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770B1 -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 Google Patents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770B1
KR101310770B1 KR1020110068305A KR20110068305A KR101310770B1 KR 101310770 B1 KR101310770 B1 KR 101310770B1 KR 1020110068305 A KR1020110068305 A KR 1020110068305A KR 20110068305 A KR20110068305 A KR 20110068305A KR 101310770 B1 KR101310770 B1 KR 10131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wheel
rotation
bullet inser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776A (ko
Inventor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이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영 filed Critical 이시영
Priority to KR102011006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770B1/ko
Priority to US13/243,559 priority patent/US8931467B2/en
Publication of KR2013000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24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 F41A9/2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using a revolving drum magazine
    • F41A9/27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a movable magazine or clip as feeding element using a revolving drum magazine in revolver-type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 F41A9/73Dru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50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 F41B11/54Magazines for compressed-gas guns; Arrangements for feeding or loading projectiles from magazines the projectiles being stored in a rotating drum magaz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총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며 공기총의 탄환 장전수단의 구동 과정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탄환을 장전할 수 있어서 연발 발사에 적합한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회전 탄창은, 중앙에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탄환 삽입휠; 상기 탄환 삽입휠의 후면을 감싸며, 상기 회전홀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 하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탄환통과홀을 구비하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와 체결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의 전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며, 상기 제1 탄환통과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제2 탄환통과홀이 형성되는 전면 커버; 상기 탄환 삽입휠에 가해지는 외력 부재시, 상기 탄환 삽입휠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휠 회전부; 상기 탄환 삽입챔버를 관통하면서 상기 탄환삽입 챔버에 삽입되어 있는 탄환을 장전하는 탄환 장전수단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을 상기 탄환 삽입챔버 형성 간격별로 나누어 회전시키는 휠 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AUTOMATICALLY REVOLVING MAGAZINE AND THE AIR GUN HAVING THAT}
본 발명은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총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며 공기총의 탄환 장전수단의 구동 과정 중 최소의 구동과정과 탄창 내부의 구성품만으로 자동 회전하고, 탄환을 장전할 수 있어서 연발 발사에 적합한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총은 압축탱크에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탄환 장전수단의 조작에 따라 탄창에서 하나의 탄환을 약실로 이동시켜 장전하며,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상기 압축탱크에 저장한 압축공기로 상기 약실에 장전한 탄환을 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총들 중에서 회전하면서 탄환장전수단의 구동과정과 연동되어 약실에 탄환을 장전할 수 있는 회전식 탄창을 사용하는 공기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회전식 탄창은 공기총의 연발 발사 동작과 연동되어 있지 않아서, 연발 발사 과정에서 잦은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총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며 공기총의 탄환 장전수단의 구동 과정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탄환을 장전할 수 있어서 연발 발사에 적합한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회전 탄창은, 중앙에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탄환 삽입휠; 상기 탄환 삽입휠의 후면을 감싸며, 상기 회전홀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 하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탄환통과홀을 구비하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와 체결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의 전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며, 상기 제1 탄환통과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제2 탄환통과홀이 형성되는 전면 커버; 상기 탄환 삽입휠에 가해지는 외력 부재시, 상기 탄환 삽입휠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휠 회전부; 상기 탄환 삽입챔버를 관통하면서 상기 탄환삽입 챔버에 삽입되어 있는 탄환을 장전하는 탄환 장전수단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을 상기 탄환 삽입챔버 형성 간격별로 나누어 회전시키는 휠 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 회전 탄창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는 하측에 상기 전면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탄환 삽입휠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는 휠 간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 회전 탄창에서 상기 휠 회전부는, 상기 후면 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회전 경로 안내홈; 상기 탄환 삽입휠의 후면에 상기 후면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 경로 안내홈을 따라 상기 탄환 삽입휠의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턱;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탄환 삽입휠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탄환 삽입휠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에 탄성력을 축적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경로 안내홈은 끊어진 O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휠 회전 제어부는, 상기 탄환 삽입휠의 전면 중 상기 탄환 삽입챔버 내측으로 형성되는 휠 회전 제어홈; 상기 전면 커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환 장전수단에 진입에 의하여 상승하고, 상기 탄환 장전수단의 퇴출에 의하여 하강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면 일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승하강부재가 편심된 상태로 하강시키는 편심하강수단; 상기 승하강부재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휠 회전 제어홈을 타고 상기 탄환 삽입휠의 회전 간격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휠 회전 제어홈은, 상기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개의 챔버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챔버 걸림홈은 상기 탄환 삽입휠의 제2 방향 회전시에 상기 회전 제한 턱이 용이하게 다음 챔버 걸림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원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면 커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안내구가 관통하는 이동 안내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강시에 하단이 상기 제2 탄환통과홀로 하강하여 상기 탄환 장전 수단에 전후진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편심하강수단은, 상기 전면 커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면 일측을 편심되게 가압하는 편심가압부재; 상기 편심가압부재의 상부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편심가압부재의 하측으로 미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회전 탄창에는, 상기 전면 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휠 회전 제어부를 덮는 표면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 회전 탄창을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 회전 탄창은 공기총에 용이하게 삽입 가능할 뿐만아니라,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 단순한 기구적인 구조에 의하여 탄환 장전 수단의 동작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탄환을 한 발씩 장전할 수 있어서 연발 발사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연발 공기총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탄창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커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환 삽입휠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회전 제어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덮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탄창(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총(1)의 상측,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80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탄창 삽입홈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상기 탄창 삽입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80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탄환 장전수단과 정확하게 맞물려서 연동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며, 상기 탄환 장전수단의 동작과 연동되어 장탄된 다수개의 탄환을 한발 씩 자동으로 장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탄창(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 삽입휠(410), 후면 커버(420), 전면 커버(430), 휠 회전부(440), 휠 회전 제어부(450) 및 표면 덮개(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탄환 삽입휠(4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411)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412)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탄환 삽입휠(410)은 조립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커버(420)와 전면 커버(430)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탄환 삽입휠(4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412)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환이 용이하게 삽입 및 퇴출될 수 있도록 상기 탄환의 직경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탄환 삽입 챔버(412)의 크기가 너무 크면 탄환이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분리되거나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회전홀(411)은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정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회전축(422)이 관통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면 커버(420)는 조립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후면을 감싸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홀(411)를 관통하는 회전축(422) 및 상기 회전축(422) 하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탄환통과홀(424)을 구비한다. 즉, 상기 후면 커버(420)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후면을 감싸며, 상기 회전축(422)과 상기 회전홀(411)가 결합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22)은 상기 회전홀(411)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홀(4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전축(422)의 전단(422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얇은 2단 구조를 가져서 후술하는 전면 커버(4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 커버(4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22) 하측에 제1 탄환통과홀(424)이 상기 후면 커버(4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제1 탄환통과홀(424)는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탄환 삽입 챔버(412)들이 회전이동하면서 각 탄환 삽입 챔버(412)들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환 장전수단에 의하여 상기 탄환 삽입 챔버(412)에 장탄된 탄환을 밀어서 약실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탄환과 탄환 장전수단의 일부가 상기 제1 탄환통과홀(412)을 통과하게 된다.
결국 상기 자동 회전 탄창(400)이 공기총(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탄환통과홀(412)은 정확하게 약실부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 커버(4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상기 전면 커버(43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휠 간격부재(42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휠 간격부재(426)는 상기 후면 커버(420)와 전면커버(4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상기 전면 커버(430) 또는 후면 커버(420)와 접촉하여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전면 커버(430)와 후면 커버(420)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휠 간격부재(426)는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두께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면 커버(420) 중 상기 회전축(422) 주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끊어진 O 자 형상'의 회전 경로 안내홈(428)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 커버(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420)와 체결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전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전면 커버(430)와 후면 커버(420) 사이에서 상기 탄환 삽입휠(410)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4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탄환통과홀(424)과 일치하는 위치에 제2 탄환통과홀(4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탄환통과홀(431)은 상기 제1 탄환통과홀(42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자동 회전 탄창(4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탄환통과홀(422)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탄환통과홀(431)은 상기 자동 회전 탄창(400)에 탄환을 장탄하는 과정에서 탄환이 통과하는 통로가 되며, 탄환을 약실부로 장전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탄환 장전 수단의 일부가 통과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한편 상기 전면 커버(430)의 좌우측 중간 부분에는 후술하는 표면 커버(460)와의 체결시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구(4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430)의 하부 좌우측에는 각각 상기 후면 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체결구멍(43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휠 회전부(440)는 상기 탄환 삽입휠(410)에 가해지는 외력 부재시, 상기 탄환 삽입휠(410)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에서 '제1 회전방향'이라 함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방향을 말하는 것으로서, 탄환 장탄시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회전하려는 특정한 방향을 말한다.
전술한 기능 달성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 회전부(440)를 구체적으로 회전 경로 안내홈(442), 안내턱 및 제1 탄성부재(44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회전 경로 안내홈(4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커버(420)의 내면에 상기 회전축 주변을 감싸는 형상으로 음각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경로 안내홈(442)은 '끊어진 O 자 형상'을 가지는데, 여기에서 '끊어진 O 자 형상'이라 함은 원형의 홈이 완전히 연결되어 원을 형성하지 못하고, 일부분이 잘려서 열린 원의 형태를 말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상에서 좌측 일부분(442a)이 잘려서 열린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턱(도면에 미도시)은,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후면에 상기 후면 커버(42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 경로 안내홈(442)을 따라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안내턱은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자동 회전 탄창(4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경로 안내홈(442)의 일부분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안내턱은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회전에 따라서 상기 회전 경로 안내휠(442)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회전 안내 경로의 열린 부분(442a)에서는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자동 회전 탄창(400)에 다수개의 탄환을 장탄하는 과정에서 최초의 탄환 삽입 챔버(412)에서부터 탄환을 장탄하면, 다수개의 탄환 삽입 챔버를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차례로 탄환을 장탄하다가 상기 안내턱과 회전 경로 안내홈(442)에 의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 모든 탄환 삽입 챔버(412)에 탄환이 장탄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44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커버(420)와 상기 탄환 삽입휠(4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제2 회전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탄성력을 축적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410)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1 탄성부재(44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양단(446a, 446b)은 코일 진행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된 양단 중 일단(446a)은 상기 후면 커버(4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코일 삽입홈(428)에 삽입되고, 타단(446b)은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코일 삽입홈(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된다.
결국 상기 제1 탄성부재(446)는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상기 후면 커버(4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커버(420)와 탄환 삽입휠(41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제2 방향 회전시에 탄성력이 축적되며, 제1 방향 회전시에 축적된 탄성력을 사용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410)을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휠 회전 제어부(450)는 상기 탄환 삽입챔버(412)를 관통하면서 상기 탄환삽입 챔버(412)에 삽입되어 있는 탄환을 장전하는 탄환 장전수단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410)을 상기 탄환 삽입챔버(412) 형성 간격별로 나누어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 회전 제어부(45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커버(430)의 설치홈(434)에 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휠 회전 제어부(450)를 상기 전면 커버(430)에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탄환 장전수단이 상기 제2 탄환통과홀(431), 탄환 삽입 챔버(412) 및 제1 탄환통과홀(422)을 각각 통과하여 하나의 탄환을 장전하고, 이 탄환이 발사된 후에 상기 탄환 장전수단이 후퇴하면서, 먼저 상기 상기 제1 탄환통과홀(422) 및 탄환 삽입 챔버(412)를 순차적으로 빠져나오면서, 탄환 삽입휠(4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410)이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상기 탄환 장전 수단이 상기 제2 탄환통과홀(431)을 벗어나면서 상기 휠 회전 제어부(450)가 하강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회전 간격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휠 회전 제어부(450) 및 탄환 장전 수단의 구동에 의하여 탄환 삽입휠(410)이 한 챔버 간격씩 회전하며 탄환을 자동 장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휠 회전 제어부(450)는 설치홈(434), 휠 회전 제어홈(416), 승하강부재(454), 편심하강수단(456) 및 회전 제한턱(45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설치홈(4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커버(430)의 전면 중 중앙 부분이 내측으로 음각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승하강부재(454), 편심하강수단(456) 및 회전 제한턱(458)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설치홈(434)에는 제1 이동안내구(435)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제2 이동안내구(436)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안내구(435)는 상기 승하강부재(454)의 승하강이동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제2 이동안내구(436)는 상기 편심하강수단(456)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설치홈(434)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회전 제한턱(458)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제한턱 관통홀(437)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한턱 관통홀(437)을 통하여 상기 회전 제한턱(458)이 후술하는 휠 회전 제어홈(416)을 타고 넘으면서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휠 회전 제어홈(416)은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전면 중 상기 탄환 삽입챔버(412)가 형성된 영역의 내측으로 음각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휠 회전 제어홈(416)은 상기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412)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개의 챔버 걸림홈(414)이 형성되며, 각 챔버 걸림홈(414)은 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각 챔버 걸림홈(414)은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제2 방향 회전시에 상기 회전 제한 턱(458)이 용이하게 다음 챔버 걸림홈(414)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측은 경사가 완만한 경사면(415)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우측은 상기 회전제한턱(458)이 위치이동하지 않는 한 넘어가지 않도록 가파른 경사면(41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부재(45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커버(43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환 장전수단에 진입에 의하여 밀려서 상승하고, 상기 탄환 장전수단의 퇴출에 의하여 하강한다. 즉, 상기 승하강부재(454)는 조립된 상태에서 그 하단 일부가 제2 탄환통과홀(431)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탄환 장전수단이 상기 제2 탄환통과홀(431)을 통과하면서 돌출된 부분을 밀려올리면 상기 승하강부재(454) 전체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승하강부재(45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회전 제한 턱(458)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챔버 걸림홈(414)을 넘어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부재(45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54a), 이동 안내홀(454b), 돌출턱(45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454a)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원으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 안내홀(454b)은 상기 본체(454a)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조립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커버(430)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안내구(435)가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안내홀(454b)은 길게 늘어진 원형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상기 승하강부재(454)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454c)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54a)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부재(454)의 하강시에 하단이 상기 제2 탄환통과홀(431)로 하강하여 상기 탄환 장전 수단에 전후진에 의하여 승하강한다.
다음으로 상기 편심하강수단(456)은 상기 승하강부재(454)의 상면 일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승하강부재(454)를 편심된 상태로 하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편심하강수단(45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가압부재(456a)와 제2 탄성부재(45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편심가압부재(456a)는 상기 전면 커버(430)의 설치홈(434)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재(454)의 상면 일측을 편심되게 가압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편심가압부재(456)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구조를 가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길게 늘어진 원형의 관통홀(456c)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56c)이 이렇게 길게 늘어진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편심가압부재(456)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이 모두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탄성부재(456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가압부재(456a)의 상부와 상기 전면 커버(430)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편심가압부재(456a)의 하측으로 미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 탄성부재(456b)의 안정적인 조립을 위하여 상기 편심가압부재(456a)의 상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 삽입홈(456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 삽입홈(456d)은 상기 편심가압부재(456a)의 중앙 부분이 아니라 일측에 치우쳐서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456b)는 상기 편심가압부재(456a)를 일측으로 편심되게 가압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편심가압부재(456a)는 항상 상기 승하강부재(454)를 도면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이렇게 상기 승하강부재(454)를 편심되게 가압하는 것은 후술하는 회전 제한턱(458)이 상기 챔버 걸림홈(414)을 타고 넘을때, 우측 방향의 가파른 경사면(413)을 타고 넘지 못하도록 상기 회전 제한턱(458)을 상기 챔버 걸림홈(414)의 가파른 경사면(413) 방향으로 가압하며, 일단 상기 회전 제한턱(458)이 챔버 걸림홈(414)을 벗어나면 이웃한 다음 챔버 걸림홈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가압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제한턱(458)은 상기 본체(454a)의 후면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한턱 관통홀(437)을 관통하여 상기 챔버 걸림홈(414)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454c)의 상하 이동 및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편심 작용에 의하여 상기 다수개의 챔버 걸림홈(414)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탄환 삽입휠(410)의 회전 간격을 탄환 삽입 챔버(412) 한개 간격으로 제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표면 덮개(4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커버(430)에 결합되며, 상기 휠 회전 제어부(450)를 덮는 구성요소이다. 이 표면 덮개(4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하여 상기 전면 커버(430)에 체결된다.
1 : 공기총 400 :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회전 탄창
410 : 탄환 삽입휠(410) 420 : 후면 커버
430 : 전면 커버 440 : 휠 회전부
450 : 휠 회전 제어부 460 : 표면 덮개

Claims (10)

  1. 중앙에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탄환 삽입휠;
    상기 탄환 삽입휠의 후면을 감싸며, 상기 회전홀을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 하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탄환통과홀을 구비하는 후면 커버;
    상기 후면 커버와 체결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의 전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며, 상기 제1 탄환통과홀과 일치하는 위치에 제2 탄환통과홀이 형성되는 전면 커버;
    상기 탄환 삽입휠에 가해지는 외력 부재시, 상기 탄환 삽입휠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휠 회전부;
    상기 탄환 삽입챔버를 관통하면서 상기 탄환삽입 챔버에 삽입되어 있는 탄환을 장전하는 탄환 장전수단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탄환 삽입휠을 상기 탄환 삽입챔버 형성 간격별로 나누어 회전시키는 휠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휠 회전 제어부는,
    상기 탄환 삽입휠의 전면 중 상기 탄환 삽입챔버 내측에 형성되는 휠 회전 제어홈;
    상기 전면 커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환 장전수단에 진입에 의하여 상승하고, 상기 탄환 장전수단의 퇴출에 의하여 하강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면 일측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승하강부재를 편심된 상태로 하강시키는 편심하강수단;
    상기 승하강부재의 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휠 회전 제어홈을 타고 상기 탄환 삽입휠의 회전 간격을 상기 탄환 삽입 챔버별로 제한하는 회전 제한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하측에 상기 전면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탄환 삽입휠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는 휠 간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회전부는,
    상기 후면 커버의 내면에 음각되어 형성되는 회전 경로 안내홈;
    상기 탄환 삽입휠의 후면에 상기 후면 커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 경로 안내홈을 따라 상기 탄환 삽입휠의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턱;
    상기 후면 커버와 상기 탄환 삽입휠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탄환 삽입휠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에 탄성력을 축적하여 상기 탄환 삽입휠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경로 안내홈은,
    끊어진 O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 회전 제어홈은,
    상기 다수개의 탄환 삽입챔버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개의 챔버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챔버 걸림홈은 상기 탄환 삽입휠의 제2 방향 회전시에 상기 회전 제한 턱이 용이하게 다음 챔버 걸림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면 커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안내구가 관통하는 이동 안내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강시에 하단이 상기 제2 탄환통과홀로 하강하여 상기 탄환 장전 수단에 전후진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하강수단은,
    상기 전면 커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상면 일측을 편심되게 가압하는 편심가압부재;
    상기 편심가압부재의 상부와 상기 전면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편심가압부재의 하측으로 미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휠 회전 제어부를 덮는 표면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회전 탄창.
  10.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자동 회전 탄창을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KR1020110068305A 2011-07-05 2011-07-11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KR10131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05A KR101310770B1 (ko) 2011-07-11 2011-07-11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US13/243,559 US8931467B2 (en) 2011-07-05 2011-09-23 Magazine rif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05A KR101310770B1 (ko) 2011-07-11 2011-07-11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76A KR20130007776A (ko) 2013-01-21
KR101310770B1 true KR101310770B1 (ko) 2013-09-25

Family

ID=4783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05A KR101310770B1 (ko) 2011-07-05 2011-07-11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865B1 (ko) * 2014-02-03 2014-05-29 김일환 탄알의 이중장전이 방지되는 탄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KR101401834B1 (ko) * 2014-02-03 2014-05-29 김일환 탄알의 이중장전이 방지되는 공기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251A (en) * 1988-05-06 1991-01-22 Utec B. V. Airgun magazine
KR20050112268A (ko) * 2004-05-25 2005-11-30 김용전 공기총의 탄환소모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251A (en) * 1988-05-06 1991-01-22 Utec B. V. Airgun magazine
KR20050112268A (ko) * 2004-05-25 2005-11-30 김용전 공기총의 탄환소모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76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467B2 (en) Magazine rifle
US8387296B2 (en) Drop bolt hold open actuator for use with AR-15/M16 type firearms and incorporating a modified and displaceable follower for engaging a bolt catch mechanism such as in conjunction with rimfire ammunition
US10378847B2 (en) Forward set trigger bar for a firearm
CA2745452C (en) Drive and quick stop for a weapon with preferably linear breech or ammunition feed
KR101310770B1 (ko) 자동 회전 탄창 및 이를 구비하는 다연발 공기총
US8365454B2 (en) Increased capacity ammunition clip
US20100163595A1 (en) Setting Device, Method and Apparatuses for Feeding Fastening Elements
KR20180034472A (ko) 모듈식 무기
KR980003461A (ko) 방아쇠 장치
US7530191B2 (en) Semi-automatic handgun, magazine, and follower
KR101384905B1 (ko) 무기 하우징, 무기 하우징을 구비한 무기, 및 무기 하우징 조립 방법
US9470465B2 (en) Firearm having slide with cam
US20150377583A1 (en) Recoil reducer when shooting bullet from firearm
KR101345406B1 (ko) 최루탄 발사장치
KR102418158B1 (ko) 무기 구동부 및 무기 비상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US9534860B2 (en) Gas-operated firearm
EP3179195B1 (en) Trigger and loading mechanism for an air gun
US7836812B2 (en) Propellant charge feed or supply means
US20200256631A1 (en) Advanced Case Engaging Magazine Loader
US7481148B2 (en) Device for transferring projectile into barrel of weapon
KR101280687B1 (ko) 송탄장치용 주퇴복좌 시험기
EP3650801A1 (en) Device for replacing magazine of gun
US20150354910A1 (en) Bolt guidance system
US10775119B2 (en) Firearm
KR101394163B1 (ko) 회전식 약실을 갖는 화포의 간헐 고정 및 해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