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76B1 -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76B1
KR101310976B1 KR1020110146741A KR20110146741A KR101310976B1 KR 101310976 B1 KR101310976 B1 KR 101310976B1 KR 1020110146741 A KR1020110146741 A KR 1020110146741A KR 20110146741 A KR20110146741 A KR 20110146741A KR 101310976 B1 KR101310976 B1 KR 10131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iary
user
broadcast content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030A (ko
Inventor
신병휘
이미경
최준영
이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Priority to KR102011014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단계, 그리고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을 원하는 방송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방송 콘텐츠를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와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방송 콘텐츠 이용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추천한 인기 방송 다이어리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BROADCAS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BROADCASTING DIARY APPLICATION}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방송 콘텐츠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 콘텐츠는 텔레비전을 통해 시청하게 되는데 지상파 방송은 공중으로 전송되는 지상파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케이블 방송의 경우는 케이블 망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셋톱박스를 통해 수신하여 이용하고 있다. 일부 사용자들의 경우 케이블 방송 서비스에 가입하여 지상파 방송 신호를 케이블 망을 통해 수신하여 시청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일부 시청자들의 경우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인터넷 방송 등의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시청하는데 이 경우는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웹 사이트를 찾아 접속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송 콘텐츠 시청 방법의 경우 사용자에게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다. 먼저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경우는 텔레비전이 있는 가정에서만 시청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DMB 방송을 이용하면 밖에서도 시청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시청 가능한 콘텐츠의 수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 시청의 경우는 원하는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해당 웹 사이트를 매번 찾아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최근 들어 급격하게 대중화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송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VoD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이 출현하고 있다. 그런데 방송 시청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항상 휴대하고 다니더라도, 지상파 채널, 케이블 채널, 종합 편성 채널 등 다양한 방송 채널로부터 무수히 많은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고 또한 복잡하고 바쁜 사회 생활에서 시청을 원했던 방송 콘텐츠를 깜박 놓치게 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의 관심 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방법은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되는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는 미리 정해진 인기 순위 내에 있는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이고, 상기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전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며, 상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해주는 헤드엔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을 원하는 방송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간이 가까워지면 알림 메시지를 통해 해당 방송 콘텐츠의 방영 시간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방송 콘텐츠를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와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방송 콘텐츠 이용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추천한 인기 방송 다이어리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엔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프론트/백엔드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다이어리 리스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인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방송 다이어리에 적용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헤드엔드부(110), 프론트/백엔드부(120) 및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망(300)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 시스템 관리자의 관리를 받을 수 있다.
헤드엔드부(110)는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아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론트/백엔드부(120)는 사용자에게 방송 편성 정보를 제공하여 시청을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받고, 회원 관리, 과금 관리, 방송 스케줄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는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접속을 허용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 정보와 관련한 각종 서비스(이하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는 방송 편성 정보 및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방송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방송 스케줄 관련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방송 스케줄 관련 각종 서비스 중에 하나는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작 시간에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물론 방송 시작 시간 이전 10분, 30분 등에도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는 과금 관리, 회원 관리 등의 기능 및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방송 콘텐츠 전송 요청 등을 처리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400)에 스트리밍 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성된 각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를 제공받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요청에 따라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방송 다이어리 작성자가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를 공개로 설정한 경우에만 타인에게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친구로 등록된 상대방에게만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인에게 공개된 방송 다이어리에 대한 인기도 순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인기도 순위는 타인으로부터 추천 선택을 많이 받은 순서로 정해질 수 있다. 또는 해당 방송 다이어리를 타인이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로 선택한 수에 따라 정해질 수도 있다. 여기서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를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로 선택하는 것은, 번거롭게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방송 다이어리를 작성하지 않고,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 정보를 가지고 와서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에 적용시키는 경우를 의미한다.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는 지상파 방송국, 케이블 방송국 또는 기타 방송 콘텐츠 제공자 등으로 각종 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3G, 4G, Wi-Fi, WIBRO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관리자 단말(500)은 시스템 관리자가 방송 서비스의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어플리케이션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직접 연결되거나 통신망(300)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통신망(300)을 통해 헤드엔드부(110) 또는 프론트/백엔드부(120)에 접속하여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400)은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1000)은 어플 API(1110), 플레이어(1130) 및 UI부(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 API(1110)는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와 연계하여 방송 다이어리 어플(1000)이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 이용을 위해 필요한 각종 요청 및 데이터 입출력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도 3에 예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콘텐츠가 포함된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방송 시청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어플 API(1110)는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방송 다이어리 정보를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UI부(1150)는 방송 콘텐츠 관련 정보 및 방송 편성 정보를 어플 API(1110)를 통해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UI부(115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의 방송 스케줄 정보를 도 3에 예시한 것과 같은 방송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를 통해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가 제공되는 요일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UI부(1150)는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 정보를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UI부(1150)는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알림 메시지 수신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 수신 옵션 설정 UI 상에서, 자신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작 시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 메시지 수신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방송 시작 시간, 방송 시작 30분 전, 방송 시작 10분 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알림 메시지 수신에 대한 설정이 없는 경우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디폴트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송 시작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알림 메시지 수신 옵션은 어플 API(1110)를 통해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에 전달되어 설정된 시간에 방송 시작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0)에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플레이어(1130)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에 재생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콘텐츠가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스트리밍되면 이를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에 재생해줄 수 있다.
그러면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엔드부(11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헤드엔드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헤드엔드부(110)는 인코더부(111), 스트리밍 서버(113), DRM 서버(117) 및 VoD 서버(119)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1000)으로부터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방송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해당 방송 콘텐츠 또는 VoD 콘텐츠 등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코더부(111)는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멀티 프로파일(Multi-profile)을 적용하여 다양한 전송 환경 및 사용자 단말 기종 별로 적합한 형태로 인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제공되는 단일 포맷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전송 환경 및 사용자 단말 종류 별로 적합한 코덱, 해상도, 비트 레이트(bit rate)로 인코딩할 수 있다. 한편 인코더부(111)는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동일한 시간에 제공되는 다수의 방송 콘텐츠를 동시에 병렬로 인코딩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인코더(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113)는 인코더부(111)에서 인코딩된 방송 콘텐츠를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400)로 스트리밍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트리밍 서버(113)는 네트워크 상황과 사용자 단말의 성능 환경을 자동 감지해 가장 적합한 비트 레이트(bit rate)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라이브 어댑티브 스트리밍(Live Adaptive Streaming)을 제공할 수 있다.
DRM 서버(117)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적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DRM 서버(117)는 암호키를 생성하여 방송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DRM 에이전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스트리밍 된 방송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다.
VoD 서버(119)는 방송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인코더부(111)에서 인코딩하면서 바로 VoD 서버(119)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서버(113)를 통해 스트리밍 해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타임 쉬프트(time shift) 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을 멈추고 나중에 이어 보거나, 원하는 시점으로 되돌려 보기 등을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에 추가적인 저장 용량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은 VoD 서버(119)에 방송 콘텐츠가 실시간 녹화되므로 사용자 단말에 타임 쉬프트 기능을 위한 저장 용량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생방송이 끝난 후에는 종래의 VoD 서비스처럼 사용자에게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프론트/백엔드부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론트/백엔드부(120)는 웹 서버(121), 데이터베이스 서버(123) 및 관리 서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121)는 방송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웹 서버(121)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통해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방송 편성 정보 확인,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 선택, 요금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1000)을 이용할 경우는 프론트/백엔드부(120)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도,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를 통해 전달되는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1000)의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방송 편성 정보 제공, 요금 결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3)는 방송 편성 정보, 회원 정보, 결제 정보, 방송 스케줄 관리 정보 등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방송 편성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국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콘텐츠 중에 일부는 저작권 등의 문제로 인터넷 상에서 서비스될 수 없는 경우 등이 있다. 이 경우 시스템 관리자는 방송 편성 정보에서 해당 부분을 삭제하고, 헤드엔드부(11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서버(123)는 사용자가 서드 파티 서비스 로그인 정보로 접속해서 이용하였거나 추천한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웹 서버(121), 관리 서버(125),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 등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125)는 관리자 단말(500)의 명령 및 설정에 따라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관리할 수 있다.
그러면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의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1000)을 실행하고 UI부(115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하고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킬 수 있다(S1310). 사용자는 원할 때마다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하고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할 때마다 자신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를 확인할 수 있다(S1320). 예컨대 사용자가 방송 다이어리 확인을 요청하면 방송 다이어리 어플(1000)은 도 3에 예시한 것과 같은 방송 다이어리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특정 방송 콘텐츠에 대한 방송 시청을 선택하면(S1330), 어플 API(1110)는 해당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전달한다(S1340).
그리고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방송 콘텐츠가 스트리밍되면 플레이어(1130)가 실행되어 해당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에 재생한다(S1350).
한편 방송 시청을 위해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에 대한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S1345-Y),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 API(1110)와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의 로그인 기능을 통해 로그인을 할 수 있다(S1347).
그러면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0) 상에서 방송 다이어리 어플(1000)을 이용하여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를 작성하면(S1410), 작성된 방송 다이어리는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S1420). 단계(S1410)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에 대해 공개 또는 비공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공개 범위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작 시간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 메시지 수신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방송 시작 시간, 방송 시작 30분 전, 방송 시작 10분 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알림 메시지 수신에 대한 설정이 없는 경우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디폴트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송 시작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13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요청에 따라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를 제공할 수 있다(S1430). 단계(S1430)에서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 제공은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방송 다이어리 리스트를 제공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추천 방송 다이어리 리스트에 포함되는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인기 순위 내에 있는 사용자가 선택되어 도 8에 예시된 것과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기 순위대로 정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 정보를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에 적용시킬 수 있다(S1440). 단계(S1440)에서 사용자는 도 9에 예시한 것과 같이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 화면(800)에서 사용자가 특정 방송 콘텐츠(810)를 터치하면 팝업 메뉴(820)가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자신의 방송 다이어리에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전체 방송 콘텐츠 또는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방송 콘텐츠를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방송 다이어리를 기초로 방송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400)에 방송 시작 알림 메시지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양한 채널의 다수의 방송 콘텐츠를 방송 편성 정보에서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비교적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방송 콘텐츠를 확인하고 자신의 관심 대상 방송 콘텐츠로 선택하여 방송 다이어리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단계,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되는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는 미리 정해진 인기 순위 내에 있는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인 방송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서,
    상기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전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방송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서,
    상기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방법.
  5.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6. 방송 편성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며 상기 관심대상 방송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다이어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는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트리밍 해주는 헤드엔드부, 그리고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방송 다이어리 서비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인 작성 방송 다이어리는 미리 정해진 인기 순위 내에 있는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인 방송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서,
    상기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은 타인이 작성한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서,
    상기 타인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 전부를 상기 사용자의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시키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9. 제 6 항에서,
    상기 방송 다이어리에 포함된 방송 콘텐츠의 방송 시간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된 시간에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20110146741A 2011-12-30 2011-12-30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10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41A KR101310976B1 (ko) 2011-12-30 2011-12-30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741A KR101310976B1 (ko) 2011-12-30 2011-12-30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030A KR20130078030A (ko) 2013-07-10
KR101310976B1 true KR101310976B1 (ko) 2013-09-23

Family

ID=4899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741A KR101310976B1 (ko) 2011-12-30 2011-12-30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14B1 (ko) * 2017-06-26 2018-09-07 코코아 비전(주) 간접광고상품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664A (ko) * 2005-02-28 2006-09-01 (주) 엘지텔레콤 이동단말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예약 방법
KR20100034285A (ko) * 2008-09-23 2010-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입자 단말 기반의 맞춤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7441A (ko) * 2010-05-19 2011-11-25 한국과학기술원 방송 서비스를 위한 채널 가이드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664A (ko) * 2005-02-28 2006-09-01 (주) 엘지텔레콤 이동단말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예약 방법
KR20100034285A (ko) * 2008-09-23 2010-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입자 단말 기반의 맞춤형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7441A (ko) * 2010-05-19 2011-11-25 한국과학기술원 방송 서비스를 위한 채널 가이드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030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8463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digital rights
KR102102624B1 (ko) 메시지들을 타임 시프팅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474594A (zh) 用于实时地管理内容的系统和方法
CN104394457A (zh) 一种电视节目预约录制和自动下载服务系统的实现方法
KR20190025681A (ko) 위성 방송 시스템을 통한 온라인 미디어 콘텐츠의 제공
US11910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offsets of a recorded program in a network DVR
US10805688B1 (en) Locally relayed broadcast and community service television
KR101145877B1 (ko) 방송 콘텐츠 인기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188765B1 (ko) 방송 이어보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87388B1 (ko) 추천 방송 콘텐츠 가이드를 제공하는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35506B1 (ko) 메신저 서비스 연동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10976B1 (ko) 방송 다이어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7594A (ko) 방송 콘텐츠 인기도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294148B1 (ko) 관심 대상 방송 콘텐츠 친구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308926B1 (ko) 인기 어플리케이션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16614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69031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87386B1 (ko) 브이오디 콘텐츠 채널을 통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94147B1 (ko) 타 서비스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08923B1 (ko) 공통 관심 대상 방송 콘텐츠 방송 스케줄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87798B1 (ko) 캐치업 브이오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83186B1 (ko)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99873B1 (ko) 웹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61015B1 (ko)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30075865A (ko) 휴대 단말의 위치와 연계한 방송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