력되어진다. 즉, 데이터 방송에서는 상기 데이터 디코더(24)에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데이터신호 로 구성되어진 각종 비디오/오디오/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의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는 MPEG2를 기반으로 하지 않은 일반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이다. 이때 데이터 디코더(24)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데이터신호는 바이너리(binary) 데이터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챕쳐장치는, 상기 튜너(10), 디먹스(12), 그리고 디코더부(17), 신호처리부(29), 그리고 하드 디스크(36) 등 본 발명의 장치들의 신호처리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 34)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MCU(34)는,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중에서 원하는 화면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된 화면 데이터를 신호처리부(29)로부터 가져와서 소정의 신호처리 후 하드 디스크(36)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선택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가 될 수 있고, 하드 디스크(36)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이후 재생 가능한 텍스트 파일 또는 그림 파일, 오디오 파일 등으로 변환되어 저장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캡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 또는 그림 파일 등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화면 캡쳐 데이터의 저장은, 하드 디스크(36)의 일정영역에 캡쳐 화면에 대한 인덱스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은 데이터 방송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에 대한 캡쳐 동작을 선택하면, 선택된 화면데이터가 저장 가능한 파일 데이터로 변환되어져서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 화면 데이터를 캡쳐해서 저장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데이터 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은, 튜너(10)에서 수신되는 하나의 방송 채널에 다수개의 서비스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신호를 동시에 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송시청장치에 설정되는 다수개의 서비스채널 중에서 원하는 서비스채널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서비스채널이 포함된 방송채널이 튜너(10)를 통해서 수신되어지는 것이다.
사용자가 소정의 서비스채널을 선택하면, MCU(34)는 튜너부(10)를 제어해서 해당 서비스채널의 방송신호가 포함된 방송 채널이 수신되도록 한다. 튜너부(10)는 해당하는 방송 채널을 수신하고,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튜너부(10)에서 출력되는 방송 채널 전송 스트림 데이터는 디램(14)에 임시 저장되어 입력순서로 디먹스(12)에 입력되고, 상기 디먹스(12)에서 비디오 전송 스트림, 오디오 전송 스트림, 데이터 전송 스트림으로 분리되어져서 출력된다. 이때 디먹스(12)에서 출력되는 각 전송 스트림은,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만이 구분되어져서 출력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튜너부(10)에서 출력되는 방송 채널 전송 스트림 데이터에는 해당 방송 채널의 전송 스트림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되고, 이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MCU(34)로 입력되어져서 이후 해당 채널 전송 스트림 및 서비스채널의 제어를 위해서 이용되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디먹스(12)에서 출력되는 전송 스트림 중에서 비디오 전송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16)에서 MPEG2 복호 처리되어져서 화면에 출력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디먹스(12)에서 출력되는 전송 스트림 중에서 오디오 전송 스트림은 오디오 디코더(20)에서 MPEG2 복호 처리되어져서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어진다. 이때 상기 디코더부(17)에서의 데이터 복호과정은 상기 제어정보에 기초한 MCU(34)의 제어하에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디먹스(12)에서 출력되는 전송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전송 스트림은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로 구분되어진다. MCU(34)는 상기 디먹스(12)에서 분리된 제어정보로부터 데이터 방송에 대한 제어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디먹스(12)에서 분리된 데이터 전송 스트림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우선, MCU(34)는 상기 디먹스(1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전송 스트림을 에스디램(26)에 임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디코더(24)에서 복호처리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디코더(24)에서 복호되어 바이너리신호로 전환된 데이터는 MCU(34)의 제어하에 하드 디스크(36)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하드 디스크(36)에 저장되는 바이너리 데이터 중에서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신호처리부(28)로 입력되고, 비디오신호는 비디오신호처리부(30)로 입력되며, 데이터신호는 데이터신호처리부(32)에 입력되어서 화면 상에 출력 가능한 신호로 신호처리되어져서 화면에 출력되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데이터 방송에 대한 신호처리 및 표시가 이루어지는 가운데(S10), 사용자는 표시되는 화면의 비디오신호를 캡쳐(Capture)하기 원할 때, 화면 캡쳐 설정키를 선택한다. 이때의 키신호 입력으로 MCU(34)는 사용자가 현재 표시 중인 영상 데이터를 캡쳐하기 원하는 것을 인지하고(S11), 비디오 신호처리부(30)로부터 현재 표시 상태에 있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비디오 프레임 정보를 가져와서 임시 저장한다(S12).
상기 S12 단계는, MCU(34)에 내장된 메모리이거나 또는 상기 비디오신호처리부(30), 신호처리부(29)에 내장되고 있는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36)의 일정영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시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 정보는, MCU(34)의 제어하에 JPG 파일(그림 파일)로 전환되어진다(S13).
그리고 상기 MCU(34)의 제어하에 하드 디스크(36)의 일정 영역에 저장되고, 이때 상기 저장되는 그림 파일에 대한 파일 명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어져서 저장되어진다(S14). 이를 위해 상기 MCU(34)는 상기 임시 저장된 비디오 프레임을 그림 파일로 전환시키기 위한 JPG 변환기의 구성을 포함하여야 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화면 신호를 캡쳐해서 저장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데이터 방송은, 텍스트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위하여 해당 국가별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인덱스코드(Index)를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글의 경우, "10" 인덱스코드에 "ㄱ"을 설정하고, "11" 인텍스코드에 "ㄴ"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텍스트데이터에 대한 인덱스코드를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각 인덱스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는 각 세트의 비휘발성 롬에 저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입력되는 인덱스코드가 "10"인 경우, 세트 내에서는 기저장된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ㄱ"으로 표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데이터 방송 중에 사용자가 화면 캡쳐 키를 선택했을 때(S20,S21), 현재 표시 중인 화면 데이터가 데이터 신호처리부(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MCU(34)는 사용자가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 신호를 캡쳐하기 원하는 것을 인지하고, 데이터 프로세서(30)로부터 현재 표시 상태에 있는 데이터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져와서 임시 저장한다(S22). 상기 S22 단계에서 임시 저장되는 데이터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인덱스코드가 저장되어진다.
상기 S22 단계는, MCU(34)에 내장된 메모리이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신호처리부(32)에 내장되고 있는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36)의 일정영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시 저장된 데이터 정보는, MCU(34)의 제어하에 아스키 코드로 전환시키고 텍스트 파일(ACSII 코드)로 구성한다(S23). 상기 S23 단계는 상기 S22 단계에서 임시 저장된 인덱스 코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아스키코드로 전환시키고, 이때 전환되는 아스키코드로 구성된 것을 하나의 텍스트 파일로 구성한다. 즉, 상기 S22 단계에서 화면상에 표시된 "ㄱ'에 대한 인덱스 코드"10"를 저장하면, 상기 S23 단계는 상기 인덱스 코드"10"를 아스키 코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상기 MCU(34)의 제어하에 하드 디스크(36)의 일정 영역에 저장되고, 이때 상기 저장되는 텍스트 파일에 대한 파일 명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어져서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어진다(S24). 상기 S24 단계는 상기 S23 단계에서 아스키코드로 전환되어 텍스트 파일로 구성한 문서 파일을 파일명과 함께 저장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상기 MCU(34)는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신호를 아스키코드로 전환시키고, 하나의 텍스트 파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와 같은 데이터 방송 중에 사용자가 화면 캡쳐 키를 선택했을 때, 현재 표시 중인 화면 데이터 중에는 비디오 신호처리부(30)에서 신호처리되어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와 데이터 신호처리부(32)에서 신호처리되어 출력되는 데이터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도 2와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비디오 데이터는 그림 파일로 전환되고, 데이터 신호는 텍스트 파일로 전환되어져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 가능하도록 하드 디스크(36)에 서로 연계되어 저장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방송 중에 오디오 신호에 대한 캡쳐 동작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 경우도 상기 동작과 마찬가지로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것이다. 단지 이 경우에서는 오디오 프로세서(28)로부터 정보를 정보를 제공받고 오디오신호에 대한 하나의 오디오 파일 구성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방송 중에 데이터 신호에 대한 화면 캡쳐 중에, 데이터 디코더(24)를 통해서 제공받은 디코딩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일정구간의 데이터를 캡쳐하여 하나의 파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일정구간이라 함은, 현재 표시 중인 데이터 신호와 관련되어진 데이터신호가 포함되어진 정보를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방송 중에 현재 표시 중인 영상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화면 캡쳐하여 별도의 파일로 구성해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현재 화면을 캡쳐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화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그림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로 전환해서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제어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문자를 파일로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여 원하는 곳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데이터 방송 중에서 원하는 화면 데이터를 캡쳐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방송 중에 현재 표시 중인 영상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화면 캡쳐하여 별도의 파일로 구성해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현재 화면을 캡쳐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화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그림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로 전환해서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제어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문자를 파일로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저장된 파일을 편집하여 원하는 곳에 이용 가능한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2)

  1. 삭제
  2. 데이터 방송 시청 중 화면 캡쳐 신호를 감지하는 1단계;
    상기 화면 캡쳐 신호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데이터 신호의 인덱스 코드를 임시 저장하는 2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된 인덱스 코드를 아스키 코드의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데이터 신호의 인덱스 코드를 임시 저장하는 제1 저장수단;
    아스키 코드의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제2 저장수단; 및
    데이터 방송 시청 중 화면 캡쳐 신호가 감지되면, 현재 표시되는 데이터 신호의 인덱스 코드를,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임시 저장된 인덱스 코드를 아스키 코드의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137573A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 KR10131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73A KR101311445B1 (ko)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73A KR101311445B1 (ko)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146A KR20080062146A (ko) 2008-07-03
KR101311445B1 true KR101311445B1 (ko) 2013-09-25

Family

ID=3981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73A KR101311445B1 (ko) 2006-12-29 2006-12-29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4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55A (ko) * 2000-08-18 2002-02-25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정보 저장장치 및 방법
KR20040024340A (ko) * 2002-09-13 2004-03-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텔레비젼상에서 동영상 캡쳐를 이용한 이미지앨범의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6655A (ko) * 2002-12-24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복합 기기에서 캡쳐된 영상 화면 저장장치 및 방법
KR20060055818A (ko) *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의 자막정보 저장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55A (ko) * 2000-08-18 2002-02-25 구자홍 디지털 티브이의 정보 저장장치 및 방법
KR20040024340A (ko) * 2002-09-13 2004-03-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텔레비젼상에서 동영상 캡쳐를 이용한 이미지앨범의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6655A (ko) * 2002-12-24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복합 기기에서 캡쳐된 영상 화면 저장장치 및 방법
KR20060055818A (ko) *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의 자막정보 저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146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9572A1 (en) Converting image format
KR10106111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서브타이틀 데이터 처리 방법
US83118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isplay of E-manual in a specific language in display device
KR10073525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화면 캡쳐 방법
KR101311445B1 (ko) 데이터 방송의 화면캡쳐장치 및 방법
EP2175643A1 (en) Personal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7464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EP1773052A2 (en) Personal video record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to external multimedia apparatus from the same
JP2005167894A (ja) コンテンツ切替方法、およびチャンネル切替方法
KR10056877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오디오 그래픽 이퀄라이저표시방법
JP200814798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KR100595154B1 (ko) 티브이 프로그램(TV program)에서의 오브젝트 캡쳐장치
JP200805399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11012341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음성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908150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067468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729511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62301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캡션 선택 및 변경 방법
KR100785991B1 (ko) Hdd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타임쉬프트를이용한 메모 편집 방법
JP2005184499A (ja) データ放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放送受信装置、データ放送受信方法
JP2005012293A (ja) 復号装置
US6888581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24692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0836456B1 (ko) 복수채널 녹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채널 녹화방법
JP2006023345A (ja) テレビ画像自動キャプチャー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